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9830U - 소방용 관창 - Google Patents
소방용 관창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09830U KR20090009830U KR2020080003938U KR20080003938U KR20090009830U KR 20090009830 U KR20090009830 U KR 20090009830U KR 2020080003938 U KR2020080003938 U KR 2020080003938U KR 20080003938 U KR20080003938 U KR 20080003938U KR 20090009830 U KR20090009830 U KR 20090009830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re
- fire hose
- nozzle body
- hose
- pip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3/00—Hose accessories
- A62C33/06—Hose or pipe bridge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재현장에서 물의 급수를 제어하기 위한 관창의 노즐본체에 소방호스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소방호스의 길이를 더 연장하기 위한 연결수단을 형성함으로써, 화재현장에서 화원까지의 거리보다 소방호스의 길이가 짧을 경우 상기 연결수단에 소방호스를 직접연결하여 소방호스를 연장사용할 수 있어, 이에 따라 신속히 화원에 접근하여 화재를 초기진압할 수 있도록 소방용 관창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르면,
화재진압을 위한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내부에 선단부 측으로 좁아지는 유로가 형성된 노즐본체와; 상기 노즐본체와 소방호스를 연결하기 위한 차입부 및 상기 노즐본체의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스핀들로 이루어진 소방용 관창에 있어서,
상기 노즐본체의 선단부에는 소방호스를 더 연결하여 소방호스의 길이를 연장사용할 수 있도록 소방호스에 구비된 제2 연결커플링이 체결되는 연결수단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관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현장에서 물의 급수를 제어하기 위한 관창의 노즐본체에 소방호스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소방호스의 길이를 더 연장하기 위한 연결수단을 형성함으로써, 화재현장에서 화원까지의 거리보다 소방호스의 길이가 짧을 경우 상기 연결수단에 소방호스를 직접연결하여 소방호스를 연장사용할 수 있어, 이에 따라 신속히 화원에 접근하여 화재를 초기진압할 수 있도록 소방용 관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발생시 소방차가 출동하여 화재를 진압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에 소방차에는 소방펌프, 소방호스 및 소방용 관창과 같은 기본 소방장비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소방호스는 그 양단이 서로 연결가능한 암수 체결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화재현장에 따라 소방호스의 길이를 늘려야 할 경우, 한쪽 끝부분에 형성된 수커플링을 다른 호스의 암커플링에 연결하여 소방호스의 길이를 가변시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소방용 관창을 살펴보면, 실용신안 공고 제1983-253호의 방수관 내에 수량조절관을 나사식으로 끼우고 수량조절관의 지지편에 직사개폐밸브의 축을 끼워 고정시킨 공지의 관창에 있어서, 지지편 전방의 밸브축부분에 원추형부가 양쪽에 형성된 볼밸브를 삽입시키고, 전방 원추형부에 고무를 포착하여 방수구외주에 고무재질로 형성한 충격방지겸용 분사유도구를 착설하여서 된 소방용 관창과,
실용신안공고 제1994-2950호의 분사노즐이 선단에 설치되고 후단에 소켓관이 결합되게한 통상의 소방용 관창에 있어서,본체관의 중간위치에 디스크밸브를 별도로 착설하고 이 디스크밸브의 전면에 보조뚜껑에 감착되는 보조나사관을 관접하여 셋트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관창과,
특허등록 제0262197호의 차입부와 노즐을 알루미늄 재질로서 단조 및 압출로 성형한 후 그 표면을 산화 처리하되, 스프레이 노즐이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되도록 노즐에 결합하는 고무재질의 손잡이를 제작하고, 디스크시트와 스핀들을 노즐방향과 차입부방향에서 각각 결합할 수 있도록 분리형으로 하여 스핀들의 체결여부를 노즐의 상측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스핀들이 유동가능한 상태에서 체결되도록 하는 소방관창을 제공하므로서, 소방관창의 무게를 줄이면서 제조원가를 절감시키는 한편, 주물제작에 의한 수작업 공정을 없애면서 동절기에는 동상을 방지하여 그 사용상의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종래의 이러한 소방용 관창들은 모두다 소방호스의 일단에 연결하여 소방호스를 통해 전달된 물의 급수 및 단수를 제어함으로써,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소방장비들을 이용한 화재진압 행동요령을 살펴보면, 소방차 또는 건물에 설치된 소화전의 소방펌프에 소방호스를 연결한 후, 소방관이 2인 1조가 되어 화재현장으로 투입된다. 이때, 1명은 소방호스와 연결된 관창을 품고 화원으로 접근하며, 다른 1명은 여유분의 소방호스를 들고서 화원으로 접근한 후, 소방관의 지시로 소방펌프를 동작시켜 화재를 진압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화재진압에 있어서 사용되는 관창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건물내에 발생한 화재는 소방펌프에서 화원까지의 거리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소방호스의 길이가 화원에 미치지 못하여 화재의 초기진압에 실패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소방호스의 길이가 화원에 미치지 못할 경우, 소방펌프와 소방호스의 연결부위에 위치한 소방관에게 무전으로 소방펌프를 정지시켜 물을 차단하도록 한 후, 관창과 소방호스의 연결부위를 탈거하여 그 사이에 여유분의 소방호스를 다시 연결하고, 다시 소방펌프를 동작시켜 물을 공급하도록 해야 했기 때문에 이와 같은 행동과정에서 화재의 초기진압에 필요한 많은 시간이 소모되었기 때문이다.
