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2951A - 소화기 - Google Patents

소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2951A
KR20230122951A KR1020220019823A KR20220019823A KR20230122951A KR 20230122951 A KR20230122951 A KR 20230122951A KR 1020220019823 A KR1020220019823 A KR 1020220019823A KR 20220019823 A KR20220019823 A KR 20220019823A KR 20230122951 A KR20230122951 A KR 20230122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er
fire
main body
extinguishing agent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9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우
Original Assignee
조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우 filed Critical 조정우
Priority to KR1020220019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2951A/ko
Publication of KR20230122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29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62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a single permanently pressurise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화기 본체에 결합된 분사 헤드의 내부에 노즐부가 구비되도록 한 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화제를 수용하는 소화기 본체; 및 상기 소화기 본체의 상부에 나사식으로 결합된 것으로, 후방에 작동레버가 안전핀에 의하여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작동레버와 대응되는 전방에 노즐부가 구비된 분사 헤드)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조와 조립 공정수를 줄여 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도록 하고, 보관, 운반 및 사용 과정에서 변형, 파손을 방지하여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소화기{FIRE EXTINGUISHER}
본 발명은 소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화기 본체에 결합된 분사 헤드의 내부에 노즐부가 구비되도록 한 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발생시 누구라도 손쉽게 이를 진압하여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와 재산손해가 미연에 방지되도록 공공장소 및 건물등에 소화기가 구비되어 있고, 화재진압시 사용자가 소화기를 파지할 수 있도록 일정 크기를 갖으며, 내부에 기밀된 상태로 소화액이 충전된 소화기통과, 소화기통의 상부에 소화액의 분사가 제어되는 레버부재와, 레버부재에 의한 제어로 소화액이 분사되는 분사호스로 구비되어 있다.
소화기는 화재가 발생될 우려가 있는 장소에 영구자석과 코일로 이루어진 열감지장치가 설치됨으로써 화재지점에 액체, 거품, 가스, 분말등이 포함된 소화약제가 배출되어 화재가 자동으로 진압되는 자동소화기와, 직접 화재현장에서 사용자가 화재지점에 분말을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수동소화기목적와 같이 소화기의 목적과 사용방법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수동소화기는 소화액제가 약제용기에 축압된 상태를 육안으로 파악하도록 가스축압게이지가 설치되고 손잡이를 누를 시만 소화약제가 분사되는 축압식소화기와, 별도의 가압가스에 의해 소화약제가 가압되어 안전핀이 제거되면 모두 분사되도록 이루어진 가압식소화기와 같이 충전방식에 따라 수동소화기가 다시 분류되며, 가압식소화기는 점차 축압식소화기로 대체되고 있다.
자동소화기는, 전기적 장치로 구성되어 정밀하게 제작됨에 따라 제조단가가 높고, 구조가 복잡하여 취급이 어려우며, 화재현장에서 직접적으로 유연하게 대처하기가 어려우므로 자동소화기와 더불어 수동소화기도 구비되는 것이 필요하다.
수동소화기는 화재현장에서 신속하게 화재지점에 소화약제가 분사될 수 있도록 신속한 레버의 응답성과 내구성을 갖는 것이 중요하지만 기존의 소화기는 레버와 수직운동장치에 녹이 생겨 급박한 화재진압 현장에서 작동불량이 야기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레버부재에 분사호스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연결되어 있음으로써, 제조와 조립, 운반과 설치 및 사용 과정에서 노출된 부분이 외부로부터의 충격 기타의 원인으로 인하여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로 인해 이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87794호(2018.10.30.)
본 발명은 제조와 조립 공정수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보관, 운반 과정에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하는 소화기 본체에 결합된 분사 헤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소화제를 수용하는 소화기 본체(100); 및 상기 소화기 본체(100)의 상부에 나사식으로 결합된 것으로, 후방에 작동레버(210)가 안전핀(220)에 의하여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작동레버(210)와 대응되는 전방에 노즐부(230)가 구비된 분사 헤드(200)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화기 본체(100)는 원통형태를 갖는 메인 본체(110)와; 상기 메인 본체(110)의 상부에 구비된 것으로,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가운데 분사 헤드(200)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121)가 구비된 헤드 결합부(120); 및 상기 메인 본체(110)의 하부에 구비된 것으로, 개방된 하부 내측에 외주연부가 삽입되어 시밍으로 결합되게 구비된 본체 마개(130)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 마개(130)는 하부에서 상부 중앙을 향하여 볼록한 반구형태를 갖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사 헤드(200)는 소화기 본체(100)에 수용된 