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4738B1 - 공동주택의 소방전용 도어 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소방전용 도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4738B1
KR101714738B1 KR1020160050951A KR20160050951A KR101714738B1 KR 101714738 B1 KR101714738 B1 KR 101714738B1 KR 1020160050951 A KR1020160050951 A KR 1020160050951A KR 20160050951 A KR20160050951 A KR 20160050951A KR 101714738 B1 KR101714738 B1 KR 101714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e
door
solenoid valve
fram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0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근
Original Assignee
(주)한동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동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한동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60050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47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4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4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36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 single vertical axis of rotation at one side of the opening, or swinging through the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4Sealing arrangements between the door or window and its frame, e.g. intumescent seal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8Shape of edges of wing and/or its frame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7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 G01N21/49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within a body or fluid
    • G01N21/53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within a body or fluid within a flowing fluid, e.g. smoke
    • G01N21/534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within a body or fluid within a flowing fluid, e.g. smoke by measuring transmission alone, i.e. determining opacit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10Additional functions
    • E05Y2800/12Sea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2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smoke or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소방전용 도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경고램프와 연기차단수단과 소화수분사수단을 구비하여 세대내부공간과 세대외부공간이 도어에 의하여 구획된 공동주택에서 세대외부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세대외부공간에서 발생한 연기가 문틈을 통해 세대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연기로 인한 질식사고 등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원터치 조작에 의하여 연기차단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세대외부공간에 소화수를 분사할 수 있게 하여 세대외부공간의 화재를 진압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소방전용 도어 장치{Door system for fighting fire in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소방 분야 기술 중에서, 공동주택의 소방전용 도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세대내부공간과 세대외부공간이 도어에 의하여 구획된 공동주택에서 세대외부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세대외부공간에서 발생한 연기가 문틈을 통해 세대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연기로 인한 질식사고 등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원터치 조작에 의하여 연기차단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세대외부공간에 소화수를 분사할 수 있게 하여 세대외부공간의 화재를 진압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의 소방전용 도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재로 인한 연기 중에는 일산화탄소, 시안화수소, 염화수소, 암모니아 등의 유독가스가 포함되어 있어 한두 모금만 들이마셔도 중독이 되며 의식이 흐려지고 운동 능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매우 치명적이며, 유해 화학물질이 폐 깊숙이 침투하는 과정에서 흡입화상이 발생하여 사망률이 2배 이상 높아지며, 유독가스 중 암모니아는 눈의 점막을 자극하여 순간적으로 앞을 볼 수 없게 되고, 화재 상황에서 당황하게 되면 호흡량이 3배가량 많아져서 더 많은 유독가스를 흡입하게 되어 피해가 커지게 된다.
통계에 따르면 화재 발생시 인명피해 중 연기 질식 및 중독에 의한 사망 사고는 전체 화재로 인한 사망 사고 중 60~70%에 달하여 화상 등에 의한 사망 사고보다 높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공동주택의 경우 각 세대별 현관문에 의하여 세대내부공간과 세대외부공간으로 구획되는데, 통상 세대별 현관문은 양측 선틀과 위틀 및 밑틀로 이루어지는 문틀과, 문틀에 경첩에 의하여 여닫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도어로 구성되는 것으로 문틀과 도어 사이에는 틈새가 생길 수밖에 없으며, 현관문을 설치한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도어의 자중에 의하여 도어가 밑으로 처짐과 아울러 도어 자체가 변형되면서 문틈이 점차 커지게 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새대외부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현관문을 열고 탈출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연기가 문틈을 통해 세대내부공간으로 유입되어 세대거주자가 연기로 인한 인명피해를 입게 된다.