본 고안은 종래 소방용 관창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화재현장에서 물의 급수를 제어하기 위한 관창의 노즐본체에 소방호스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소방호스의 길이를 더 연장하기 위한 연결수단을 형성함으로써, 화재현장에서 화원까지의 거리보다 소방호스의 길이가 짧을 경우 상기 연결수단에 소방호스를 직접연결하여 소방호스를 연장사용할 수 있어, 이에 따라 신속히 화원에 접근하여 화재를 초기진압할 수 있도록 한 소방용 관창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본 고안은
화재진압을 위한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내부에 선단부 측으로 좁아지는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의 단부에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안착면이 형성된 노즐본체와;
상기 노즐본체와 소방호스를 연결할 수 있도록 상부에 보스끼움공을 갖는 체결관이 형성되어 노즐본체의 후단 내측에 나사결합되며, 후단부에 소방호스에 구비된 제1,2 연결커플링 중 제1 연결커플링이 나사결합되는 너트부가 형성된 차입부 및
상기 노즐본체와 차입부의 결합깊이에 따라 슬라이딩이동을 통해 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선단부에 상기 안착면과 접하는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디스크시트가 형성되고, 후단부에 상기 보스끼움공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가이드가 형성된 스핀들로 이루어진 소방용 관창에 있어서,
상기 노즐본체의 선단부에는 소방호스를 더 연결하여 소방호스의 길이를 연장사용할 수 있도록 소방호스에 구비된 제2 연결커플링이 체결되는 연결수단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제2 연결커플링의 후단부 내측에 나사체결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선부가 형성된 연결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하면, 화재현장에서 물의 급수를 제어하기 위한 관창의 노즐본체에 소방호스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소방호스의 길이를 더 연장하기 위한 연결수단을 형성함으로써, 화재현장에서 화원까지의 거리보다 소방호스의 길이가 짧을 경우 소방용 관창에 구비된 연결수단에 소방호스를 직접연결하여 소방호스를 연장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신속히 화원에 접근하여 화재를 초기진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관창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관창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관창을 나타낸 요부단면도 및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관창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소방호스 3 : 제1 연결커플링
4 : 제2 연결커플링 10 : 노즐본체
12 : 안착면 20 : 차입부
21 : 보스끼움공 30 : 스핀들
31 : 디스크시트 110 : 연결수단
111 : 나선부 113 : 연결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관창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관창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관창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관창을 나타낸 요부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방용 관창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서, 본 고안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소방용 관창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소방용 관창은 화재진압용 물이 배수되는 노즐본체(10)와, 상기 노즐본체(10)의 후단부에 나사결합되는 차입부(20) 및 상기 노즐본체(10)를 통해 배수되는 물을 제어하기 위한 스핀들(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노즐본체(10)는 그 내부에 선단부 측으로 좁아지는 유로(11)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11)의 단부에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안착면(12)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차입부(20)는 그 상부에 상기 노즐본체(10)의 후단 내측에 나사결합되는 체결관(22)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관(22)의 내측에는 보스끼움공(2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차입부(20)의 후단부에는 소방호스(2)에 구비된 제1,2 연결커플링(3,4)중 제1 연결커플링(3)이 나사결합되는 너트부(2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핀들(30)은 노즐본체(10)와 차입부(20)의 결합깊이에 따라 슬라이딩이동을 통해 유로(11)를 개폐할 수 있도록 선단부에 상기 안착면(12)과 접하여 유로(11)를 개폐하기 위한 디스크시트(31)가 형성되고, 후단부에 상기 보스끼움공(2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가이드(3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33)는 그 하부가 상기 보스끼움공(21)에 삽입되어, 단부가 보스끼움공(2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보스끼움공(21) 보다 더큰 외경의 볼트머리를 갖는 볼트가 체결된다.
