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9203A - 화재의 초기 진압이 용이한 소방시스템 - Google Patents

화재의 초기 진압이 용이한 소방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9203A
KR20170009203A KR1020150100863A KR20150100863A KR20170009203A KR 20170009203 A KR20170009203 A KR 20170009203A KR 1020150100863 A KR1020150100863 A KR 1020150100863A KR 20150100863 A KR20150100863 A KR 20150100863A KR 20170009203 A KR20170009203 A KR 20170009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sprinkler
sensor unit
extinguishing
control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0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1710B1 (ko
Inventor
임형규
Original Assignee
임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형규 filed Critical 임형규
Priority to KR1020150100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1710B1/ko
Publication of KR20170009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9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1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1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8Actuation involving the use of explosive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의 초기 진압과 화재 상황의 보고가 가능한 소방 시스템에 있어서: 건물 내부의 천장(C)에 분할 지정된 방호구역(Z)에 각각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소화약재를 유입하는 스프링클러(10); 상기 스프링클러(10) 상에 화재를 감지하는 센서부(21)를 구비하여 소화약재의 분사와 차단을 시행하는 작동수단(20); 상기 스프링클러(10) 상에 브라켓(31)에 의해 고정되고, 브라켓(31) 상의 센서부(21)로부터 얻은 화재 정보를 통해 작동수단(20)과 연동하여 소화약재의 분사와 차단을 설정된 시퀀스에 따라 제어하게 제어기(32)를 구비하는 제어수단(30); 상기 제어수단(30) 상에 화재의 진위 여부와 화재 상황을 신속하게 판독하여 전송이 가능하게 메인서버(41)와 유ㆍ무선으로 연결되는 송수신수단(40); 및 상기 송수신수단(40)으로부터 메인서버(41)에 전송된 화재 상황을 소방관서와 소방관리자의 휴대장치(51)로 통보하여 화재를 초기에 대응 가능하게 구비하는 통보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내부에 화재 발생 시 건물 전체를 소화약재를 분사하는 것이 아니라 건물 천장에 분할 지정된 방호구역에 배치된 다수개의 스프링클러를 통해 화재 발생 구역만 소화약재를 분사하여 효율적이고, 제어수단을 통해 자동 제어가 가능함으로 편의성이 증진되며, 소방관서와 소방관리자에 실시간 화재 현황을 확인하여 화재 상황에 따른 자동 또는 수동으로 화재진압을 하여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재의 초기 진압이 용이한 소방시스템{early fire extinguishing system}
본 발명은 화재의 초기 진압이 용이한 소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부에 화재 발생 시 건물 전체를 소화약재를 분사하는 것이 아니라 건물 천장에 분할 지정된 방호구역에 배치된 다수개의 스프링클러를 통해 화재 발생 구역만 소화약재를 분사하여 효율적이고, 제어수단을 통해 자동 제어가 가능함으로 편의성이 증진되며, 소방관서와 소방관리자에 실시간 화재 현황을 확인하여 화재 상황에 따른 자동 또는 수동으로 화재진압을 하여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는 화재의 초기 진압이 용이한 소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일반 주택에서부터 높은 층의 아파트 등의 건물은 화재가 발생하면 겉잡을 수 없을 정도로 빠른 시간에 화재가 번져 인명피해와 재산피해 등 여러 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화재를 막고자 건물의 내부 천장에는 스프링클러를 장착한다. 하지만, 이러한 스프링클러의 경우 정확한 감지가 되지 않아 사소한 화재인 경우에도 많은 양의 물 또는 소화약재를 사용하게 됨으로 낭비가 심하다.
