KR20190105444A - 소화시스템 - Google Patents

소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5444A
KR20190105444A KR1020180026002A KR20180026002A KR20190105444A KR 20190105444 A KR20190105444 A KR 20190105444A KR 1020180026002 A KR1020180026002 A KR 1020180026002A KR 20180026002 A KR20180026002 A KR 20180026002A KR 20190105444 A KR20190105444 A KR 20190105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ing agent
pipe
injectio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6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3459B1 (ko
Inventor
노고섭
이운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에스테크놀로지
이운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에스테크놀로지, 이운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에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80026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3459B1/ko
Publication of KR20190105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5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3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3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comprising sensors for monitoring the delivery, e.g. by displaying the sensed value or generating an al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소화약제통에 설치된 본체와, 본체의 양쪽에 각각 설치된 제1,2분사부와, 본체 및 제2분사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화재의 열을 감지하면 제1,2분사부에서 소화약제가 분사되도록 본체의 내부를 개방시키는 화재감지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소화약제 분사장치를 배치하되, 본체는 내부에 안지름이 다른 제1,2유로가 형성되면서 걸림턱이 형성된 몸체관과, 몸체관에서 돌출 형성되어 소화약제통에 설치되어 연결되며 제2유로와 연결되는 투입관을 포함하며, 제1분사부는 본체의 한쪽에 설치되어 제1유로와 연결되고 제1분사구멍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제1분사관과, 제1분사관에 설치되어 연결되는 배출관을 포함하고, 제2분사부는 본체의 다른 한쪽에 설치되며 내부에 제2유로와 연결되는 제3유로가 형성된 이송관과, 이송관에 설치되며 내부에 제3유로보다 안지름이 크면서 제3유로와 연결되는 제4유로가 형성되고 제2분사구멍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제2분사관을 포함하며, 화재감지부는 내부에 제1,2유로와 연결되는 제5유로가 형성되며, 걸림턱에 걸림되어 가스가 충전되는 제2유로와 투입관을 연결 해제해주는 개폐구와, 제5유로에 끼워지면서 제3,4유로에 삽입되는 플런저 핀과, 플런저 핀에서 돌출 형성되어 제3유로에 끼워지면서 제2유로에서 충전된 가스가 빠져나오지 않도록 해주는 밀폐부와, 개폐구와 이송관 사이에 설치된 인장스프링과, 제4유로에 끼워지면서 플런저 핀에 지지되는 지지구와, 제2분사관의 내면과 지지구에 지지되고 화재의 열에 의해 파열되는 글라스 벌브와, 제2분사부에 설치되며 제2분사구멍을 통해 글라스 벌브를 타격하여 파손시키는 타격봉이 구비된 타격몸체와, 타격몸체에 설치되어 연결되는 유입관을 포함하고, 다수의 소화약제 분사장치는 서로 이어지도록 서로 이웃한 배출관과 유입관을 연결관으로 연결하면서, 나머지 소화약제 분사장치의 유입관과 소화약제 분사장치의 배출관을 연결관으로 연결하여, 화재 발생 시, 다수의 소화약제 분사장치의 제1,2분사부에서 소화약제가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화시스템{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본 발명은 소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화재 발생 시, 화재 위치에 위치한 소화약제 분사장치뿐만 아니라 화재 위치에 위치하지 않는 이웃한 소화약제 분사장치에서도 소화약제를 분사하고, 소화약제통의 소화약제 방출시간을 종래보다 빠르게 하면서 화재의 범위에 대응할 수 있게 소화약제를 넓게 분사하는 소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화장치는 발전설비 및 백화점 등의 건축물에 설치되며, 대부분 가정용 소화기보다는 대형으로써 건축물에 다수 설치되어 배치되었다.
