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2498B1 - 연결 유로 개폐 기능을 갖는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 - Google Patents

연결 유로 개폐 기능을 갖는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2498B1
KR102192498B1 KR1020200040890A KR20200040890A KR102192498B1 KR 102192498 B1 KR102192498 B1 KR 102192498B1 KR 1020200040890 A KR1020200040890 A KR 1020200040890A KR 20200040890 A KR20200040890 A KR 20200040890A KR 102192498 B1 KR102192498 B1 KR 102192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cylinder head
transfer
flow path
compressed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희곤
Original Assignee
(주)미드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미드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미드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00040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24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2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5/00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 A62C5/02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of foam
    • A62C5/022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of foam with air or gas present as such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66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extinguishing material and pressure gas being stored in separate containers
    • A62C13/68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extinguishing material and pressure gas being stored in separat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or releasing the extinguish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66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extinguishing material and pressure gas being stored in separate containers
    • A62C13/7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extinguishing material and pressure gas being stored in separat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or releasing the pressure ga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에 관한 것으로, 압축가스가 유입되는 제1유입구와, 제1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압축가스를 이송하는 제1이송 유로와, 제1이송 유로를 통해 이송되는 압축가스를 포수용액이 충전된 소정의 저장용기 내부로 공급하는 공급구와, 저장용기 내부에 충전된 포수용액이 유입되는 제2유입구와, 제2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포수용액을 이송하는 제2이송 유로와, 제1유입구와 연결되어 제1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압축가스를 제2이송 유로로 공급하는 연결 유로와, 제2이송 유로의 상단과 연결되고, 제2이송 유로를 통해 이송되는 포수용액이 발포되는 발포부와, 발포부의 상단과 연결되고, 발포부에서 발포되는 포수용액이 미세 거품형태로 방출되는 방출부와, 제2이송 유로에 배치되며, 내부를 통과하는 포수용액의 흐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 이동되며 연결 유로를 개방 및 폐쇄하는 개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결 유로 개폐 기능을 갖는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CYLINDER HEAD FOR FIRE EXTINGUISHER WITH OPENING AND SHUTTING FUCTION OF CONNECTING PATH}
본 발명은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수용액에 압축 용해된 가스의 팽창으로 포수용액의 미세한 발포현상을 유도할 수 있는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 진압 장비는 화염을 일으키는 화학 반응을 방해하는 물질 또는 연소물질을 냉각시키고, 화염으로부터 산소를 차단하는 물질을 사용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방 기구를 말한다.