소화제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소화제 인출 유로(210)가 구비된 헤드 몸체(202)와; 상기 헤드 몸체(202)의 하부에 헤드 결합부(120)의 암나사부(121)에 나사결합되도록 구비된 숫나사부(203); 및 상기 소화제 인출 유로(201)에 연통되도록 구비된 연통 유로(204)의 단부에 결합된 압력 게이지(205)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즐부(230)는 오리피스(231)의 단부에 직경이 동일한 원통 배출구(232)가 연결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노즐부(230)는 오리피스(231)의 단부에 전방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테이퍼 배출구(233)가 연결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화기 본체에 결합되는 분사 헤드에 소화제가 분사되는 노즐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일체로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제조와 조립 공정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보관, 운반 및 사용 과정에서 소화제가 분사되는 부분이 변형,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수명이 연장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에 있어 분사 헤드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에 있더 분사 헤드부의 다른 실시예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에 있어 분사 헤드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는 제조와 조립 공정수를 줄여 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외관이 미려해질 수 있도록 하고, 보관, 운반 및 사용 과정에서 변형, 파손을 방지하여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기 본체(100) 및 분사 헤드(200)가 포함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에서, 상기 소화기 본체(100)는 소화제가 수용되도록 하는 것으로, 기존의 용접 형태와 다른 소화기 본체(100)가 하나의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있다. 즉, 기존의 소화기 본체는 상부와 하부가 분리된 형태에서 각각 서로 맞대어져 용접 이음으로 결합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프레스를 이용하여 상부는 병처럼 오목하며 하부는 원통형태를 갖도록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기 소화기 본체(100)는 원통형태를 갖는 메인 본체(110) 및 상기 메인 본체(110)의 상부에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가운데 분사 헤드(200)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121)를 갖는 헤드 결합부(120)가 일체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메인 본체(110)의 하부에는 개방된 하부 내측에 본체 마개(130)의 외주연부가 삽입, 결합될 수 있데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본체 마개(130)는 통조림, 부탄 가스 등에 사용되어지는 시밍 이음으로 결합되도록 하여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 마개(130)는 하부에서 상부 중앙을 향하여 볼록한 반구형태를 갖도록 함으로써, 높은 압력에 충분하게 저항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고, 하부가 평평한 형태를 가짐에 따라 별도의 보조 받침대를 이용하지 않고 바로 바닥에 놓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분사 헤드(200)는 후방에 작동레버(210)가 안전핀(220)에 의하여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작동레버(210)와 대응되는 전방에 노즐부(230)가 구비되어 상기 소화기 본체(100)의 상부에 나사식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분사 헤드(200)는 헤드 몸체(202), 숫나사부(203) 및 압력 게이지(205)가 포함되도록 구비된 것으로, 상기 헤드 몸체(202)는 소화기 본체(100)에 수용된 소화제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소화제 인출 유로(21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숫나사부(203)는 헤드 몸체(202)의 하부에 헤드 결합부(120)의 암나사부(121)에 나사결합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압력 게이지(205)는 소화제 인출 유로(201)에 연통되도록 구비된 연통 유로(204)의 단부에 결합되어 내부에 압력을 확인하여 사용 여부를 용이하게 일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노즐부(230)는 오리피스(231)의 단부에 직경이 동일한 원통 배출구(232)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소화기 본체(100)의 소화제가 전방을 향하여 먼거리 까지 분사될 수 있게 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에 있더 분사 헤드부의 다른 실시예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노즐부(230)가 오리피스(231)의 단부에 직경이 동일한 원통 배출구(232)로 구비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부(230)가 오리피스(231)의 단부에 전방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테이퍼 배출구(233)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전방을 향하여 소화기 본체(100)의 소화제가 넓게 분사되어 신속하게 화재가 진압될 수 있게 된다.
이 건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이 건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이 건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소화기 본체 110:메인 본체
120:헤드 결합부 121:암나사부
130:본체 마개 200:분사 헤드
201:소화제 인출 유로 202:헤드 몸체
203:숫나사부 204:연통 유로
205:압력 게이지 210:작동레버
220:안전핀 230:노즐부

