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2499B1 -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 - Google Patents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2499B1
KR102192499B1 KR1020200040886A KR20200040886A KR102192499B1 KR 102192499 B1 KR102192499 B1 KR 102192499B1 KR 1020200040886 A KR1020200040886 A KR 1020200040886A KR 20200040886 A KR20200040886 A KR 20200040886A KR 102192499 B1 KR102192499 B1 KR 102192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transfer
compressed gas
cylinder head
transfer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희곤
Original Assignee
(주)미드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드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미드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00040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24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2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5/00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 A62C5/02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of foam
    • A62C5/022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of foam with air or gas present as such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66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extinguishing material and pressure gas being stored in separate containers
    • A62C13/68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extinguishing material and pressure gas being stored in separat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or releasing the extinguish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66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extinguishing material and pressure gas being stored in separate containers
    • A62C13/7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extinguishing material and pressure gas being stored in separat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or releasing the pressure ga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가스가 유입되는 제1유입구와, 제1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압축가스가 이송되는 제1이송 유로와, 제1이송 유로를 통해 이송되는 압축가스가 포수용액이 충전된 소정의 저장용기 내부로 공급되는 공급구와, 저장용기 내부에 충전된 포수용액이 유입되는 제2유입구와, 제2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포수용액이 이송되는 제2이송 유로와, 제1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압축가스가 상기 제2이송 유로로 공급되는 연결 유로와, 제2이송 유로를 통해 이송되는 포수용액이 발포되는 발포부 및 발포부에서 발포되는 포수용액이 미세 거품형태로 방출되는 방출부를 포함하는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Cylinder head for fire extinguisher}
본 발명은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압의 압축가스를 일시에 용해시킨 소화용 포수용액의 압력을 순간적으로 해제시킴으로써 포수용액에 압축 용해된 가스가 일시에 팽창하여 포수용액의 미세한 발포현상을 유도할 수 있는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 진압 장비는 화염을 일으키는 화학 반응을 방해하는 물질 또는 연소물질을 냉각시키고, 화염으로부터 산소를 차단하는 물질을 사용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방 기구를 말한다.
이러한 화재 진압 장비는 방사 압력원의 저장 방식에 따라 장비 본체 용기에 소화 약제와 방사 압력원이 함께 저장되어 있는 축압식 장비와, 방사 압력원이 장비 본체 용기와는 별도로 다른 용기에 저장되어 있는 가압식 화재 진압 장비로 분류되며, 또한 저장되어 있는 소화 약제의 종류에 따라 밀가루 같이 생긴 화합물질을 주원료로 만든 소화 약제를 사용하는 분말 화재 진압 장비, 이산화탄소를 압축 저장하여 이를 소화 약제로 사용하는 이산화탄소 화재 진압 장비, 탄소, 염소 불소, 요오드 등을 주원료로 만든 소화 약제를 사용하는 하론(할로겐화합물) 소화장비, 물을 저장하여 이를 소화 약제로 사용하는 물 소화장비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소화 능력에 따라 대형 화재 진압 장비 및 소형 화재 진압 장비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축압식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축압식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는 하부에 설치된 밸브(14)에 의해 헤드(2)의 유출통로(4)를 개폐하기 위해 헤드(2)의 유출통로(4)에 결합 되는 승강봉(13)과, 상기 승강봉(13)의 밸브(14)가 하강하면서 유출통로(4)를 개방시 용기(1) 내의 소화액이 유출통로(4)의 상부로 유출되지 않고 항상 분사호스(23)로 유출되도록 유출통로(4)의 안착홈(6)에 안착 되는 패킹(12)과, 상기 패킹(12)이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패킹(12)의 상부를 압지할 수 있도록 헤드(2)의 나사부(5)로 체결되는 체결스크류(11)와, 상기 승강봉(13)이 평상시에는 상승한 상태를 유지하여 밸브(14)가 항상 유출통로(4)을 봉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승강봉(13)의 상부로 결합 되어 하측부는 체결스크류(11)와 접촉되고 상부는 승강봉(13)에 나사결합된 마개(15)와 접촉하고 있는 탄성부재(16)와, 상기 탄성부재(16)에 의해 상승 되어 있는 승강봉(13)의 마개(15)를 화재 발생시 눌러서 하강시키는 동작에 의해 승강봉(13)이 하강되면서 밸브(14)가 유출통로(4)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정손잡이(26)와 중심핀(22)으로 연결되어 있고 저면을 마개(15)와 접촉하고 있는 작동손잡이(21)와, 상기 헤드(2)의 연결공(7)으로 나사결합된 압력게이지(24)로 용기(1) 내의 압력을 전달하여 주기 위해 헤드(2)의 결합공(3)과 연결공(7)을 연결하는 압력유도공(9)과, 상기 헤드(2)의 유출통로(4)로 용기(1)의 소화액을 안내하여 공급해 주기 위해 헤드(2)의 결합공(3)으로 결합 되는 공급관(25)을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종래의 축압식 화재 진압 장비는 용기(1) 내에 소정 높이 만큼 수용된 소화액과, 상기 소화액의 상측에 압축된 상태로 충전된 압축가스로 이루어지는데, 사용자가 상기 고정손잡이(26)와 작동손잡이(21)를 상하방향으로 동시에 움켜쥐면, 승강봉(13)의 밸브(14)가 하강하게 되어 유출통로(4)를 개방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작동으로 인해 용기(1) 내외부의 압력차로 압축가스가 소화액을 하방으로 가압하게 되고, 이로 인해 소화액이 공급관(25)을 통해 외부로 분사되는 원리이다.