이러한 화재 진압 장비는 방사 압력원의 저장 방식에 따라 장비 본체 용기에 소화 약제와 방사 압력원이 함께 저장되어 있는 축압식 장비와, 방사 압력원이 장비 본체 용기와는 별도로 다른 용기에 저장되어 있는 가압식 화재 진압 장비로 분류되며, 또한 저장되어 있는 소화 약제의 종류에 따라 밀가루 같이 생긴 화합물질을 주원료로 만든 소화 약제를 사용하는 분말 화재 진압 장비, 이산화탄소를 압축 저장하여 이를 소화 약제로 사용하는 이산화탄소 화재 진압 장비, 탄소, 염소 불소, 요오드 등을 주원료로 만든 소화 약제를 사용하는 하론(할로겐화합물) 소화장비, 물을 저장하여 이를 소화 약제로 사용하는 물 소화장비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소화 능력에 따라 대형 화재 진압 장비 및 소형 화재 진압 장비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축압식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축압식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는 하부에 설치된 밸브(14)에 의해 헤드(2)의 유출통로(4)를 개폐하기 위해 헤드(2)의 유출통로(4)에 결합 되는 승강봉(13)과, 상기 승강봉(13)의 밸브(14)가 하강하면서 유출통로(4)를 개방시 용기(1) 내의 소화액이 유출통로(4)의 상부로 유출되지 않고 항상 분사호스(23)로 유출되도록 유출통로(4)의 안착홈(6)에 안착 되는 패킹(12)과, 상기 패킹(12)이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패킹(12)의 상부를 압지할 수 있도록 헤드(2)의 나사부(5)로 체결되는 체결스크류(11)와, 상기 승강봉(13)이 평상시에는 상승한 상태를 유지하여 밸브(14)가 항상 유출통로(4)을 봉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승강봉(13)의 상부로 결합 되어 하측부는 체결스크류(11)와 접촉되고 상부는 승강봉(13)에 나사 결합된 마개(15)와 접촉하고 있는 탄성부재(16)와, 상기 탄성부재(16)에 의해 상승 되어 있는 승강봉(13)의 마개(15)를 화재 발생시 눌러서 하강시키는 동작에 의해 승강봉(13)이 하강되면서 밸브(14)가 유출통로(4)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정손잡이(26)와 중심핀(22)으로 연결되어 있고 저면을 마개(15)와 접촉하고 있는 작동손잡이(21)와, 상기 헤드(2)의 연결공(7)으로 나사 결합된 압력게이지(24)로 용기(1) 내의 압력을 전달하여 주기 위해 헤드(2)의 결합공(3)과 연결공(7)을 연결하는 압력유도공(9)과, 상기 헤드(2)의 유출통로(4)로 용기(1)의 소화액을 안내하여 공급해 주기 위해 헤드(2)의 결합공(3)으로 결합 되는 공급관(25)을 구비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종래의 축압식 화재 진압 장비는 용기(1) 내에 소정 높이만큼 수용된 소화액과, 상기 소화액의 상측에 압축된 상태로 충전된 압축가스로 이루어지는데, 사용자가 상기 고정손잡이(26)와 작동손잡이(21)를 상하방향으로 동시에 움켜쥐면, 승강봉(13)의 밸브(14)가 하강하게 되어 유출통로(4)를 개방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작동으로 인해 용기(1) 내외부의 압력차로 압축가스가 소화액을 하방으로 가압하게 되고, 이로 인해 소화액이 공급관(25)을 통해 외부로 분사되는 원리이다.
즉, 상기 압축가스는 소화액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게 단순히 소화액을 가압하여 밀어주는 역할만 하는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06099호(2002년 01월 19일 공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고압의 압축가스를 일시에 용해시킨 소화용 포수용액의 압력을 순간적으로 해제시킴으로써 포수용액에 압축 용해된 가스가 일시에 팽창하여 미세한 발포현상을 유도할 수 있는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압축가스가 유입되는 제1유입구와, 제1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압축가스를 이송하는 제1이송 유로와, 제1이송 유로를 통해 이송되는 압축가스를 포수용액이 충전된 소정의 저장용기 내부로 공급하는 공급구와, 저장용기 내부에 충전된 포수용액이 유입되는 제2유입구와, 제2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포수용액을 이송하는 제2이송 유로와, 제1유입구와 연결되어 제1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압축가스를 제2이송 유로로 공급하는 연결 유로와, 제2이송 유로의 상단과 연결되고, 제2이송 유로를 통해 이송되는 포수용액이 발포되는 발포부와, 발포부의 상단과 연결되고, 발포부에서 발포되는 포수용액이 미세 거품형태로 방출되는 방출부와, 제2이송 유로에 배치되며, 내부를 통과하는 포수용액의 흐름에 따라 일부가 상승 또는 하강 이동되며 연결 유로를 개방 및 폐쇄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개폐부는 제2이송 유로에 배치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이 형성되고, 연결 유로와 중공을 연결하는 연통공이 형성되는 하우징부재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통로를 가지며, 중공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와, 이동부재 보다 작은 직경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통로를 가지되, 상단부가 내측으로 굽어 배출공이 형성되고 하단부가 외측으로 굽어 이동부재의 상단부와 연결되는 연결부재와, 하우징부재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복수의 이동홀이 관통 형성되는 플레이트부재와, 연결부재를 감싸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제1통로로 통과하는 포수용액의 흐름여부에 따라, 이동부재가 상승 또는 하강 이동되며 연결 유로가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개폐부는 플레이트부재의 