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6522B1 - 고장없이 항시 작동가능한 수도배관연결 화재진압 스프링클러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장없이 항시 작동가능한 수도배관연결 화재진압 스프링클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6522B1
KR101976522B1 KR1020180078753A KR20180078753A KR101976522B1 KR 101976522 B1 KR101976522 B1 KR 101976522B1 KR 1020180078753 A KR1020180078753 A KR 1020180078753A KR 20180078753 A KR20180078753 A KR 20180078753A KR 101976522 B1 KR101976522 B1 KR 101976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fire
correlation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근
Original Assignee
황성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성근 filed Critical 황성근
Priority to KR1020180078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5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25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장없이 항시 작동가능한 수도배관연결 화재진압 스프링클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진압 스프링클러시스템에서 소방용수 공급펌프 또는 밸브의 고장 등으로 인하여 소방용수가 공급되지 않더라도 수도배관과 연결되어 식수가 소방용수로 공급되므로 화재발생시에는 언제라도 고장없이 항시 작동가능한 수도배관연결 화재진압 스프링클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장없이 항시 작동가능한 수도배관연결 화재진압 스프링클러시스템{Always operable fire suppression sprinkler system connected with potable water pipeline without operation failure}
본 발명은 고장없이 항시 작동가능한 수도배관연결 화재진압 스프링클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진압 스프링클러시스템에서 소방용수 공급펌프 또는 밸브의 고장 등으로 인하여 소방용수가 공급되지 않더라도 수도배관과 연결되어 식수가 소방용수로 공급되므로 화재발생시에는 언제라도 고장없이 항시 작동가능한 수도배관연결 화재진압 스프링클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내에는 수돗물 공급을 위한 수도 입상관과 건물내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이를 신속하게 진압하기 위한 소방설비로서의 소화SP 입상관이 설치되고 수도입상관에 수돗물공급 부스터펌프와 소화SP입상관에 소화용수공급 다단보류트펌프가 각각 연결 설치되어 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특히, 고층건물에 있어서 식수와 소화용수를 공급함에 있어서는 최상층과 최하층의 배관에 압력차가 커져 최하층에서는 급수압의 과대로 물을 사용하기 곤란하다. 그 뿐만 아니라 항상 과대한 압력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수전의 패킹이나 와셔, 기타 부품의 손상이 빨라지고 누수가 많아진다. 또 수격작용이 일어나기 쉬워 소음이나 진동이 발생된다.
따라서, 급수계통의 조닝(Zoning), 즉 건물을 상하의 방향으로 몇 개의 존(층)으로 구분하여 수전에 있어서의 급수압을 4~5kg/cm2 정도 이하로 억제할 필요가 발생된다.
조닝은 층별식, 중계식 및 조압 펌프식 등으로 구분된다. 층별식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으로 건물을 몇 개의 존으로 나누고 각각의 존마다 수조를 설치하고 최하층에 양수펌프를 설치하여 각각의 존에 해당하는 수조에 각각 양수하는 것이다.
중계식은 각각의 존마다 수조를 설치하는 것은 층별식과 동일하나 양수펌프를 각 존에 중계하여 양수하는 것이다. 따라서 건물을 몇 개의 존으로 나누면 건물의 높이에 따라 중간수조의 수도 증가한다. 또한, 이 방식은 중간수조가 상층부의 수조를 위하여 용량이 커야 되고, 양수펌프도 양수량이 큰 펌프가 필요하게 된다.
조압 펌프식은 각각의 존마다 사용수량 변동에 따라 양수펌프의 회전수를 변화시켜 양수량을 자동으로 조절하여 급수관 내의 수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자동 제어방식이다. 이 방식은 각각의 존마다 양수하는 것은 층별식과 동일하지만, 수조를 상층부에 설치할 필요가 없어 건물 중량이 가벼워진다.
한편, 스프링클러란 자동소화설비의 일종으로 일반적으로 건물 천장에 배수관을 종횡으로 배치하고, 그 끝에 스프링클러헤드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여 해당 건물의 소화배관 급수원에 연결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스프링클러는 그 헤드가 화재로 인해 열을 받아 일정 온도(67∼75℃)에 이르면 헤드를 막고 있던 퓨즈가 녹아서 방수구가 열리고, 압력수가 헤드의 살수판에 부딪쳐 넓은 범위에 물을 뿌린다. 살수와 동시에 소화펌프가 자동적으로 작동하며 경보도 울린다. 메인밸브를 수동으로 잠그지 않는 한 살수는 계속된다.
