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7840B1 - 연기감응식 자동개폐형 스프링클러헤드 - Google Patents

연기감응식 자동개폐형 스프링클러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7840B1
KR101997840B1 KR1020190012429A KR20190012429A KR101997840B1 KR 101997840 B1 KR101997840 B1 KR 101997840B1 KR 1020190012429 A KR1020190012429 A KR 1020190012429A KR 20190012429 A KR20190012429 A KR 20190012429A KR 101997840 B1 KR101997840 B1 KR 101997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receiving element
smoke
sprinkler
emitt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2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현수
Original Assignee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2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78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7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7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05B12/12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responsive to presence or shape of targe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08B17/103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using a light emitting and receiving devi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연기감응식 자동개폐형 스프링클러헤드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연기감응식 자동개폐형 스프링클러헤드는, 암상자 및 암상자 내부에 구비되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포함하여, 수광소자에 의한 센싱값을 기반으로 연기감지값을 산출하는 연기감지부; 일부가 암상자를 관통하는 스프링클러부; 및 암상자 내부로 유입된 화재로 인한 연기에 의해 발광소자로부터의 빛이 산란되어 수광소자로 일부가 유입됨으로 인해, 연기감지값이 임계값 이상이 되면 화재 발생으로 인식하여 스프링클러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기감응식 자동개폐형 스프링클러헤드{Smoke detectable auto open sprinkler head}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헤드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연기를 감지하고 자동 개폐되는 스프링클러헤드에 관한 것이다.
스프링클러는 화재 초기 진압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지만, 정작 불이 나도 작동하지 않는 사례가 적지 않다. 한 번의 화재로 돌이킬 수 없는 재산과 인명피해가 발생하는데, 스프링클러 미작동 비율이 최대 20%를 넘어선다는 뜻이다. 소방청 국가화재정보센터에 따르면 스프링클러가 설치된 곳에서 난 화재중 스프링클러가 작동하지 않거나 작동했더라도 효과를 보지 못했던 화재는 지난 2013년 55건에서 2017년 99건으로 대폭 늘었다. 미작동 비율은 2013년 12.4%(441건 중 55건)에서 2017년 기준 16.0%(618건 중 99건)로 증가세다.
소방청 관계자는 "스프링클러가 작동하지 않는 것은 운영자가 오작동으로 인한 피해를 우려해 스프링클러를 작동하지 않도록 임의로 조치한 경우이거나 고장이 났을 때다. 물이 기준량과 비교해 충분히 분사되지 않아 효과를 보지 못한 경우도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화재의 초기 진압과 피해 최소화를 위해 일정 규모 이상 건축물 등에 자동 화재 감지/진압 장비인 스프링클러 설치를 의무화했다. 전문가들은 스프링클러가 화재피해를 줄일 수 있는 골든타임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정작 유지관리에는 소홀한 측면이 있다고 강조한다.
스프링클러설비는 건물 내부 화재발생시 초기진압용으로 주로 이용되고 있으나 오작동이나 스프링클러헤드의 파손 등으로 인해 소화수가 방출되는 사고가 종종 발생하기도 한다.
정상 작동에 의해 소화수가 분사된다 하더라도 초기 화재진압이 완료된 이후에는 소화수의 분사를 중단시켜야 하지만, 각각의 스프링클러헤드를 일일이 잠그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펌프의 가동이 중단된 이후에도 일부 배관에 남아 있는 소화수는 잔여압력이 소진될 때까지 모두 분사되기 때문에 수손피해가 발생되고 있다.