중앙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배출공에 삽입 가능한 샤프트부재를 더 포함하고, 이동부재의 상승 또는 하강 이동에 따라, 샤프트부재가 배출공에 삽입 또는 이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우징부재는 상단부 내측 테두리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부재의 상승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 유로는 제1이송 유로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며, 방출부는 발포부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고, 제2유입구, 제2이송 유로, 발포부 및 방출부는, 일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고압의 압축가스를 일시에 용해시킨 소화용 포수용액의 압력을 순간적으로 해지시킴으로써 포수용액에 압축 용해된 가스가 일시에 팽창하여 포수용액의 미세한 발포현상을 유도할 수 있어 소화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수용액의 이동에 따라 포수용액에 고압의 압축가스를 공급하는 이동유로가 개폐되도록 형성되어, 고압의 압축가스가 저장용기에 일정량 이상 주입되기 전, 이동유로를 통한 압축가스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축압식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를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연결 유로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를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연결 유로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가 적용된 소화기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격적인 설명에 앞서, 아래에서 언급되는 포수용액은 물과 같은 액체에 소량의 포원액을 혼합시킨 것을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1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100)는 제1유입구(110), 제1이송 유로(120), 공급구(130), 제2유입구(140), 제2이송 유로(150), 연결 유로(160), 발포부(170), 방출부(180) 및 개폐부(190)를 포함하며, 원형 또는 다각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유입구(110)는 실린더 헤드(100) 내부로 압축가스의 유입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실린더 헤드(100)의 중앙부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유입구(110)는 실린더 헤드(100)의 측면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소정의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제1유입구(110)는 소정의 압축가스가 충전된 에어 탱크(미도시)와 연결되어, 에어 탱크로부터 압축가스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때, 실린더 헤드(100)와 에어 탱크는 공급호스(미도시)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공급호스에는 실린더 헤드(100)와 에어 탱크의 연통을 제어하는 개폐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제1이송 유로(120)는 제1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압축가스를 공급구(130)로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 상단이 제1유입구(110)와 연결될 수 있고, 하단이 공급구(13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이송 유로(120)는 제1유입구(110)에서 공급구(130)를 향해 배치되는 일직선의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이송 유로(120)는 제1유입구(110)로부터 유입된 압축가스가 공급구(130)를 향하여 이동하는 중간 이동 통로의 역할을 한다.
공급구(130)는 제1이송 유로(120)를 통해 이송되는 압축가스를 포수용액이 충전된 소정의 저장용기(200)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단이 제1이송 유로(120)의 하단과 연결될 수 있고, 하단이 실린더 헤드(10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공급구(130)는 제1이송 유로(120)에서 실린더 헤드(100)의 하면을 향해 배치되는 관 형태로 형성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이송 유로(120) 및 공급구(130)는 실린더 헤드(100)의 하단부 외측 가장자리 부근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호 일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유입구(110)에 유입된 압축가스는 제1이송 유로(120)로 이송되며, 공급구(130)를 통해 포수용액이 충전된 저장용기(200) 내부로 주입될 수 있다.
제2유입구(140)는 실린더 헤드(100) 내부로 저장용기(200) 내부에 충전된 포수용액의 유입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실린더 헤드(100)의 하면 중앙부에서 실린더 헤드(100)의 상면을 향해 배치되는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유입구(140)는 하단부에 저장용기(200)의 내부에 설치된 사이폰관(210)이 결합될 수 있다.