일예로, 한국 공개특허 제2002-0091137호에 따르면, ‘액체공급채널을 구비한 몸체(1), 밸브(4)를 구비한 열감지유닛 및 열감지유닛 부착구를 포함하느 스프링클러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클러의 채널은 원추형 디퓨져 형상의 세그먼트(11)와 연결된 원통형 세그먼트(10)로 형성되고, 상기 원통형 세그먼트(10)의 길이는 이 세그먼트에서의 채널의 직경보다 길고, 상기 원추형 디퓨져 형상의 세그먼트(11)의 길이는 원통형 세그먼트(10)에서의 채널의 직경보다 길며, 상기 원추형 디퓨져의 표면을 이루는 원추정점의 각도가 10°~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다른예로, 한국 등록특허 제1194739호에 따르면, ‘소화수가 공급되는 배관과, 상기 배관에 커플러를 개재하여 결합된 스프링클러 헤드를 포함하는 스프링클러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에 구성되어 소화수가 유입되는 본체를 개폐시키는 한편 그 일측에는 소화수가 유동되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개폐블럭; 및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일측에는 개폐블럭의 유로와 연통되어 소화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배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를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스프링클러들은 사소한 화재인 경우에도 많은 양의 물을 소모하여야 하면서 원활한 화재를 진압하기 어려웠고, 소방관서와 소방관리자에 실시간 확인이 불가능하여 적절한 화재 진압이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한국 공개특허 제2002-0091137호 “스프링클러” 한국 등록특허 제1194739호 “스프링클러”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에 화재 발생 시 건물 전체를 소화약재를 분사하는 것이 아니라 건물 천장에 분할 지정된 방호구역에 배치된 다수개의 스프링클러를 통해 화재 발생 구역만 소화약재를 분사하여 효율적이고, 제어수단을 통해 자동 제어가 가능함으로 편의성이 증진되며, 소방관서와 소방관리자에 실시간 화재 현황을 확인하여 화재 상황에 따른 자동 또는 수동으로 화재진압을 하여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는 화재의 초기 진압이 용이한 소방시스템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화재의 초기 진압과 화재 상황의 보고가 가능한 소방 시스템에 있어서: 건물 내부의 천장에 분할 지정된 방호구역에 각각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소화약재를 유입하는 스프링클러; 상기 스프링클러 상에 화재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구비하여 소화약재의 분사와 차단을 시행하는 작동수단; 상기 스프링클러 상에 브라켓에 의해 고정되고, 브라켓 상의 센서부로부터 얻은 화재 정보를 통해 작동수단과 연동하여 소화약재의 분사와 차단을 설정된 시퀀스에 따라 제어하게 제어기를 구비하는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 상에 화재의 진위 여부와 화재 상황을 신속하게 판독하여 전송이 가능하게 메인서버와 유ㆍ무선으로 연결되는 송수신수단; 및 상기 송수신수단으로부터 메인서버에 전송된 화재 상황을 소방관서와 소방관리자의 휴대장치로 통보하여 화재를 초기에 대응 가능하게 구비하는 통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작동수단의 센서부는 화재 정보를 감지하게 온도센서, 불꽃감지센서, 카메라, 연기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택일하여 형성되는 센서부를 구비하고, 센서부에 의해 얻어진 정보를 통해 스프링클러의 하부에 유리벌브 또는 퓨지블링크로 이루어진 감열체로 고정되는 헤드와, 감열체의 외부를 감싸 가열에 의해 감열체를 파손 또는 녹임으로 소화약재를 분사하게 분리시키는 코일을 통해 소화약재를 분사하고, 스프링클러의 상부에 차단부재가 장착된 리드를 전진시키는 회전모터를 구비하여 유동되는 소화약재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송수신수단은 제어수단과 LAN, WIFI, WCDMA, HSDPA, LTE, Wibro 중 1종 이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보수단은 메인서버에 전송된 진행상황을 소방관서와 소방관리자의 휴대장치로 지켜보면서 작동수단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컨트롤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게 사물인터넷과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에 