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8656B1 - 두 가지 이상의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 - Google Patents

두 가지 이상의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8656B1
KR102648656B1 KR1020210155347A KR20210155347A KR102648656B1 KR 102648656 B1 KR102648656 B1 KR 102648656B1 KR 1020210155347 A KR1020210155347 A KR 1020210155347A KR 20210155347 A KR20210155347 A KR 20210155347A KR 102648656 B1 KR102648656 B1 KR 102648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ing
extinguishing agent
opening
supply pipe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5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9376A (ko
Inventor
최성대
이말숙
Original Assignee
국립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립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55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8656B1/ko
Publication of KR20230069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9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8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86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62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a single permanently pressurised container
    • A62C13/64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a single permanently pressurised container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released by means of a valv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1Shape
    • F17C2201/0147Shape complex
    • F17C2201/0166Shape complex divided in several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23Valves
    • F17C2205/0335Check-valves or non-retur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88Arrangement of valves, regulators,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7Applications for household use
    • F17C2270/0754Fire extinguish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가지 이상의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분말 소화약제를 공급받는 제1공급관과 액상 소화약제를 공급받는 제2공급관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공급관을 개폐시켜 상기 분말 소화약제의 배출을 제어하는 제1개폐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공급관을 개폐시켜 상기 액상 소화약제의 배출을 제어하는 제2개폐부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제1공급관과 상기 제2공급관과 연결되어 외부로 상기 분말 소화약제 또는 상기 액상 소화약제를 분사시키는 노즐부와, 상기 하우징과 상기 노즐부 사이에 위치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1개폐부 또는 상기 제2개폐부를 하부로 가압하여 개방시키는 작동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두 가지 이상의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A spraying device to selectively spray two or more fire extinguishing agents}
본 발명은 두 가지 이상의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종의 소화약제가 저장된 탱크와 연결되어 화재 발생 원인에 맞춰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두 가지 이상의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화기는 화재의 초기 단계에서 1차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서, 운반 또는 휴대가 가능하여 화재현장에서 불을 끌 수 있는 기구를 의미한다.
소화기는 사용하는 약품이나 방법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누어지는데 일반적으로는 소화기의 경우 액체소화기, 가스 및 분말소화기로 구분되며, 각 종류에 따라 소화기 내부에 충진되는 소화약제 및 구조가 달라진다.
도 1은 통상의 소화기의 구조와 작동을 설명한 도면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소화기는 본체(10) 내에 소화약제를 충전하고 가스를 주입함으로써 소화기 내부 압력을 고압으로 만들게 된다.
본체(10) 상부에는 밸브(13)가 형성되어 있어 본체(10) 내부에 충전된 소화재가 외부로 누설되거나 가스가 빠져나가 감압되지 않도록 하며, 손잡이부(20)의 동작에 의해 소화약제가 본체 외부로 분사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손잡이부(20)는 밸브(13) 상부에 고정되는 하부 손잡이(21)와 하부 손잡이(22)의 일측에 형성된 힌지축(23)에 결합되어 하부 손잡이(21)를 향해 하부 방향으로 회동되는 상부 손잡이(22)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부 손잡이(22)는 회동되지 않도록 안전핀(24)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상부 손잡이(22)가 회동되면 밸브(13)의 상부에 형성된 개방핀(14)을 하부 방향으로 가압하여 밸브(13)를 개방시키게 되고, 고압으로 본체 내부에 충전된 소화약제는 외부 압력차에 의해 방출 파이프(11)를 따라 밸브(13) 및 호스(12)를 통해 외부로 분사되어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소화기는 내부에 고체분말로 이루어진 탄산수소나트륨 또는 제1인산암모늄 소화약제나 이산화탄소로 이루어진 가스 소화약제가 충전되어 있는데, 초기 화재를 진압할 때는 이러한 고체분말 또는 가스 소화약제가 화염을 조기에 없애는 속소성은 뛰어나지만 냉각성능이 약하여 잔존하는 불씨가 다시 점화되어 화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한국특허 등록번호 제10-0767241호는 휴대용 액체분무 소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소화기 내부에 소화약제 대신에 액체인 물을 사용함으로써 소화약제로 인한 2차적인 피해와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고체 분말 소화약제에 비해 지속성이 높아 불씨가 재발화 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경우 소화약제를 물로 사용하기 때문에 화재를 진압할 때 냉각성능이 뛰어나 화재의 완전진압 효과는 뛰어나지만 화재초기 화염을 조기에 없애는 속소성이 약하여 다량의 소화약제가 필요하고 이로 인해 진화할 수 있는 