한편, 상기 소방호스(2)의 제1,2 연결커플링(3,4)은 소방호스(2)의 양단에 구비되며, 소방호스(2)들을 연결하여 길이를 연장할 수 있도록 암수연결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종래 소방용 관창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소방용 관창(100)은 상기 노즐본체(10)의 선단부에는 소방호스(2)에 구비된 제2 연결커플링(4)을 체결하기 위한 연결수단(11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수단(110)은 상기 제2 연결커플링(4)의 후단부 내측에 나사체결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선부(111)가 형성된 연결관(113)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화재진압시나 화재진압도중 소방호스의 길이가 짧아 화원에 접근하지 못할 경우, 본 고안의 소방용 관창(100)을 소방호스(2)의 연결을 위한 매개체로 사용하여 소방호스(2)의 길이를 연장사용함으로써, 빠른 화재진압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소방용 관창은 화재현장에서 화원까지의 거리보다 소방호스의 길이가 짧을 경우 관창에 구비된 연결수단에 소방호스를 직접연결하여 신속히 화원에 접근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신속히 화재를 초기진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에 따른 동작관계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화재가 발생시 소방관은 2인 1조가 되어 화재현장으로 투입된다. 이때, 1명은 소방호스에 연결된 소방용 관창(100)을 들며, 다른 한명은 여유분의 소방호스(2)와 소방용 관창(100)을 들고 화재현장의 화원으로 접근한다.
이때, 화원으로 접근 도중 소방호스(2)의 길이가 짧을 경우, 소방용 관창(100)을 들고 있는 소방관은 노즐본체(10)를 회전시켜 스핀들(30)을 통해 물이 배수되는 유로(11)를 차단시킨다.
이후, 여유분의 소방호스(2)의 일단에 구비된 제2 연결커플링(4)을 소방용 관창(100)의 연결수단(110)인 연결관(113)에 나사체결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소방용 관창(100)은 소방호스(2)와 소방호스(2)를 연결하는 중간 매개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여유분의 소방호스(2) 타단에 구비된 제1 연결커플링(3)에 여유분의 소방용 관창(100) 차입부(20)에 연결한 후, 소방용 관창(100)과 여유분의 소방용 관창(100)을 순차적으로 개방하여 화원에 물을 급수함으로써, 촌각을 다투는 화재의 현장에서 발화지점의 화원을 신속히 제압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소방관이 화재현장에 도착하여 정확한 호스전개 길이를 파악하기 위해선 건물로 진입해서 정확한 화재장소까지 도달해야만 알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화재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거리는 소방호스 3개정도 거리이기 때문에 소방차에 소방호스를 보통 3개를 보통 연결해 놓습니다. 또한, 소방차에 소방호스를 10개 또는 20개를 연결해 놓을 수 없는 이유는 연결된 소방호스가 접히거나 엉키면서 방수압이 약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통 소방차에 소방호스 3개 또는 5개가 연결되어있는데 본 고안의 소방용 관창은 화재진압과정에서 바로 호스를 연장할 수 있도록 한 것입니다.