이는 분사되는 소화수의 분사를 중지시키기 위하여 메인밸브를 잠그고 펌프를 정지시켜야 하는데 그 시간 동안에도 계속해서 소화수가 방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장시간 동안 소화수가 방출되는 경우에는 예상치 못한 피해가 발생하게 되고 생산공장이나 고가의 제품을 보관하고 있는 창고와 같은 경우에는 그 피해가 더욱 확대될 수도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22258 (공개일자 2017년03월02일) 원포인트 스프링클러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화재를 감지하고 자동으로 스프링클러를 동작시키는 연기감응식 자동개폐형 스프링클러헤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 진압 완료 시 불필요한 소화수의 방출을 방지할 수 있는 연기감응식 자동개폐형 스프링클러헤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재 발생 시 정상적인 구동을 위해 구비된 자체 화재감지 기능의 안정적 구동을 위한 자체 테스트 기능을 구비한 연기감응식 자동개폐형 스프링클러헤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암상자 및 상기 암상자 내부에 구비되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포함하여, 상기 수광소자에 의한 센싱값을 기반으로 연기감지값을 산출하는 연기감지부; 일부가 상기 암상자를 관통하는 스프링클러부; 및 상기 암상자 내부로 유입된 화재로 인한 연기에 의해 상기 발광소자로부터의 빛이 산란되어 상기 수광소자로 일부가 유입됨으로 인해, 상기 연기감지값이 임계값 이상이 되면 화재 발생으로 인식하여 상기 스프링클러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연기감응식 자동개폐형 스프링클러헤드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발광소자와 상기 수광소자는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평상시 상기 발광소자로부터의 직진성 빛이 상기 수광소자로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스프링클러부는 상기 발광소자와 상기 수광소자 사이로 상기 암상자를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광소자는 서로 다른 방향에서 유입되는 빛을 센싱하기 위해 복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각 수광소자에 의한 센싱값을 기반으로 상기 스프링클러부의 작동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기감지부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연기감지부의 정상작동 여부를 테스트하는 연기감지 테스트를 주기적으로 수행하되, 상기 이동부는 상기 발광소자로부터의 직진성 빛이 상기 수광소자로 일부가 전달될 수 있는 위치로 상기 연기감지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클러부의 일부는 빛이 통과되는 투명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투명재질이 상기 발광소자와 상기 수광소자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스프링클러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발광소자 및 상기 수광소자가 정상작동 하는지 여부를 테스트하는 연기감지 테스트를 주기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클러부는,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분사를 막기 위한 캡; 상기 캡을 상방향으로 밀어주기 위한 스프링;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캡을 아래방향으로 밀어내어 물이 분사되도록 하는 개방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클러부가 구동되는 도중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기감지부에 의한 연기감지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개방수단을 제어하여 물의 분사를 중단시킬 수 있다.
그리고, 소화수가 흐르는 배관과 연결되는 배관연결부; 상기 배관연결부 하단에 구비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내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배관연결부를 통한 물의 분사를 막기 위한 캡; 상기 본체부 내부 하단에 구비되어 물이 분사되지 않도록 상기 캡을 상방향으로 밀어주기 위한 스프링; 상기 캡을 하방향으로 밀어내어 물이 분사되도록 하는 개방수단; 상기 본체부 내에 상기 캡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 및 상기 캡에 의해 상기 발광소자로부터의 직진성 빛이 수광소자로 유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화재 발생으로 상기 본체부 내로 유입된 연기에 의해 산란된 상기 발광소자로부터의 빛의 일부가 상기 수광소자로 전달되는 경우, 상기 개방수단을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연기감응식 자동개폐형 스프링클러헤드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발광소자 및 상기 수광소자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의 