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282Y1 - 소방훈련용 물 소화기 - Google Patents

소방훈련용 물 소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282Y1
KR200491282Y1 KR2020190001857U KR20190001857U KR200491282Y1 KR 200491282 Y1 KR200491282 Y1 KR 200491282Y1 KR 2020190001857 U KR2020190001857 U KR 2020190001857U KR 20190001857 U KR20190001857 U KR 20190001857U KR 200491282 Y1 KR200491282 Y1 KR 2004912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water
air
supply port
suppl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8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희석
Original Assignee
나라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라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라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900018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2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2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2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81Training methods or equipment for fire-fight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방훈련용 물 소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별도의 확인수단이 용기에 구비되지 않아도 내부에 수용된 물과 공기의 양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어 단시간 내에 용기 내의 물과 공기가 적정 비율을 이루면서 충전이 가능하여 편의성이 증대되도록 내부에 물과 공기가 수용되는 용기; 및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와, 관 형태를 이루며 용기의 길이방향을 따라 용기의 내측에 구비되는 인출관과, 일단에 물이 분사되는 노즐이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의 조작에 따라 타단이 인출관과 연통될 수 있는 호스를 포함하며 용기의 상단에 결합되는 헤드;를 포함하되, 상기 용기는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이루는 지점에 물과 공기를 내부로 투입할 수 있는 공급구가 구비되어, 물이 공급구가 구비된 높이까지 용기 내에 수용되고, 공기가 용기 내 나머지 공간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방훈련용 물 소화기{water extinguisher for fire drill}
본 발명은 소방훈련용 물 소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부에 수용된 물과 공기의 양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으면서 단시간 내 물과 공기의 충전이 가능하여 편의성이 증대된 소방훈련용 물 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화기는 화재의 초기 단계에서 소화 약제가 갖는 냉각 또는 공기차단 등의 효과를 이용하여 불을 끄는 운반이 가능한 기구로써, 사용되는 소화 약제와 메커니즘에 따라 여러 종류로 분류되고 있다.
현재 실용화되어 사용되고 있는 소화기의 종류로는 주로 탄산수소나트륨, 카세인, 젤라틴, 사포닌, 소다회 및 황산알루미늄이 사용되는 포말 소화기, 탄산수소나트륨 분말이 사용되는 분말 소화기, 주로 할론 1211이 사용되는 할론 소화기, 이산화탄소가 사용되는 이산화탄소 소화기 등이 널리 알려져 있다.
한편, 실제 화재 발생시에 적절한 대응을 하기 위하여 소방 방재 교육이 수시로 실시되고 있으며, 이 가운데 소화기의 사용법에 대한 사전 숙지 교육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소방훈련용 소화기는 일반 소화기와 달리 피교육자들이 반복적으로 사용해야 하므로 구조가 상이하며, 반복적인 사용에 의한 소화 약제의 낭비를 막기 위해 값이 비싼 소화 분말 대용으로 다른 소화 약제의 사용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소화 약제로 물과 공기를 강제 주입한 소화기인 소방훈련용 물 소화기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소방훈련용 물 소화기는 보통 물과 공기가 수용되는 용기는 불투명하게 형성되는바, 물과 공기가 얼마나 수용되는지 확인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소방훈련용 물 소화기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4072호(이하, '인용발명'이라 함)에 게시되어 있다.
인용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에 확인창(13)을 형성하여 용기(10) 내 수용되는 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기는 하나, 용기 내 수용되는 공기의 양이 어느 정도인지 파악하기 어려워, 물과 공기가 용기 내에서 적정 비율을 이루도록 하기 위해서는 투입되는 공기의 양을 별도로 측정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별도의 확인수단이 용기에 구비되지 않아도 내부에 수용된 물과 공기의 양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어 단시간 내에 용기 내의 물과 공기가 적정 비율을 이루면서 충전이 가능하여 편의성이 증대되는 소방훈련용 물 소화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인 소방훈련용 물 소화기는 내부에 물과 공기가 수용되는 용기; 및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와, 관 형태를 이루며 용기의 길이방향을 따라 용기의 내측에 구비되는 인출관과, 일단에 물이 분사되는 노즐이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의 조작에 따라 타단이 인출관과 연통될 수 있는 호스를 포함하며 용기의 상단에 결합되는 헤드;를 포함하되, 상기 용기는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이루는 지점에 물과 공기를 내부로 투입할 수 있는 공급구가 구비되어, 물이 공급구가 구비된 높이까지 용기 내에 수용되고, 공기가 용기 내 나머지 공간에 수용된다.