또한, 스프링쿨러는 중요한 목조건물 외에도 내화건축물의 창ㆍ출입구ㆍ환기구 등에 설치한다. 이렇게 스프링쿨러를 설치하는 것은 물을 분무상(噴霧狀)으로 방사시키므로 화재진압에 효과가 크며, 화재 발견이나 소화활동이 곤란한 지하 건축물이나 가연물이 많고 사람들이 많이 드나드는 부분의 소화설비로서 적합하며, 야간의 자동소화도 기대할 수 있는 등 적용범위가 매우 넓다.
이러한 스프링클러는 보통 화재발생시 온도 67∼180℃에서 작동하나, 종류에 따라 다르다. 부착 위치라든지 배치 및 방수량에 대해서는 건물의 종류와 내장(內裝)의 정도에 따라 소방법으로 규정되어 있다.
즉, 최근 소방관련법이 개정됨에 따라 6층 이상 건축물 전 층에 스프링클러설비 설치가 의무화되고 50세대 이상 단지형 연립주택 지하주차장에도 물분무등 소화설비를 설치해야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설치기준에 따라 많은 비용을 지불하며 스프링쿨러가 설치된 경우라 할지라도 이의 정상적 작동 여부를 정기적으로 점검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러한 정기점검에도 불구하고 화재사건이 발생한 후 스프링클러가 작동하지 않은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고 이로 인한 인명피해가 계속 발생하고 있는 현실이다.
즉, 2015∼2017년 대형화재 23건 중 스프링클러 설치 대상은 경기 김포시 고촌읍 제일모직 물류창고(2015년), 이천시 호법면 청백FS(2016년), 대구 중구 대신동 서문시장(2016년), 경기 화성시 반송동 통탄메타폴리스(2017년), 충북 제천시 하소동 두손스포리움(2017년) 등 5건으로 이 가운데 스프링클러가 작동한 경우는 김포시 제일모직 물류창고, 대구 대신동 서문시장 2건에 그쳐, 전체 60%가 건물에서 불이 났을 때 스프링클러가 작동하지 않았던 것으로 드러났으며, 특히, 29명의 인명피해를 발생한 충북 제천시 스포츠센터는 화재 당시 건물 1층 로비에 있는 스프링클러 설비의 알람밸브가 폐쇄돼 건물 8개 층 전체에서 스프링클러가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스프링클러가 작동하지 않았던 이유는 소화용수 공급펌프의 고장 또는 밸브의 패쇄에 따른 원인이 대부분이다.
상기와 같이, 스프링클러가 작동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상기 스프링클러 소화설비를 수도배관에 연결하여 수돗물로 스프링클러 소화용수로 사용되도록 한 기술들이 개발되었는데, 한국등록특허 10-0457389(2004년11월05일)에 건물의 실내 상부에 설치하는 소화수 저수용 수평배관; 상기 저수용 수평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저수용 수평배관에 대한 충수를 상시 가능케 하는 생활용수용 상수도 배관; 화재시 상기 저수용 수평배관 속의 물이 방사되도록 상기 저수용 수평배관에 연결ㆍ설치되는 화재감지기형 자동스프링클러; 화재시 상기 저수용 수평배관 속의 물을 가압할 수 있는 기체를 상기 저수용 수평배관과 연결된 압력기체 공급관을 통하여 공급할 수 있는 압축기체 저장용기; 상기 저수용 수평배관 속의 물을 평상시 생활용수로 취수할 수 있도록 수도꼭지 쪽으로 향하여 설치되는 취수배관; 및 자동화재경보장치;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용수 급수배관 겸용식의 간이형 자동소화장치가 개발된 바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10-1525699(2015년05월28일)에는 상수도와 연결되어 스프링클러에 물을 공급하는 소화박스에 있어서, 상기 상수도와 연결되며 물 공급을 개폐하는 공급밸브(101)와; 상기 공급밸브(101)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분배부(104)와; 상기 분배부(104)와 연통되게 연결되며 전기를 동력으로 하여 수압을 가하며 가장 짧은 부분이 높이방향이 되도록 배치된 펌프(102)와; 상기 분배부(104)와 연통되게 연결되며 분배부(104)에서 공급되는 방향으로만 물이 이동하도록하는 체크밸브(105)와; 상기 펌프(102)와 상기 체크밸브(105)에서 연장된 배관이 모여서 단전 등의 상황에 의해 펌프에서 물이 공급되지 않아도 체크밸브에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통합부(103)와; 상기 통합부(103)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유입부(201)와; 상기 유입부(201)가 측면에 형성되며 공급된 물을 저장하며 천장에 설치될 수 있도록 150mm 이하의 판상형으로 형성된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의 저부에 형성되며 상기 저수조의 내부와 연통되며 물의 배출을 개폐할 수 있는 드레인밸브(202)와; 상기 저수조의 측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저수조의 내부와 연통되어 저수조 내부의 수압을 측정할 수 있는 수압계와; 상기 저수조의 측면부와 정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저수조의 내부와 연통되며 상기 저수조의 저면부와 저부가 일치하며 스프링클러헤드와 배관으로 연결되어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다수의 배출부(203)와; 