정상작동 여부를 테스트하는 연기감지 테스트를 주기적으로 수행하되, 상기 이동부는 상기 발광소자로부터의 직진성 빛이 상기 수광소자로 일부가 전달될 수 있는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독립적으로 화재를 감지하고 자동으로 스프링클러를 동작시킴으로 인해, 화재 발생 시 즉각적으로 대응하여 화재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가 제압되어 스프링클러의 동작이 필요없게 되면, 연기감지 기능에 의해 자동으로 스프링클러의 동작을 중단하여 불필요한 소화수의 낭비 및 수손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 감지 기능을 구비하되 자체 테스트 기능까지도 구비하여 화재감지의 비정상 구동에 의한 피해를 미리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스프링클러를 도시한 정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기감응식 자동개폐형 스프링클러헤드를 도시한 정단면도 및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기감지 기능의 테스트를 위한 연기감지부가 이동되는 형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기감응식 자동개폐형 스프링클러헤드를 도시한 정단면도 및 구동예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기감응식 자동개폐형 스프링클러헤드의 연기감지 기능 테스트를 위한 센서의 이동형태를 도시한 예시도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기감응식 자동개폐형 스프링클러헤드에서의 연기 감지 방식을 도시한 예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후술될 제1 임계값, 제2 임계값 등의 용어는 실질적으로는 각각 상이하거나 일부는 동일한 값인 임계값들로 미리 지정될 수 있으나, 임계값이라는 동일한 단어로 표현될 때 혼동의 여지가 있으므로 구분의 편의상 제1, 제2 등의 용어를 병기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스프링클러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기감응식 자동개폐형 스프링클러헤드를 도시한 정단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존의 스프링클러헤드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파열이 되는 유리 등의 재질로 구현된 관(1)을 구비하여, 화재 발생시 관(1)이 파열되어 소화수가 분출되는 방식이다. 이 경우, 중앙관제센터에서 화재를 인식하고, 스프링클러헤드를 제어하여 소화수를 방출하는 방식이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스프링클러헤드를 도시한 도 2를 참조하면, 연기감지를 위한 수단인 연기감지부(20)가 자체 구비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헤드는 소화수 배관과 연결되는 배관연결부(10), 연기를 감지하기 위한 연기감지부(20), 소화수를 분출하기 위한 스프링클러부(30)를 포함한다. 도면의 참조번호 40은 반사판으로 스프링클러부(30)에서 분출되는 소화수를 널리 퍼트리기 위한 것으로, 이는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연기감지부(20)의 본체는 암상자 형태이며, 그 내부에는 빛을 발광하는 발광소자(21), 발광소자(21)로부터의 빛을 센싱하기 위한 수광소자(22)가 구비된다. 즉, 연기감지부(20)는 암상자 및 암상자 내부에 구비되는 발광소자(21)와 수광소자(22)를 포함하며, 수광소자(22)에 의한 센싱값을 기반으로 연기감지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일례에 따른 스프링클러부(30)는 연기감지부(20)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데, 이때 서로 마주보는 발광소자(21)와 수광소자(22) 사이를 지나도록 관통한다. 따라서, 평소에는 발광소자(21)로부터의 직진성 빛이 관통하는 스프링클러부(30)에 의해 막혀 수광소자(22)로 전달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헤드는 암상자 내부로 유입된 화재로 인한 연기에 의해 발광소자(21)로부터의 빛이 산란되어 수광소자(22)로 일부가 유입됨으로 인해, 연기감지값이 임계값 이상이 되면 화재 발생으로 인식하여 스프링클러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기감응식 자동개폐형 스프링클러헤드에서의 연기 감지 방식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평상시에는 연기감지부(20)의 발광소자(21)로부터 방출된 빛이 관통하는 스프링클러부(30)에 막혀 수광소자(22)로 전달되지 못한다. 그런데 화재가 발생하여 연기감지부(20) 본체 내부로 연기가 유입되면, 연기로 인해 발광소자(21)로부터의 빛이 산란되어 일부가 수광소자(22)로 유입된다. 따라서 스프링클러헤드는 감지된 연기에 의해 화재를 인식하고, 스프링클러부(30)를 구동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일례에 따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광소자(22)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 수광소자(22)는 빛을 유입시키는 방향을 달리하여 구비된다. 예를 들어 제1 수광소자(22-1)는 좌측에서 유입되는 빛을 센싱하고, 제2 수광소자(22-2)는 정면, 제3 수광소자(22-3)은 우측으로부터의 빛을 센싱한다. 