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1428B1 - 영상 및 광학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 자동소화장치 및 자동소화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상 및 광학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 자동소화장치 및 자동소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1428B1
KR101841428B1 KR1020170090157A KR20170090157A KR101841428B1 KR 101841428 B1 KR101841428 B1 KR 101841428B1 KR 1020170090157 A KR1020170090157 A KR 1020170090157A KR 20170090157 A KR20170090157 A KR 20170090157A KR 101841428 B1 KR101841428 B1 KR 101841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ire
turnover
fire extinguishing
suppor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0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수환
Original Assignee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filed Critical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Priority to KR1020170090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14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1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1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03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adjustable, e.g. from spray to jet or vice versa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발화지점에 자동으로 물 또는 소화액을 분사하여 소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6)을 구비하고 하우징(6) 내부에는 물 또는 소화액이 공급되는 소방관로(P)의 단부에 연결고정되는 유입관(10)을 상하로 연장되게 구성하고, 유입관(10)의 하단부에는 지지프레임(40)을 매개로 제1 턴오버관(20-1)과 제2 턴오버관(20-2)을 순차적으로 연결되게 구성하며, 제2 턴오버관(20-2)에는 분사구(27)가 결합된 유출관(26)을 결합구성하여 물 또는 소화액이 유입관(10)으로 유입되어 유출관(26)까지 원활하게 이동되고 분사구(27)를 통하여 분출되게 구성하되,
상기 유입관(10)에는 제1 피동기어(12)를 고정결합하고 제1 피동기어(12)에는 제1 구동모터(M1)에 의해 회전되는 제1 구동기어(14)를 서로 맞물리게 결합하되 제1 구동모터(M1)는 지지프레임(40)에 고정되게 구성하여, 제1 구동모터(M1)의 회전에 의하여 제1 구동기어(14)가 제1 피동기어(12)를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하우징(6) 포함한 지지프레임(40) 및 지지프레임(40)에 결합되는 제1,2 턴오버관(20-1)(20-2) 전체가 소방관로(P)의 단부에 고정연결되는 유입관(10)을 중심축으로 하여 수평으로 회전(공전)가능토록 구성하고,
상기 제2 턴오버관(20-2)에는 제2 피동기어(22)는 고정결합하고 제2 피동기어(22)에는 제2 구동모터(M2)에 의해 회전되는 제2 구동기어(24)를 결합하여 제2 구동모터(M2)의 회전에 의해 제2 턴오버관(20-2)가 상하로 선회가능토록 구성하여 제2 턴오버관(20-2)에 결합되는 유출관(26)을 비롯하여 유출관(26)의 단부에 결합된 분사구(27)의 방향을 화재 발화지점을 향하여 정밀하게 조절이 가능토록 하고,
하우징(6)의 하부에는 화재 발화에 의한 넓은 위치의 화재를 감지하는 감지센서(70) 및 발화지점과 화재 감지를 위한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카메라(80)를 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화재 발화지점 어느 방향에 대하여 분사각의 조절이 가능하고, 카메라와 화재 감지 센서를 조합하여 발화 지점을 추적하여 화재발생 현장의 영상을 스마트기기에 전송하고 이를 전송받은 해당 관계자가 외부에서도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화재 진압 명령을 내릴 수 있어 초기에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영상 및 광학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 자동소화장치 및 자동소화시스템{AUTOMATIC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USING VIDEO AND OPTICAL SENSORS AND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본 발명은 자동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화재 발생시 영상 및 광학식 화재 감지 센서로 화재 발화지점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물 또는 소화액을 분사하여 소화하는 자동소화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호텔과 아파트, 사무용 빌딩과 같은 고층 건물의 소화설비는 법령에 따라 건물 내부 천장에 스프링쿨러를 설치한다. 스프링쿨러는 정확한 발화 지점 추적이 불가능하여 초기 화재 감지가 불가능하고, 화재시 단순한 밸브 동작으로 발화 지점에 대량의 소화용수를 방사하여 불필요한 공간에도 침수피해를 야기하며, 사용자가 화재 진압 완료를 감지할 때까지 불필요한 소화 용수를 방사하여 2차 침수 피해가 발생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선행문헌으로서 국내등록특허 제10-1119665호“발화지점 자동감지 화재 진압장치”에는 불꽃감지기를 통해 발화지점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화재 모니터링을 위한 감시부와 소화수나 소화약재를 분사하는 화재진압장치로 구성된 자동 소화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에서 발화지점 추적과 확인은 불꽃감지기를 통해 달성되어 지며, 불꽃 감지기의 특성상 정확한 위치 좌표가 확보되지 않으므로 소화기구의 위치를 제어하여 발화지점에 정확하게 소화약재를 분사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초기 화재 진압과 소화약재에 의한 침수피해 방지가 어려워진다.