즉, 저장용기(200) 내부로 고압의 압축가스가 주입되면, 저장용기(200) 내부 압력이 상승하여 저장용기(200) 내부에 충전된 포수용액이 사이폰관(210)을 통해 실린더 헤드(100)의 제2유입구(14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공급구(130)와 제2유입구(140)가 형성된 실린더 헤드(100)의 하부는 실린더 헤드(100)의 중앙부위에 비해 직경이 작을 수 있다. 이는 포수용액이 충전된 저장용기(200) 내부로 소정 깊이만큼 삽입되어 저장용기(200)에 장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추가로 공급구(130)와 제2유입구(140)가 형성된 실린더 헤드(100)의 하부 외경에는 나사산(220)이 더 형성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실린더 헤드(100)의 하부와 저장용기(200) 간에 나사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제2이송 유로(150)는 제2유입구(140)를 통해 유입되는 포수용액을 발포부(170)로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 하단이 제2유입구(140)와 연결될 수 있고, 상단이 발포부(17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이송 유로(150)는 제2유입구(140)에서 발포부(170) 향해 배치되는 일직선의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이송 유로(150)는 제2유입구(140)로부터 유입된 포수용액이 발포부(170)를 향하여 이동하는 중간 이동 통로의 역할을 한다.
한편, 제2이송 유로(150)의 내경은 제2유입구(140)의 내경에 비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2이송 유로(150)를 통해 이송되는 포수용액의 속도를 증가하기 위함이다.
연결 유로(160)는 제1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되는 압축가스 중 그 일부를 제2이송 유로(150)로 공급하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일단이 제1이송 유로(120)의 상부 또는 제1유입구(11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이 제2이송 유로(150)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연결 유로(160)는 일직선의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 유로(160)는 제1이송 유로(120)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2이송 유로(150) 보다 저장용기(200)로 더 많은 양의 압축가스가 공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발포부(170)는 제2이송 유로(150)를 통해 이송된 포수용액을 폼 형태로 발포하기 위한 것으로, 하단이 제2이송 유로(150)와 연결될 수 있고, 상단이 방출부(18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발포부(170)는 제2이송 유로(150)에서 방출부(180)를 향해 배치되는 일직선의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발포부(170)는 제2이송 유로(150)에 비해 내경이 더 확장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 유로(160)를 통해 압축가스를 제2이송 유로(150) 내부로 공급하여 제2이송 유로(150)를 통해 고속으로 이송되는 포수용액에 충돌시키면 순간적으로 고압의 압축가스가 포수용액에 용해되어 소위 충돌혼합액으로 생성되는데, 이러한 충돌혼합액이 공간이 넓게 확장된 발포부(170)에 다다르면, 압력이 일시적으로 하락하여 폼(form) 형태로 발포하게 된다.
방출부(180)는 발포부(170)를 통해 이송된 폼 형태의 포수용액을 미세 거품 형태로 방출하기 위한 것으로, 하단이 발포부(170)와 연결될 수 있고, 상단이 실린더 헤드(10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방출부(180)는 발포부(170)에서 실린더 헤드(100)의 상면을 향해 배치되는 일직선의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방출부(18)는 발포부(17)에 비해 내경이 더 확장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방출부(18)의 내경에는 나사산(2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미세 거품형태로 생성된 포수용액을 외부로 방출할 때, 분사수단(300) 등에 단단히 결합하기 위함이다.
즉, 포수용액에 고압(약 1 내지 10bar)의 압축가스가 공급되어 포수용액에 압축가스를 일시에 용해시켰다가 압력이 해제되는 확장된 발포부(17)를 거쳐 방출부(18)를 통해 외부 대기압상태로 방출될 때, 포수용액에 압축 용해되었던 가스가 순간적으로 팽창하여 미세한 발포현상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개폐부(190)는 내부를 통과하는 포수용액의 흐름에 따라 일부가 상승 또는 하강 이동되며 연결 유로(160)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제2이송 유로(150)에 배치될 수 있다.
개폐부(190)는 하우징부재(191), 이동부재(192), 연결부재(193), 플레이트부재(194) 및 탄성부재(195)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부재(191)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1911)이 관통 형성되고, 측면에 중공(1911)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통공(1912)이 관통 형성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부재(191)는 제2이송 유로(150)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중공(1911)은 제2이송 유로(150)와 일직선 상에 배치되고, 연통공(1912)은 연결 유로(160)와 중공(1911)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2이송 유로(150)는 하우징부재(191)가 끼움 또는 나사 결합 가능한 안착홈이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안착홈은 제2이송 유로(150)의 내경에 비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재(191)는 하우징부재(191)는 상단부에 내측 테두리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이동제한돌기(191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이동부재(192)의 상승 이동을 제한하여, 이탈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동부재(192)는 내부에 제1통로(1921)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부재(191)의 내부에 배치되어, 중공(1911)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이동부재(192)는 외주연이 중공(1911)의 내주연과 맞닿을 수 있으며, 상승 또는 하강 이동에 따라 하우징부재(191)의 연통공(1912)을 개폐할 수 있다.