상기 저수조의 내부에 형성되며 저수조 각면의 중앙부와 마주보는 면의 중앙부를 고정하는 보강대(204)와; 상기 저수조의 상부 모서리에 천정에 나사로 고정할 수 있는 나사구멍이 형성된 고정날개(205)와; 상기 저수조의 저면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공급밸브, 분배부, 펌프, 체크밸브, 통합부를 지지하는 판형의 거치판(206)과 상기 거치판(206)의 측면에서 연장되며 천장에 전선봉으로 고정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 거치대고정날개(20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부착 급수직결 스프링클러용 소화박스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10-1395826(2014년05월09일)에는 건물로 들어오는 상수도관(L)의 입구 측에는 계량기(200)가 출구 측에는 수도꼭지(600)가 설치되어 평상시는 수도배관시스템으로 화재시는 화재진압 배관시스템으로 사용하는 수도 겸용 스프링클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계량기(200)와 수도꼭지(600) 사이에는 물의 유입을 개폐하는 개폐밸브(300)와, 입수된 물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400)와, 정체수 방지기능을 가지는 ‘T’자형 관연결구(100)가 순차적으로 구성되되, 상기 체크밸브(400)의 전·후단으로는 펌프(500)에 의해 화재발생시 강제적으로 물이 이동하는 바이패스라인(B)이 병렬로 설치되고, 상기 ‘T’자형 관연결구(100)에는 화재시 작동하는 스프링클러(700)가 설치되며, 상기 ‘T’자형 관연결구(100)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10)와 물이 배출되는 유출구(120) 그리고 상기 스프링클러(700)가 장착되는 분기구(130)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T’자형 관연결구(100)의 상면에는 하부로 관통된 삽입홀(180)과 상기 삽입홀(180)을 개폐하는 수단의 캡(160)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110)와 유출구(120) 그리고 분기구(130)가 만나는 지점에는 유입구(110)로부터 유입된 물의 흐름에 대향하는 수직방향으로 격판(140)이 상기 삽입홀(180)을 통해 삽입되어 설치되되, 상기 격판(140)에는 관통홀(141)이 상기 유입구(110) 및 유출구(120)에 수평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수도 겸용 스프링클러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10-1386335(2014년04월10일)에는 펌프실 내 저수조에 배관되고 아파트의 설정된 일정의 층까지 급수겸용 소화를 위한 저층용 입상관이 배관 설치되며 저층용 입상관을 통해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 펌핑하는 저층용 부스터펌프; 상기 펌프실 내 저수조에 배관되고 아파트의 설정된 일정의 층부터 급수겸용 소화를 위한 고층용 입상관이 배관 설치되며 고층용 입상관을 통해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 펌핑하는 고층용 부스터펌프; 상기 펌프실 내에 시수 급수관에 배관되고 저층용 입상관과 고층용 입상관에 예비용 입상관이 배관 설치되며 저층용 입상관과 고층용 입상관을 통해 일정의 압력으로 가압 펌핑하는 예비용 부스터펌프; 상기 고층용 부스터펌프에 배관된 고층용 입상관에 주차장 소화용 급수를 위하여 설치된 프리액션밸브; 상기 예비용 부스터펌프의 예비용 입상관 토출부에 설치된 비상밸브(Bypass), 및 상기 저층용 부스터펌프, 고층용 부스터펌프 및 예비용 부스터펌프 및 각종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기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저층용 입상관과 고층용 입상관에는 시수 급수관과 제1연결관으로 배관 연결되고, 저층용 입상관과 고층용 입상관 사이에는 그루브밸브 및 감압밸브가 설치된 제2연결관이 배관 연결되며, 상기 고층용 입상관과 예비용 입상관 사이에는 그루브밸브가 설치된 제3연결관이 배관 연결되는 고층 아파트의 급수겸용 소화 설비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특허기술의 상수도를 이용한 소화 스프링클러 시스템은 소방설비로서의 소화배관 없이 상수도배관과 직결하여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것으로 간이소화설비에 불과하여 대형 및 고층건물에 대하여는 소방법 등의 규정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그 효용성이 없으며, 한국등록특허 10-1386335의 고층 아파트의 급수겸용 소화 설비 시스템은 수도배관과 소화배관이 별도로 설치되어 있더라도 화재발생시 수도배관과 연결된 별도의 펌프가 작동되어야 수돗물이 소화용수로 공급되는 점에서 상기 별도의 펌프의 작동여부를 정기적으로 점검해야 하며, 상기 펌프가 가동되지 않을 경우에는 역시 스프링클러가 작동되지 않은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 있다.