또한 국내등록특허 제10-1051018호“화재 지점 감지 및 자동소화장치”에는 화재지점 감지를 위해 이동이 가능한 소화로봇으로 화재를 진압하고 별도의 다양한 센서를 통해 화재를 감지하고 발화 위치를 계산한다. 발화 위치를 추적하기 위해서는 복수 개의 카메라를 이용하는바 발화 위치로 소화로봇을 이동하기 위해 위치 계산부에서 발화 위치를 분석하여 소화로봇의 최적 위치를 계산한다. 그리고 정확한 발화위치를 추적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카메라의 설치 위치를 정확하게 인지하고 있어야 하며, 복수 이상의 카메라 영상이 필요하므로 영상 분석에 필요한 자원이 과도하게 소모되며 소화로봇의 이동을 위한 레일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경제성이 낮다.
국내등록특허 제10-1119665호“발화지점 자동감지 화재 진압장치” 국내등록특허 제10-1051018호“화재 지점 감지 및 자동소화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초기 화재 감지와 정확한 화재 발화지점 추적을 위해 카메라와 화재 감지 센서를 조합하여 발화 지점을 추적하고, 이를 위해 분사구에 대하여 2축회전 즉 360°수평회전과 더불어 상하로 선회 가능함으로써 화재 발화지점 어느 방향에 대하여 분사각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며 카메라의 회전축이 이동한 각도만큼 분사구의 회전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물 또는 소화액이 정확히 발화지점에 방사하도록 하여 화재를 초기 진압하고 화재가 확대되는 것을 방지하는 무인 시스템을 통해 자동으로 화재를 진압하거나 발화지점을 사용자가 직접 진압할 수 있어 편의성과 경제성이 증진되는 자동소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재 발화지점에 자동으로 물 또는 소화액을 분사하여 소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6)을 구비하고 하우징(6) 내부에는 물 또는 소화액이 공급되는 소방관로(P)의 단부에 연결고정되는 유입관(10)을 상하로 연장되게 구성하고, 유입관(10)의 하단부에는 지지프레임(40)을 매개로 제1 턴오버관(20-1)과 제2 턴오버관(20-2)을 순차적으로 연결되게 구성하며, 제2 턴오버관(20-2)에는 분사구(27)가 결합된 유출관(26)을 결합구성하여 물 또는 소화액이 유입관(10)으로 유입되어 유출관(26)까지 원활하게 이동되고 분사구(27)를 통하여 분출되게 구성하되,
상기 유입관(10)에는 제1 피동기어(12)를 고정결합하고 제1 피동기어(12)에는 제1 구동모터(M1)에 의해 회전되는 제1 구동기어(14)를 서로 맞물리게 결합하되 제1 구동모터(M1)는 지지프레임(40)에 고정되게 구성하여, 제1 구동모터(M1)의 회전에 의하여 제1 구동기어(14)가 제1 피동기어(12)를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하우징(6) 포함한 지지프레임(40) 및 지지프레임(40)에 결합되는 제1,2 턴오버관(20-1)(20-2) 전체가 소방관로(P)의 단부에 고정연결되는 유입관(10)을 중심축으로 하여 수평으로 회전(공전)가능토록 구성하고,
상기 제2 턴오버관(20-2)에는 제2 피동기어(22)는 고정결합하고 제2 피동기어(22)에는 제2 구동모터(M2)에 의해 회전되는 제2 구동기어(24)를 결합하여 제2 구동모터(M2)의 회전에 의해 제2 턴오버관(20-2)가 상하로 선회가능토록 구성하여 제2 턴오버관(20-2)에 결합되는 유출관(26)을 비롯하여 유출관(26)의 단부에 결합된 분사구(27)의 방향을 화재 발화지점을 향하여 정밀하게 조절이 가능토록 하고,