연결부재(193)는 내부에 제1통로(1921)보다 작은 직경의 제2통로(1931)를 갖는 원통 형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193)는 상단부가 내측으로 굽어 제2통로(1931)보다 작은 직경의 배출공(1932)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하단부가 외측으로 굽어 이동부재(192)의 상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포수용액은 제2이송 유로(150)에서 제1통로(1921)로 이송되고, 제2통로(1931)를 지나 배출공(1932)을 통해 발포부(170)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제1통로(1921)와 제2통로(1931)의 직경차로 인해, 이동부재(192)는 그 내부를 통과하는 포수용액의 이동에 따라 상승 이동할 수 있다.
플레이트부재(194)는 복수의 이동홀(1941)이 관통 형성되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부재(194)의 직경은 하우징부재(191)의 하단부 직경과 동일할 수 있으며, 하우징부재(191)의 하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플레이트부재(194)에 의해 이동부재(192)는 하강 이동에 제한되어, 중공(191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탄성부재(195)는 연결부재(193)의 중심부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하우징부재(191)의 이동제한돌기(1913)와 외측으로 절곡된 연결부재(193)의 하단부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195)는 압축력에 저항하는 힘을 가질 수 있으며, 그 힘은 포수용액에 의해 이동부재(192)가 상승하려는 힘보다 약할 수 있다.
즉, 이동부재(192)는 포수용액의 이동에 따라 상승 이동되어 연통공(1912)을 개방할 수 있으며, 포수용액의 이동이 중단되는 경우, 탄성부재(195)에 의해 플레이트부재(194)와 맞닿는 위치까지 하강 이동되어 연통공(1912)을 폐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저장용기(200)에 포수용액이 이동할 정도의 압축가스가 공급되지 않으면, 연결 유로(160)를 차단하여 보다 빠르게 저장용기(200)에 압축가스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개폐부(190)는 샤프트부재(19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부재(196)는 플레이트부재(194)의 중앙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원형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배출공(1932)에 삽입 가능하다. 이때, 샤프트부재(196)의 외경은 제2통로(1931)의 직경보다 작으며, 배출공(1932)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한편, 플레이트부재(194)의 이동홀(1941)은 샤프트부재(196)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서로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샤프트부재(196)는 이동부재(192)의 상승 이동에 따라 배출공(193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이동부재(192)의 하강 이동에 따라 배출공(1932)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제2이송 유로(150) 내에 포수용액의 흐름이 발생되지 않는 경우, 샤프트부재(196)가 배출공(1932)에 삽입되어, 배출공에 위치한 포수용액을 밀어내어 포수용액의 경화에 의해 배출공(1932)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100)를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연결 유로(160)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다.
제1유입구(110)를 통해 저장용기(200) 내부로 압축가스가 유입되지 않거나, 저장용기(200) 내부에 포수용액이 이동할 정도의 압축가스가 공급되지 않은 경우, 이동부재(192)는 탄성부재(195)에 의해 플레이트부재(194)와 맞닿는 상태일 수 있으며, 연통공(1912)을 차단하여 연결 유로(160)에 위치한 압축가스가 제2이송 유로(150)로 공급되지 않는다.
또한, 연결부재(193)의 배출공(1932)은 샤프트부재(196)의 삽입으로 폐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100)를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연결 유로(160)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다.