그래서, 건축물 내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재 위치에 위치한 소화장치가 작동되어 화재를 진화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특허문헌1은 분사헤드의 일측에 전,후진하여 유리관을 타격 파손시키는 타격핀을 포함하는 액튜에이터를 형성하되, 상기 타격핀은 스프링캡과 스프링하우징에 내장되어 탄발스프링을 가압한 상태로 스토퍼에 의해 압지되고, 상기 스토퍼의 내측으로는 스프링이 끼워져 스프링하우징의 벽면에 밀려 당김쇠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로 외벽에 설치된 E-링에 밀착되며, 상기 당김쇠의 일측은 지지대에 밀착되고 일측 타단은 솔레노이드와 연동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솔레노이드의 구동에 의해 당김쇠가 스토퍼을 일측으로 밀어 압지하고 있던 타격핀이 해지되면서 탄발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타격핀이 전진하여 유리관를 파손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약재 방출헤드 자동개방장치를 제공하였다.
하지만, 특허문헌1의 소화약재 방출헤드 자동개방장치를 건축물에 다수로 설치할 경우, 화재가 발생한 위치에서만 소화약재 방출헤드 자동개방장치가 작동되어 소화약제가 분사되지만, 화재 위치에 위치하지 않는 이웃한 소화약재 방출헤드 자동개방장치는 화재가 감지될 때까지 소화약제가 분사되지 않을 우려가 있었다.
즉, 소화약제의 분사범위를 넘어간 화재의 일부가 다른 장소로 번져서, 화재 진화가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었다.
특허문헌1 :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00018호(등록일자 : 2005년 10월 25일)
이에, 본 발명은 화재 발생 시, 화재 위치에 위치한 소화약제 분사장치뿐만 아니라 화재 위치에 위치하지 않는 이웃한 소화약제 분사장치에서도 소화약제를 분사하고, 소화약제통의 소화약제 방출시간을 종래보다 빠르게 하면서 화재의 범위에 대응할 수 있게 소화약제를 넓게 분사하는 소화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화약제통에 설치된 본체와, 본체의 양쪽에 각각 설치된 제1,2분사부와, 본체 및 제2분사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화재의 열을 감지하면 제1,2분사부에서 소화약제가 분사되도록 본체의 내부를 개방시키는 화재감지부를 포함하는 다수의 소화약제 분사장치를 배치하되, 본체는 내부에 안지름이 다른 제1,2유로가 형성되면서 걸림턱이 형성된 몸체관과, 몸체관에서 돌출 형성되어 소화약제통에 설치되어 연결되며 제2유로와 연결되는 투입관을 포함하며, 제1분사부는 본체의 한쪽에 설치되어 제1유로와 연결되고 제1분사구멍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제1분사관과, 제1분사관에 설치되어 연결되는 배출관을 포함하고, 제2분사부는 본체의 다른 한쪽에 설치되며 내부에 제2유로와 연결되는 제3유로가 형성된 이송관과, 이송관에 설치되며 내부에 제3유로보다 안지름이 크면서 제3유로와 연결되는 제4유로가 형성되고 제2분사구멍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제2분사관을 포함하며, 화재감지부는 내부에 제1,2유로와 연결되는 제5유로가 형성되며, 걸림턱에 걸림되어 가스가 충전되는 제2유로와 투입관을 연결 해제해주는 개폐구와, 제5유로에 끼워지면서 제3,4유로에 삽입되는 플런저 핀과, 플런저 핀에서 돌출 형성되어 제3유로에 끼워지면서 제2유로에서 충전된 가스가 빠져나오지 않도록 해주는 밀폐부와, 개폐구와 이송관 사이에 설치된 인장스프링과, 제4유로에 끼워지면서 플런저 핀에 지지되는 지지구와, 제2분사관의 내면과 지지구에 지지되고 화재의 열에 의해 파열되는 글라스 벌브와, 제2분사부에 설치되며 제2분사구멍을 통해 글라스 벌브를 타격하여 파손시키는 타격봉이 구비된 타격몸체와, 타격몸체에 설치되어 연결되는 유입관을 포함하고, 다수의 소화약제 분사장치는 서로 이어지도록 서로 이웃한 배출관과 유입관을 연결관으로 연결하면서, 나머지 소화약제 분사장치의 유입관과 소화약제 분사장치의 배출관을 연결관으로 연결하여, 화재 발생 시, 다수의 소화약제 분사장치의 제1,2분사부에서 소화약제가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화재 발생 시, 화재 위치에 위치한 소화약제 분사장치뿐만 아니라 화재 위치에 위치하지 않는 이웃한 소화약제 분사장치에서도 소화약제가 분사되는 효과가 있다.