한국등록특허 10-0457389(2004년11월05일) 한국등록특허 10-1525699(2015년05월28일) 한국등록특허 10-1395826(2014년05월09일) 한국등록특허 10-1386335(2014년04월10일)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화재진압 스프링클러시스템에서 소방용수 공급펌프 또는 밸브의 고장 등으로 인하여 소방용수가 공급되지 않더라도 수도배관과 연결되어 식수가 소방용수로 공급되므로 화재발생시에는 언제라도 고장없이 항시 작동가능한 수도배관연결 화재진압 스프링클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건물내 각 층을 통과하도록 배관되는 수도 입상관 및 소화SP 입상관과; 상기 수도 입상관 및 소화SP 입상관에 각각 수돗물과 소화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수돗물부스터펌프 및 소화용수다단보류트펌프와; 층별 수도 입상관으로부터 분기된 수도 분기관에 순차적으로 연결 설치되는 수도계량기, 개폐밸브 및 복수개의 수도꼭지와; 층별 소화SP 입상관으로부터 분기된 SP 분기관에 순차적으로 연결 설치되는 개폐밸브, 알람밸브 및 복수개의 스프링클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SP 분기관의 알람밸브와 스프링클러 사이에서 분기되어 상기 층별 수도입상관 또는 상기 수도분기관에 연결되는 브릿지관과; 상기 브릿지관에 설치되어 상기 층별 수도입상관 또는 상기 수도분기관의 수돗물이 상기 SP 분기관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개방되고, 상기 SP 분기관의 소화용수는 상기 층별 수도입상관 또는 상기 수도분기관으로는 흐르지 않도록 폐쇄되는 판체크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장없이 항시 작동가능한 수도배관연결 화재진압 스프링클러시스템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판체크밸브는 상기 브릿지관에 복수개 설치되어 상기 SP 분기관의 소화용수가 상기 층별 수도입상관 또는 상기 수도분기관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완전 차단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판체크밸브는 상기 SP 분기관의 소화용수의 압력이 상기 층별 수도입상관 또는 상기 수도분기관의 수돗물 압력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SP 분기관의 소화용수는 상기 층별 수도입상관 또는 상기 수도분기관으로는 흐르지 않도록 폐쇄되어 수돗물의 오염을 방지하고, 상기 SP 분기관의 소화용수의 압력이 상기 층별 수도입상관 또는 상기 수도분기관의 수돗물 압력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층별 수도입상관 또는 상기 수도분기관의 수돗물이 상기 SP 분기관 방향으로 흐르도록 개방되어 상기 SP 분기관의 소화용수의 압력을 보상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SP 분기관의 소화용수의 압력이 상기 층별 수도입상관 또는 상기 수도분기관의 수돗물 압력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복수개의 스프링클러가 개방되었거나 상기 소화용수다단보류트펌프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 해당되므로 상기 판체크밸브는 상기 층별 수도입상관 또는 상기 수도분기관의 수돗물이 상기 SP 분기관 방향으로 흐르도록 개방되어 상기 소화용수다단보류트펌프가 작동되지 않더라도 상기 화재진압 스프링클러시스템이 항시 정상작동되도록 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수돗물부스터펌프는 상시 작동하여 상기 수도 입상관에 일정 압력으로 수돗물을 상시 공급하고, 상기 소화용수다단보류트펌프는 상기 복수개의 스프링클러가 개방되는 경우에만 작동하여 상기 소화SP 입상관에 소화용수를 공급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SP 분기관의 알람밸브는 상기 SP 분기관과 상기 복수개의 스프링클러 사이의 소화용수 압력이 일정압력 이하인 경우 상기 소화용수다단보류트펌프에 작동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소화SP 입상관에 소화용수를 공급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고장없이 항시 작동가능한 수도배관연결 화재진압 스프링클러시스템은 화재진압 스프링클러시스템에서 소방용수 공급펌프 또는 밸브의 고장 등으로 인하여 소방용수가 공급되지 않더라도 수도배관과 연결되어 식수가 소방용수로 공급되므로 화재발생시에는 언제라도 고장없이 항시 작동가능하므로 스프링클러가 작동되지 않은 문제점이 없게되어 효율적인 화재진압 및 화재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건물 내의 수돗물과 소화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배관 계통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도배관연결 화재진압 스프링클러시스템 배관 계통도
도 3은 본 발명의 판체크밸브 작동 개념도