범위가 좁아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화재 진압에 따라 소화약제의 종류를 구분하여 사용해야 하는데, 주위에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적절한 소화기가 구비되어 있지 않다면 화재진압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 등록번호 제10-0767241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종류의 소화약제가 저장된 소화기 또는 소화장치에 탈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어 화재현장의 화재원인이나 화재진압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두 가지 이상의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진 소화약제가 순차적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하고 재발화를 방지할 수 있는 두 가지 이상의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말과 액상으로 된 소화약제를 순차적으로 분사할 때 배관 내부에 잔류하지 않도록 하여 배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두 가지 이상의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두 가지 이상의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는 내부에 분말 소화약제를 공급받는 제1공급관과 액상 소화약제를 공급받는 제2공급관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공급관을 개폐시켜 상기 분말 소화약제의 배출을 제어하는 제1개폐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공급관을 개폐시켜 상기 액상 소화약제의 배출을 제어하는 제2개폐부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제1공급관과 상기 제2공급관과 연결되어 외부로 상기 분말 소화약제 또는 상기 액상 소화약제를 분사시키는 노즐부와, 상기 하우징과 상기 노즐부 사이에 위치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1개폐부 또는 상기 제2개폐부를 하부로 가압하여 개방시키는 작동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두 가지 이상의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의 상기 제1개폐부는 상기 제1공급관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역 T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제1스템과, 상기 제1스템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공급관 내부에 상기 제1스템이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제1공급관을 차단시키는 제1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체는 링 형태로 구성되며 하부면에는 상기 제1개폐부 또는 상기 제2개폐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C자 형태로 이루어진 돌출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돌출단은 양 끝단에서부터 점진적으로 높이가 증가되어 상기 제1개폐부 또는 상기 제2개폐부가 점진적으로 개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개폐부와 상기 제2개폐부가 상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원형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1관통홀 및 제2관통홀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C자 형태로 내측으로 파여져 상기 작동체의 회전반경을 제한하고 상기 제1개폐부 또는 상기 제2개폐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두 가지 이상의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의 상기 노즐부는 하단은 상기 제1공급관과 연결되어 상기 분말 소화약제를 일방향으로만 이송되도록 제1체크밸브가 형성된 제1이송관과, 하단은 상기 제2공급관과 연결되어 상기 액상 소화약제를 일방향으로만 이송되도록 제2체크밸브가 형성된 제2이송관과, 상기 제1이송관 및 상기 제2이송관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분말 소화약제 또는 상기 액상 소화약제를 분사시키는 분사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두 가지 이상의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의 상기 작동체에 형성되며 회전 방향에 따라 압축되어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작동체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두 가지 이상의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에 의하면, 다양한 종류의 소화약제가 저장된 소화기 또는 소화장치에 탈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어 화재현장의 화재원인이나 화재진압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두 가지 이상의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에 의하면,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진 소화약제가 순차적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하고 재발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두 가지 이상의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에 의하면, 분말과 액상으로 된 소화약제를 순차적으로 분사할 때 배관 내부에 잔류하지 않도록 하여 배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소화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두 가지 이상의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두 가지 이상의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가 작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두 가지 이상의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두 가지 이상의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를 분해시켜 나타낸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두 가지 이상의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의 작동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두 가지 이상의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의 작동체가 결합되는 하우징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두 가지 이상의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의 배관이 폐쇄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두 가지 이상의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의 배관이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두 가지 