이러한 연기의 유입을 막기 위한 방편으로서 소방관련관청의 지침에서는 수건을 물에 적셔서 문틈을 틀어막을 것을 권장하고 있으나, 이것만으로는 유입되는 연기를 확실하게 막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특히 현관문 바로 바깥에서 화재가 발생한 상황에서 세대주거자가 침착하게 수건을 물에 적셔서 문틈을 막는다는 것은 그리 쉽지 않은 상황임을 감안할 때 연기의 유입으로 인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28682호(2009.11.19. 등록) "모터를 이용한 소방용 도어클로저"(이하, '선행기술'이라 함)는 화재발생시 화재 확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방화문을 자동 폐쇄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화문은 설치 후 화재가 발생하기 전까지는 장기간 사용되지 않아 문틀과 도어 사이에 이물질이 피착되어 도어가 폐쇄되더라도 문틀과 도어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게 되어 이 틈새를 통한 연기의 유입을 차단할 수 없게 되어 연기로 인한 인명 사고를 방지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현관문 밖의 세대외부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고 현관문을 열고 탈출할 수 없는 상황에서 원터치 조작에 의하여 연기의 유입을 차단하여 유입되는 연기로 인한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28682호(2009.11.19. 등록) "모터를 이용한 소방용 도어클로저"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대내부공간과 세대외부공간이 도어에 의하여 구획된 공동주택에서 세대외부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세대외부공간에서 발생한 연기가 문틈을 통해 세대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연기로 인한 질식사고 등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원터치 조작에 의하여 연기차단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세대외부공간에 소화수를 분사할 수 있게 하여 세대외부공간의 화재를 진압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의 소방전용 도어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세대내부공간과 세대외부공간을 구획하는 벽체에 설치되는 문틀과; 상기 문틀에 여닫이식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와; 상기 문틀과 도어 사이의 문틈을 폐쇄하는 연기차단수단과; 상기 도어의 전면으로 소화수를 분사하는 소화수분사수단과; 벽체의 일측에 설치되어 세대외부공간의 화재발생을 알리는 경고램프; 및 상기 연기차단수단과 소화수분사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문틀은 양측 선틀과 위틀 및 밑틀로 구성되고 상기 양측 선틀과 위틀 및 밑틀은 각각 공간부를 가지는 틀본체와, 상기 틀본체의 전면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공간부를 가지는 걸림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문틀의 양측 선틀에 대응하는 양측 수직프레임과 상기 위틀에 대응하는 상부프레임 및 상기 밑틀에 대응하는 하부프레임을 포함하는 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프레임의 전면에 부착되는 전면패널; 및 도어프레임의 후면에 부착되는 후면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양측 수직프레임과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은 각각 공간부를 가지는 프레임본체와, 상기 프레임본체의 전면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패킹삽입공간부를 가지는 패킹설치부와, 상기 패킹설치부의 문틀대향면에 형성되는 슬릿 및, 상기 문틀에 문틀대향면 반대면에 돌출 형성되어 전면패널과 후면패널이 접합되는 패널접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기차단수단은 고무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양측 수직프레임과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의 패킹삽입공간부에 삽입되는 패킹본체부와, 상기 패킹본체부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슬릿에 삽입되는 밀폐부 및, 상기 패킹본체부와 밀폐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가압수주입공간을 가지는 패킹과; 상기 패킹과 동일한 고무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가압수주입공간에 연통 연결되며 일측 선틀의 을 관통하여 후반으로 연장되며 급수원에 연결되는 가압수주입관; 및 상기 가압수주입관에 설치되는 연기차단용 전자밸브;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소화수분사수단은 상기 틀본체의 상면을 관통하여 공간부 내에 설치되며 급수원에 연결되는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의 선단부에서 하향 절곡 연장되어 상기 틀본체의 상단힌지축공과 상기 도어프레임의 프레임본체의 상단힌지축공을 관통하는 힌지축관과; 상기 힌지축관의 하단에 연결되며 상기 전면패널과 후면패널 사이의 공간 내에 삽입되는 분사관과; 상기 분사관에 연결되어 상기 전면패널을 관통하여 전면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분사노즐; 및 상기 급수관에 설치되는 소화수분사용 전자밸브;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벽체의 전면 상단에 각각 매설 및 노출되게 설치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연기센서와; 상기 컨트롤박스에 설치되어 상기 연기차단수단의 연기차단용 전자밸브의 개폐모드를 입력하는 연기차단스위치와; 상기 컨트롤박스에 설치되어 상기 소화수분사수단의 소화수분사용 전자밸브의 개폐모드를 입력하는 소화수분사스위치와; 상기 컨트롤박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평소에는 상기 경고램프의 소등제어명령을 출력하고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고 