화재 발생 시 건물 전체를 소화약재를 분사하는 것이 아니라 건물 천장에 분할 지정된 방호구역에 배치된 다수개의 스프링클러를 통해 화재 발생 구역만 소화약재를 분사하여 효율적이고, 제어수단을 통해 자동 제어가 가능함으로 편의성이 증진되며, 소방관서와 소방관리자에 실시간 화재 현황을 확인하여 화재 상황에 따른 자동 또는 수동으로 화재진압을 하여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의 초기 진압이 용이한 소방시스템의 스프링클러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의 초기 진압이 용이한 소방시스템의 스프링클러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의 초기 진압이 용이한 소방시스템의 작동수단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의 초기 진압이 용이한 소방시스템에 건물 내부의 천장에 분할 지정된 방호구역에 각각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의 초기 진압이 용이한 소방시스템의 전체적인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의 초기 진압이 용이한 소방시스템의 스프링클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의 초기 진압이 용이한 소방시스템의 스프링클러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의 초기 진압이 용이한 소방시스템의 작동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의 초기 진압이 용이한 소방시스템에 건물 내부의 천장에 분할 지정된 방호구역에 각각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재의 초기 진압이 용이한 소방시스템의 전체적인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화재의 초기 진압과 화재 상황의 보고가 가능한 소방 시스템에 관련되며, 스프링클러(10), 작동수단(20), 제어수단(30), 송수신수단(40), 통보수단(50)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10)는 건물 내부의 천장(C)에 분할 지정된 방호구역(Z)에 각각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소화약재를 유입한다. 스프링클러(10)는 건물 내부 천장(C)에 다수개로 배치되어 지정된 방호구역(Z)에 설치하게 된다. 여기서, 지정된 방호구역(Z)이란 소방법으로 정해진 규정에 적합하도록 방호구역(Z) 내의 원형 중심으로 각각 하나 이상의 스프링클러(10)가 배치되는 것을 말한다. 스프링클러(10)의 내부에는 외부에서 소화약재가 유입되는 바, 소화약재는 액체, 기체, 혼합 등 다양하게 사용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작동수단(20)은 상기 스프링클러(10) 상에 화재를 감지하는 센서부(21)를 구비하여 소화약재의 분사와 차단을 시행한다. 작동수단(20)은 건물 내부의 천장(C)에 분할 지정된 방호구역(Z)에 배치된 스프링클러(10) 상에 각각 형성되는 바, 스프링클러(10)에 근접하게 센서부(21)를 구비하여 센서부(21)로부터 얻어진 화재 정보를 통해 스프링클러(10)로부터 소화약재의 분사와 차단을 시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수단(20)은 상기 제어수단(40)의 센서부(42)는 화재 정보를 감지하게 온도센서(22a), 불꽃감지센서(22b), 카메라(22c), 연기센서(22d)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택일하여 형성되는 센서부(21)를 구비하고, 센서부(21)에 의해 얻어진 정보를 통해 스프링클러(10)의 하부에 유리벌브 또는 퓨지블링크로 이루어진 감열체(23)로 고정되는 헤드(24)와, 감열체(23)의 외부를 감싸 가열에 의해 감열체(23)를 파손 또는 녹임으로 소화약재를 분사하게 분리시키는 코일(25)을 통해 소화약재를 분사하고, 스프링클러(10)의 상부에 차단부재(26)가 장착된 리드(27)를 전진시키는 회전모터(28)를 구비하여 유동되는 소화약재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센서부(42)는 화재 정보를 감지하게 온도센서(22a), 불꽃감지센서(22b), 카메라(22c), 연기센서(22d)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택일하여 형성되는 바, 온도센서(22a)를 통해 급격한 온도 상승을 감지하고, 불꽃감지센서(22b)는 물질이 연소하면서 에너지를 빛과 열의 형태로 방출하는 산화 과정에 의해 여러 가지 연소반응이 나타나는 바, 그 중 빛은 화염의 온도에 따라 각각 다른 파장을 가지기 때문에 이를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감지기(IR) 또는 자외선 감지기(UV)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카메라(45)는 