또한, 상기 공급구가 용기에 구비되는 높이는 용기 내 수용되어야 하는 물과 공기의 양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구는 용기의 외벽에 고정되고 외부에서 용기 내부를 향해 제1 공급홀이 관통형성된 물공급구와, 상기 제1 공급홀에 나사결합되며 내측에 제1 공급홀과 동일한 방향으로 제2 공급홀이 관통형성된 조인트와, 상기 제2 공급홀에 나사결합되며 내측에 제2 공급홀과 동일한 방향으로 제3 공급홀이 관통형성된 공기공급구와, 상기 용기의 내측에 위치하며 제1 공급홀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용기 내로의 유체 흐름을 차단하지 않으면서 용기 밖으로의 유체 흐름을 차단하는 반차단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은 호스와 연결된 일단으로부터 외부를 향할수록 내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출관은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태를 이루는 경로형성구가 구비되어, 용기 내 수용된 물이 끊김없이 노즐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물이 공급구가 구비된 높이까지 용기 내에 수용되고, 공기가 용기 내 나머지 공간에 수용되므로 별도의 확인수단이 용기에 구비되지 않아도 내부에 수용된 물과 공기의 양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어, 단시간 내에 용기 내의 물과 공기가 적정 비율을 이루면서 충전이 가능하므로 편의성이 증대된다.
따라서, 반복적으로 물과 공기를 공급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소방훈련용 물 소화기를 통한 훈련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소방훈련용 물 소화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소방훈련용 물 소화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소방훈련용 물 소화기에 적용되는 공급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소방훈련용 물 소화기에 적용되는 공급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종단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소방훈련용 물 소화기에 적용되는 공급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소방훈련용 물 소화기에 적용되는 노즐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본 고안에서는 별도의 확인수단이 용기에 구비되지 않아도 내부에 수용된 물과 공기의 양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어 단시간 내에 용기 내의 물과 공기가 적정 비율을 이루면서 충전이 가능하여 편의성이 증대되도록 내부에 물과 공기가 수용되는 용기; 및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와, 관 형태를 이루며 용기의 길이방향을 따라 용기의 내측에 구비되는 인출관과, 일단에 물이 분사되는 노즐이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의 조작에 따라 타단이 인출관과 연통될 수 있는 호스를 포함하며 용기의 상단에 결합되는 헤드;를 포함하되, 상기 용기는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이루는 지점에 물과 공기를 내부로 투입할 수 있는 공급구가 구비되어, 물이 공급구가 구비된 높이까지 용기 내에 수용되고, 공기가 용기 내 나머지 공간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훈련용 물 소화기를 제안한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인 소방훈련용 물 소화기는 첨부된 도 2 내지 도 7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인 소방훈련용 물 소화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0), 헤드(200)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200)에는 손잡이(210), 인출관(220), 호스(230)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100)는 내부가 빈 통형으로 형성되며, 일반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용기(100)의 내부에 수용되는 공기는 압력을 가하여 부피를 축소시켜 고압으로 한 공기, 일명 압축공기 형태를 이루므로, 상기 용기(100)는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강철과 같은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의 공기는 압축공기를 의미함을 전제로 한다.