즉, 소화약제의 분사범위를 넘어간 화재의 일부가 다른 장소로 번지는 것을 미리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화재 발생 시, 화재의 열을 화재감지부가 감지하면 소화약제통과 연결된 본체의 내부가 개방되면서, 제1분사부뿐만 아니라 제2분사부에서도 소화약제가 화재 위치로 분사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즉, 본체의 양쪽에 설치된 제1,2분사부에서 소화약제가 분사되기 때문에, 소화약제통에서 소화약제의 방출시간이 종래보다 빨라지면서 화재의 범위에 대응할 수 있게 소화약제를 넓게 분사하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신속한 화재 진화를 해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소화약제가 제1,2분사부에 의해 분산되어서 분사되기 때문에, 고압의 소화약제가 한 곳에 집중 분사되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즉, 화재가 발생한 위치에서 변압기 및 플랜트 등의 충격에 민감한 설비에 압력이 저하된 소화약제가 분사되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소화약제의 분사 압력에 의한 설비 손상을 막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이송관에 소화약제가 분사되는 제3분사구멍이 더 형성되기 때문에, 소화약제가 더 분산되어서 분사되는 효과가 있다.
즉, 소화약제의 분사 압력을 더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2분사구멍 사이에 위치되는 제3분사구멍에서도 소화약제가 분사되기 때문에, 소화약제의 분사 범위가 서로 겹치는 효과가 있다.
즉, 화재가 발생한 위치로 소화약제가 반복적으로 분사되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화재 진화를 더 확실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핀 스페이서에 의해 플런저 핀의 한쪽 길이가 짧게 형성되기 때문에, 가스의 압력에 의한 플런저 핀의 이동거리를 늘려주는 효과가 있다.
즉, 가스 및 소화약제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충분하게 확보해서, 화재 진화를 위해 가스 방출 및 소화약제의 분사를 신속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소화약제가 유입된 유입홈에 의해 개폐구가 더 신속하게 이동하여 본체의 내부를 신속하게 개방하기 때문에, 화재 위치로 소화약제의 분사를 더 신속하게 해주면서 이웃한 소화약제 분사장치를 순차적으로 신속하게 작동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시스템의 설치상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약제 분사장치의 상세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시스템의 사용상태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소화시스템(1000)은 소화약제통(1)에 설치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양쪽에 각각 설치된 제1,2분사부(20)(30)와, 상기 본체(10) 및 제2분사부(30)의 내부에 설치되어 화재의 열을 감지하면 제1,2분사부(20)(30)에서 소화약제가 분사되도록 본체(10)의 내부를 개방시키는 화재감지부(40)를 포함하는 다수의 소화약제 분사장치(100a~100n)가 배치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는 내부에 안지름이 다른 제1,2유로(11a)(11b)가 형성되면서 걸림턱(11c)이 형성된 몸체관(11)과, 상기 몸체관(11)에서 돌출 형성되어 소화약제통(1)에 설치되어 연결되며 제2유로(11b)와 연결되는 투입관(12)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투입관(12)과 인접한 걸림턱(11c)에는 소화약제가 유입되는 유입홈(11d)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10)는 몸체관(11)과 투입관(12)에 의해 'T'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투입관(12)은 소화약제통(1)에 나사 결합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분사부(20)는 본체(10)의 한쪽에 설치되어 제1유로(11a)와 연결되고 제1분사구멍(21a)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제1분사관(21)과, 상기 제1분사관(21)에 설치되어 연결되는 배출관(22)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1분사관(21)은 본체(10)의 몸체관(11)에 너트를 통해 설치되며, 배출관(22)은 상기 제1분사관(21)에 나사 