저장용기(200) 내부에 포수용액이 이동할 정도의 압축가스가 공급된 경우, 이동부재(192)는 탄성부재(195)를 압축하며 상승 이동할 수 있으며, 연통공(1912)을 개방하여 연결 유로(160)로 이송되는 압축가스가 제2이송 유로(150)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193)의 배출공(1932)은 샤프트부재(196)의 이탈로 개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100)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2이송 유로(150)가 위치한 방향으로 향하는 연결 유로(160)의 타단이 상방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유로(160)를 통해 이송되는 포수용액의 이송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은 압력차를 이용하여 연결 유로(160)를 통해 이송되는 압축가스의 속도를 높여 포수용액에 충돌하는 충돌하는 압축가스의 충돌에너지를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100)가 적용된 소화기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포수용액이 가득 충전된 저장용기(200)와 저장용기(200)의 일측에 위치하고, 압축가스가 충전된 에어 탱크(A)가 마련된다.
그리고, 저장용기(200)의 개방된 상부에는 실린더 헤드(100)가 장착되며, 실린더 헤드(100)의 일측을 통해 에어 탱크(A)에 충전된 압축가스를 공급받는다.
여기서, 저장용기(200)의 상부에는 소정의 분사수단(300)이 설치되어, 압축가스에 의해 외부로 포수용액이 방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에어 탱크(A)와 실린더 헤드(100) 사이에는 에어 탱크(A)에 충전된 압축가스가 이송되는 이송관(T)이 연결되며, 이송관(T)에는 개폐밸브(V)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송관(T)의 일단은 에어 탱크(A)에 연결되고, 타단은 실린더 헤드(100)의 제1유입구(110)에 연결되어 개폐밸브(V)를 개방하게 되면, 제1유입구(110)를 통해 압축가스가 실린더 헤드(100) 내부로 유입되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100)가 적용된 소화기를 도시하는 예시도이다.
포수용액이 가득 충전된 저장용기(200)와 저장용기(200)의 일측에 위치하고, 압축가스가 충전된 에어 탱크(A)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실린더 헤드(100)가 내부에 설치되고, 작동손잡이가 구비된 분사노즐(N)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에어 탱크(A)와 실린더 헤드(100)는 제1이송관(T1)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데, 제1이송관(T1)의 일단은 에어 탱크(A)에 연결되고, 타단은 실린더 헤드(100)의 제1유입구(11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용기(200)와 실린더 헤드(100)는 제2이송관(T2) 및 제3이송관(T3)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2이송관(T2)의 일단은 저장용기(200)에 연결되고, 타단은 실린더 헤드(100)의 공급구(13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3이송관(T3)의 일단은 저장용기(200)에 연결되고, 타단은 실린더 헤드(100)의 제2유입구(14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분사노즐(N)에 마련된 작동손잡이는 개폐밸브 역할을 하게 되며, 이를 작동시키면 에어 탱크(A) 내부에 충전된 압축가스가 실린더 헤드(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실린더 헤드
110 : 제1유입구
120 : 제1이송 유로
130 : 공급구
140 : 제2유입구
150 : 제2이송 유로
160 : 연결 유로
170 : 발포부
180 : 방출부
190 : 개폐부

Claims (5)

  1. 압축가스가 유입되는 제1유입구와,
    상기 제1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압축가스를 이송하는 제1이송 유로와,
    상기 제1이송 유로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압축가스를 포수용액이 충전된 소정의 저장용기 내부로 공급하는 공급구와,
    상기 저장용기 내부에 충전된 상기 포수용액이 유입되는 제2유입구와,
    상기 제2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포수용액을 이송하는 제2이송 유로와,
    상기 제1유입구와 연결되어 상기 제1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상기 압축가스를 상기 제2이송 유로로 공급하는 연결 유로와,
    상기 제2이송 유로의 상단과 연결되고, 상기 제2이송 유로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포수용액이 발포되는 발포부와,
    상기 발포부의 상단과 연결되고, 상기 발포부에서 발포되는 상기 포수용액이 미세 거품형태로 방출되는 방출부와,
    상기 제2이송 유로에 배치되며, 내부를 통과하는 포수용액의 흐름에 따라 일부가 상승 또는 하강 이동되며 상기 연결 유로를 개방 및 폐쇄하는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는,
    상기 제2이송 유로에 배치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유로와 상기 중공을 연결하는 연통공이 형성되는 하우징부재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통로를 가지며, 상기 중공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 보다 작은 직경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통로를 가지되, 상단부가 내측으로 굽어 배출공이 형성되고 하단부가 외측으로 굽어 상기 이동부재의 상단부와 연결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하우징부재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복수의 이동홀이 관통 형성되는 플레이트부재와,