하우징(6)의 하부에는 화재 발화에 의한 넓은 위치의 화재를 감지하는 감지센서(70) 및 발화지점과 화재 감지를 위한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카메라(80)를 결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방관로에 연결되는 유입관을 시작으로 유입관→제1 턴오버관→제2 턴오버관→유출관→분사구로 물 또는 소화액이 이동되게 하면서 유입관에 대하여 제1 턴오버관이 360°회전이 가능토록 하고 아울러 제2 턴오버관이 상하로 선회되게 함으로써 분사구는 2축회전 즉 360°수평회전과 더불어 상하로 선회 가능함으로써 화재 발화지점 어느 방향에 대하여 분사각의 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카메라와 화재 감지 센서를 조합하여 발화 지점을 추적하여 화재발생 현장의 영상을 스마트기기에 전송하고 이를 전송받은 해당 관계자가 외부에서도 스마트기기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화재 진압 명령을 내릴 수 있어 초기에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및 광학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 자동소화장치 의 외형을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분해구성도,
도 4는 도 3의 부분 단면구성도,
도 5는 물 또는 소화액의 진행되는 관(유입관→제1 턴오버관→제2 턴오버관→유출관→분사구)의 연결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유입관과 제1 턴오버관 간에 축커버링을 매개로 연결되는 구성 및 유입관에 제1 피동기어가 스냅링에 의해 고정결합되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7a 및 도 7b는 제1 구동모터(M1)의 회전에 의하여 지지프렘임(40)을 비롯하여 지지프레임(40)에 결합되는 제1,2 턴오버관(20-1)(20-2) 및 연결체(60)를 매개로 지지프레임(40)과 고정결합되는 하우징(6) 전체가 소방관로(P)의 단부에 고정연결되는 유입관(10)을 중심축으로 하여 수평으로 회전(공전)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a 및 도 8b는 제2 턴오버관이 선회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제2 턴오버관의 선회로 개폐구가 개방되면서 분사구가 하방으로 향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자동소화장치를 이용한 영상화재감지 자동소화장치 시스템의 개념도,
도 11는 자동소화장치 시스템의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 및 광학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 자동소화장치(2)(이하 간단히 ‘자동소화장치’라고도 함)는 하우징(6)을 구비한다. 하우징(6)은 상하로 분리되게 상부하우징(6a)과 하부하우징(6b)으로 구성하면 하우징(6) 내의 공간에 다른 구성요소들의 결합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자동소화장치(2)는 천장에 일정 구간별로 이격 설치되며, 천장에 설비된 소방관로(P)와 연결되어 소방관로(P)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 또는 소화액을 화재 발화점으로 분사하게 된다.
따라서 자동소화장치(2)는 하우징(6) 내부에 물 또는 소화액이 공급되는 소방관로(P)의 단부에 연결고정되는 유입관(10)을 상하로 연장되게 구성한다. 이어서 유입관(10)의 하단부에는 제1 턴오버관(20-1)과 제2 턴오버관(20-2)을 순차적으로 연결되게 구성하며, 제2 턴오버관(20-2)에는 분사구(27)가 결합된 유출관(26)을 결합구성하여 물 또는 소화액이 유입관(10)으로 유입되어 유출관(26)까지 원활하게 이동되고 분사구(27)를 통하여 분출되게 구성한다.