결합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분사부(30)는 본체(10)의 다른 한쪽에 설치되며 내부에 제2유로(12b)와 연결되는 제3유로(31a)가 형성된 이송관(31)과, 상기 이송관(31)에 설치되며 내부에 제3유로(31a)보다 안지름이 크면서 상기 제3유로(31a)와 연결되는 제4유로(32a)가 형성되고 제2분사구멍(32b)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제2분사관(32)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관(31)은 제3분사구멍(31b)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송관(31)은 본체(10)의 몸체관(11)에 너트를 통해 설치되며, 제2분사관(32)은 상기 이송관(31)에 나사 결합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화재감지부(40)는 내부에 제1,2유로(11a)(11b)와 연결되는 제5유로(41a)가 형성되며, 걸림턱(11c)에 걸림되어 가스가 충전되는 상기 제2유로(11b)와 투입관(12)을 연결 해제해주는 개폐구(41)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화재감지부(40)는 제5유로(41a)에 끼워지면서 제3,4유로(31a)(32a)에 삽입되는 플런저 핀(42)과, 상기 플런저 핀(42)에서 돌출 형성되어 제3유로(31a)에 끼워지면서 제2유로(11b)에서 충전된 가스가 빠져나오지 않도록 해주는 밀폐부(42a)와, 상기 개폐구(41)와 이송관(31) 사이에 설치된 인장스프링(42b)과, 상기 제4유로(32a)에 끼워지면서 플런저 핀(42)에 지지되는 지지구(43)와, 상기 제2분사관(32)의 내면과 지지구(43)에 지지되고 화재의 열에 의해 파열되는 글라스 벌브(44)와, 상기 제2분사부(30)에 설치되며 제2분사구멍(32b)을 통해 글라스 벌브(44)를 타격하여 파손시키는 타격봉(45a)이 구비된 타격몸체(45)와, 상기 타격몸체(45)에 설치되어 연결되는 유입관(46)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화재감지부(40)는 플런저 핀(42)의 한쪽 길이가 지지구(43)를 지지하지 않도록 짧게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 핀(42)과 지지구(43) 사이에 끼워지는 핀 스페이서(47)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개폐구(41)가 제2유로(11b)에 충전되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 걸림턱(11c)에 걸림되어, 본체(10)의 내부는 폐쇄된다.
또한, 상기 타격몸체(45)는 제2분사부(30)의 이송관(31) 및 제2분사관(32)에 브라켓 및 너트를 통해 설치되며, 타격봉(45a)이 글라스 벌브(44)를 향해 전진하면서 걸림되도록 내부가 형성되고, 유입관(46)이 상기 타격봉(45a)의 후방의 위치에서 나사 결합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소화시스템(1000)은 다수의 소화약제 분사장치(100a~100n)가 서로 이어지도록 서로 이웃한 배출관(22)과 유입관(46)이 연결관(2)으로 연결되면서, 나머지 상기 소화약제 분사장치(100a)의 유입관(46)과 소화약제 분사장치(100n)의 배출관(22)이 가장 긴 연결관(2)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다수의 상기 소화약제 분사장치(100a~100n)는 제2유로(11b)에서 가스가 누출되지 않도록 밀폐링 및 밀폐시트 등과 같은 밀폐부재가 포함되며, 글라스 벌브(44)가 파열되어도 상기 가스의 압력에 의해 지지구(43)가 제4유로(32a)에서 빠지지 않도록 해주는 안전핀 등과 같은 잠금부재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소화시스템(1000)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화시스템(1000)의 다수의 소화약제 분사장치(100a~100n)를 연결관(2)으로 연결하면서 건축물에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2유로(11b)에 충전된 가스의 압력에 의해 개폐구(41)가 걸림턱(11c)에 걸림되어, 상기 제2유로(11b)와 투입관(12)이 연결 해제된 상태로 놓여진다.
즉, 상기 본체(10)의 내부는 폐쇄된 상태로 놓여지며, 인장스프링(42b)은 걸림턱(11c)에 걸림된 개폐구(41)에 의해 늘어난 상태로 놓여진다.
또한, 상기 개폐구(41)의 제5유로(41a)에 플런저 핀(42)이 끼워지고 이송관(31)의 제3유로(31a) 및 제2분사관(32)의 제4유로(32a)에 플런저 핀(42)이 삽입되면서 상기 제3유로(31a)에 밀폐부(42a)가 끼워져, 제2유로(11b)에 충전된 가스의 압력이 손실없이 유지되는 상태로 놓여진다.
또한, 상기 플런저 핀(42)은 제4유로(32a)에 끼워져 글라스 벌브(44)를 지지하고 있던 지지구(43)를, 핀 스페이서(47)를 통해 지지하게 되는 상태로 놓여진다.