이상의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종의 소화약제가 저장된 탱크와 연결되어 화재 발생 원인에 맞춰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두 가지 이상의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두 가지 이상의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두 가지 이상의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가 작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두 가지 이상의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두 가지 이상의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는 내부에 분말 소화약제를 공급받는 제1공급관(110)과 액상 소화약제를 공급받는 제2공급관(120)이 형성되는 하우징(100)과, 하우징(100) 내부에 형성되며 제1공급관(110)을 개폐시켜 분말 소화약제의 배출을 제어하는 제1개폐부(400)와, 하우징(100) 내부에 형성되며 제2공급관(120)을 개폐시켜 액상 소화약제의 배출을 제어하는 제2개폐부(500)와, 하우징(100)의 상부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제1공급관(110)과 제2공급관(120)과 연결되어 외부로 분말 소화약제 또는 액상 소화약제를 분사시키는 노즐부(200)와, 하우징(100)과 노즐부(200) 사이에 위치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제1개폐부(400) 또는 제2개폐부(500)를 하부로 가압하여 개방시키는 작동체(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우징(100)은 소화기 또는 소화장치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제1공급관(110)과 제2공급관(120)이 마련되어 있어 분말 소화약제와 액상 소화약제를 독립적으로 분리시켜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이때 하우징(100)의 하부면에는 제1공급관(110)과 제2공급관(120)이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노출된 부위에는 니플(nipple)이 장착되어 있어 호스를 통해 분말 소화약제와 액상 소화약제를 저장부(600)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저장부(600)는 분말 소화약제와 액상 소화약제를 저장하여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분말 소화약제가 가압되어 저장된 분말탱크(610), 액상 소화약제가 가압되어 저장된 액상탱크(620), 압축된 기체를 공급하기 위한 압력탱크(630)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압력탱크(630)는 분말탱크(610)와 액상탱크(620)에 연결되어 있어 분말탱크(610) 및 액상탱크(620) 내부에 부족한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보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분말탱크(610)에 저장되는 분말 소화약제의 종류는 탄산수소나트륨, 인산암모늄, 탄산수소칼륨, 요소탄산수소칼륨을 이용할 수 있으며, 액상탱크(620)에는 물, 강화액, 화학포, 공기포, 수성막포를 이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압력탱크(630)는 질소, 이산화탄소, 할로겐 화합물로 된 기체 소화약제를 활용할 수도 있다.
하우징(100)에 형성된 제1공급관(110)은 분말탱크(610)와 연결되어 가압된 분말 소화약제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되며, 제2공급관(120)은 액상탱크(620)와 연결되어 가압된 액상 소화약제를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제1개폐부(400)는 분말 소화약제가 공급되는 제1공급관(110)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1공급관(110)을 개폐시켜 분말 소화약제가 분사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며, 제1개폐부(400)는 제1공급관(110)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역 T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제1스템(410)과, 제1스템(410)의 하부에 형성되며 제1공급관(110) 내부에 제1스템(410)이 밀착되도록 하여 제1공급관(110)을 차단시키는 제1스프링(42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다.
제2개폐부(500)는 제2개폐부(500)는 액상 소화약제가 공급되는 제2공급관(120)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2공급관(120)을 개폐시켜 액상 소화약제가 분사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며, 제2개폐부(500)는 제2공급관(120)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역 T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제2스템(510)과, 제2스템(510)의 하부에 형성되며 제2공급관(120) 내부에 제2스템(510)이 밀착되도록 하여 제2공급관(120)을 차단시키는 제2스프링(52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다.
제1개폐부(400)와 제2개폐부(500)의 구조 및 동작원리는 서로 동일하므로 제1개폐부(40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며, 개폐부의 개수는 사용되는 소화약제의 종류에 따라 더 추가될 수도 있다.
제1스템(410)은 역 T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상단은 작동체(300)에 의해 가압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하단은 원판 형태로 넓게 형성되어 있어 제1공급관(110)을 개폐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1스템(410)의 하단은 제1공급관(110)의 중단에 T자 형태로 이루어진 제1공동(111)에 위치되어 있으며, 하부에 위치된 제1스프링(420)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가압되어 제1공동(111)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제1공급관(110)을 차단하게 된다.
즉, 제1공동(111)의 상부면이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제1공급관(110)으로 공급되는 가압된 분말 소화약제는 제1공동(111)까지만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제1스템(410)의 하단에 형성된 원판의 상부면에는 제1공동(111)의 상부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고무링이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무링에 의해 접촉면에 틈새가 메워져 분말 소화약제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스템(410)의 상단은 라운딩 처리되어 회전되는 작동체(300)가 제1스템(410)의 상단과 접촉될 때 라운딩된 부분을 따라 걸림없이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체(3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작동체(300)의 하부면에 형성된 돌출단(310)이 제1스템(410)의 상단을 하부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며, 제1스템(410)이 하강됨과 동시에 제1스프링(420)이 압축되게 된다.