이때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지지프레임(40)은 이격되는 2개의 세로대(42) 간의 상부에 가로대(44)를 결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지지프레임(40)의 세로대(42)의 내벽에 상기 제1 턴오버관(20-1)을 견고하게 고정결합한다.
도 8a 및 도 8b를 참고하면 제1 턴오버관(20-1)과 제2 턴오버관(20-2)은 서로 ‘ㄷ자형’의 연결관(30)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각 관의 연결부에는 배관용 플랜지 등을 이용함과 아울러 기밀용 가스켓(Gasket)을 끼워 누수를 방지한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상기 유입관(10)에는 제1 피동기어(12)를 고정결합하고 제1 피동기어(12)에는 제1 구동모터(M1)에 의해 회전되는 제1 구동기어(14)와 서로 맞물리게 결합한다. 이때 제1 구동모터(M1)는 지지프레임(40)에 고정되게 구성하여 도 7을 함께 참고하면, 제1 구동모터(M1)의 회전에 의하여 하우징(6) 포함하여 하우징(6) 내부에 내장되는 지지프레임(40)을 비롯하여 지지프레임(40)에 결합되는 제1,2 턴오버관(20-1)(20-2)관 전체가 소방관로(P)의 단부에 고정연결되는 유입관(10)을 중심축으로 하여 수평으로 회전(공전)가능토록 한다.
도 6을 참고하면 유입관(10)에 제1 피동기어(12)를 고정결합하기 위해서 유입관(10)의 외주면과 제1 피동기어(12)의 내주면 간에 서로 일치하는 부분에 각각 홈(10a)(12a)를 형성하고 그 홈(10a)(12a)에 모두 걸림될 수 있는 삽입편(16)을 끼우고 스냅링(17)으로 고정함으로써 유입관(10)과 제1 피동기어(12)는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도 3 및 도 6을 참고하면, 유입관(10)의 하단부와 제1 턴오버관(20-1) 간에는 축커버링(15)을 매개로 유입관(10)의 하단부가 축커버링(15)의 내부에 삽입되어 제1 턴오버관(20-1)의 통로와 연결되게 할 수 있으며 이때 고정되는 유입관(10)에 대하여 축커버링(15) 및 제1 턴오버관(20-1)은 회전이 가능토록 하여야 한다. 축커버링(15)과 제1 턴오버관(20-1) 간에는 기밀용 오링(OR)을 결합하여 누수를 방지한다.
한편 지지프레임(40)의 가로대(44) 상부에는 행거뭉치(50)를 고정결합하되 행거뭉치(50)는 내부에 형성된 걸림턱(50a)에 의하여 유입관(10)의 외주면에 형성된 환형돌테(10b) 상부에 걸림되어 행거뭉치(50) 자신을 포함한 지지프레임(40) 및 지지프레임(40)에 결합된 다 수의 결합구성 요소들이 매달려 지지되며 전체가 유입관(10)을 중심으로 원활하게 회전(공전)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다 수의 결합구성 중 하나에 속함과 동시에 물 또는 소화액의 진행방향 마지막에 위치되는 유출관(26) 및 그 유출관(26)의 단부에 결합되는 분사구(27)도 360°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유입관(10)에는 지지스냅링(18)에 의해 지지되는 베어링(54)를 결합하여 행거뭉치(50) 내에 끼움결합되게 하여 유입관(10)을 중심으로 행거뭉치(50)가 회전시 회전마찰력을 줄이도록 한다. 베어링(54)은 도 3의 분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들롤러 베어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니들롤러(54a)는 길이 방향으로 볼 때 하단부가 외측으로 기울어져 경사지는 형태로 구성하여 행거뭉치(50)를 비롯한 다른 구성요소들에 의한 하중을 잘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행거뭉치(50) 상부에는 유입관(10)의 외주면을 감싸는 커버링(56)을 결합하고 연결구(58)를 이용하여 행거뭉치(50)와 일체로 연결하면 보다 회전의 안정성을 부여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유입관(10)은 소방관로(P)와 일체로 결합되는바 유입관(10) 및 유입관(10)에 일체로 결합되는 제1 피동기어(12)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들은 유입관(10)을 중심으로 회전(공전)하게 되는바, 이때 지지프레임(40)과 하우징(6) 간에는 원형의 연결체(60)로 서로 일체로 고정결합되게 한다.