상기 헤드(200)는 용기(100)의 상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용기(100) 내에 수용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210)가 상단에 구비되고, 내부가 빈 관 형태를 이루며 헤드(200)가 용기(100)에 결합될 시 용기(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용기(100)의 내측에 위치하는 인출관(200)이 하단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100)와 인출관(200) 사이에는 일측 방향으로 물이 외부로 내보내지도록 경로를 제공하는 호스(230)가 구비되며, 상기 호스(230)는 일단에 물이 분사되는 노즐(231)이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100)와 인출관(200) 사이의 지점에 연결된 타단은 손잡이(210)의 조작에 따라 인출관(220)과 연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헤드(200)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개폐밸브가 구비되어, 손잡이(210)를 사용자가 악력을 이용하여 움켜잡으면 차단되어 있던 개폐밸브가 열리며 인출관(220)의 상부에 형성된 토출공을 통해 공기가 빠져나가고, 인출관(200) 내 압력을 순간적으로 낮게 만들어 용기(100)에 수용된 물을 빨아올려 호스(230)와 노즐(231)을 거쳐 외부로 물이 분사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구동되는 소방훈련용 물 소화기는 반복적인 훈련을 위하여 용기(100) 내에 물과 공기가 적정비율로 수용되어야 하는데, 본 고안에서는 이를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0)에서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이루는 지점에 물과 공기를 내부로 투입할 수 있는 공급구(300)가 구비된다.
내부가 빈 용기(100)에 상기 공급구(300)를 통해 물을 투입하면, 물이 공급구(300)가 구비된 높이까지 용기(100) 내에 수용되며, 이후 컴프레셔 등을 이용하여 공기를 용기(100)에 투입하면 공기는 용기(100) 내에서 물이 수용된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에 수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용기(100) 외벽에 물이 얼마나 수용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확인창 등과 같은 별도의 확인수단이 용기(100)에 구비되지 않아도 물이 용기(100) 내에 채워질 수 있는 최대 높이까지 채우는 것만으로 용기(100) 내 물의 양을 손쉽게 알 수 있으며, 용기(100) 내 공기가 채워지는 최대 양은 그 나머지 공간인바, 용기(100) 내 공기의 양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단시간 내에 용기(100) 내의 물과 공기가 적정 비율을 이루면서 충전이 가능하므로 편의성이 증대되는바, 반복적으로 물과 공기를 공급하여 소방훈련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구(300)가 용기(100)에 구비되는 소정의 높이는 용기(100) 내 수용되어야 하는 물과 공기의 양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용기(100)가 길이방향을 따라 내경이 동일하고 용기(100)의 길이가 50cm 이며 용기(100)의 내부공간을 100% 라 하였을 때, 물이 70%, 공기가 30%를 차지하여야 한다면, 공급구(300)가 구비되는 높이는 용기(100)의 바닥면으로부터 35cm 지점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제시한 일 예에 따른 물과 공기의 비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소화기의 크기, 용도 등을 고려하여 달라질 수 있다.
상기 공급구(300)는 물과 공기를 투입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구(310), 조인트(320), 공기공급구(330), 반차단막(340), 오링(3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물공급구(310)는 외부에서 용기(100)의 내부를 향해 관통된 제1 공급홀(311)이 형성된 관 형태를 이루며, 외측이 용기(100)의 외벽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물공급구(310)는 일부가 용기(100)의 내부에 인입될 수 있는데, 상기 물공급구(310)에서 용기(100) 내에 위치한 단부에는 제1 공급홀(311)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 반차단막(3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반차단막(340)은 용기(100)의 내측에 위치하면서, 용기(100) 내로의 물, 공기와 같은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지 않으면서, 용기(100) 밖으로의 유체 흐름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공급구(300)를 통해 물과 공기가 용기(100) 내에 수용되면 반차단막(340)에 의해 외부로 누출되지 않아 지속적인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차단막(340)은 물공급구(310)와 함께 용기(100)의 외벽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공급구(300)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조인트(320)는 물공급구(310)에 형성된 제1 공급홀(311)과 나사결합되도록 형성되며, 내측에 제1 공급홀(311)이 형성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제2 공급홀(321)이 관통형성된다. 이러한 조인트(320)는 물공급구(310)와 공기공급구(33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바, 상기 공기공급구(330)는 제2 공급홀(321)에 나사결합되도록 형성되며, 내측에 제2 공급홀(321)이 형성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제3 공급홀(331)이 관통형성된다.
