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7348B1 - 스프링클러의 헤드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스프링클러의 헤드 보호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87348B1 KR101287348B1 KR1020100111229A KR20100111229A KR101287348B1 KR 101287348 B1 KR101287348 B1 KR 101287348B1 KR 1020100111229 A KR1020100111229 A KR 1020100111229A KR 20100111229 A KR20100111229 A KR 20100111229A KR 101287348 B1 KR101287348 B1 KR 1012873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rinkler
- head
- door
- closed
- temperat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는 스프링클러의 헤드 보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프링클러의 전체를 감싸는 상태로 결합 지지되는 헤드 보호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두 개로 양분되는 상태에서 일측단에 힌지를 두어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며 또한 각각에 하단이 힌지 결합되어 상측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한 도어를 구비하는 한 조의 보호구 프레임 내에 탄성 클립을 두고 이 탄성 클립을 통해 스프링클러의 지지 프레임에 탄성적으로 끼워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헤드와의 조립 체결 시 감열체인 유리튜브의 손상 우려가 없고 별도의 조이거나 풀러주는 방식의 복잡한 체결구조가 필요없이 스프링클러와의 착탈이 원터치로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헤드에 결합된 상태에서 스프링클러의 미 작동 시에는 조립 시 삽입구를 제외한 상부와 측방이 빈틈없이 막혀지는 원통형의 구조가 되도록 함으로써 헤드가 외부의 물체로부터 안전하게 격리 보호될 수 있으며 스프링클러의 작동 시에는 살수 압력을 통해 자동적으로 도어가 개폐되면서 보호구의 외부로 소방수의 살포가 가능하여 취급의 편의성을 갖게 되는 스프링클러의 헤드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물의 천장에 설치되는 스프링클러의 헤드 보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프링클러의 전체를 감싸는 상태로 결합 지지되는 헤드 보호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두 개로 양분되는 상태에서 일측단에 힌지를 두어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며 또한 각각에 하단이 힌지 결합되어 상측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한 도어를 구비하는 한 조의 보호구 본체 에 탄성 클립을 두고 이 탄성 클립을 통해 스프링 클러의 지지 프레임에 탄성적으로 끼워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헤드와의 조립 체결 시 감열체인 유리튜브의 손상 우려가 없고 별도의 조이거나 풀러주는 방식의 복잡한 체결구조가 필요 없이 스프링클러와의 착탈이 원터치로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헤드에 결합된 상태에서 스프링클러의 미 작동 시에는 조립 시 삽입구를 제외한 상부와 측방이 빈틈없이 막혀지는 원통형의 구조가 되도록 함으로써 헤드가 외부의 물체로부터 안전하게 격리 보호될 수 있으며 스프링클러의 작동 시에는 살수 압력을 통해 자동적으로 도어가 개폐되면서 보호구의 외부로 소방수가 가능하도록 하여 취급의 편의성을 갖게 되는 스프링클러의 헤드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래에는 건물이 고층화되고, 대형화됨에 따라 건물내에 화재가 발생 시에 소방차가 신속하게 출동하여 고가사다리차를 이용하여 화재를 진압한다고 하더라도 고가사다리차의 상측이동에 높이 제한을 받을 뿐만 아니라 건물의 내부 깊숙이 발생되는 불길을 진화하는 데에는 더욱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새로운 화재 진압기구가 점차적으로 실용화되고 대중화됨에 따라 고층건물의 각 층 천장부위에는 고압의 물을 급수하여 살포하므로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가 의무적으로 설치되어 사용된다.
상기 스프링클러는 소방시설들 중에서 가장 능동적인 소방시설로써,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로 인하여 발생하는 열을 감지하여 작동하게 되어 살수를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스프링클러는 외부에서 물을 공급하는 스프링클러의 배관과 직접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장소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스프링클러 헤드로 나뉜다.