즉 도 2를 참고하면 원형의 연결체(60)는 상부에는 결합공(62)을 형성하고 하부의 원형 테두리에도 결합공(64)을 형성하여, 먼저 상부의 결합공(62)은 지지프레임(40)의 세로대(42)에 형성된 결합공(42a)과 일치시켜 나사 등의 결합도구로 결합하고, 하부의 결합공(64)은 하부하우징(6a)의 결합공과 나사 등의 결합도구로 결합시킨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제1 구동모터(M1)의 회전에 의하여 하우징(6)도 지지프레임(40)과 동일하게 회전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턴오버관(20-1)과 제2 턴오버관(20-2)은 서로 ㄷ자형의 연결관(30)으로 연결할 수 있는바, 연결관(30)과 제2 턴오버관(20-2) 간에는 축관(32)을 매개로 연결하되 축관(32)의 전단부는 연결관(30)에 고정되게 결합하고 축관(32)의 후단부는 외주면에 오링(OR)이 결합된 상태로 제2 턴오버관(20-2)의 내부통로로 삽입게 연결결합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물 또는 소화액의 흐름이 원활하면서도 누수가 방지되고 제2 구동모터(M2)의 회전에 의해 제2 턴오버관(20-2)이 제1 턴오버(20-1) 및 축관(32)에 대하여 상하로 원활하게 선회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제2 턴오버관(20-2)에 결합되는 유출관(26)을 비롯하여 유출관(26)의 단부에 결합되는 분사구(27)는 360°수평회전과 더불어 상하로 선회 가능함으로써 화재 발화지점 어느 방향에 대하여 분사각의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분사구(27)에 분사되는 물 또는 소화액의 분사거리는 반경 30m 정도까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자동소화장치(2)는 천장에 50m 정도의 간격으로 이격시키면 사각지역 없이 화재 발생 어느 지점으로의 분사가 가능하다.
하우징(6)의 하부에는 개폐판(7)을 구성하되 개폐판(7)은 브라켓(29)을 매개로 제2 턴오버관(20-2)의 하부에 결합되게 하여 제2 구동모터(M2)의 회전에 의해 제2 턴오버관(20-2)을 비롯한 유출관(26) 및 분사구(27)의 상하 선회시 하우징(6)의 하부가 개폐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6)의 하부에 화재 발화에 의한 넓은 위치의 화재를 감지하는 감지센서(70) 및 발화지점과 화재 감지를 위한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카메라(80)를 결합한다. 감지센서(70)는 화재 발화에 의한 화재의 빛 파장을 통하여 넓은 위치를 감지하는 UV센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카메라(80)의 회전축이 이동한 각도만큼 분사구(27)의 회전각도를 조절거나 혹은 카메라(80)와 분사구(27)를 동일한 축선으로 설치함으로써, 소화약재가 정확히 발화지점에 방사하도록 하여 화재를 초기 진압하고 화재가 확대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본 발명 자동소화장치(2)를 이용한 화재감지 자동소화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 자동소화장치(2)는 천장에 일정 구간별로 배열되게 설치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자동소화장치를 이용한 영상화재감지 자동소화장치 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11는 자동소화장치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자동소화장치(2)에는 감지센서(70)에 의한 화재의 위치를 감지하는 하고 카메라(80)의 이동 각도를 이용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발화 위치를 추출하는 화재인식부(100)를 더 구성한다.