본 발명은, 건물내 각 층을 통과하도록 배관되는 수도 입상관 및 소화SP 입상관과; 상기 수도 입상관 및 소화SP 입상관에 각각 수돗물과 소화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수돗물부스터펌프 및 소화용수다단보류트펌프와; 층별 수도 입상관으로부터 분기된 수도 분기관에 순차적으로 연결 설치되는 수도계량기, 개폐밸브 및 복수개의 수도꼭지와; 층별 소화SP 입상관으로부터 분기된 SP 분기관에 순차적으로 연결 설치되는 개폐밸브, 알람밸브 및 복수개의 스프링클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SP 분기관의 알람밸브와 스프링클러 사이에서 분기되어 상기 층별 수도입상관 또는 상기 수도분기관에 연결되는 브릿지관과; 상기 브릿지관에 설치되어 상기 층별 수도입상관 또는 상기 수도분기관의 수돗물이 상기 SP 분기관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개방되고, 상기 SP 분기관의 소화용수는 상기 층별 수도입상관 또는 상기 수도분기관으로는 흐르지 않도록 폐쇄되는 판체크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장없이 항시 작동가능한 수도배관연결 화재진압 스프링클러시스템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체크밸브는 상기 브릿지관에 복수개 설치되어 상기 SP 분기관의 소화용수가 상기 층별 수도입상관 또는 상기 수도분기관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완전 차단되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체크밸브는 상기 SP 분기관의 소화용수의 압력이 상기 층별 수도입상관 또는 상기 수도분기관의 수돗물 압력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SP 분기관의 소화용수는 상기 층별 수도입상관 또는 상기 수도분기관으로는 흐르지 않도록 폐쇄되어 수돗물의 오염을 방지하고, 상기 SP 분기관의 소화용수의 압력이 상기 층별 수도입상관 또는 상기 수도분기관의 수돗물 압력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층별 수도입상관 또는 상기 수도분기관의 수돗물이 상기 SP 분기관 방향으로 흐르도록 개방되어 상기 SP 분기관의 소화용수의 압력을 보상하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SP 분기관의 소화용수의 압력이 상기 층별 수도입상관 또는 상기 수도분기관의 수돗물 압력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복수개의 스프링클러가 개방되었거나 상기 소화용수다단보류트펌프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 해당되므로 상기 판체크밸브는 상기 층별 수도입상관 또는 상기 수도분기관의 수돗물이 상기 SP 분기관 방향으로 흐르도록 개방되어 상기 소화용수다단보류트펌프가 작동되지 않더라도 상기 화재진압 스프링클러시스템이 항시 정상작동되도록 하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돗물부스터펌프는 상시 작동하여 상기 수도 입상관에 일정 압력으로 수돗물을 상시 공급하고, 상기 소화용수다단보류트펌프는 상기 복수개의 스프링클러가 개방되는 경우에만 작동하여 상기 소화SP 입상관에 소화용수를 공급하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SP 분기관의 알람밸브는 상기 SP 분기관과 상기 복수개의 스프링클러 사이의 소화용수 압력이 일정압력 이하인 경우 상기 소화용수다단보류트펌프에 작동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소화SP 입상관에 소화용수를 공급하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고장없이 항시 작동가능한 수도배관연결 화재진압 스프링클러시스템은 건물내 각 층을 통과하도록 배관되는 수도 입상관 및 소화SP 입상관과; 상기 수도 입상관 및 소화SP 입상관에 각각 수돗물과 소화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수돗물부스터펌프 및 소화용수다단보류트펌프와; 층별 수도 입상관으로부터 분기된 수도 분기관에 순차적으로 연결 설치되는 수도계량기, 개폐밸브 및 복수개의 수도꼭지와; 층별 소화SP 입상관으로부터 분기된 SP 분기관에 순차적으로 연결 설치되는 개폐밸브, 알람밸브 및 복수개의 스프링클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SP 분기관의 알람밸브와 스프링클러 사이에서 분기되어 상기 층별 수도입상관 또는 상기 수도분기관에 연결되는 브릿지관과; 상기 브릿지관에 설치되어 상기 층별 수도입상관 또는 상기 수도분기관의 수돗물이 상기 SP 분기관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개방되고, 상기 SP 분기관의 소화용수는 상기 층별 수도입상관 또는 상기 수도분기관으로는 흐르지 않도록 폐쇄되는 판체크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의 고장없이 항시 작동가능한 수도배관연결 화재진압 스프링클러시스템이 적용되는 건물에서 수돗물과 소화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내 각 층을 통과하도록 배관되는 수도 입상관(10) 및 소화SP 입상관(20)이 배관 설치되고, 상기 수도 입상관(10) 및 소화SP 입상관(20)에 각각 수돗물과 소화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수돗물부스터펌프(11) 및 소화용수다단보류트펌프(21)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수도 입상관(10) 및 소화SP 입상관(20)에는 각각 중계펌프(12, 13, 14, 22, 23, 24) 및 각각의 중계수조가 연결 설치되며, 최상층부에는 수격방지기(15, 25)가 설치된다.