즉, 상기 압축가스는 소화액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게 단순히 소화액을 가압하여 밀어주는 역할만 하는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06099호(2002년 01월 19일 공개)
본 발명의 과제는, 고압의 압축가스를 일시에 용해시킨 소화용 포수용액의 압력을 순간적으로 해제시킴으로써 포수용액에 압축 용해된 가스가 일시에 팽창하여 포수용액의 미세한 발포현상을 유도할 수 있는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압축가스가 유입되는 제1유입구, 제1유입구와 연결되고, 제1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압축가스가 이송되는 제1이송 유로, 제1이송 유로를 통해 이송되는 압축가스가 포수용액이 충전된 소정의 저장용기 내부로 공급되는 공급구, 일정한 단면적을 갖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저장용기 내부에 충전된 포수용액이 유입되는 제2유입구, 제2유입구의 상단과 연결되고 일정한 단면적을 갖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포수용액이 이송되는 제2이송 유로, 제1유입구와 연결되고, 제1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압축가스가 제2이송 유로로 공급되며, 상방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연결 유로, 제2이송 유로의 상단과 연결되고 일정한 단면적을 갖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이송 유로를 통해 이송되는 포수용액이 발포되는 발포부 및 발포부의 상단과 연결되고 일정한 단면적을 갖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발포부에서 발포되는 포수용액이 미세 거품형태로 외부로 방출되는 방출부를 포함하고, 연결 유로는 제1이송 유로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며, 방출부는 발포부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고, 제2유입구, 제2이송 유로, 발포부 및 방출부는 일직선으로 배치되는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이송 유로는 단부가 단면이 축소되는 벤츄리(venturi)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발포부는 제2이송 유로에 비해 내경이 더 확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압의 압축가스를 일시에 용해시킨 소화용 포수용액의 압력을 순간적으로 해제시킴으로써 포수용액에 압축 용해된 가스가 일시에 팽창하여 포수용액의 미세한 발포현상을 유도할 수 있어 소화효율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축압식 화재 진압 장비용 헤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가 적용된 소화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100)는 제1유입구(110), 제1이송 유로(120), 공급구(130), 제2유입구(140), 제2이송 유로(150), 연결 유로(160), 발포부(170) 및 방출부(180)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유입구(110)는 실린더 헤드(100)의 중앙부 일측에 형성되며, 소정의 압축가스가 충전된 에어 탱크(미도시)에 연결되어 실린더 헤드(100) 내부로 압축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 헤드(100)와 에어 탱크는 공급호스(미도시)로 연결되어 제1유입구(110)를 통해 압축가스가 유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공급호스에 개폐밸브(미도시)가 더 구비됨으로써 실린더 헤드(100)로 공급되는 압축가스를 차단하거나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제1이송 유로(120)는 상기 제1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된 상기 압축가스를 이송한다. 여기서, 상기 제1이송 유로(120)는 제1유입구(110)와 연결되고, 실린더 헤드(100)의 하방을 향해 형성된다.
상기 공급구(130)는 상기 제1이송 유로(120)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압축가스를 포수용액이 충전된 소정의 저장용기(200) 내부로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공급구(130)는 실린더 헤드(100)의 하면 외측 가장자리 부위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포수용액은 물에 소량의 포원액을 혼합시킨 것을 지칭한다.
상기 공급구(130)는 실린더 헤드(100)의 하부에 마련되고, 소화용 포수용액이 가득 충전된 저장용기(200) 내부로 고압의 압축가스를 저장용기(200) 내부로 주입한다.