또한 상기 검출수단에 의해 화재감지 자동소화장치(2)의 수평회전 및 분사구(27)의 상하 선회각을 설정된 시퀀스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부(110) 및 화재발생 현장의 영상을 스마트기기(200)에 전송하기 위한 송수신부(120)를 구성한다. 그리고 이를 전송받은 해당 관계자가 외부에서도 스마트기기(200)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화재 진압 명령을 내릴 수 있는 송수신부(220)를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카메라(80)의 영상을 통해 신속한 발화 지점 추적과 분사구(27) 방향조절을 통하여 초기에 화재를 진압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2)--영상 및 광학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 자동소화장치
(6)--하우징 (7)--개폐판
(10)--유입관 (10a)--홈
(10b)--환형돌테 (12)--제1 피동기어
(12a)--홈 (14)--제1 구동기어
(15)--축커버링 (16)--삽입편
(17)--스냅링 (18)--지지스냅링
(20-1)--제1 턴오버관 (20-2)--제2 턴오버관
(22)--제2 피동기어 (24)--제2 구동기어
(26)--유출관 (27)--분사구
(29)--브라켓 (30)--연결관
(32)--축관 (40)--지지프레임
(42)--세로대 (44)--가로대
(50)--행거뭉치 (54)--베어링
(56)--커버링 (58)--연결구
(60)--연결체 (62)(64)--결합공
(70)--감지센서 (80)--카메라
(100)--화재인식부 (110)--제어부
(120)--송수신부 (200)--스마트기기
(220)--송수신부 (P)--소방관로
(M1)(M2)--구동모터 (OR)-오링

Claims (6)

  1. 화재 발화지점에 자동으로 물 또는 소화액을 분사하여 소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6)을 구비하고 하우징(6) 내부에는 물 또는 소화액이 공급되는 소방관로(P)의 단부에 연결고정되는 유입관(10)을 상하로 연장되게 구성하고, 유입관(10)의 하단부에는 지지프레임(40)을 매개로 제1 턴오버관(20-1)과 제2 턴오버관(20-2)을 순차적으로 연결되게 구성하며, 제2 턴오버관(20-2)에는 분사구(27)가 결합된 유출관(26)을 결합구성하여 물 또는 소화액이 유입관(10)으로 유입되어 유출관(26)까지 원활하게 이동되고 분사구(27)를 통하여 분출되게 구성하며,
    지지프레임(40)은 이격되는 2개의 세로대(42) 간에 상부에 가로대(44)를 결합하여 구성하고 상기 가로대(44) 상부에는 행거뭉치(50)를 고정결합하되, 행거뭉치(50) 내부에 형성된 걸림턱(50a)에 의하여 유입관(10)의 외주면에 형성된 환형돌테(10b) 상부에 걸림되어 행거뭉치(50) 자신을 포함한 지지프레임(40) 및 지지프레임(40)에 결합된 다수의 결합구성 요소들이 유입관(10)에 매달려 지지되게 하고, 유입관(10)에는 지지스냅링(18)에 의해 지지되는 베어링(54)이 결합되게 하여 유입관(10)과 행거뭉치(50)간의 회전마찰을 줄이도록 하며,
    하우징(6) 내부에 내장되는 지지프레임(40)은 원형의 연결체(60)를 매개로 하우징(6)과 서로 일체로 고정결합되게 하고,
    상기 유입관(10)에는 제1 피동기어(12)를 고정결합하고 제1 피동기어(12)에는 제1 구동모터(M1)에 의해 회전되는 제1 구동기어(14)를 서로 맞물리게 결합하되 제1 구동모터(M1)는 지지프레임(40)에 고정되게 구성하여, 제1 구동모터(M1)의 회전에 의하여 제1 구동기어(14)가 제1 피동기어(12)를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하우징(6)을 포함하여 하우징(6) 내부에 내장되는 지지프레임(40) 비롯하여 지지프레임(40)에 결합되는 제1,2 턴오버관(20-1)(20-2) 전체가 소방관로(P)의 단부에 고정연결되는 유입관(10)을 중심축으로 하여 수평으로 회전(공전)가능토록 구성하고,