연기센서에 의하여 연기가 감지되면 상기 경고램프의 점등제어명령을 출력함과 아울러 상기 연기차단스위치가 오프로 되면 연기차단용 전자밸브의 폐쇄제어명령을 출력하고 연기차단스위치가 온으로 되면 연기차단용 전자밸브의 개방제어명령을 출력하며, 소화수분사스위치가 오프로 되면 소화수분사용 전자밸브의 폐쇄제어명령을 출력하고, 소화수분사스위치가 온으로 되면 소화수분사용 전자밸브의 개방제어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경고램프에 대한 소등 및 점등제어명령에 따라 경고램프의 소등 및 점등구동신호를 송출하는 경고램프구동부와; 상기 제어부의 연기차단용 전자밸브에 대한 개폐제어명령에 따라 연기차단용 전자밸브의 개폐구동신호를 송출하는 연기차단용 전자밸브 구동부와; 상기 제어부의 소화수분사용 전자밸브에 대한 개폐제어명령에 따라 소화수분사용 전자밸브의 개폐구동신호를 송출하는 소화수분사용 전자밸브 구동부;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소방전용 도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공동주택의 소방전용 도어 장치에 의하면 경고램프와 연기차단수단과 소화수분사수단을 구비하여 세대내부공간과 세대외부공간이 도어에 의하여 구획된 공동주택에서 세대외부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세대외부공간에서 발생한 연기가 문틈을 통해 세대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연기로 인한 질식사고 등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원터치 조작에 의하여 연기차단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세대외부공간에 소화수를 분사할 수 있게 하여 세대외부공간의 화재를 진압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소방전용 도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후면에서 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문틀과 도어를 분리한 상태를 후면 및 전면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부분 절개 분해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평소의 도어 닫힘 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및 종단면도,
도 7 및 도 8은 연기차단 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및 종단면도,
도 9는 소화수를 분사하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제어수단을 보인 기능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소방전용 도어 장치를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면'은 세대외부공간을 향하는 면을 의미하고, '후면'은 세대내부공간을 향하는 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소방전용 도어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동주택의 소방전용 도어 장치는 세대내부공간과 세대외부공간을 구획하는 벽체(W)에 설치되는 문틀(100)과; 상기 문틀(100)에 여닫이식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200)와; 상기 문틀(100)과 도어(200) 사이의 문틈을 폐쇄하는 연기차단수단(300)과; 상기 도어(200)의 전면으로 소화수를 분사하는 소화수분사수단(400)과; 벽체(W)의 일측에 설치되어 세대외부공간의 화재발생을 알리는 경고램프(500); 및 상기 연기차단수단(300)과 소화수분사수단(400)을 제어하는 제어수단(600);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문틀(100)은 양측 선틀(110)과 위틀(120) 및 밑틀(130)로 구성된다. 상기 양측 선틀(110)과 위틀(120) 및 밑틀(130)은 각각 공간부(112,, 122, 132)를 가지는 틀본체(111, 121, 131)와, 상기 틀본체(111, 121, 131)의 전면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공간부(114, 124, 134)를 가지는 걸림턱부(113, 123, 1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어(200)는 상기 문틀(100)의 양측 선틀(110)에 대응하는 양측 수직프레임(210)과 상기 위틀(120)에 대응하는 상부프레임(220) 및 상기 밑틀(130)에 대응하는 하부프레임(230)을 포함하는 도어프레임(240)과; 상기 도어프레임(240)의 전면에 부착되는 전면패널(250); 및 도어프레임(240)의 후면에 부착되는 후면패널(2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양측 수직프레임(210)과 상부프레임(220) 및 하부프레임(230)은 각각 공간부(212, 222, 232)를 가지는 프레임본체(211, 221, 231)와, 상기 프레임본체(211, 221, 231)의 전면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패킹삽입공간부(214, 224, 234)를 가지는 패킹설치부(213, 223, 233)와, 상기 패킹설치부(213, 223, 233)의 문틀대향면에 형성되는 슬릿(215, 225, 235) 및, 상기 문틀(100)에 문틀대향면 반대면에 돌출 형성되어 전면패널(250)과 후면패널(260)이 접합되는 패널접합부(216, 226, 2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양측 선틀(110)과 위틀(120) 및 밑틀(130)과 양측 수직프레임(210)과 상부프레임(220) 및 하부프레임(230)은 각각 연귀맞춤 구조로 결합되며, 용접에 의하여 일체화할 수 있다. 여기서 용접에 의하여 일체화하기 전에 연기차단수단(300) 및 소화수분사수단(400)의 구성요소들을 삽입 설치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양측 수직프레임(210)과 상부프레임(220) 및 하부프레임(230)은 프레임본체(211, 221, 231)와 패킹설치부(213, 223, 233)로 구성되어 있고 슬릿(215, 225, 235)은 패킹설치부(213, 223, 233)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어프레임(240)의 강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면에서 270, 280은 전면패널(250) 및 후면패널(260)에 설치된 도어손잡이를 보인 것이다.