또한 스프링클러 헤드의 구조는 스프링클러 헤드의 나사부분과 디플렉타를 연결하는 이음쇠 부분으로 구성되는프레임(Frame)과 스프링클러 헤드의 방수구에서 유출되는 물을 세분시키는 작용을 하는 디플렉타(Deflector) 그리고 정상상태에서는 방수구를 막고 있으나 열에 의하여 일정한 온도에 도달하면 스스로 파괴, 용해되어 헤드로부터 이탈됨으로써 방수구가 열려 스프링클러 헤드가 작동되도록 하는 부분인 감열체, 즉 유리튜브로 나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스프링클러는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프링클러는 헤드가 천정 밑에 설치되어 헤드입구를 막고 있는 감열체가 화재 등의 열기류의 의해 작동, 분해되어 방수부에서 나오는 물을 화점에 고루 살수시켜 소화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의 역할을 수행하는 헤드는 상단의 나사 결합부만을 제외하고, 방사부를 포함한 나머지 부위는 천장 표면으로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있어 건물 내 각종 공사를 하는 도중이나 또는 높이가 있는 물품을 운반하는 도중 약간만 부주의하게 되면 헤드에 접촉되면서 헤드를 쉽게 파손시켜 이를 교체함에 따른 비용이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처럼 헤드의 파손으로 교체비용이 추가되는 것보다 더 큰 문제점은 헤드가 파손된 것을 모르고 그냥 헤드를 방치하였을 경우에 화재가 발생되면 스프링클러의 작동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아 초기에 화재진압을 못하게 되므로 크나큰 화재로 이어져 많은 재산과 인명피해가 발생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고자 특허제 821215호로 등록받은 "천장 스프링클러의 헤드 보호장치"가 있었으나 헤드에 보호망을 씌워준 후 이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조임 볼트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조임 볼트는 약간만 강하게 조여도 압력에 의해 헤드의 유리튜브가 쉽게 파손되는 것은 물론 조임 볼트를 별도의 체결공구를 사용하여 조여 주어야 하므로 그만큼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량 발명한 구성이 출원번호 20- 2008- 0017178호 출원된 바, 있으며 이는 상단의 결합부는 레듀싱 니플에 나사 결합되고 하단에 방사부가 구비된 헤드를 보호하기 위해 "U"자형 세로 링과 가로링을 서로 엮어서 내부에 수납부가 구비되는 보호망으로 스프링클러헤드 보호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세로 링의 상단에는 일단이 개구되어 입구가 구비된 "U"자형 환대를 레듀싱 니플과 헤드의 결합부 부위를 감싸도록 설치하고, 환대의 일단에는 힌지부를 구비하여 나사부에 나비너트가 체결된 고정봉을 힌지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환대의 타단에는 고정 봉의 나사부가 끼워져 걸리는 고정 홈을 형성하여 고정 봉에 의해 여닫히는 입구를 통해 스프링클러헤드가 출입되게 구성하여 헤드에 보호망을 씌워 고정시키는 작업 시 헤드의 유리튜브가 파손될 우려가 극히 적은 것은 물론 별도의 체결공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보호망을 고정시킬 수 있음에 따라 작업성이 향상되는 천장 스프링클러의 헤드 보호 장치가 알려지고 있으나,
이는 체결을 위해 고정 봉과 나비너트가 구비되어야 하는 것이어서 구성과 체결과정이 복잡하게 되며, 또한 보호망의 사이로 공간이 크고 많아 작업 중 가늘거나 첨예한 물품의 경우 쉽게 보호망 내부로 침투되어 헤드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는 것이어서 제품의 신뢰성 저하와 헤드 보호에 만전을 기할 수 없었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구조에서 기인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프링클러 헤드와의 조립 체결 시 감열체인 유리튜브의 손상 우려가 없고 별도의 조이거나 풀러주는 방식의 복잡한 체결구조가 필요없이 스프링클러와의 착탈이 원터치로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스프링클러의 헤드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프링클러 헤드에 결합된 상태에서 스프링클러의 미 작동 시에는 조립 시 삽입구를 제외한 상부와 측방이 빈틈없이 막혀지는 원통형의 구조가 되도록 함으로써 헤드가 외부의 물체로부터 안전하게 격리 보호될 수 있으며, 스프링클러의 작동 시에는 살수 압력을 통해 자동적으로 도어가 개폐되면서 보호구의 외부로 소방수의 살포가 가능하도록 하여 취급의 편의성을 갖게 되는 스프링클러의 헤드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의 전체를 감싸는 상태로 결합 지지되는 헤드 보호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두 개로 양분되는 상태에서 일 측단에 힌지를 두어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한 한 조의 보호구 본체를 구비하되 각 보호구 본체의 외측에는 하단이 힌지 결합되어 상측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한 도어를 구비하며, 각 보호구 본체의 내면에는 스프링클러의 지지 프레임에 탄성적으로 끼워 지지되도록 탄성 클립을 두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호구 본체와 도어에는 외부의 온도가 보호구 본체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직접적으로 감열체에 전이될 수 있도록 하여 스프링클러의 정확한 작동타이밍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온도감지 안내구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스프링클러의 헤드 보호장치는 탄성클립을 통해 간단한 끼움동작만으로 스프링클러와 체결 지지되는 것이므로 헤드와의 조립 체결 시 감열체인 유리튜브의 손상 우려가 없고 별도의 조이거나 풀러주는 방식의 복잡한 체결구조가 필요없이 스프링클러와의 착탈이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헤드에 결합된 상태에서 스프링클러의 미 작동 시에는 조립 시 삽입구를 제외한 상부와 측방이 빈틈없이 막혀지는 원통형의 구조가 되도록 함으로써 헤드가 외부의 물체로부터 안전하게 격리 보호될 수 있으며,
또한 스프링클러의 작동 시에는 살수 압력을 통해 자동적으로 도어가 개폐되면서 보호구의 외부로 소방수의 살포가 가능하게 되어 취급의 편의성을 갖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성 예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조립된 본 발명의 개방상태의 정면도.