상기 제2유입구(140)는 상기 저장용기(200) 내부에 충전된 상기 포수용액이 유입된다. 이때, 상기 제2유입구(140)는 일정한 단면적을 갖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이 저장용기(200)의 내부에 설치된 사이폰관(210)에 결합 된다.
즉, 상기 공급구(130)를 통해 저장용기(200) 내부로 고압의 압축가스가 주입되면, 저장용기(200) 내부 압력이 상승하여 저장용기(200) 내부에 충전된 포수용액이 사이폰관(210)을 통해 실린더 헤드(100)의 하면 중앙부에 형성된 제2유입구(140)에 유입되어 이로 인해 실린더 내부(100)로 포수용액이 유입된다.
이때, 상기 공급구(130)와 제2유입구(140)가 형성된 실린더 헤드(100)의 하부는 실린더 헤드(100)의 중앙부위에 비해 직경이 작은 것이 특징인데, 이는 포수용액이 충전된 저장용기(200) 내부로 소정 깊이만큼 삽입되어 저장용기(200)에 장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추가로 상기 공급구(130)와 제2유입구(140)가 형성된 실린더 헤드(100)의 하부 외경에는 나사산(220)이 더 형성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실린더 헤드(100)의 하부와 저장용기(200) 간에 나사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2이송 유로(150)는 상기 제2유입구(140)의 상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2유입구(140)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포수용액이 이송된다.
이때, 상기 제2이송 유로(150)는 일정한 단면적을 갖는 기둥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내경은 상기 제2유입구(140)의 내경에 비해 작을 수 있다. 이는 상기 제2이송 유로(150)를 통해 이송되는 포수용액의 속도를 증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제2이송 유로(150)는 실린더 헤드(100)의 내부 중앙을 관통하여 상방을 향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저장용기(200) 내부의 고압으로 인해 상기 제2유입구(140)를 통해 유입되는 포수용액이 고속으로 제2이송 유로(150)를 통해 이송된다.
상기 연결 유로(160)는 상기 제1유입구(110)와 연결되어, 상기 제1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압축가스를 상기 제2이송 유로(150)로 공급시킨다.
즉, 상기 연결 유로(160)는 일단이 상기 제1이송 유로(120)의 상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이송 유로(150)의 일측에 연결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상기 제1이송 유로(120)에서 분기 되어 상기 제1이송 유로(120)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압축가스 중 일부가 상기 제2이송 유로(150)로 공급되게 한다.
한편, 상기 연결 유로(160)는 상기 제1이송 유로(120)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제1유입구(110)를 통해 주입된 상기 압축가스의 대부분은 상기 제1이송 유로(120)를 통해 저장용기로 공급되어 포수용액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일부만이 상기 연결 유로(160)를 통해 상기 제2이송 유로(150)로 공급되어 충돌 혼합액을 형성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발포부(170)는 일정한 단면적을 갖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제2이송 유로(150)의 상부 끝단에 위치하며, 상기 제2이송 유로(150)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포수용액이 발포된다. 여기서, 상기 발포부(170)는 상기 제2이송 유로(150)에 비해 내경이 더 확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연결 유로(160)를 통해 압축가스를 상기 제2이송 유로(150) 내부로 공급하여 제2이송 유로(150)를 통해 고속으로 이송되는 포수용액에 충돌시키면 순간적으로 고압의 압축가스가 포수용액에 용해되어 소위 충돌혼합액으로 생성되는데, 이러한 충돌혼합액이 공간이 넓게 확장된 상기 발포부(170)에 다다르면, 압력이 일시적으로 하락하여 폼(form) 형태로 발포하게 된다.
상기 방출부(180)는 일정한 단면적을 갖는 기둥 형상으로 상기 발포부(170)의 상방을 향해 연장된 상태로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발포부(170)에서 발포되는 상기 포수용액을 미세 거품형태로 외부에 방출한다. 이때, 상기 방출부(180)는 상기 발포부(170)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출부(180)의 내경에는 나사산(220)이 더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미세 거품형태로 생성된 포수용액을 외부로 방출할 때, 분사수단(300) 등에 단단히 결합하기 위함이다.