그리고, 다수의 상기 소화약제 분사장치(100a~100n) 중 소화약제 분사장치(100a)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상기 화재의 열을 화재감지부(40)에서 감지하게 된다.
즉, 상기 화재의 열에 의해 글라스 벌브(44)가 파열된다.
그러면, 상기 몸체관(11)의 제2유로(11b)에 충전된 가스의 압력에 의해, 이송관(31)의 제3유로(31a)와 밀폐부(42a)의 끼움이 해제되면서 플런저 핀(42)이 제5유로(41a)와 끼움이 해제되도록 상기 제3유로(31a)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플런저 핀(42)에서 돌출 형성된 밀폐부(42a)가, 가스의 압력을 전달받아 상기 플런저 핀(42)이 이동하게 된다.
그 다음, 상기 글라스 벌브(44)를 지지하고 있던 지지구(43)를 플런저 핀(42)이 핀 스페이서(47)를 통해 강하게 압박하게 되어, 상기 지지구(43)와 제2분사관(32)의 제4유로(32a)의 끼움이 해제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지지구(43)와 핀 스페이서(47)는 제2분사관(32)의 제2분사구멍(32b)을 통해 외부로 이탈되고, 플런저 핀(42)은 제4유로(32a)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4유로(32a)는 밀폐부(42a)가 끼워지는 제3유로(31a)보다 안지름이 크게 형성되어서, 상기 제4유로(32a)에 플런저 핀(42) 및 밀폐부(42a)가 걸리지 않고 용이하게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플런저 핀(42)은 핀 스페이서(47)에 의해 한쪽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서, 제3,4유로(31a)(32a)를 따라 제2분사관(32)의 내부 깊숙한 곳까지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밀폐부(42a)는 제2분사관(32)의 내부 깊숙한 곳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3,4유로(31a)(32a)의 내면과 플런저 핀(42) 및 밀폐부(42a)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공간을 통해 가스가 제3,4유로(31a)(32a)를 따라 이동하게 되면서, 제2,3분사구멍(32b)(31b)을 통해 방출된다.
한편, 상기 개폐구(41)는 가스 방출과 함께 이동한 플런저 핀(42)과 제5유로(41a)의 끼움이 해제되면서 상기 제5유로(41a)가 개방되고, 늘어나 있던 인장스프링(42b)의 복원 탄성력에 의해 이송관(31)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스 방출에 의한 제2유로(11b)와 소화약제통(1)과 연결된 투입관(12)의 압력 차이에 의해 소화약제가 유입홈(11d)으로 유입되어, 걸림턱(11c)에 걸림되어 있던 개폐구(41)의 한쪽을 이송관(31)을 향해 강하게 밀게 된다.
즉, 상기 개폐구(41)는 이송관(31)을 향해 신속하게 이동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본체(10)의 내부는 개방된다.
그러면, 상기 소화약제는 제1유로(11a)를 따라 이동하면서 제1분사관(21)의 제1분사구멍(21a)을 통해 화재가 발생한 위치에 분사된다.
또한, 상기 소화약제는 제2유로(11b)를 지나 순차적으로 제5유로(41a) 및 제3유로(31a) 및 제4유로(32a)를 따라 이동하면서, 이송관(31)의 제3분사구멍(31b)과 제2분사관(32)의 제2분사구멍(32b)을 통해 화재가 발생한 위치에 분사된다.
즉, 상기 소화약제는 분산되어 제1,2분사부(20)(30)를 통해 화재가 발생한 위치에 넓게 분사된다.
그리고, 상기 제1유로(11a)를 따라 이동한 소화약제의 일부는 소화약제 분사장치(100a)의 배출관(22)에서 배출되어 연결관(2)을 따라 이웃한 소화약제 분사장치(100b)의 유입관(46)으로 유입된다.
그러면, 상기 유입관(46)으로 유입된 소화약제는 타격몸체(45)에 구비된 타격봉(45a)의 후방을 글라스 벌브(44)를 향해 밀어주게 된다.