특히, 본 발명의 고장없이 항시 작동가능한 수도배관연결 화재진압 스프링클러시스템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층별 수도 입상관(10)으로부터 분기된 수도 분기관(40)에 순차적으로 연결 설치되는 수도계량기(43), 개폐밸브(42) 및 복수개의 수도꼭지(41)와; 층별 소화SP 입상관(20)으로부터 분기된 SP 분기관(30)에 순차적으로 연결 설치되는 개폐밸브(31), 알람밸브(32) 및 복수개의 스프링클러(3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SP 분기관(30)의 알람밸브(32)와 스프링클러(34) 사이에서 분기되어 상기 층별 수도입상관(10) 또는 상기 수도분기관(40)에 연결되는 브릿지관(36)과; 상기 브릿지관(36)에 설치되어 상기 층별 수도입상관(10) 또는 상기 수도분기관(40)의 수돗물이 상기 SP 분기관(30)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개방되고, 상기 SP 분기관(30)의 소화용수는 상기 층별 수도입상관(10) 또는 상기 수도분기관(40)으로는 흐르지 않도록 폐쇄되는 판체크밸브(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판체크밸브(33)는 [도 3]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SP 분기관(30)의 소화용수의 압력이 상기 층별 수도입상관(10) 또는 상기 수도분기관(40)의 수돗물 압력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SP 분기관(30)의 소화용수는 상기 층별 수도입상관(10) 또는 상기 수도분기관(40)으로는 흐르지 않도록 폐쇄하여 수돗물의 오염을 방지하고, 상기 SP 분기관(30)의 소화용수의 압력이 상기 층별 수도입상관(10) 또는 상기 수도분기관(40)의 수돗물 압력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층별 수도입상관(10) 또는 상기 수도분기관(40)의 수돗물이 상기 SP 분기관(30) 방향으로 흐르도록 개방되어 상기 SP 분기관(30)의 소화용수의 압력을 보상하므로 소화용수가 공급되지 않거나 소화용수의 압력이 낮은 경우에도 수돗물에 의해 스프링클러가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본 발명의 핵심적 특징구성이다.
상기 판체크밸브(33)는 상기 브릿지관(36)에 복수개 설치되어 상기 SP 분기관(30)의 소화용수가 상기 층별 수도입상관(10) 또는 상기 수도분기관(40)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완전 차단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브릿지관(36)에는 상기 스프링클러(34)를 포함한 상기 SP 분기관(30) 계통의 보수를 위하여 상기 판체크밸브(33) 전에 상기 층별 수도입상관(10) 또는 상기 수도분기관(40)으로부터 유입되는 수돗물을 차단하기 위한 OSY밸브 또는 개폐표시형 버터밸브를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SP 분기관(30)의 소화용수의 압력이 상기 층별 수도입상관(10) 또는 상기 수도분기관(40)의 수돗물 압력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복수개의 스프링클러(34)가 개방되었거나 상기 소화용수다단보류트펌프(21)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 해당되므로 상기 판체크밸브(33)는 상기 층별 수도입상관(10) 또는 상기 수도분기관(40)의 수돗물이 상기 SP 분기관(30) 방향으로 흐르도록 개방되어 상기 소화용수다단보류트펌프(21)가 작동되지 않더라도 상기 화재진압 스프링클러시스템이 항시 정상 작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돗물부스터펌프(11)는 상시 작동하여 상기 수도 입상관(10)에 일정 압력으로 수돗물을 상시 공급하고, 상기 소화용수다단보류트펌프(21)는 상기 복수개의 스프링클러(34)가 개방되는 경우에만 작동하여 상기 소화SP 입상관(20)에 소화용수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SP 분기관(30)의 알람밸브(32)는 상기 SP 분기관(30)과 상기 복수개의 스프링클러(34) 사이의 소화용수 압력이 일정압력 이하인 경우 상기 소화용수다단보류트펌프(21)에 작동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소화SP 입상관(20)에 소화용수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고장없이 항시 작동가능한 수도배관연결 화재진압 스프링클러시스템은 판체크밸브가 전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되지 않으므로 정기적으로 작동여부를 점검할 필요없이 수압만으로 작동되기 대문에 고장의 염려가 없이 화재발생시 소화용수다단보류트펌프가 고장나 작동되지 않더라도 수돗물에 의하여 스프링클러가 작동되므로 종래의 문제점인 펌프고장으로 스프링클러가 미작동되는 사례가 발생하지 않으며, 이로 인한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층별 수도 입상관 11 : 수돗물부스터펌프
20 : 소화SP 입상관 21 : 소화용수다단보류트펌프
30 : SP 분기관 31 : 개폐밸브
32 : 알람밸브 33 : 판체크밸브
34 : 스프링클러 36 : 브릿지관
40 : 수도분기관 41 : 수도꼭지
42 : 개폐밸브 43 : 수도계량기

Claims (7)