이 경우 제1스템(410)의 하단이 제1공동(111)의 상부면으로부터 이격되기 때문에 가압된 분말 소화약제는 제1공동(111)의 개방된 상부면을 따라 상부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배출되는 분말 소화약제는 하우징(100)의 상부 방향에 위치된 노즐부(200)로 이송되어 배출될 수 있게 되며, 작동체(3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원위치로 복귀되는 경우 돌출단(310)이 더 이상 제1스템(410)을 가압하지 않게 되므로 제1스프링(420)의 탄성력에 의해 제1스템(410)이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1공동(111)의 상부면을 폐쇄시킬 수 있게 된다.
제2개폐부(500)는 가압된 액상 소화약제가 배출된다는 점만 상이할 뿐 제1개폐부(400)와 동일한 형태로 동작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노즐부(2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우징(100)과 결합되어 분말 소화약제와 액상 소화약제를 분사하기 위해 사용된다.
노즐부(200)는 하단은 제1공급관(110)과 연결되어 분말 소화약제를 일방향으로만 이송되도록 제1체크밸브(211)가 형성된 제1이송관(210)과, 하단은 제2공급관(120)과 연결되어 액상 소화약제를 일방향으로만 이송되도록 제2체크밸브(221)가 형성된 제2이송관(220)과, 제1이송관(210) 및 제2이송관(220)의 상단에 형성되며 분말 소화약제 또는 액상 소화약제를 분사시키는 분사관(2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다.
제1이송관(210)과 제2이송관(220)은 각각 제1공급관(110)과 제2공급관(120)과 연결되어 분말 소화약제와 액상 소화약제가 독립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하나의 유로로 형성되는 분사관(230)이 마련되어 있다.
즉, 제1이송관(210)과 제2이송관(220)으로부터 이송된 분말 소화약제 또는 액상소화약제는 하나의 분사관(230)을 통해 외부로 분사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분사관(230)에는 니플(nipple) 또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어 소방용 호스를 연결하여 분사 위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이송관(210), 제2이송관(220), 분사관(230)이 연결되는 부위는 역 Y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1이송관(210)과 제2이송관(220)의 상단에는 각각 분사관(230)을 향해서만 분말 소화약제 또는 액상소화약제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제1체크밸브(211)와 제2체크밸브(221)가 형성되게 된다.
제1체크밸브(211)와 제2체크밸브(221)는 분말 소화약제 또는 액상 소화약제가 분사관(230)으로 배출될 때 제1이송관(210) 또는 제2이송관(220)으로 역류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분사관(230)을 향해서만 분말 소화약제 또는 액상 소화약제가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배출 방향을 제어할 수 있고 역류로 인한 분사량 및 분사 압력 감소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노즐부(200)의 하부면은 중앙이 하부 방면으로 돌출되어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작동체(300)의 중앙을 관통하여 하우징(100)과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작동체(300)는 노즐부(200)의 하부에 돌출된 부위에 링 형태로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작동체(300)는 중앙에는 노즐부(200)의 하부면이 삽입될 수 있도록 링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부면에는 돌출단(310)이 형성되어 있어 회전 방향에 따라 제1개폐부(400) 또는 제2개폐부(500)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작동체(300)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회전되는 각도가 180도로 한정되어 있고 한 방향으로 완전히 회전되면 제1개폐부(400) 또는 제2개폐부(500)가 하강되는 높이가 최대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작동체(300)에 형성되며 회전 방향에 따라 압축되어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작동체(30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부재(3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리턴부재(320)는 작동체(300)를 원위치로 자동으로 복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태엽스프링 또는 토션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작동체(300)가 회전된 후 외력이 제거되면 리턴부재(320)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된 양만큼 원위치로 복원되게 된다.
작동체(300)를 원위치로 복귀할 때 사용자가 힘을 가하는 경우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분말 소화약제 또는 액상 소화약제가 임의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리턴부재(320)를 통해 자동으로 작동체(300)가 복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리턴부재(320)에 의해 작동체(300)가 중립위치에서 회전될 때 리턴부재(320)의 탄성력보다 높은 외력을 가해야 하므로 중립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100)과 작동체(300) 사이에는 압력탱크(630)를 통해 가압된 기체소화약제가 분사되도록 제어하는 스위칭기어(3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위칭기어(330)는 분말 소화약제 또는 액상 소화약제가 분사관(230)을 통해 분사된 후 압력탱크(630)에 저장된 기체를 고압으로 배출함으로써 분사관(230)에 잔류하는 분말 소화약제를 배출시키거나 액상 액상소화약제가 증발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 예로 작동체(300)를 시계 방향으로 180도까지 회전시키면 하부에 형성된 스위칭기어(330)가 결합되게 되며, 제1개폐부(400)가 개방되면서 분말탱크(610)에 저장된 분말 소화약제가 제1공급관(110), 제1이송관(210), 분사관(230)을 통해 외부로 분사되게 된다.