도 3은 조립된 본 발명의 닫힘 상태에서의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을 스프링클러 헤드에 장착한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5는 도 4에서 작동되는 스프링클러 헤드의 살수압력에 의해 도어가 개방되는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2는 조립된 본 발명의 개방상태의 정면도.
도 3은 조립된 본 발명의 닫힘 상태에서의 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을 스프링클러 헤드에 장착한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5는 도 4에서 작동되는 스프링클러 헤드의 살수압력에 의해 도어가 개방되는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성 예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을 스프링클러 헤드에 장착한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 작동되는 스프링클러 헤드의 살수압력에 의해 도어가 개방되는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로서,
본 발명은, 크게 본 발명 보호 장치의 주체를 이루는 한 조의 보호구 본체(10)(10')와, 이 보호구 본체(10)(10')에 결합되어 스프링클러 헤드(S)의 미 작동 시에는 내부를 밀폐시켜 외부의 물체 침투를 차단하고 스프링클러 헤드(S)의 작동 시에는 살수 압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개방되어 작동에 지장을 주지 않게 하는 한 쌍의 도어(20)(20'), 그리고 보호구 본체(10)(10')와 도어(20)(20')에 각각 구성되어 스프링클러 헤드(S)가 설치된 외부의 온도가 보호구 본체(10)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직접적으로 감열체(S1)로 전이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온도감지 안내구조(30)로 대별된다.
상기 보호구 본체(10)(10')는,
일측 변이 힌지(15)를 통해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반원형의 하부 커버체(11)(11')와, 상기 각 하부 커버체(11)(11')의 중간에 수직으로 입설 고정되는 금속 재질의 연결 지지대(12)(12'), 그리고 상기 연결 지지대(12)(12')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 구성되며 상방이 밀폐된 상태의 한 쌍의 상부 캡(13)(13') 및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S)의 지지 프레임(S2)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연결 지지대(12)(12')의 내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보호구 본체(10)(10')를 스프링클러(S)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켜주기 위한 탄성클립(14)(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도어(20)(20')는,
도어힌지(22)를 통해 저변이 하부 커버체(11)(11')상에 상하로 개폐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하부 커버체(11)(11')와 상부 캡(13)(13')사이의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한 쌍의 반원형 도어 본체(21)(21')와, 상기 도어 본체(21)(21')의 상측 내면에 부착 고정되는 닫힘 유지용 자석편(23)(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온도감지 안내구조(30)는,
상기 도어 본체(21)(21')에 천공되는 통공(31)(31')과, 상기 연결 지지대(12)(12')의 내면에 고정 설치되는 한 조의 금속재질의 온도 감지편(32)(32')과, 상기 각 온도 감지편(32)(32')의 내측단에 일체로 횡으로 연결 설치되는 금속재질의 온도전이용 코일형 탄성체(33)(33')와, 상기 온도전이용 코일형 탄성체(33)(33')의 단부에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스프링클러(S)의 감열체(S1)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상태로 온도 감지편(32)(32')에서 감지되는 온도를 전이시켜 주기 위한 금속재질의 접지편(34)(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스프링클러의 헤드 보호장치는 도 1에서와 같이 힌지(15)를 통해 분리된 두 개의 하부 커버체(11)(11')를 조립시키면 이와 일체로 구성되는 나머지 연결 지지대(12)(12')와 상부 캡(13)(13')이 서로 연결되는 것이며, 도어힌지(22)를 통해 분리된 두 개의 도어 본체(21)(21')가 하부 커버체(11)(11')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 조립되는 것이다.