  1. 건물내 각 층을 통과하도록 배관되는 수도 입상관(10) 및 소화SP 입상관(20)과; 상기 수도 입상관(10) 및 소화SP 입상관(20)에 각각 수돗물과 소화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수돗물부스터펌프(11) 및 소화용수다단보류트펌프(21)와; 층별 수도 입상관(10)으로부터 분기된 수도 분기관(40)에 순차적으로 연결 설치되는 수도계량기(43), 개폐밸브(42) 및 복수개의 수도꼭지(41)와; 층별 소화SP 입상관(20)으로부터 분기된 SP 분기관(30)에 순차적으로 연결 설치되는 개폐밸브(31), 알람밸브(32) 및 복수개의 스프링클러(3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SP 분기관(30)의 알람밸브(32)와 스프링클러(34) 사이에서 분기되어 상기 층별 수도입상관(10) 또는 상기 수도분기관(40)에 연결되는 브릿지관(36)과; 상기 브릿지관(36)에 설치되어 상기 층별 수도입상관(10) 또는 상기 수도분기관(40)의 수돗물이 상기 SP 분기관(30)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개방되고, 상기 SP 분기관(30)의 소화용수는 상기 층별 수도입상관(10) 또는 상기 수도분기관(40)으로는 흐르지 않도록 폐쇄되는 판체크밸브(3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화재진압 스프링클러시스템으로서,
    상기 SP 분기관(30)의 알람밸브(32)는 상기 SP 분기관(30)과 상기 복수개의 스프링클러(34) 사이의 소화용수 압력이 일정압력 이하인 경우 상기 소화용수다단보류트펌프(21)에 작동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소화SP 입상관(20)에 소화용수를 공급하도록 하고,
    상기 판체크밸브(33)는 상기 SP 분기관(30)의 소화용수의 압력이 상기 층별 수도입상관(10) 또는 상기 수도분기관(40)의 수돗물 압력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SP 분기관(30)의 소화용수는 상기 층별 수도입상관(10) 또는 상기 수도분기관(40)으로는 흐르지 않도록 폐쇄되어 수돗물의 오염을 방지하고, 상기 SP 분기관(30)의 소화용수의 압력이 상기 층별 수도입상관(10) 또는 상기 수도분기관(40)의 수돗물 압력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복수개의 스프링클러(34)가 개방되었거나 상기 소화용수다단보류트펌프(21)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 해당되므로 상기 판체크밸브(33)는 상기 층별 수도입상관(10) 또는 상기 수도분기관(40)의 수돗물이 상기 SP 분기관(30) 방향으로 흐르도록 개방되어 상기 소화용수다단보류트펌프(21)가 작동되지 않더라도 상기 화재진압 스프링클러시스템이 항시 정상작동되도록 하며,
    상기 브릿지관(36)에는 상기 스프링클러(34)를 포함한 상기 SP 분기관(30) 계통의 보수를 위하여 상기 판체크밸브(33) 전에 상기 층별 수도입상관(10) 또는 상기 수도분기관(40)으로부터 유입되는 수돗물을 차단하기 위한 OSY밸브 또는 개폐표시형 버터밸브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없이 항시 작동가능한 수도배관연결 화재진압 스프링클러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체크밸브(33)는 상기 브릿지관(36)에 복수개 설치되어 상기 SP 분기관(30)의 소화용수가 상기 층별 수도입상관(10) 또는 상기 수도분기관(40)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완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없이 항시 작동가능한 수도배관연결 화재진압 스프링클러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078753A 2018-07-06 2018-07-06 고장없이 항시 작동가능한 수도배관연결 화재진압 스프링클러시스템 KR101976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753A KR101976522B1 (ko) 2018-07-06 2018-07-06 고장없이 항시 작동가능한 수도배관연결 화재진압 스프링클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753A KR101976522B1 (ko) 2018-07-06 2018-07-06 고장없이 항시 작동가능한 수도배관연결 화재진압 스프링클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6522B1 true KR101976522B1 (ko) 2019-05-10

Family

ID=66580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753A KR101976522B1 (ko) 2018-07-06 2018-07-06 고장없이 항시 작동가능한 수도배관연결 화재진압 스프링클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52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32634A (zh) * 2022-03-11 2022-05-06 广州市裕闽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户内消防系统及住宅
KR102420278B1 (ko) * 2021-07-26 2022-07-15 주식회사 영화키스톤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세대별 소방 시스템
KR102439693B1 (ko) * 2021-07-30 2022-09-02 유정남 공동주택의 소방용수 공급시스템