즉, 포수용액에 고압(약 1 내지 10bar)의 압축가스가 공급되어 포수용액에 압축가스를 일시에 용해시켰다가 압력이 해제되는 확장된 발포부(170)를 거쳐 상기 방출부(180)를 통해 외부 대기압상태로 방출될 때, 포수용액에 압축 용해되었던 가스가 순간적으로 팽창하여 미세한 발포현상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제2유입구(140), 상기 제2이송 유로(150), 상기 발포부(170) 및 상기 방출부(180)가 일직선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포수 용액이 빠르게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이송 유로(150)는 단부가 단면이 축소되는 벤츄리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이송 유로(150)의 단부는 단면이 축소되는 벤츄리 타입으로 형성되어 포수용액의 이동속도를 더욱 증가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이송 유로(150)가 위치한 방향으로 향하는 상기 연결 유로(160)의 타단이 상방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 유로(160)를 상기 제2이송 유로(150)를 통해 이송되는 포수용액의 이송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은 압력차를 이용하여 연결 유로(160)를 통해 이송되는 압축가스의 속도를 높여 포수용액에 충돌하는 압축가스의 충돌에너지를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100)는 제1유입구(110), 제1이송 유로(120), 공급구(130), 제2유입구(140), 제2이송 유로(150), 연결 유로(160), 발포부(170) 및 방출부(180)를 포함하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유입구(110), 제1이송 유로(120), 공급구(130), 제2유입구(140), 제2이송 유로(150), 발포부(170) 및 방출부(18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서술하였기에 중복되는 내용이므로 이를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연결 유로(160)는 상기 공급구(130)를 통해 상기 저장용기(200) 내부로 공급되는 상기 압축가스 중 일부가 상기 제2이송 유로(150)에 공급된다.
즉, 상기 연결 유로(160)는 실린더 헤드(100)의 하단부, 즉 상기 제2유입구(140)의 외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 유로(160)는 상기 공급구(130)를 통해 저장용기(200) 내부로 주입되는 상기 압축가스를 상기 제2이송 유로(150)로 공급시킨다.
즉, 상기 연결 유로(160)는 하단이 개방되어 이를 통해 압축가스가 유입되면, 상단이 상기 제2이송 유로(150)의 하부 일측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2이송 유로(150)가 위치한 방향으로 향하는 상기 연결 유로(160)의 상단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가 적용된 소화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포수용액이 가득 충전된 저장용기(200)와 상기 저장용기(200)의 일측에 위치하고, 압축가스가 충전된 에어 탱크(A)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용기(200)의 개방된 상부에는 실린더 헤드(100)가 장착되며, 상기 실린더 헤드(100)의 일측을 통해 상기 에어 탱크(A)에 충전된 압축가스를 공급받는다.
여기서, 상기 저장용기(200)의 상부에는 소정의 분사수단(300)이 설치되어, 압축가스에 의해 외부로 포수용액이 방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상기 에어 탱크(A)와 실린더 헤드(100) 사이에는 상기 에어 탱크(A)에 충전된 압축가스가 이송되는 이송관(T)이 연결되며, 상기 이송관(T)에는 개폐밸브(V)가 더 설치된다.
상기 이송관(T)의 일단은 에어 탱크(A)에 연결되고, 타단은 실린더 헤드(100)의 제1유입구에 연결되어 상기 개폐밸브(V)를 개방하게 되면, 상기 제1유입구를 통해 압축가스가 실린더 헤드(100) 내부로 유입되게 되는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포수용액이 가득 충전된 저장용기(200)와 상기 저장용기(200)의 일측에 위치하고, 압축가스가 충전된 에어 탱크(A)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 헤드(100)가 내부에 설치되고, 작동손잡이가 구비된 분사노즐(N)이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 탱크(A)와 실린더 헤드(100)는 제1이송관(T1)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데, 상기 제1이송관(T1)의 일단은 에어 탱크(A)에 연결되고, 타단은 실린더 헤드(100)의 제1유입구에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용기(200)와 실린더 헤드(100)는 제2이송관(T2) 및 제3이송관(T3)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제2이송관(T2)의 일단은 저장용기(200)에 연결되고, 타단은 실린더 헤드(100)의 공급구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3이송관(T3)의 일단은 저장용기(200)에 연결되고, 타단은 실린더 헤드(100)의 제2유입구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분사노즐(N)에 마련된 작동손잡이는, 도 6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된 개폐밸브 역할을 하게 되어, 이를 작동시키면 에어 탱크(A) 내부에 충전된 압축가스가 실린더 헤드(100) 내부로 유입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실린더 헤드
110: 제1유입구
120: 제1이송 유로
130: 공급구
140: 제2유입구
150: 제2이송 유로
160: 연결 유로
170: 발포부
180: 방출부

Claims (3)

  1. 원형 기둥 형태로 형성되되, 측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절삭면이 형성되는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에 있어서,
    상기 절삭면에 수직하게 마련되며, 압축가스가 유입되는 제1유입구(110);
    상기 제1유입구(110)와 연결되고, 상기 제1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된 상기 압축가스가 이송되는 제1이송 유로(120);
    상기 제1이송 유로(120)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압축가스가 포수용액이 충전된 소정의 저장용기 내부로 공급되는 공급구(130);
    일정한 단면적을 갖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저장용기 내부에 충전된 상기 포수용액이 유입되는 제2유입구(140);