그래서, 상기 타격봉(45a)은 전진하면서 제2분사관(32)의 제2분사구멍(32b)을 통과해 소화약제 분사장치(100b)의 글라스 벌브(44)를 타격하여 파손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소화약제 분사장치(100b)의 본체(10) 내부가 개방되면서, 제1,2분사부(20)(30)에서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위치로 소화약제를 분사하게 된다.
그 다음, 상기 소화약제 분사장치(100b)의 소화약제통(1)에 있던 소화약제가 연결관(2)을 따라 이웃한 소화약제 분사장치(100c)로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소화약제 분사장치(100c)를 작동시켜, 상기와 같이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위치로 소화약제를 분사하게 해준다.
즉, 상기 화재 발생 시, 화재의 위치와 상관없이 다수의 상기 소화약제 분사장치(100a~100n)의 제1,2분사부(20)(30)에서 소화약제가 분사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 본체 11 : 몸체관
11a : 제1유로 11b : 제2유로
11c : 걸림턱 11d : 유입홈
12 : 투입관 20 : 제1분사부
21 : 제1분사관 21a : 제1분사구멍
22 : 배출관 30 : 제2분사부
31 : 이송관 31a : 제3유로
31b : 제3분사구멍 32 : 제2분사관
32a : 제4유로 32b : 제2분사구멍
40 : 화재감지부 41 : 개폐구
41a : 제5유로 42 : 플런저 핀
42a : 밀폐부 42b : 인장스프링
43 : 지지구 44 : 글라스 벌브
45 : 타격몸체 45a : 타격봉
46 : 유입관 47 : 핀 스페이서
100a~100n : 소화약제 분사장치 1000 : 소화시스템

Claims (4)

  1. 소화약제통(1)에 설치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양쪽에 각각 설치된 제1,2분사부(20)(30)와, 상기 본체(10) 및 제2분사부(30)의 내부에 설치되어 화재의 열을 감지하면 제1,2분사부(20)(30)에서 소화약제가 분사되도록 본체(10)의 내부를 개방시키는 화재감지부(40)를 포함하는 다수의 소화약제 분사장치(100a~100n)를 배치하되,
    상기 본체(10)는 내부에 안지름이 다른 제1,2유로(11a)(11b)가 형성되면서 걸림턱(11c)이 형성된 몸체관(11)과, 상기 몸체관(11)에서 돌출 형성되어 소화약제통(1)에 설치되어 연결되며 제2유로(11b)와 연결되는 투입관(12)을 포함하며,
    상기 제1분사부(20)는 본체(10)의 한쪽에 설치되어 제1유로(11a)와 연결되고 제1분사구멍(21a)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제1분사관(21)과, 상기 제1분사관(21)에 설치되어 연결되는 배출관(22)을 포함하고,
    상기 제2분사부(30)는 본체(10)의 다른 한쪽에 설치되며 내부에 제2유로(12b)와 연결되는 제3유로(31a)가 형성된 이송관(31)과, 상기 이송관(31)에 설치되며 내부에 제3유로(31a)보다 안지름이 크면서 상기 제3유로(31a)와 연결되는 제4유로(32a)가 형성되고 제2분사구멍(32b)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제2분사관(32)을 포함하며,
    상기 화재감지부(40)는 내부에 제1,2유로(11a)(11b)와 연결되는 제5유로(41a)가 형성되며, 걸림턱(11c)에 걸림되어 가스가 충전되는 상기 제2유로(11b)와 투입관(12)을 연결 해제해주는 개폐구(41)와,
    상기 제5유로(41a)에 끼워지면서 제3,4유로(31a)(32a)에 삽입되는 플런저 핀(42)과, 상기 플런저 핀(42)에서 돌출 형성되어 제3유로(31a)에 끼워지면서 제2유로(11b)에서 충전된 가스가 빠져나오지 않도록 해주는 밀폐부(42a)와, 상기 개폐구(41)와 이송관(31) 사이에 설치된 인장스프링(42b)과, 상기 제4유로(32a)에 끼워지면서 플런저 핀(42)에 지지되는 지지구(43)와, 상기 제2분사관(32)의 내면과 지지구(43)에 지지되고 화재의 열에 의해 파열되는 글라스 벌브(44)와, 상기 제2분사부(30)에 설치되며 제2분사구멍(32b)을 통해 글라스 벌브(44)를 타격하여 파손시키는 타격봉(45a)이 구비된 타격몸체(45)와, 상기 타격몸체(45)에 설치되어 연결되는 유입관(46)을 포함하고,
    다수의 상기 소화약제 분사장치(100a~100n)는 서로 이어지도록 서로 이웃한 배출관(22)과 유입관(46)을 연결관(2)으로 연결하면서, 나머지 상기 소화약제 분사장치(100a)의 유입관(46)과 소화약제 분사장치(100n)의 배출관(22)을 연결관(2)으로 연결하여,
    화재 발생 시, 다수의 상기 소화약제 분사장치(100a~100n)의 제1,2분사부(20)(30)에서 소화약제가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31)은 제3분사구멍(31b)을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지부(40)는 플런저 핀(42)의 한쪽 길이를 지지구(43)를 지지하지 않도록 짧게 형성하고,
    상기 플런저 핀(42)과 지지구(43) 사이에 끼워지는 핀 스페이서(4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관(12)과 인접한 걸림턱(11c)에는 소화약제가 유입되는 유입홈(11d)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시스템.