이러한 공급구(300)를 통해 물을 용기(100) 내로 투입하고자 할 시, 상기 공급구(300)에서 공기공급구(300)가 결합된 조인트(320)를 물공급구(310)로부터 분리시킨 후 물을 공급할 수 있는 물공급호스를 물공급구(310)에 연결할 수 있으며, 물을 공급구(300)가 구비된 높이까지 수용시킨 다음에는 분리되었던 조인트(320)를 물공급구(310)에 결합시키고 공기공급구(300)에 컴프레셔를 연결하여 공기를 용기(100) 내로 투입시킬 수 있다. 이처럼 공급구(300)를 통한 물과 공기의 공급을 손쉽게 하기 위하여 공급구(300)를 구성하는 물공급구(310), 조인트(320), 공기공급구(330)는 나사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인트(32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구(310)의 외측 단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물공급구(310)의 외측 단부와 이를 덮는 조인트(320) 사이에는 오링(350)을 구비하여, 공급공급구(330)를 통해 용기(100) 내로 공기를 투입시, 물공급구(310)와 조인트(320)의 결합부분으로 공기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인 소방훈련용 물 소화기에서의 노즐(231)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230)와 연결된 일단으로부터 외부를 향할수록 내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일 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사선 형태를 이루면서 노즐(231)의 내경이 좁아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계단 형태를 이루면서 노즐(231)의 내경이 좁아질 수도 있다. 특히,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적으로 내경이 좁아지도록 할 경우, 배출되는 물의 압력을 보다 높여주면서 적정 수준의 작동시간을 유지할 수 있다. 일 예로, 노즐(231)을 통한 물의 분출거리가 3~4m를 이루도록 하면서 분출시간이 12~15초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지속적인 물의 분사를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관(220)에 경로형성구(22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경로형성구(221)는 나선 형태를 이루며 인출관(220)의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용기(100) 내 수용되었던 물을 인출관(220)을 따라 올라가며 와류를 형성하면서 호스(230)로 원활히 공급되는바, 물을 분사하는 과정에서 물의 끊김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0 : 용기 200 : 헤드
210 : 손잡이 220 : 인출관
221 : 경로형성구 230 : 호스
231 : 노즐 300 : 공급구
310 : 물공급구 311 : 제1 공급홀
320 : 조인트 321 : 제2 공급홀
330 : 공기공급구 331 : 제3 공급홀
340 : 반차단막

Claims (1)

  1. 내부에 물과 공기가 수용되는 용기(100); 및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210)와, 관 형태를 이루며 용기(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용기(100)의 내측에 구비되는 인출관(220)과, 일단에 물이 분사되는 노즐(231)이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210)의 조작에 따라 타단이 인출관(220)과 연통될 수 있는 호스(230)를 포함하며 용기(100)의 상단에 결합되는 헤드(200);를 포함하되,
    상기 용기(100)는 바닥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이루는 지점에 물과 공기를 내부로 투입할 수 있는 공급구(300)가 구비되어, 물이 공급구(300)가 구비된 높이까지 용기(100) 내에 수용되고, 공기가 용기(100) 내 나머지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공급구(300)는,
    용기(100)의 외벽에 고정되고 외부에서 용기(100) 내부를 향해 제1 공급홀(311)이 관통형성된 물공급구(310),
    상기 제1 공급홀(311)에 나사결합되며 내측에 제1 공급홀(311)과 동일한 방향으로 제2 공급홀(321)이 관통형성된 조인트(320),
    상기 제2 공급홀(321)에 나사결합되며 내측에 제2 공급홀(321)과 동일한 방향으로 제3 공급홀(331)이 관통형성된 공기공급구(330),
    상기 용기(100)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물공급구(310)와 함께 용기(100)의 외벽에 고정되고, 제1 공급홀(311)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용기(100) 내로의 유체 흐름을 차단하지 않으면서 용기(100) 밖으로의 유체 흐름을 차단하는 반차단막(340) 및
    상기 물공급구(310)의 외측 단부와 상기 조인트(320)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물공급구(310)와 상기 조인트(320)를 밀착 결합시키는 오링(350)을 포함하고,
    상기 노즐(231)은 호스(230)와 연결된 일단으로부터 외부를 향할수록 내경이 계단식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인출관(220)은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태를 이루는 경로형성구(221)가 구비되어, 용기(100) 내 수용된 물이 끊김없이 노즐(231)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훈련용 물 소화기.