화재 상황을 녹화와 녹음 등을 하게 되며, 연기센서(22d)는 감광식(感光式), 광산란식, 이온화식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 이외에도 스피커를 더 추가하여 스피커로부터 울려지는 싸이렌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센서부(21)에 의해 얻어진 정보를 통해 스프링클러(10)의 하부에 유리벌브 또는 퓨지블링크로 이루어진 감열체(23)로 고정되는 헤드(24)와, 감열체(23)의 외부를 감싸 가열에 의해 감열체(23)를 파손 또는 녹임으로 소화약재를 분사하게 분리시키는 코일(25)을 통해 소화약재를 분사하고, 스프링클러(10)의 상부에 차단부재(26)가 장착된 리드(27)를 전진시키는 회전모터(28)를 구비하여 유동되는 소화약재를 차단하는 바, 분사의 경우 스프링클러(10)의 하부에 내부로부터 유동되는 소화약재를 막고 있는 유리벌브 또는 퓨지블링크로 이루어진 감열체(23)로부터 고정된 헤드(24)를 구비하는 바, 후술하는 제어수단(30)의 제어기(32)와 전기적으로 연동되는 감열체(23)가 가열되면 유리벌브는 파손, 퓨지블링크는 녹아 헤드(24)를 스프링클러(10)로부터 분리시키게 되고, 분리됨에 따라 스프링클러(10)는 소화약재를 분사하게 된다. 이때, 센서부(21)에 의해 화재가 제압된 정보를 통해 스프링클러(10)의 내부의 회전모터(28)는 회전하여 리드(27) 끝단에 장착된 차단부재(26)에 의해 스프링클러(10)로부터 분사되는 유로를 막게됨으로 소화약재는 분사를 멈추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제어수단(30)은 상기 스프링클러(10) 상에 브라켓(31)에 의해 고정되고, 브라켓(31) 상의 센서부(21)로부터 얻은 화재 정보를 통해 작동수단(20)과 연동하여 소화약재의 분사와 차단을 설정된 시퀀스에 따라 제어하게 제어기(32)를 구비한다. 제어수단(30)은 브라켓(31)에 고정된 센서부(21)로부터 얻어진 정보를 통해 코일(25)을 가열하여 감열체(23)를 파손하거나 녹여 헤드(24)를 스프링클러(10)로부터 분리시키고, 회전모터(28)의 회전을 제어하여 스프링클러(10)의 소화약재가 유동하는 유로를 막게 됨으로 소화약재의 분사를 차단하게 한다. 이때, 회전모터(28)의 경우 일반적으로 소화약재의 분사를 차단하는 역할이지만, 화재가 재 발생 또는 잔불이 남게 된다면, 재차 회전모터(28)가 반대로 회전하여 리드(27) 끝단에 장착된 차단부재(26)가 상승함으로 소화약재는 재차 분사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송수신수단(40)은 상기 제어수단(30) 상에 화재의 진위 여부와 화재 상황을 신속하게 판독하여 전송이 가능하게 메인서버(41)와 유ㆍ무선으로 연결된다. 메인서버(41)는 건물 내부의 천장(C)에 분할 지정된 방호구역(Z)에 각각 배치된 스프링클러(10)의 제어수단(30)에 의해 얻어진 화재 정보가 메인서버(41)에 실시간 모아지게 된다.
이때, 상기 송수신수단(40)은 제어수단(30)과 LAN, WIFI, WCDMA, HSDPA, LTE, Wibro 중 1종 이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통보수단(50)은 상기 송수신수단(40)으로부터 메인서버(41)에 전송된 화재 상황을 소방관서와 소방관리자의 휴대장치(51)로 통보하여 화재를 초기에 대응 가능하게 구비한다. 통보수단(50)은 상술한 송수신수단(40)의 메인서버(41)를 통해 모여진 화재 정보가 소방관서와 소방관리자의 휴대장치(51)에 통보되어 화재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 또는 제어수단(30)으로부터 작동수단(20)의 원활함을 판단하여 자동 또는 수동의 화재 진압을 하거나 화재의 규모를 판단하여 외부에서 추가적 지원이 가능토록 하여 화재의 확산을 막을 수 도 있다. 여기서, 휴대장치(51)의 경우 데스크탑, 노트북PC, 스마트폰, PDA 등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휴대장치(51)와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해 서로 연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보수단(50)은 메인서버(41)에 전송된 진행상황을 소방관서와 소방관리자의 휴대장치(51)로 지켜보면서 작동수단(20)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컨트롤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게 사물인터넷(IOT)과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사물인터넷(IOT)란, 인터넷 혹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기기들이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에 서로 정보를 교류하고 상호 소통하는 처리하는 지능형 인프라 및 서비스 기술을 말하는 것으로 소방관서와 소방관리자의 휴대장치(51)를 통해 스프링클러(10)의 작동이 외부에서 제어가 가능토록 하고, 내부의 화재 상황을 정확히 알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용에 있어서, 먼저 건물 내부의 천장(C)에 분할 지정된 방호구역(Z)에 배치된 각각의 스프링클러(10)에 근접된 위치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제어수단(30)의 센서부(21)에서 화재 사실과 화재 위치, 규모 등을 판단하게 되고, 송수신수단(40)의 메인서버(41)에 화재 정보가 모이게 된다. 