이후 분말탱크(610) 내부에 저장된 분말 소화약제가 모두 소진되면 압력탱크(630)에 저장된 고압의 기체 소화약제가 분말탱크(610)로 유입되면서 제1공급관(110), 제1이송관(210), 분사관(230)에 잔류된 분말 소화약제를 모두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되며, 압력탱크(630) 내부 압력이 저하되거나 작동체(300)가 원위치로 복귀되면 기체 공급이 차단되게 된다.
이때 압력탱크(630)에서 배출되는 기체는 산소를 포함하지 않는 질소, 이산화탄소, 할로겐 화합물을 가압하여 분사함으로써 잔류 분말 소화약제를 배출함과 동시에 화재진압도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작동체(300)가 반시계방향으로 180도 회전되는 경우 상기와 동일한 작동 구조 및 원리로 제2개폐부(500)가 개방되면서 액상 소화약제가 분사되게 되고, 분사가 완료된 후에는 스위칭기어(330)에 의해 압력탱크(630)에서 기체가 분사되어 제2공급관(120), 제2이송관(220), 분사관(230)에 잔존하는 액체 상태의 소화약제를 증발시켜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즉, 스위칭기어(330)를 통해 기체를 고압 분사함으로써 분말 소화약제와 액상 소화약제를 순차적으로 분사할 때 두 소화약제가 잔류하면서 혼합되어 유로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스위칭기어(330)를 통해 분말 소화약제 분사 후 액상 소화약제를 순차적으로 분사할 수 있으며, 반대로 액상 소화약제를 분사 후 분말 소화약제를 순차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스위칭기어(330)는 작동체(300)와 체결되면 작동체(300)가 회전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별도의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분말 소화약제 및 액상 소화약제가 순차적으로 분사되도록 자동 동작될 수도 있으며, 구동모터는 먼저 분사되는 소화약제가 저장된 탱크 내부가 압력이 감소되면 동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두 가지 이상의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를 분해시켜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두 가지 이상의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의 작동체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두 가지 이상의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의 작동체가 결합되는 하우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두 가지 이상의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의 작동체(300)는 링 형태로 구성되며 하부면에는 제1개폐부(400) 또는 제2개폐부(500)를 가압할 수 있도록 C자 형태로 이루어진 돌출단(310)을 더 포함하며, 돌출단(310)은 양 끝단에서부터 점진적으로 높이가 증가되어 제1개폐부(400) 또는 제2개폐부(500)가 점진적으로 개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우징(100)은 제1개폐부(400)와 제2개폐부(500)가 상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원형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1관통홀(140) 및 제2관통홀(150)과, 하우징(100)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C자 형태로 내측으로 파여져 작동체(300)의 회전반경을 제한하고 제1개폐부(400) 또는 제2개폐부(500)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홈(1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동체(300)의 하부에는 C자 형태로 돌출되는 돌출단(310)이 마련되어 있으며, 도 6과 같이 C자의 양 끝단에서부터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경사면을 가지고 있고 중단에는 평평한 형태로 구성되어 제1개폐부(400) 또는 제2개폐부(500)를 가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작동체(30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돌출단(310)에 의해 제1개폐부(400) 또는 제2개폐부(500)가 점진적으로 하강하게 되므로 개폐량을 제어할 수 있어 분사되는 분말 소화약제 또는 액상 소화약제의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돌출단(310)의 중단은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고 가장 높기 때문에 180도로 작동체(300)를 회전시키면 제1개폐부(400) 또는 제2개폐부(500)를 최대로 가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작동체(300)가 하우징(100)과 결합될 때 돌출단(310)이 하우징(100)의 상부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하우징(100)의 상부면에는 돌출단(310)이 수용될 수 있도록 C자 형태로 이루어진 가이드홈(130)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홈(130)을 통해 작동체(300)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각도가 제한될 수 있게 된다.