KR2020190001857U 2019-05-07 2019-05-07 소방훈련용 물 소화기 KR2004912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857U KR200491282Y1 (ko) 2019-05-07 2019-05-07 소방훈련용 물 소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857U KR200491282Y1 (ko) 2019-05-07 2019-05-07 소방훈련용 물 소화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660 Division 2018-12-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282Y1 true KR200491282Y1 (ko) 2020-05-15

Family

ID=70615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857U KR200491282Y1 (ko) 2019-05-07 2019-05-07 소방훈련용 물 소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28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9095B1 (ko) 2021-04-06 2021-10-06 나라기업 주식회사 소방훈련용 물 소화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4853U (ja) * 1993-12-10 1995-06-27 春蔵 柿本 消火器訓練装置
KR100406700B1 (ko) * 2000-12-28 2003-11-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소화기
KR200349218Y1 (ko) * 2004-02-13 2004-05-03 최완형 소방교육용 소화기의 헤드
JP2014195646A (ja) * 2013-03-05 2014-10-16 ニッショウ機器株式会社 消火用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4853U (ja) * 1993-12-10 1995-06-27 春蔵 柿本 消火器訓練装置
KR100406700B1 (ko) * 2000-12-28 2003-11-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소화기
KR200349218Y1 (ko) * 2004-02-13 2004-05-03 최완형 소방교육용 소화기의 헤드
JP2014195646A (ja) * 2013-03-05 2014-10-16 ニッショウ機器株式会社 消火用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9095B1 (ko) 2021-04-06 2021-10-06 나라기업 주식회사 소방훈련용 물 소화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0874B1 (ko) 소화 약제를 이용한 소공간 자동소화장치
US8261844B2 (en) Fire extinguisher
KR101571003B1 (ko) 압축공기포 소화장치
KR200491282Y1 (ko) 소방훈련용 물 소화기
CN206152141U (zh) 灭火器
JP2018000948A (ja) 泡生成部、圧縮気体泡消火器及び圧縮気体泡消火システム
PL1961458T3 (pl) Gaśnica i jej zastosowanie
US9650201B2 (en) Dispensing adaptor for one-component polyurethane foam
KR101357790B1 (ko) 펌프 내장형 교육용 소화기
CA2663061C (en) Liquid wet chemical fire extinguishing spray
KR200344303Y1 (ko) 소화기용 분사노즐
CN110393878B (zh) 一种消防用灭火器
CN212593621U (zh) 一种火焰视觉测距智能灭火器
KR200485994Y1 (ko) 이동식 포발생시스템
KR102205276B1 (ko) 2차 발포가 가능한 소화기구
KR102384070B1 (ko) 유체 진동 분사를 이용한 소화기
KR100914361B1 (ko) 교육용 소화장치
KR200421466Y1 (ko) 유조탱크의 소화용 소화 챔버 구조
JP6144601B2 (ja) 一液型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圧力容器用ディスペンシングアダプター
KR102192499B1 (ko) 화재 진압 장비용 실린더 헤드
KR101472159B1 (ko) 교육용 소화장치
KR200258493Y1 (ko) 소방교육용 소화기
KR102309095B1 (ko) 소방훈련용 물 소화기
JP2006110167A (ja) パッケージ型消火装置
JPH11276614A (ja) 消火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