Claims (6)

  1. 소화제를 수용하는 소화기 본체(100); 및
    상기 소화기 본체(100)의 상부에 나사식으로 결합된 것으로, 후방에 작동레버(210)가 안전핀(220)에 의하여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작동레버(210)와 대응되는 전방에 노즐부(230)가 구비된 분사 헤드(200)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기 본체(100)는
    원통형태를 갖는 메인 본체(110)와;
    상기 메인 본체(110)의 상부에 구비된 것으로,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가운데 분사 헤드(200)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121)가 구비된 헤드 결합부(120); 및
    상기 메인 본체(110)의 하부에 구비된 것으로, 개방된 하부 내측에 외주연부가 삽입되어 시밍으로 결합되게 구비된 본체 마개(130)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마개(130)는 하부에서 상부 중앙을 향하여 볼록한 반구형태를 갖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헤드(200)는
    소화기 본체(100)에 수용된 소화제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소화제 인출 유로(210)가 구비된 헤드 몸체(202)와;
    상기 헤드 몸체(202)의 하부에 헤드 결합부(120)의 암나사부(121)에 나사결합되도록 구비된 숫나사부(203); 및
    상기 소화제 인출 유로(201)에 연통되도록 구비된 연통 유로(204)의 단부에 결합된 압력 게이지(205)가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230)는 오리피스(231)의 단부에 직경이 동일한 원통 배출구(232)가 연결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230)는 오리피스(231)의 단부에 전방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테이퍼 배출구(233)가 연결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KR1020220019823A 2022-02-15 2022-02-15 소화기 KR202301229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9823A KR20230122951A (ko) 2022-02-15 2022-02-15 소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9823A KR20230122951A (ko) 2022-02-15 2022-02-15 소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2951A true KR20230122951A (ko) 2023-08-22

Family

ID=87799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9823A KR20230122951A (ko) 2022-02-15 2022-02-15 소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295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794Y1 (ko) 2017-12-05 2018-11-06 주식회사 하이텍 수동소화기 작동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794Y1 (ko) 2017-12-05 2018-11-06 주식회사 하이텍 수동소화기 작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0874B1 (ko)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
KR101161952B1 (ko) 주방 화재진압용 자동 및 수동식 소화장치
KR101397922B1 (ko) 화재감지튜브 장착형 자동소화장치
KR100937601B1 (ko) 호스형 소화기
CN106975188B (zh) 一种具有水切割功能的消防水枪
KR101175309B1 (ko) 밸브조절식 소화기
CN215427070U (zh) 一种分体储存式液体灭火器
KR20230122951A (ko) 소화기
KR102194180B1 (ko) 가스 어댑터가 구비되는 소화기
KR200344303Y1 (ko) 소화기용 분사노즐
CN103845833A (zh) 一种双流体喷射细水雾灭火枪
CN212016510U (zh) 一种气体灭火装置
KR100767241B1 (ko) 휴대용 액체분무 소화기
KR200491282Y1 (ko) 소방훈련용 물 소화기
KR100233296B1 (ko) 휴대용 소화기
KR20210108841A (ko) 작업용 조끼에 내장된 소화수단의 가압개폐밸브
KR102648656B1 (ko) 두 가지 이상의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
KR20090069605A (ko) 교육용 소화장치
CN202132553U (zh) 一种自行泄压的灭火器阀门
KR20050016813A (ko) 교재용 만능소화기
KR200258493Y1 (ko) 소방교육용 소화기
KR102629473B1 (ko) 수동 겸용 자동소화기
KR102277194B1 (ko) 가스안전밸브
KR20020036468A (ko) 산불용 소화기
CN209622175U (zh) 一种水基型防腐式灭火器喷阀总成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