하나의 수광소자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어느 하나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정상적으로 빛의 센싱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더해 하나의 수광소자(22)가 유입된 먼지 또는 이물질 등에 의해 잘못된 센싱을 수행하더라도, 다른 방향으로부터의 빛을 센싱하는 다른 수광소자(22)에 의한 센싱값을 기반으로 정상적인 센싱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미도시)는 각 수광소자(22)에 의한 센싱값을 기반으로 스프링클러부(30)의 작동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비정상적인 센싱에 의한 비정상 작동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일례에 따르면 측면을 센싱하는 제1 수광소자(22-1) 및 제3 수광소자(22-3)는 연기감지 기능에 주로 이용되고, 정면을 센싱하는 제2 수광소자(22-2)는 테스트 기능에 주로 이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헤드는 자체 테스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기감지 기능의 테스트를 위한 연기감지부(20)가 이동되는 형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과 함께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헤드는 연기감지부(20)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클러헤드의 제어부는 이동부를 제어하여 연기감지부(20)의 정상작동 여부를 테스트하는 연기감지 테스트를 주기적(예를 들어, 일주일 주기 등)으로 수행하며, 이동부는 발광소자(21)로부터의 직진성 빛이 수광소자(22)로 일부가 전달될 수 있는 위치로 연기감지부(20)를 이동시킨다. 어떠한 장치의 위치를 변화시키기 위한 이동수단은 레일, 모터 등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또는 솔레노이드 방식(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함)을 이용하는 등, 이는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이동부는 스프링클러부(30)의 아랫부분까지 연기감지부(20)를 이동시켜 발광소자(21)로부터의 직진성 빛이 수광소자(22)로 바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며, 이로 인해 제어부는 수광소자(22)가 정상적으로 빛을 센싱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연기감지 기능을 테스트하는 것이다. 만일 수광소자(22)에서 빛이 센싱되지 않는다면, 발광소자(21) 또는 수광소자(22) 중 어느 하나에서 고장이 발생된 것으로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테스트 결과 비정상이라 판단되면, 제어부는 구비된 통신수단(미도시, 예를 들어 와이파이와 같은 무선통신수단 또는 케이블로 연결된 유선통신수단 등)을 이용하여 중앙관제장치로 고장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의 경우 연기감지부(20)가 별도의 본체(암상자)를 구비하는 것이며,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연기감지부(20)의 발광소자(21) 및 수광소자(22)가 스프링클러부(30) 본체 내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기감응식 자동개폐형 스프링클러헤드를 도시한 정단면도 및 구동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발광소자(21) 및 수광소자(22)는 스프링클러부(30) 내에 구비된다. 그 구비된 방식 및 자체 테스트를 위한 상세한 설명은 차후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부(30)의 구동 방식을 예시한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스프링클러부(30)는 캡(600), 스프링(610) 및 개방수단(620)을 포함한다.
캡(600)은 배관연결부(10)를 통해 공급되는 소화수가 분출되는 것을 막기 위한 수단이다. 평소(즉, 화재 발생을 인식하지 않은 경우)에는 캡(600)의 하단에 구비된 스프링(610)에 의해 상방향으로 힘이 전달되어 캡(600)이 배관연결부(10)를 막아 소화수의 분출을 차단하며, 화재발생이 인식되면 개방수단(620)에 의해 캡(600)이 아래방향으로 이동되어 소화수가 외부로 분출되는 구조이다.
개방수단(620)은 일례에 따르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밸브와 같이 전기가 인가되면 캡(600)을 개방시키는 방식일 수 있다. 솔레노이드밸브는 전자 밸브로서 전기가 통하면 플랜지(즉 캡(600)과 연결된 코일이 감겨져 있는 부분)가 올라가 밸브(즉 캡(600))가 열리고 전기가 차단되면 플랜지 무게(여기서는 스프링(610)에 의한 탄성력)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밸브가 닫히는 방식이다. 솔레노이드밸브 방식은 하나의 예일 뿐이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 시에는 개방수단(620)에 전원이 차단되어 캡(600)이 올려져 있어 소화수의 분출이 차단된 상태이며, 화재가 인식되면(즉, 연기를 감지하면) 개방수단(620)에 전기가 인가되어 캡(600)이 스프링(610)의 힘을 이겨내며 아래로 내려지게 되어 소화수가 분출된다.