이러한, 화재 정보를 소방관서와 소방관리자의 휴대장치(51)로 통보하게 되는 바, 물론 소방관서와 소방관리자의 휴대장치(51)로 통보하는 시간에 제어수단(30)은 작동수단(20)을 통해 소화약재의 분사를 시작하게 되고, 그 상황을 소방관서와 소방관리자의 휴대장치(51)로 지켜볼 수 있게 된다. 이때, 화재의 진압이 어렵거나 되지 않을 때, 소방관서와 소방관리자는 휴대장치(51)를 통해 스프링클러(10)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되고, 화재의 초기 진압이 명확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에 화재 발생 시 건물 전체를 소화약재를 분사하는 것이 아니라 건물 천장에 분할 지정된 방호구역에 배치된 다수개의 스프링클러를 통해 화재 발생 구역만 소화약재를 분사하여 효율적이고, 제어수단을 통해 자동 제어가 가능함으로 편의성이 증진되며, 소방관서와 소방관리자에 실시간 화재 현황을 확인하여 화재 상황에 따른 자동 또는 수동으로 화재진압을 하여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스프링클러 20: 작동수단
21: 센서부 22a: 온도센서
22b: 불꽃감지센서 22c: 카메라
22d: 연기센서 23: 감열체
24: 헤드 25: 코일
26: 차단부재 27: 리드
28: 회전모터 30: 제어수단
31: 브라켓 32: 제어기
40: 송수신수단 41: 메인서버
50: 통보수단 51: 휴대장치
C: 천장 Z: 방호구역
IOT: 사물인터넷

Claims (4)

  1. 화재의 초기 진압과 화재 상황의 보고가 가능한 소방 시스템에 있어서:
    건물 내부의 천장(C)에 분할 지정된 방호구역(Z)에 각각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소화약재를 유입하는 스프링클러(10);
    상기 스프링클러(10) 상에 화재를 감지하는 센서부(21)를 구비하여 소화약재의 분사와 차단을 시행하는 작동수단(20);
    상기 스프링클러(10) 상에 브라켓(31)에 의해 고정되고, 브라켓(31) 상의 센서부(21)로부터 얻은 화재 정보를 통해 작동수단(20)과 연동하여 소화약재의 분사와 차단을 설정된 시퀀스에 따라 제어하게 제어기(32)를 구비하는 제어수단(30);
    상기 제어수단(30) 상에 화재의 진위 여부와 화재 상황을 신속하게 판독하여 전송이 가능하게 메인서버(41)와 유ㆍ무선으로 연결되는 송수신수단(40); 및
    상기 송수신수단(40)으로부터 메인서버(41)에 전송된 화재 상황을 소방관서와 소방관리자의 휴대장치(51)로 통보하여 화재를 초기에 대응 가능하게 구비하는 통보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의 초기 진압이 용이한 소방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20)의 센서부(42)는 화재 정보를 감지하게 온도센서(22a), 불꽃감지센서(22b), 카메라(22c), 연기센서(22d)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택일하여 형성되는 센서부(21)를 구비하고, 센서부(21)에 의해 얻어진 정보를 통해 스프링클러(10)의 하부에 유리벌브 또는 퓨지블링크로 이루어진 감열체(23)로 고정되는 헤드(24)와, 감열체(23)의 외부를 감싸 가열에 의해 감열체(23)를 파손 또는 녹임으로 소화약재를 분사하게 분리시키는 코일(25)을 통해 소화약재를 분사하고, 스프링클러(10)의 상부에 차단부재(26)가 장착된 리드(27)를 전진시키는 회전모터(28)를 구비하여 유동되는 소화약재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의 초기 진압이 용이한 소방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수단(40)은 제어수단(30)과 LAN, WIFI, WCDMA, HSDPA, LTE, Wibro 중 1종 이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의 초기 진압이 용이한 소방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보수단(50)은 메인서버(41)에 전송된 진행상황을 소방관서와 소방관리자의 휴대장치(51)로 지켜보면서 작동수단(20)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컨트롤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게 사물인터넷(IOT)과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의 초기 진압이 용이한 소방시스템.