상기 연기차단수단(300)은 고무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양측 수직프레임(210)과 상부프레임(220) 및 하부프레임(230)의 패킹삽입공간부(214, 224, 234)에 삽입되는 패킹본체부(311)와, 상기 패킹본체부(311)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슬릿(215, 225, 235)에 삽입되는 밀폐부(312) 및, 상기 패킹본체부(311)와 밀폐부(312)의 내부에 형성되는 가압수주입공간(313)을 가지는 패킹(310)과; 상기 패킹(310)과 동일한 고무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가압수주입공간(313)에 연통 연결되며 일측 선틀(110)의 을 관통하여 후반으로 연장되며 급수원(미도시)에 연결되는 가압수주입관(320); 및 상기 가압수주입관(320)에 설치되는 연기차단용 전자밸브(33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압수주입관(320)은 벽체(W) 내에 매설되어 급수원에 연결될 수 있으며, 급수원으로서는 소화전 또는 세대수도관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수주입관(320)은 벽체(W)에 매설되는 부분은 금속파이프로 구성하고,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은 고무호스로 구성함으로써 도어(200)를 여닫는 데에 지장이 없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화수분사수단(400)은 상기 틀본체(121)의 상면을 관통하여 공간부(121) 내에 설치되며 급수원(미도시)에 연결되는 급수관(410)과; 상기 급수관(410)의 선단부에서 하향 절곡 연장되어 상기 틀본체(121)의 상단힌지축공(125)과 상기 도어프레임(240)의 프레임본체(221)의 상단힌지축공(227)을 관통하는 힌지축관(420)과; 상기 힌지축관(420)의 하단에 연결되며 상기 전면패널(250)과 후면패널(260) 사이의 공간 내에 삽입되는 분사관(430)과; 상기 분사관(430)에 연결되어 상기 전면패널(250)을 관통하여 전면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분사노즐(440); 및 상기 급수관(410)에 설치되는 소화수분사용 전자밸브(45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급수관(410)은 벽체(W) 내에 매설되어 급수원에 연결될 수 있으며, 급수원으로서는 소화전 또는 세대수도관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힌지축관(420)은 상기 위틀(120)의 틀본체(121) 하면과 상기 상부프레임(220)의 프레임본체(221) 상면에 각각 형성되는 상단힌지축공(125, 227)에 삽입되어 상단힌지를 구성한다.
상기 밑틀(130)의 상면에는 하단힌지축(135)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하부프레임(230)의 하면에 형성되는 하단힌지축공(237)에 삽입되어 하단힌지를 구성한다.
상기 복수개의 분사노즐(440)은 상기 전면패널(250)에 형성된 복수개의 노즐관통공(251)을 통하여 전면으로 돌출된다.
상기 연기차단용 전자밸브(330)와 소화수분사용 전자밸브(450)는 각각 가압수주입관(320)과 급수관(410)에 설치되는 것으로 통상적인 솔레노이드밸브를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 10의 기능블록도에 도시하고 기계적인 구조에 대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경로램프(500)는 벽체(W)의 후면에 매립되는 컨트롤박스(CB)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경고램프(500)는 단지 점등되는 방식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점멸하는 방식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경고효율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수단(600)은 벽체(W)의 전면 상단에 각각 매설 및 노출되게 설치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610)와 연기센서(620)와; 상기 컨트롤박스(CB)에 설치되어 상기 연기차단수단(300)의 연기차단용 전자밸브(330)의 개폐모드를 입력하는 연기차단스위치(630)와; 상기 컨트롤박스(CB)에 설치되어 상기 소화수분사수단(400)의 소화수분사용 전자밸브(450)의 개폐모드를 입력하는 소화수분사스위치(640)와; 상기 컨트롤박스(CB)의 내부에 설치되어 평소에는 상기 경고램프(500)의 소등제어명령을 출력하고 상기 온도센서(610)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고 연기센서(620)에 의하여 연기가 감지되면 상기 경고램프(500)의 점등제어명령을 출력함과 아울러 상기 연기차단스위치(630)가 오프로 되면 연기차단용 전자밸브(330)의 폐쇄제어명령을 출력하고 연기차단스위치(630)가 온으로 되면 연기차단용 전자밸브(330)의 개방제어명령을 출력하며, 소화수분사스위치(640)가 오프로 되면 소화수분사용 전자밸브(450)의 폐쇄제어명령을 출력하고, 소화수분사스위치(640)가 온으로 되면 소화수분사용 전자밸브(450)의 개방제어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650)와; 상기 제어부(650)의 경고램프(500)에 대한 소등 및 점등제어명령에 따라 경고램프(500)의 소등 및 점등구동신호를 송출하는 경고램프구동부(660)와; 상기 제어부(650)의 연기차단용 전자밸브(330)에 대한 개폐제어명령에 따라 연기차단용 전자밸브(330)의 개폐구동신호를 송출하는 연기차단용 전자밸브 구동부(670)와; 상기 제어부(650)의 소화수분사용 전자밸브(450)에 대한 개폐제어명령에 따라 소화수분사용 전자밸브(450)의 개폐구동신호를 송출하는 소화수분사용 전자밸브 구동부(68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설정온도는 100도씨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경고램프(500)는 온도센서(610) 및 연기센서(620)에 직결하여 제어부(650) 및 경고램프구동부(660)를 통하지 않고 바로 소등 및 점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연기차단용 전자밸브(330)와 소화수분사용 전자밸브(450)도 각각 연기차단스위치(630)와 소화수분사스위치(640)에 직결하여 제어부(650) 및 연기차단용 전자밸브 구동부(670)와 소화수분사용 전자밸브 구동부(680)를 통하지 않고 바로 개폐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공동주택의 소방전용 도어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경고램프의 동작>
세대외부공간에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평상시에는 온도센서(610)에 의한 감지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낮고 연기센서(620)의 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므로 제어부(650)는 경고램프(500)에 대한 소등제어명령을 출력하고 경고램프구동부(660)는 경고램프(500)에 대한 소등구동신호를 송출하게 되어 경고램프(500)는 소등된 상태로 유지된다.