KR1020180026002A 2018-03-05 2018-03-05 소화시스템 KR102023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002A KR102023459B1 (ko) 2018-03-05 2018-03-05 소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6002A KR102023459B1 (ko) 2018-03-05 2018-03-05 소화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5444A true KR20190105444A (ko) 2019-09-17
KR102023459B1 KR102023459B1 (ko) 2019-09-20

Family

ID=68067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6002A KR102023459B1 (ko) 2018-03-05 2018-03-05 소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345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18Y1 (ko) 2005-08-04 2005-11-04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소화약재 방출헤드 자동개방장치
KR101577789B1 (ko) * 2014-11-17 2015-12-15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소화시스템
KR101707638B1 (ko) * 2016-04-04 2017-02-20 (주)포트텍 소화기용 밸브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18Y1 (ko) 2005-08-04 2005-11-04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소화약재 방출헤드 자동개방장치
KR101577789B1 (ko) * 2014-11-17 2015-12-15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소화시스템
KR101707638B1 (ko) * 2016-04-04 2017-02-20 (주)포트텍 소화기용 밸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3459B1 (ko) 2019-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5042B1 (ko) 화재감지튜브 장착형 자동소화장치
KR200457601Y1 (ko) 열감지식 소화기의 연쇄 작동구조
KR102031857B1 (ko) 스프링클러의 누수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방재장치
KR101161952B1 (ko) 주방 화재진압용 자동 및 수동식 소화장치
KR101397922B1 (ko) 화재감지튜브 장착형 자동소화장치
KR101717083B1 (ko) 압력 챔버 방식의 소공간용 자동소화장치
KR102009371B1 (ko) 자동 소화 시스템의 소화기 격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소화 장치
KR101355831B1 (ko) 소방용 소화장치
KR200402894Y1 (ko) 전기 배전반 패널용 자동 소화장치
KR102023459B1 (ko) 소화시스템
KR100679675B1 (ko) 소화약재 방출헤드 자동개방장치
KR200400018Y1 (ko) 소화약재 방출헤드 자동개방장치
KR200459249Y1 (ko) 열감지식 소화기의 연쇄 작동구조
KR101577789B1 (ko) 소화시스템
CN203549081U (zh) 抑爆器用快开阀
US9604084B2 (en) Sprinkler comprising a shutoff member held in position by a fusible member with the aid of a moveable bearing means
US20120118592A1 (en) Ambient mist head
KR101356018B1 (ko) 샌드위치판넬 화재 진압용 살수대
KR20090083266A (ko) 소방용 분무 관창
KR101899380B1 (ko) 소화시스템용 국소방출형 저충격 분사노즐
KR101356016B1 (ko) 판넬 화재 진압용 살수대
KR20060109402A (ko) 복합식 소화시스템
KR20120039906A (ko) 측벽형 스프링클러 헤드
KR20170135064A (ko) 소 공간용 가스계 자동 소화장치의 밸브 작동장치 및 그 연쇄 동작 시스템
CN210409318U (zh) 一种储压式洁净气体灭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