    제1 턴오버관(20-1)은 지지프레임(40)의 세로대(42)의 내벽에 견고하게 고정결합하고 제2 턴오버관(20-2)은 연결관(30)으로 제1 턴오버관(20-2)와 서로 연결하되, 유입관(10)의 하단부와 제1 턴오버관(20-1) 간에는 오링(OR)으로 밀폐되는 축커버링(15)을 매개로 유입관(10)의 하단부가 축커버링(15)의 내부에 삽입되어 제1 턴오버관(20-1)의 통로와 연결되게 하여 소방관로(P)에 고정된 유입관(10)에 대하여 축커버링(15) 및 제1 턴오버관(20-1)이 회전가능토록 하고,
    연결관(30)과 제2 턴오버관(20-2) 간에는 축관(32)을 매개로 연결하되 축관(32)의 전단부는 연결관(30)에 고정되게 결합하고 축관(32)의 후단부는 외주면에 오링(OR)이 결합된 상태로 제2 턴오버관(20-2)의 내부통로로 삽입되게 구성하여 물 또는 소화액의 원활한 흐름의 보장과 누수가 방지되고 제2 구동모터(M2)의 회전에 의해 제2 턴오버관(20-2)이 제1 턴오버(20-1) 및 축관(32)에 대하여 상하로 원활하게 선회 가능토록 하며,
    상기 제2 턴오버관(20-2)에는 제2 피동기어(22)를 고정결합하고 제2 피동기어(22)에는 제2 구동모터(M2)에 의해 회전되는 제2 구동기어(24)를 결합하여 제2 구동모터(M2)의 회전에 의해 제2 턴오버관(20-2)이 상하로 선회가능토록 구성하여 제2 턴오버관(20-2)에 결합되는 유출관(26)을 비롯하여 유출관(26)의 단부에 결합된 분사구(27)의 방향을 화재 발화지점을 향하여 정밀하게 조절이 가능토록 하고,
    하우징(6)의 하부에는 화재 발화에 의한 넓은 위치의 화재를 감지하는 감지센서(70) 및 발화지점과 화재 감지를 위한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카메라(80)를 결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및 광학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 자동소화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6)의 하부에는 개폐판(7)을 구성하되 개폐판(7)은 브라켓(29)을 매개로 제2 턴오버관(20-2)의 하부에 결합되게 하여 제2 구동모터(M2)의 회전에 의해 제2 턴오버관(20-2)을 비롯한 유출관(26) 및 분사구(27)의 상하 선회시 하우징(6)의 하부가 개폐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및 광학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 자동소화장치.
  6. 화재감지 자동소화 시스템에 있어서,
    청구항 제1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영상 및 광학센서에 의한 화재감지 자동소화장치(2)를 천장에 일정 구간별로 배열되게 설치하되,
    상기 자동소화장치(2)에는 감지센서(70)에 의한 화재의 위치를 감지하는 하고 카메라(80)의 이동 각도를 이용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발화 위치를 추출하는 화재인식부(100)를 더 구성하며,
    검출수단에 의해 화재감지 자동소화장치(2)의 수평회전 및 분사구(27)의 상하 선회각을 설정된 시퀀스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부(110) 및 화재발생 현장의 영상을 스마트기기(200)에 전송하고 이를 전송받은 해당 관계자가 외부에서도 스마트기기(200)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화재 진압 명령을 내릴 수 있는 송수신부(120)(220)를 구성하여 카메라(80)의 영상을 통해 신속한 발화 지점 추적과 분사구(27) 방향조절을 통하여 초기에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및 광학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 자동소화시스템.