즉, 가이드홈(130)이 형성된 부분까지만 작동체(300)가 회전될 수 있기 때문에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반경이 제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100)의 상부 일측에는 내부에 형성된 제1개폐부(400)의 제1스템(410) 상단이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관통홀(140)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부 타측에는 내부에 형성된 제2개폐부(500)의 제2스템(510) 상단이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관통홀(150)이 형성되게 된다.
즉, 제1스템(410)과 제2스템(510)은 각각 제1관통홀(140)과 제2관통홀(150)을 통해 하우징(100)의 상부로 돌출된 상태가 되며 가이드홈(130)을 따라 회전되는 작동체(300)의 돌출단(31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압되어 제1공급관(110) 또는 제2공급관(120)을 개폐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1관통홀(140)과 제2관통홀(150)을 통해 분사 소화약제 및 액상 소화약제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스템(410)과 제2스템(510)의 상단 외주면에는 원형의 홈이 마련되어 있고, 홈에는 패킹링이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킹링을 통해 제1관통홀(140)과 제1스템(410) 사이의 틈새로 분말 소화약제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마찬가지로 제2관통홀(150)과 제2스템(510) 사이의 틈새로 액상 소화약제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두 가지 이상의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의 배관이 폐쇄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두 가지 이상의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의 배관이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두 가지 이상의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의 작동체(300)는 회전 방향에 따라 제1개폐부(400) 또는 제2개폐부(500)를 선택적으로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작동체(300)의 하부에 형성된 돌출단(310)은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있어 가압되는 제1개폐부(400) 또는 제2개폐부(500)가 점진적으로 하강하여 개폐량을 제어할 수 있게 되며, 화재 크기에 따라 분사량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소화기 및 소화장치 외에 소화전, 소방차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두 가지 이상의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에 의하면, 다양한 종류의 소화약제가 저장된 소화기 또는 소화장치에 탈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어 화재현장의 화재원인이나 화재진압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진 소화약제가 순차적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하고 재발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분말과 액상으로 된 소화약제를 순차적으로 분사할 때 배관 내부에 잔류하지 않도록 하여 배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하우징
110 : 제1공급관
111 : 제1공동
120 : 제2공급관
121 : 제2공동
130 : 가이드홈
140 : 제1관통홀
150 : 제2관통홀
200 : 노즐부
210 : 제1이송관
211 : 제1체크밸브
220 : 제2이송관
221 : 제2체크밸브
230 : 분사관
300 : 작동체
310 : 돌출단
320 : 리턴부재
330 : 스위칭기어
400 : 제1개폐부
410 : 제1스템
420 : 제1스프링
500 : 제2개폐부
510 : 제2스템
520 : 제2스프링
600 : 저장부
610 : 분말탱크
620 : 액상탱크
630 : 압력탱크

Claims (6)

  1. 내부에 분말 소화약제를 공급받는 제1공급관과 액상 소화약제를 공급받는 제2공급관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공급관을 개폐시켜 상기 분말 소화약제의 배출을 제어하는 제1개폐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공급관을 개폐시켜 상기 액상 소화약제의 배출을 제어하는 제2개폐부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제1공급관과 상기 제2공급관과 연결되어 외부로 상기 분말 소화약제 또는 상기 액상 소화약제를 분사시키는 노즐부와;
    상기 하우징과 상기 노즐부 사이에 위치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1개폐부 또는 상기 제2개폐부를 하부로 가압하여 개방시키는 작동체와;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어 상기 제1공급관과 상기 제2공급관에 소화약제를 공급하기 위한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는
    분말 소화약제가 가압되어 저장된 분말탱크와;
    액상 소화약제가 가압되어 저장된 액상탱크와;
    상기 분말탱크와 상기 액상탱크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분말탱크와 상기 액상탱크의 내부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기체 소화약제가 가압되어 저장된 압력탱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작동체 사이에는 상기 압력탱크를 통해 가압된 기체 소화약제가 분사되도록 제어하는 스위칭기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 기어는 분말 소화약제 또는 액상 소화약제가 분사된 후 상기 압력탱크에 저장된 기체 소화약제를 고압으로 배출함으로써 분사관에 잔류하는 분말 소화약제를 배출시키거나 액상 소화약제가 증발되도록 하여,
    상기 분말 소화약제와 상기 액상 소화약제가 순차적으로 분사될 때 상기 분사관에 잔류된 두 소화약제가 혼합되면서 유로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가지 이상의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폐부는
    상기 제1공급관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역 T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 제1스템과;