KR102439692B1 (ko) * 2021-07-30 2022-09-02 유정남 공동주택의 소방용 진화장비 구축 시스템
KR102445473B1 (ko) 2022-04-12 2022-09-21 (주)지여이앤씨 화재감시 및 진압을 위한 정보통신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389B1 (ko) 2002-01-22 2004-11-16 김상욱 옥내의 생활용수 급수배관 겸용식의 간이형 자동소화장치
JP2006141909A (ja) * 2004-11-25 2006-06-08 Kitaura Seisakusho:Kk 高層住宅用スプリンクラー装置
KR101386335B1 (ko) 2013-11-13 2014-04-17 고현수 고층 아파트의 급수겸용 소화 설비 시스템
KR101395826B1 (ko) 2013-11-18 2014-05-15 주식회사 하이스텐 수도 겸용 스프링클러시스템
KR101525699B1 (ko) 2013-12-05 2015-06-03 최복주 천장부착 급수직결 스프링클러용 소화박스
KR101726215B1 (ko) * 2016-08-26 2017-04-12 고현수 소화용수의 안정 공급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389B1 (ko) 2002-01-22 2004-11-16 김상욱 옥내의 생활용수 급수배관 겸용식의 간이형 자동소화장치
JP2006141909A (ja) * 2004-11-25 2006-06-08 Kitaura Seisakusho:Kk 高層住宅用スプリンクラー装置
KR101386335B1 (ko) 2013-11-13 2014-04-17 고현수 고층 아파트의 급수겸용 소화 설비 시스템
KR101395826B1 (ko) 2013-11-18 2014-05-15 주식회사 하이스텐 수도 겸용 스프링클러시스템
KR101525699B1 (ko) 2013-12-05 2015-06-03 최복주 천장부착 급수직결 스프링클러용 소화박스
KR101726215B1 (ko) * 2016-08-26 2017-04-12 고현수 소화용수의 안정 공급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0278B1 (ko) * 2021-07-26 2022-07-15 주식회사 영화키스톤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세대별 소방 시스템
KR102439693B1 (ko) * 2021-07-30 2022-09-02 유정남 공동주택의 소방용수 공급시스템
KR102439692B1 (ko) * 2021-07-30 2022-09-02 유정남 공동주택의 소방용 진화장비 구축 시스템
CN114432634A (zh) * 2022-03-11 2022-05-06 广州市裕闽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户内消防系统及住宅
KR102445473B1 (ko) 2022-04-12 2022-09-21 (주)지여이앤씨 화재감시 및 진압을 위한 정보통신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6522B1 (ko) 고장없이 항시 작동가능한 수도배관연결 화재진압 스프링클러시스템
US20080093092A1 (en) Fire suppression system
KR101726215B1 (ko) 소화용수의 안정 공급 시스템
Global Property Loss Prevention Data Sheets 2-1
KR101386335B1 (ko) 고층 아파트의 급수겸용 소화 설비 시스템
US20100000745A1 (en) Integrated water supply system for multi-floor buildings
CN104027924A (zh) 一种适用于高层住宅建筑的灭火系统
US20110265880A1 (en) Water-conserving fire protection systems
US20080185159A1 (en) Foam fire suppression apparatus
KR20010008185A (ko) 공동주택 스프링클러소화설비 세대배관의 상층부 슬래브내 설치
US9999792B2 (en) Wet pipe fire protection sprinkler system dual air vent with water retention and return
US20160346578A1 (en) Fire fighting apparatus for tall buildings
KR20100129975A (ko) 핸드레일을 이용한 자동소화시스템
GB2607853A (en) Fire protection system on a structure
US20230009507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fire in a building
US20140290967A1 (en) Water-conserving fire protection systems
RU139543U1 (ru) Противопожа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погружными насосами и резервуарами
KR20110091129A (ko) 분기배관 및 감압밸브를 이용한 소화용수 공급 시스템
JP2006097318A (ja) 消火用配管設備
KR102585484B1 (ko) 스프링클러 환상배관 시스템
RU139240U1 (ru) Противопожа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погружными насосами
US329585A (en) Island
KR200497999Y1 (ko) 경광등 연동 급수직결형 스프링클러 소화박스
JP2006141909A (ja) 高層住宅用スプリンクラー装置
JP2024068607A (ja) 消火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