상기 도어 본체(21)(21')가 연결되어 닫혀지면 도 3에서와 같이 닫힘 유지용 자석편(23)(23')이 금속재질의 연결지지대(12)(12')에 자력으로 접착되어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닫힘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닫힘 유지용 자석편(23)(23')의 자력보다 강한 힘이 도어를 밖으로 밀어주는 경우 도어 본체(21)(21')는 외향으로 열려지게 된다.
한편 도 2는 상기 하부 커버체(11)(11')와 도어 본체(21)(21')가 연결 조립된 상태에서 보호구 본체(10)(10')가 개방된 상태이고 도 3은 보호구 본체(10)(10')가 닫혀져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프링클러의 헤드 보호장치를 스프링클러(S)에 장착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조립된 보호구 본체(10)(10')가 도 2에서와 같이 벌려 준 상태에서 임의의 일측 보호구 본체(10)의 연결 지지대(12)의 탄성클립(14)을 스프링클러(S)의 일측 지지 프레임(S2)에 대고 눌러 지지 프레임(S2)과 탄성클립(14)이 결합 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타 측의 보호구 본체(10')를 닫힘 방향으로 회전시켜 강하게 눌러줌으로써 타 측의 연결 지지대(12')의 탄성클립(14')이 스프링클러 헤드(S)의 타측 지지 프레임(S2)에 접촉되어 벌어지면서 스프링클러(S)의 타측 지지 프레임(S2)이 탄성클립(14')에 끼워져 도 4에서와 같이 스프링클러 헤드(S)에의 장착이 완료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온도전이용 코일형 탄성체(33)(33')이 살짝 수축되면서 단부의 접지편(34)(34')이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S)의 감열체(S1)에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외부로 노출된 온도 감지편(32)(32')에서 감지되는 온도를 감열체(S1)에 전이시켜 주게 된다.
본 발명의 장치가 스프링클러 헤드(S)를 완전히 감싸 커버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공사 중이나 물품 운반 시 등의 작업 시 외부 물체가 헤드와 접촉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 방어할 수 있게 됨으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화재 등의 비상사태가 발생되어 실내의 온도가 스프링클러 헤드(S)의 감열체(S1)의 설정 온도보다 높아지게 되어 온도 감지편(32)(32')에 의해 한계 온도 이상의 온도가 전이되면 감열체(S1)가 깨지면서 소방수가 살수되는 것이며, 상기 닫힘 유지용 자석편(23)(23')의 접접착력보다 큰 외향으로 확장 반사 되는 소방수의 살수 압력에 의해 도 5에서와 같이 도어(20)(20')가 열려지면 살수되는 소방수는 개방된 공간을 통해 외부로 분사되어 화재를 소화하게 되는 것이다.
화재가 진압된 후에는 다시 도어(20)(20')를 닫힘 방향으로 밀어주면 도어(20)(20')가 초기와 같이 원위치로 닫혀져 스프링클러 헤드(S)의 보호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S:스프링클러 헤드 S1:감열체
S2:지지 프레임 10:보호구 본체
11,11':하부 커버체 12,12':연결 지지대
13,13':상부 캡 14,14':탄성 클립
15::힌지 20:도어
21,21':도어 본체 22:도어힌지
23,23':닫힘 유지용 자석편 30:온도감지 안내구조
31,31':통공 32,32':온도 감지편
33,33':온도전이용 코일형 탄성체 34,34':접지편
S2:지지 프레임 10:보호구 본체
11,11':하부 커버체 12,12':연결 지지대
13,13':상부 캡 14,14':탄성 클립
15::힌지 20:도어
21,21':도어 본체 22:도어힌지
23,23':닫힘 유지용 자석편 30:온도감지 안내구조
31,31':통공 32,32':온도 감지편
33,33':온도전이용 코일형 탄성체 34,34':접지편
Claims (2)
- 스프링클러 헤드(S)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외부로 부터의 헤드 손상요인을 차단하기 위한 스프링클러의 헤드 보호장치를 구성함에 있어,
일측 변이 힌지(15)를 통해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반원형의 하부 커버체(11)(11')와, 상기 각 하부 커버체(11)(11')의 중간에 수직으로 입설 고정되며 내측면에 스프링클러 헤드(S)와의 착탈 가능한 결합을 위한 탄성클립(14)(14')을 고정 구비하는 금속 재질의 연결 지지대(12)(12')와, 상기 연결 지지대(12)(12')의 상단에 일체로 연결 구성되며 상방이 밀폐된 상태의 한 쌍의 상부 캡(13)(1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보호구 본체(10)와;