그리고, 도면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헤드는 화재 발생 인식 후, 차후 연기가 더 이상 감지되지 않으면 개방수단(620)에 인가된 전기를 차단하여 캡(600)이 원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여 소화수의 분출을 중단시킨다. 즉, 스프링클러부(30)가 구동되는 도중에, 제어부는 연기감지부(20)에 의한 연기감지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개방수단(620)을 제어하여 물의 분사를 중단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클러헤드는 자체 구비된 연기감지 기능에 따라 스프링클러부(30)를 구동시키거나 또는 중단시킬 수 있다. 종래의 유리관을 파열하는 방식에 의하면 한번 소화수가 분출되면 소화수 배관을 막거나 소화수가 모두 사용될 때까지 계속 분출되는데 비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스프링클러헤드가 직접 화재여부 판단하여 소화수의 분출 및 분출 차단을 자체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기감응식 자동개폐형 스프링클러헤드의 연기감지 기능 테스트를 위한 센서의 이동형태를 도시한 예시도들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도 5에 따른 스프링클러헤드에서도 연기감지 기능에 대한 자체 테스트가 가능하다.
도 7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스프링클러부(30) 내에 발광소자(21)와 수광소자(22)가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되, 평상시에는 캡(600)에 의해 막혀 발광소자(21)로부터의 빛이 수광소자(22)로 전달되지 않는다. 그리고 자체 테스트 기능이 구동되면 이동수단에 의해 발광소자(21)와 수광소자(22)가 아래로 내려오게 되어 발광소자(21)로부터의 빛이 수광소자(22)로 직접 전달됨으로 인해, 수광소자(22)가 정상적으로 빛을 센싱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배관연결부
20 : 연기감지부
21 : 발광소자
22 : 수광소자
30 : 스프링클러부;
40 : 반사판

Claims (9)

  1. 암상자 및 상기 암상자 내부에 구비되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포함하되, 상기 발광소자와 상기 수광소자는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연기감지부;
    평상시 상기 발광소자로부터의 직진성 빛이 상기 수광소자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발광소자와 상기 수광소자 사이로 상기 암상자를 관통하며, 상기 암상자를 관통하는 부분 외의 일부는 빛이 통과되는 투명재질로 형성되는 스프링클러부;
    상기 스프링클러부의 투명재질 부위로 상기 연기감지부를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발광소자로부터의 직진성 빛이 상기 수광소자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연기감지부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 및
    상기 암상자 내부로 유입된 화재 연기에 의해 상기 발광소자로부터의 빛이 산란되어 상기 수광소자로 일부가 유입되어 측정되는 연기감지값이 임계값 이상이 되면 화재 발생으로 인식하여 상기 스프링클러를 작동시키며,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발광소자 및 상기 수광소자가 정상작동 하는지 여부를 테스트하는 연기감지 테스트를 주기적으로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연기감응식 자동개폐형 스프링클러헤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광소자는 서로 다른 방향에서 유입되는 빛을 센싱하기 위해 복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각 수광소자에 의한 센싱값을 기반으로 상기 스프링클러부의 작동여부를 결정하는, 연기감응식 자동개폐형 스프링클러헤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클러부는,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분사를 막기 위한 캡;
    상기 캡을 상방향으로 밀어주기 위한 스프링;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캡을 하방향으로 밀어내어 물이 분사되도록 하는 개방수단을 포함하는, 연기감응식 자동개폐형 스프링클러헤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클러부가 구동되는 도중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기감지부에 의한 연기감지값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개방수단을 제어하여 물의 분사를 중단시키는, 연기감응식 자동개폐형 스프링클러헤드.