Claims (2)
- 화재진압을 위한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내부에 선단부 측으로 좁아지는 유로(11)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11)의 단부에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안착면(12)이 형성된 노즐본체(10)와;상기 노즐본체(10)와 소방호스(2)를 연결할 수 있도록 상부에 보스끼움공(21)을 갖는 체결관(22)이 형성되어 노즐본체(10)의 후단 내측에 나사결합되며, 후단부에 소방호스(2)에 구비된 제1,2 연결커플링(3,4)중 제1 연결커플링(3)이 나사결합되는 너트부(23)가 형성된 차입부(20) 및상기 노즐본체(10)와 차입부(20)의 결합깊이에 따라 슬라이딩이동을 통해 유로(11)를 개폐할 수 있도록 선단부에 상기 안착면(12)과 접하는 유로(11)를 개폐하기 위한 디스크시트(31)가 형성되고, 후단부에 상기 보스끼움공(2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가이드(33)가 형성된 스핀들(30)로 이루어진 소방용 관창에 있어서,상기 노즐본체(10)의 선단부에는 소방호스(2)를 더 연결하여 소방호스(2)의 길이를 연장사용할 수 있도록 소방호스(2)에 구비된 제2 연결커플링(4)이 체결되는 연결수단(11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관창.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연결수단(110)은 상기 제2 연결커플링(4)의 후단부 내측에 나사체결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나선부(111)가 형성된 연결관(11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관창.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03938U KR20090009830U (ko) | 2008-03-26 | 2008-03-26 | 소방용 관창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80003938U KR20090009830U (ko) | 2008-03-26 | 2008-03-26 | 소방용 관창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09830U true KR20090009830U (ko) | 2009-09-30 |
Family
ID=41533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80003938U KR20090009830U (ko) | 2008-03-26 | 2008-03-26 | 소방용 관창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09830U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5664B1 (ko) * | 2013-12-23 | 2014-05-15 | 서울특별시 | 장거리 분사용 방수포 |
KR101990631B1 (ko) | 2019-02-25 | 2019-06-20 | 주식회사 드론고 | 태양전지를 구비한 비상 관창 |
KR20200012292A (ko) | 2018-07-26 | 2020-02-05 | 주식회사 드론고 | 수압에 의해 비상 가능한 소방용 드론 관창 |
KR102192499B1 (ko) * | 2020-04-03 | 2020-12-17 | (주)미드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 |
-
2008
- 2008-03-26 KR KR2020080003938U patent/KR20090009830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5664B1 (ko) * | 2013-12-23 | 2014-05-15 | 서울특별시 | 장거리 분사용 방수포 |
KR20200012292A (ko) | 2018-07-26 | 2020-02-05 | 주식회사 드론고 | 수압에 의해 비상 가능한 소방용 드론 관창 |
KR101990631B1 (ko) | 2019-02-25 | 2019-06-20 | 주식회사 드론고 | 태양전지를 구비한 비상 관창 |
KR102192499B1 (ko) * | 2020-04-03 | 2020-12-17 | (주)미드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422072B2 (en) | Sprinkler wedge | |
KR101565831B1 (ko) | 소방호스용 연결구 | |
KR20090009830U (ko) | 소방용 관창 | |
KR102037710B1 (ko) | 화재 방지 시스템 | |
KR200488385Y1 (ko) | 소방용수 분사장치 | |
KR101277009B1 (ko) | 소방용 방수압조절 연결관창 | |
CN203664070U (zh) | 一种园林用喷淋装置 | |
US8733387B2 (en) | Portable remote controlled valve | |
CN106492384A (zh) | 一种可更换枪头的多功能转角消防水枪 | |
KR102146819B1 (ko) | 공동주택의 전기 동력을 이용한 소방안전기구 장치 | |
JP6697918B2 (ja) | 消火用ノズル | |
CN108374920A (zh) | 一种双向流量控制阀 | |
KR20140035162A (ko) | 주변 화재 차단용 수막 형성 시스템 | |
KR101276383B1 (ko) | 소방용 안전 관창 | |
US6193170B1 (en) | Ready-access fire-fighting nozzle and method | |
KR200465572Y1 (ko) | 소방용 관창 | |
KR101465191B1 (ko) | 소방용 관창 | |
CN206026906U (zh) | 一种脱硫吸收塔消防灭火装置 | |
KR20160111804A (ko) | 물 분사장치 | |
KR101171949B1 (ko) | 소화용 스프링쿨러 | |
RU2277956C1 (ru) | Ствол для тушения торфяных пожаров | |
KR20210001660U (ko) | 압력계 안전 밸브 | |
KR101171948B1 (ko) | 소화용 스프링쿨러 시공방법 | |
RU2331449C2 (ru) | Ручной пожарный ствол | |
KR200388133Y1 (ko) | 고가사다리의 수관을 이용한 방수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