상기 도어힌지(22)를 통해 저변이 하부 커버체(11)(11')상에 상하로 개폐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하부 커버체(11)(11')와 상부 캡(13)(13')사이의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기 위한 한 쌍의 반원형 도어 본체(21)(21')와, 상기 도어 본체(21)(21')의 상측 내면에 부착 고정되는 닫힘 유지용 자석편(23)(2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어(20)와;
상기 도어 본체(21)(21')에 천공되는 통공(31)(31')과, 상기 연결 지지대(12)(12')의 내면에 고정 설치되는 한 조의 온도 감지편(32)(32')과, 상기 각 온도 감지편(32)(32')의 내측단에 일체로 횡으로 연결 설치되는 금속 재질의 온도전이용 코일형 탄성체(33)(33')와, 상기 온도전이용 코일형 탄성체(33)(33')의 단부에 일체로 고정되며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S)의 감열체(S1)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상태로 온도 감지편(32)(32')에서 감지되는 온도를 전이시켜 주기 위한 금속재질의 접지편(34)(3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온도감지 안내구조(30)를 각각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의 헤드 보호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감지편(32)(32')과 온도전이용 코일형 탄성체(33)(33') 및 접지편(34)(34')은 구리 재질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의 헤드 보호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11229A KR101287348B1 (ko) | 2010-11-08 | 2010-11-08 | 스프링클러의 헤드 보호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11229A KR101287348B1 (ko) | 2010-11-08 | 2010-11-08 | 스프링클러의 헤드 보호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00010486 Division | 2010-10-1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37332A KR20120037332A (ko) | 2012-04-19 |
KR101287348B1 true KR101287348B1 (ko) | 2013-07-23 |
Family
ID=46138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11229A KR101287348B1 (ko) | 2010-11-08 | 2010-11-08 | 스프링클러의 헤드 보호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87348B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09996B1 (ko) | 2017-01-24 | 2017-02-24 | (주)한길엔지니어링 | 건물 소방용 스프링클러 헤드 보호장치 |
KR101900039B1 (ko) * | 2017-03-30 | 2018-09-19 | 최영표 | 스프링클러 헤드 보호장치 |
JP2020065809A (ja) * | 2018-10-25 | 2020-04-30 | 能美防災株式会社 | 防塵キャップ及びそれを備えた放水ノズル |
KR102308608B1 (ko) | 2021-04-02 | 2021-10-06 | 이수이엔지 주식회사 |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화재감지기능 탑재 소방장치 |
KR102308607B1 (ko) | 2021-04-02 | 2021-10-06 | 이수이엔지 주식회사 | 스프링클러 결합 소방방재장치 |
KR102488195B1 (ko) | 2021-12-09 | 2023-01-16 | (주)건축사사무소 테마공간 | 소방용 스프링클러 헤드 보호장치 |
KR102500402B1 (ko) | 2022-12-02 | 2023-02-16 | 주식회사 금라기술단 | 건축 소방용 스프링클러 헤드 보호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47198B1 (ko) * | 2021-04-13 | 2022-01-04 | 주식회사 신흥이앤지 | 안전 대피를 위한 소방피난유도장치 |
KR102347202B1 (ko) * | 2021-04-13 | 2022-01-04 | 주식회사 신흥이앤지 | 신속한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방재장치 |
KR102306063B1 (ko) * | 2021-04-15 | 2021-09-28 | (주)하일기술단 | 공동주택의 소방용 안전 유도장치 |
KR102311894B1 (ko) * | 2021-04-19 | 2021-10-14 | (주)배정기술단 | 화염 차단 기능을 갖춘 소방용 차단장치 |
KR102311897B1 (ko) * | 2021-04-21 | 2021-10-14 | (주)배정기술단 | 스프링클러 결합형 소방방재장치 |
KR102638897B1 (ko) * | 2022-11-24 | 2024-03-12 | (주)세완 | 풀커버형 스프링클러 |
KR102588200B1 (ko) * | 2022-12-27 | 2023-10-12 | (주)유원건축사사무소 | 건축물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헤드 보호장치 |