    상기 연결부재를 감싸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통로로 통과하는 포수용액의 흐름여부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가 상승 또는 하강 이동되며 연결 유로가 개방 또는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플레이트부재의 중앙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배출공에 삽입 가능한 샤프트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의 상승 또는 하강 이동에 따라, 상기 샤프트부재가 상기 배출공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재는,
    상단부 내측 테두리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상기 이동부재의 상승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유로는 제1이송 유로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방출부는 상기 발포부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유입구, 상기 제2이송 유로, 상기 발포부 및 상기 방출부는 일직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
KR1020200040890A 2020-04-03 2020-04-03 연결 유로 개폐 기능을 갖는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 KR102192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890A KR102192498B1 (ko) 2020-04-03 2020-04-03 연결 유로 개폐 기능을 갖는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890A KR102192498B1 (ko) 2020-04-03 2020-04-03 연결 유로 개폐 기능을 갖는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2498B1 true KR102192498B1 (ko) 2020-12-17

Family

ID=74089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890A KR102192498B1 (ko) 2020-04-03 2020-04-03 연결 유로 개폐 기능을 갖는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249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6099A (ko) 2000-07-11 2002-01-19 심재호 소화기용 헤드의 구조
KR20180102392A (ko) * 2017-03-07 2018-09-17 정상규 노즐개폐부를 포함하는 가스계 소화설비 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소방설비
KR102091208B1 (ko) * 2019-10-16 2020-03-19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소화약제의 선택 또는 혼합비 조절이 가능한 방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6099A (ko) 2000-07-11 2002-01-19 심재호 소화기용 헤드의 구조
KR20180102392A (ko) * 2017-03-07 2018-09-17 정상규 노즐개폐부를 포함하는 가스계 소화설비 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소방설비
KR102091208B1 (ko) * 2019-10-16 2020-03-19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소화약제의 선택 또는 혼합비 조절이 가능한 방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9371B1 (ko) 자동 소화 시스템의 소화기 격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소화 장치
KR101295042B1 (ko) 화재감지튜브 장착형 자동소화장치
US10556139B2 (en) Network-type temperature-controlled hanging extinguishing system
KR101260783B1 (ko) 소화장치용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소화설비
KR101397922B1 (ko) 화재감지튜브 장착형 자동소화장치
AU2000238484B2 (en) Fluid nozzle spray and fire extinguisher
KR102192498B1 (ko) 연결 유로 개폐 기능을 갖는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
US20040144549A1 (en) Sprinkler
AU2002345115A1 (en) Sprinkler
KR101918213B1 (ko) 노즐개폐부를 포함하는 가스계 소화설비 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소방설비
KR102192499B1 (ko)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
US10603532B2 (en) Foam-water sprinkler
KR102254527B1 (ko) 이중 챔버 소화기
KR200421466Y1 (ko) 유조탱크의 소화용 소화 챔버 구조
KR100767241B1 (ko) 휴대용 액체분무 소화기
JP7427123B2 (ja) 消火器
KR102056472B1 (ko) 자동 소화 시스템의 소화기 격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소화 장치
KR102309095B1 (ko) 소방훈련용 물 소화기
JP2009082309A (ja) 液化炭酸ガス導出装置及び消火装置
RU2283153C1 (ru) Модуль порошковог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варианты)
KR20210108841A (ko) 작업용 조끼에 내장된 소화수단의 가압개폐밸브
KR102648656B1 (ko) 두 가지 이상의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
JP6966258B2 (ja) 消火器
KR102447276B1 (ko) 휴대용 자동 소화장치
KR101377401B1 (ko) 에어로졸 스프레이 분사밸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