KR1020150100863A 2015-07-16 2015-07-16 화재의 초기 진압이 용이한 소방시스템 KR101731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863A KR101731710B1 (ko) 2015-07-16 2015-07-16 화재의 초기 진압이 용이한 소방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863A KR101731710B1 (ko) 2015-07-16 2015-07-16 화재의 초기 진압이 용이한 소방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203A true KR20170009203A (ko) 2017-01-25
KR101731710B1 KR101731710B1 (ko) 2017-04-28

Family

ID=57991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0863A KR101731710B1 (ko) 2015-07-16 2015-07-16 화재의 초기 진압이 용이한 소방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171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011Y1 (ko) * 2017-07-06 2017-12-12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공동주택에 적용될 수 있는 소화장치
KR200485463Y1 (ko) * 2017-07-06 2018-01-11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공동주택에 적용될 수 있는 소화용 화재발생 감지장치
JP2019139796A (ja) * 2019-04-22 2019-08-22 能美防災株式会社 支援システム
KR20210029922A (ko) * 2019-09-09 2021-03-17 주식회사랩시드 실시간 실험실 모니터링 시스템
KR20210123758A (ko) * 2020-04-06 2021-10-14 박중기 스마트 교실의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595760B1 (ko) 2023-03-27 2023-10-30 (주)세광 수배전반 내부에 형성되는 화재 진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840B1 (ko) * 2019-01-31 2019-07-08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연기감응식 자동개폐형 스프링클러헤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1137A (ko) 2000-03-28 2002-12-05 오브스케스티보 에스 오그라니케노이 오트베츠베노츠주 "유니펫" 스프링클러
KR101194739B1 (ko) 2010-11-02 2012-11-01 이이레 스프링클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175Y1 (ko) * 2002-09-03 2002-12-16 마임인터내셔날코포레이션 주식회사 스프링클러
KR101399475B1 (ko) * 2012-12-28 2014-06-02 주식회사 퓨처테크 실시간 스마트형 무인 화재 관제 시스템
KR101514897B1 (ko) * 2013-12-11 2015-04-24 동양하이테크산업주식회사 전력선 통신 및 보조 통신수단을 수반한 자동 소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1137A (ko) 2000-03-28 2002-12-05 오브스케스티보 에스 오그라니케노이 오트베츠베노츠주 "유니펫" 스프링클러
KR101194739B1 (ko) 2010-11-02 2012-11-01 이이레 스프링클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011Y1 (ko) * 2017-07-06 2017-12-12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공동주택에 적용될 수 있는 소화장치
KR200485463Y1 (ko) * 2017-07-06 2018-01-11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공동주택에 적용될 수 있는 소화용 화재발생 감지장치
JP2019139796A (ja) * 2019-04-22 2019-08-22 能美防災株式会社 支援システム
KR20210029922A (ko) * 2019-09-09 2021-03-17 주식회사랩시드 실시간 실험실 모니터링 시스템
KR20210123758A (ko) * 2020-04-06 2021-10-14 박중기 스마트 교실의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595760B1 (ko) 2023-03-27 2023-10-30 (주)세광 수배전반 내부에 형성되는 화재 진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1710B1 (ko) 201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1710B1 (ko) 화재의 초기 진압이 용이한 소방시스템
US20180200552A1 (en) Fire containment system, devices and methods for same and for firefighting systems
ES2684329T3 (es) Central de control y procedimiento para la activación de dos dispositivos suministradores de agente extintor
US11154738B2 (en) Quick-response sprinkler
KR102236795B1 (ko) 문화재 화재 방지 강우 분사 시스템
JP5128591B2 (ja) 熱トリップ機器を有する自動消火器及びノズル用密封装置
JP2007213307A (ja) 火災監視消火・放水制御システム
US20190054333A1 (en) Autonomous fire locating and suppression apparatus and method
RU2414966C1 (ru) Система водяног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KR102172697B1 (ko) 화학물질 또는 가스 공급시스템에 구성되는 다중화된 자동 소화 시스템
AU775493B2 (en) Sprinkler device comprising a valve for extinguisher fluid
KR20200098317A (ko) 실내용 화재감지 시스템
CN105650690A (zh) 厨房防火系统
US9956443B1 (en) Attic sprinkler systems
RU2471525C1 (ru) Система водяног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CN205402812U (zh) 厨房防火系统
KR101717845B1 (ko) 스프링클러 소화장치
JP2016140414A (ja) 自動火災報知消火システム
RU2464058C1 (ru) Система водяног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KR20140073930A (ko) 유리벌브형 스프링클러
KR102322237B1 (ko)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 용수 자동제어시스템
KR20200092619A (ko) 연기 흡입형 화재감지장치
KR101775486B1 (ko) 건축공간내 설치되는 자동 화재감지 소방장치
RU2536226C2 (ru) Система водяног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US3876008A (en) Fire extinguishing sprinkl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