KR102619957B1 (ko) * | 2023-05-26 | 2024-01-02 | 주식회사 천아엔지니어링 | 건축물 소방수 급배수 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59890A (ko) * | 1996-12-31 | 1998-10-07 | 박병재 | 회전수 가변형 얼터네이터 시스템 |
KR100522146B1 (ko) | 2003-03-10 | 2005-10-18 | 주식회사 파라다이스산업 | 조기 반응형 컨실드 스프링클러 |
KR200454219Y1 (ko) * | 2008-12-26 | 2011-06-23 | 주식회사 동양플랙스 | 천장 스프링클러의 헤드 보호장치 |
-
2010
- 2010-11-08 KR KR1020100111229A patent/KR10128734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59890A (ko) * | 1996-12-31 | 1998-10-07 | 박병재 | 회전수 가변형 얼터네이터 시스템 |
KR100522146B1 (ko) | 2003-03-10 | 2005-10-18 | 주식회사 파라다이스산업 | 조기 반응형 컨실드 스프링클러 |
KR200454219Y1 (ko) * | 2008-12-26 | 2011-06-23 | 주식회사 동양플랙스 | 천장 스프링클러의 헤드 보호장치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09996B1 (ko) | 2017-01-24 | 2017-02-24 | (주)한길엔지니어링 | 건물 소방용 스프링클러 헤드 보호장치 |
KR101900039B1 (ko) * | 2017-03-30 | 2018-09-19 | 최영표 | 스프링클러 헤드 보호장치 |
JP2020065809A (ja) * | 2018-10-25 | 2020-04-30 | 能美防災株式会社 | 防塵キャップ及びそれを備えた放水ノズル |
JP7128085B2 (ja) | 2018-10-25 | 2022-08-30 | 能美防災株式会社 | 防塵キャップ及びそれを備えた放水ノズル |
KR102308608B1 (ko) | 2021-04-02 | 2021-10-06 | 이수이엔지 주식회사 | 신속하게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화재감지기능 탑재 소방장치 |
KR102308607B1 (ko) | 2021-04-02 | 2021-10-06 | 이수이엔지 주식회사 | 스프링클러 결합 소방방재장치 |
KR102488195B1 (ko) | 2021-12-09 | 2023-01-16 | (주)건축사사무소 테마공간 | 소방용 스프링클러 헤드 보호장치 |
KR102500402B1 (ko) | 2022-12-02 | 2023-02-16 | 주식회사 금라기술단 | 건축 소방용 스프링클러 헤드 보호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37332A (ko) | 2012-04-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87348B1 (ko) | 스프링클러의 헤드 보호장치 | |
HK1120454A1 (en) | Residential fire sprinkler | |
US9993675B2 (en) | Pre-action sprinkler head | |
KR101063857B1 (ko) | 집열판을 구비하는 상향식 스프링클러 | |
KR200403464Y1 (ko) | 내충격 및 내진성의 조기반응형 스프링클러 헤드 | |
KR200454219Y1 (ko) | 천장 스프링클러의 헤드 보호장치 | |
KR101679708B1 (ko) | 탈출이 용이한 소방용 완강기 | |
KR101880036B1 (ko) | 건축물 화재 발생시 화재진압 소방장치 | |
US7431100B2 (en) | Fire fighting tool | |
KR101918963B1 (ko) | 공동주택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시설 작동시스템 | |
US6719214B1 (en) | Fire-extinguishing device | |
CN109316699B (zh) | 一种可自动识别火灾的自动灭火器 | |
KR100968064B1 (ko) | 화재로 인한 재해 방지 소화 시스템 및 소화 방법 | |
CN221385028U (zh) | 一种消防栓防护箱 | |
JP5767451B2 (ja) |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 |
CN220175937U (zh) | 一种楼宇消防安全用自动化灭火装置 | |
CN214382551U (zh) | 一种建筑消防设施维护保养设备 | |
CN116780358B (zh) | 一种自动断电灭火电气柜 | |
CN215585334U (zh) | 一种建筑消防用的喷洒装置 | |
CN215900798U (zh) | 一种城市用火灾发生喷水快速触发装置 | |
CN215387220U (zh) | 一种消防安全用监管装置 | |
JP2001218864A (ja) | 火災感知器型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及びこれを含むスプリンクラーシステム | |
CN219344518U (zh) | 一种人防隔断防护门 | |
CN221779327U (zh) | 一种具有灭火机构的疏散楼梯防火门 | |
CN215995389U (zh) | 一种新型灭火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