    상기 제1스템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공급관 내부에 상기 제1스템이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제1공급관을 차단시키는 제1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가지 이상의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체는
    링 형태로 구성되며 하부면에는 상기 제1개폐부 또는 상기 제2개폐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C자 형태로 이루어진 돌출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돌출단은 양 끝단에서부터 점진적으로 높이가 증가되어 상기 제1개폐부 또는 상기 제2개폐부가 점진적으로 개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가지 이상의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개폐부와 상기 제2개폐부가 상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원형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1관통홀; 및 제2관통홀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C자 형태로 내측으로 파여져 상기 작동체의 회전반경을 제한하고 상기 제1개폐부 또는 상기 제2개폐부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가지 이상의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하단은 상기 제1공급관과 연결되어 상기 분말 소화약제를 일방향으로만 이송되도록 제1체크밸브가 형성된 제1이송관과;
    하단은 상기 제2공급관과 연결되어 상기 액상 소화약제를 일방향으로만 이송되도록 제2체크밸브가 형성된 제2이송관과;
    상기 제1이송관 및 상기 제2이송관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분말 소화약제 또는 상기 액상 소화약제를 분사시키는 분사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가지 이상의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체에 형성되며 회전 방향에 따라 압축되어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작동체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가지 이상의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
KR1020210155347A 2021-11-12 2021-11-12 두 가지 이상의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 KR102648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347A KR102648656B1 (ko) 2021-11-12 2021-11-12 두 가지 이상의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5347A KR102648656B1 (ko) 2021-11-12 2021-11-12 두 가지 이상의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9376A KR20230069376A (ko) 2023-05-19
KR102648656B1 true KR102648656B1 (ko) 2024-03-20

Family

ID=86547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5347A KR102648656B1 (ko) 2021-11-12 2021-11-12 두 가지 이상의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865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9637B1 (ko) * 2017-06-05 2018-10-18 주식회사 탑이엔씨 복수의 이종소화제가 내장된 소화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241B1 (ko) 2006-07-25 2007-10-17 박형빈 휴대용 액체분무 소화기
KR101063008B1 (ko) * 2008-12-05 2011-09-20 주식회사성창산업 모터펌프 분리형 자동소화기
KR20170135285A (ko) * 2016-05-31 2017-12-08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체를 복수 개의 유로로 선택적으로 배분하는 유로 전환 밸브
KR102210005B1 (ko) * 2019-07-15 2021-01-29 박문식 음료제조용 텀블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9637B1 (ko) * 2017-06-05 2018-10-18 주식회사 탑이엔씨 복수의 이종소화제가 내장된 소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9376A (ko) 2023-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307095A1 (en) Rupture Disc Valve Device
KR102108735B1 (ko) 포 약제와 물 혼합분사 이동식 소화장치
KR101397922B1 (ko) 화재감지튜브 장착형 자동소화장치
CA2397548C (en) Fluid nozzle spray and fire extinguisher
KR102648656B1 (ko) 두 가지 이상의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
KR100929149B1 (ko) 합성수지백을 구비한 소화기
KR102194180B1 (ko) 가스 어댑터가 구비되는 소화기
JP7476353B2 (ja) 圧縮空気泡消火システム用の空気混合器及び消火システム
KR100767241B1 (ko) 휴대용 액체분무 소화기
KR101701303B1 (ko) 헬리데크 폼 시스템 및 제공방법 그리고 이를 구비한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KR200378249Y1 (ko) 캐비넷형 소화기
KR100233296B1 (ko) 휴대용 소화기
KR100914361B1 (ko) 교육용 소화장치
KR20210108841A (ko) 작업용 조끼에 내장된 소화수단의 가압개폐밸브
KR102020528B1 (ko) 소방용 준비 작동식 밸브
KR200258493Y1 (ko) 소방교육용 소화기
KR20230122951A (ko) 소화기
KR102192498B1 (ko) 연결 유로 개폐 기능을 갖는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
JP2009082309A (ja) 液化炭酸ガス導出装置及び消火装置
KR200292837Y1 (ko) 소화장치용 밸브
JP3727880B2 (ja) 二流体噴霧装置
KR20020036468A (ko) 산불용 소화기
RU2213600C1 (ru) Запорно-пуск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JP2002291925A (ja) 泡消火設備
JPH053971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