    상기 제2유입구(140)의 상단과 연결되고 일정한 단면적을 갖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유입구(140)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포수용액이 이송되는 제2이송 유로(150);
    일단이 상기 제1유입구(110)와 직접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2이송 유로(150)와 직접 연결되어, 상기 제1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압축가스가 상기 제2이송 유로(150)로 공급되며,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함에 따라 상방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연결 유로(160);
    상기 제2이송 유로(150)의 상단과 연결되고 일정한 단면적을 갖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이송 유로(150)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포수용액이 발포되는 발포부(170); 및
    상기 발포부(170)의 상단과 연결되고 일정한 단면적을 갖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발포부(170)에서 발포되는 상기 포수용액이 미세 거품형태로 외부로 방출되는 방출부(18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유로(160)는, 상기 제2이송 유로(150)를 통해 이송되는 포수용액의 이송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이송 유로(120)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방출부(180)는, 상기 발포부(170)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유입구(140), 상기 제2이송 유로(150), 상기 발포부(170) 및 상기 방출부(180)는 일직선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2이송 유로(150)는 상단부가 상하로 상호 대칭되게 단면이 축소되었다 다시 확대되는 형상의 벤츄리(venturi) 타입으로 형성되고,
    상기 발포부(170)는 상기 제2이송 유로(150)에 비해 내경이 더 확장되며,
    상기 연결 유로(160)의 타단은, 상기 제2이송 유로(150)의 상단부의 대칭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
  2. 삭제
  3. 삭제
KR1020200040886A 2020-04-03 2020-04-03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 KR102192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886A KR102192499B1 (ko) 2020-04-03 2020-04-03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886A KR102192499B1 (ko) 2020-04-03 2020-04-03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2499B1 true KR102192499B1 (ko) 2020-12-17

Family

ID=74089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886A KR102192499B1 (ko) 2020-04-03 2020-04-03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249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6099A (ko) 2000-07-11 2002-01-19 심재호 소화기용 헤드의 구조
KR20090009830U (ko) * 2008-03-26 2009-09-30 김기철 소방용 관창
KR102091208B1 (ko) * 2019-10-16 2020-03-19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소화약제의 선택 또는 혼합비 조절이 가능한 방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6099A (ko) 2000-07-11 2002-01-19 심재호 소화기용 헤드의 구조
KR20090009830U (ko) * 2008-03-26 2009-09-30 김기철 소방용 관창
KR102091208B1 (ko) * 2019-10-16 2020-03-19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소화약제의 선택 또는 혼합비 조절이 가능한 방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0874B1 (ko)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
JPH09500043A (ja) 液体霧と不燃性ガスの混合物を使用する消火のための方法と設備
AU2000238484B2 (en) Fluid nozzle spray and fire extinguisher
JP6829655B2 (ja) 泡生成部、圧縮気体泡消火器及び圧縮気体泡消火システム
RU2427401C1 (ru) Химический воздушно-пенный огнетушитель
US20210322809A1 (en) Water-Mist Fire Extinguishing System
KR102192499B1 (ko)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
JP3550297B2 (ja) 消防設備用駆動源
KR101975762B1 (ko) 다중 약품 방출 능력을 갖는 이중 모드의 약품 방출 시스템
KR101357790B1 (ko) 펌프 내장형 교육용 소화기
CN103845833A (zh) 一种双流体喷射细水雾灭火枪
RU2514228C1 (ru) Химический воздушно-пенный огнетушитель
KR102192498B1 (ko) 연결 유로 개폐 기능을 갖는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
KR200491282Y1 (ko) 소방훈련용 물 소화기
JP2999766B1 (ja) 水噴霧付き気体消火装置
JP7266080B2 (ja) 消火器
KR200421466Y1 (ko) 유조탱크의 소화용 소화 챔버 구조
KR100767241B1 (ko) 휴대용 액체분무 소화기
JP5681748B2 (ja) 消火装置
PL229600B1 (pl) Urządzenie zapewniające przepływ dwufazowy w rozpylaczu cieczy oraz rozpylacz cieczy zawierający takie urządzenie i sposób modyfikowania rozpylacza cieczy
JP6966258B2 (ja) 消火器
KR20210108841A (ko) 작업용 조끼에 내장된 소화수단의 가압개폐밸브
JP2023080353A (ja) 消火器
JP2009082309A (ja) 液化炭酸ガス導出装置及び消火装置
KR102056472B1 (ko) 자동 소화 시스템의 소화기 격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소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