  8. 삭제
  9. 삭제
KR1020190012429A 2019-01-31 2019-01-31 연기감응식 자동개폐형 스프링클러헤드 KR101997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429A KR101997840B1 (ko) 2019-01-31 2019-01-31 연기감응식 자동개폐형 스프링클러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429A KR101997840B1 (ko) 2019-01-31 2019-01-31 연기감응식 자동개폐형 스프링클러헤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7840B1 true KR101997840B1 (ko) 2019-07-08

Family

ID=67255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2429A KR101997840B1 (ko) 2019-01-31 2019-01-31 연기감응식 자동개폐형 스프링클러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784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152A (ja) * 1995-06-27 1997-01-17 Sharp Corp 煙センサーの検査方法
KR20060115511A (ko) * 2005-05-06 2006-11-09 주식회사 아세아유니온 소방용 자동차단밸브
JP2009017987A (ja) * 2007-07-11 2009-01-29 Nohmi Bosai Ltd 高膨張泡消火設備
KR20160047868A (ko) * 2014-10-23 2016-05-03 주식회사 에코유전 화재 예방을 위한 오동작 방지기능이 탑재된 연기감지기
KR20170022258A (ko) 2015-08-20 2017-03-02 박호영 원포인트 스프링클러
KR101731710B1 (ko) * 2015-07-16 2017-04-28 임형규 화재의 초기 진압이 용이한 소방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152A (ja) * 1995-06-27 1997-01-17 Sharp Corp 煙センサーの検査方法
KR20060115511A (ko) * 2005-05-06 2006-11-09 주식회사 아세아유니온 소방용 자동차단밸브
JP2009017987A (ja) * 2007-07-11 2009-01-29 Nohmi Bosai Ltd 高膨張泡消火設備
KR20160047868A (ko) * 2014-10-23 2016-05-03 주식회사 에코유전 화재 예방을 위한 오동작 방지기능이 탑재된 연기감지기
KR101731710B1 (ko) * 2015-07-16 2017-04-28 임형규 화재의 초기 진압이 용이한 소방시스템
KR20170022258A (ko) 2015-08-20 2017-03-02 박호영 원포인트 스프링클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3738B2 (en) Water extinguishing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for controlling the water extinguishing system
US830790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conversion of sprinkler system
US5236049A (en) Fire emergency, sprinkl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US10870028B2 (en) Sprinkler system with a pre-action sprinkler head
CN106672763B (zh) 电梯门光幕对电梯轿门关闭状态的监控方法
KR101997840B1 (ko) 연기감응식 자동개폐형 스프링클러헤드
JP5603682B2 (ja) 消火栓装置
EP1702655A1 (en) Improved sprinkler test system
KR20080001532U (ko) 알람밸브 작동 시험용 테스트 밸브
KR20190074034A (ko) 소화약제 방출제어장치 및 이를 갖춘 자동소화설비
KR101590617B1 (ko) 선박의 화재진압을 위한 메인 밸브
US11450198B2 (en) Manual call point
JP2014188302A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JP5004170B2 (ja) 予作動式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KR102687023B1 (ko) 소화장치 감지시스템
JP2019176884A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JP3608323B2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KR102062302B1 (ko) 소방선로에 사용되는 교차 회로 감지기 및 그 작동방법
KR102029314B1 (ko) 주방 소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490165B1 (ko) 과압방지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복합밸브
KR100399600B1 (ko) 자동 화재방지장치
JP2005040451A (ja) 流水検知装置
KR20240134439A (ko) 일제개방밸브의 오작동이 방지되는 소화시스템 및 방법
KR20060095102A (ko) 소형자동소화장치
CN117989364A (zh) 一种具有防复位功能的预作用阀组件及其雨淋阀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