KR1020170090157A 2017-07-17 2017-07-17 영상 및 광학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 자동소화장치 및 자동소화시스템 KR101841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157A KR101841428B1 (ko) 2017-07-17 2017-07-17 영상 및 광학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 자동소화장치 및 자동소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0157A KR101841428B1 (ko) 2017-07-17 2017-07-17 영상 및 광학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 자동소화장치 및 자동소화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1428B1 true KR101841428B1 (ko) 2018-03-23

Family

ID=61912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0157A KR101841428B1 (ko) 2017-07-17 2017-07-17 영상 및 광학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 자동소화장치 및 자동소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142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792B1 (ko) * 2019-02-01 2019-08-19 동산산업(주) 지하구 감시시스템
CN112675465A (zh) * 2019-10-17 2021-04-20 浙江鸿信安诺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无线远程控制功能的灭火装置
CN115920286A (zh) * 2022-11-28 2023-04-07 湖北理工学院 一种用于综合管廊自动化精准灭火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693B1 (ko) * 2011-02-01 2011-08-30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자동소화설비장치
KR101553775B1 (ko) * 2014-06-13 2015-09-17 (주)디. 앤. 엠 화재 진압용 자동 소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693B1 (ko) * 2011-02-01 2011-08-30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자동소화설비장치
KR101553775B1 (ko) * 2014-06-13 2015-09-17 (주)디. 앤. 엠 화재 진압용 자동 소방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792B1 (ko) * 2019-02-01 2019-08-19 동산산업(주) 지하구 감시시스템
CN112675465A (zh) * 2019-10-17 2021-04-20 浙江鸿信安诺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无线远程控制功能的灭火装置
CN115920286A (zh) * 2022-11-28 2023-04-07 湖北理工学院 一种用于综合管廊自动化精准灭火装置
CN115920286B (zh) * 2022-11-28 2023-12-29 湖北理工学院 一种用于综合管廊自动化精准灭火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1428B1 (ko) 영상 및 광학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 자동소화장치 및 자동소화시스템
KR101119665B1 (ko) 발화지점 자동감지 화재 진압장치
KR101658935B1 (ko) 건축물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장치
RU2319530C2 (ru) Роботизированный пожарный комплекс
KR101728521B1 (ko) 실시간 소방 화재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1059693B1 (ko) 자동소화설비장치
KR101895975B1 (ko)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화재감시와 진압시스템
US9573008B1 (en) Fire suppression system
US20190054333A1 (en) Autonomous fire locating and suppression apparatus and method
KR20170009203A (ko) 화재의 초기 진압이 용이한 소방시스템
CN114555192A (zh) 可安装在墙壁的喷头单元
CN102631759B (zh) 采用两级传动机构的室内大空间自动灭火系统
RU2433847C1 (ru) Роботизированный пожарный комплекс с системой технического зрения
JP2006305173A (ja) 防災装置
KR101771981B1 (ko) 건축공간 자동 화재감지 및 소방장치
KR20210145037A (ko)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화재진압시스템
RU2424837C1 (ru) Роботизированный пожарный комплекс с полнопроцессной системой управления
KR102395973B1 (ko) 로봇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시설 관리시스템
CN209865110U (zh) 一种自动灭火装置
RU2412732C1 (ru) Роботизированная установк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RU2739390C1 (ru) Роботизированная установк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с системой блиц-мониторинга
KR102100564B1 (ko) 화재 감지형 타킷형 소화기
JP2014064702A (ja) 消火設備および消火装置
CN210044751U (zh) 一种低空间微型火焰光谱自动扫描灭火系统及灭火装置
KR101327327B1 (ko) 결합 밸브 및 이를 구비한 소방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