세대외부공간에 화재가 발생하여 온도센서(610)에 의한 감지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고 연기센서(620)의 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650)는 경고램프(500)에 대한 점등제어명령을 출력하고 경고램프구동부(660)는 경고램프(500)에 대한 점등구동신호를 송출하게 되어 경고램프(500)가 점등되어 세대거주자에게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경고하게 된다.
<연기차단 동작>
세대외부공간에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평상시에는 연기차단스위치(630)가 오프로 되어 있고, 제어부(650)는 연기차단용 전자밸브(330)에 대한 폐쇄제어명령을 출력하고 연기차단용 전자밸브 구동부(670)는 연기차단용 전자밸브(330)에 대한 폐쇄구동신호를 송출하게 되어 연기차단용 전자밸브(330)가 폐쇄되어 가압수가 패킹(310)의 가압수주입공간(313)에 공급되지 않아 패킹(310)의 밀폐부(312)가 문틀(100)의 양측 선틀(110), 위틀(120) 및 밑틀(130)에 대하여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어 도어(200)를 여닫는 데에 지장이 없게 된다.
세대외부공간에 화재가 발생하여 경고램프(500)가 점등되고, 이를 인지한 세대거주자가 연기차단스위치(630)를 온으로 하면, 제어부(650)는 연기차단용 전자밸브(330)에 대한 개방제어명령을 출력하게 되고, 연기차단용 전자밸브 구동부(670)는 연기차단용 전자밸브(330)에 대한 개방구동신호를 송출하게 되어 연기차단용 전자밸브(330)가 개방되며 급수원으로부터 가압수주입관(320)을 통해 패킹(310)의 가압수주입공간(313)에 가압수가 주입되고, 이에 따라 패킹(310)이 팽창하면서 밀폐부(312)가 슬릿(215, 225, 235)로부터 돌출되어 문틀(100)의 양측 선틀(110), 위틀(120) 및 밑틀(130)에 밀착되어 문틀(100)과 도어(200) 사이의 틈새를 완전히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세대외부공간의 화재로 인하여 발생한 연기가 문틈을 통해 세대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게 된다.
화재가 진압되어 경고램프(500)가 소등되면, 세대거주자가 연기차단용 스위치(630)를 오프시킴으로써 평상시의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소화수분사 동작>
세대외부공간에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평상시에는 소화수분사스위치(640)가 오프로 되어 있고, 제어부(650)는 소화수분사용 전자밸브(450)에 대한 폐쇄제어명령을 출력하고 소화수분사용 전자밸브 구동부(680)는 소화수분사용 전자밸브(450)에 대한 폐쇄구동신호를 송출하게 되어 소화수분사용 전자밸브(450)가 폐쇄되어 소화수가 급수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된다.
세대외부공간에 화재가 발생하여 경고램프(500)가 점등되고, 이를 인지한 세대거주자가 소화수분사스위치(640)를 온으로 하면, 제어부(650)는 소화수분사용 전자밸브(450)에 대한 개방제어명령을 출력하게 되고, 소화수분사용 전자밸브 구동부(680)는 소화수분사용 전자밸브(450)에 대한 개방구동신호를 송출하게 되어 소화수분사용 전자밸브(450)가 개방되고, 소화수가 급수관(410)을 통해 소화수분사관(430)에 급수되고, 소화수분사노즐(440)을 통해 도어(200)의 전면, 즉 세대외부공간으로 소화수를 분사하게 되어 세대외부공간에 발생한 화재를 진압하는 데에 도움을 주게 된다.
화재가 진압되어 경고램프(500)가 소등되면, 세대거주자가 소화수분사스위치(640)를 오프시킴으로서 평상시의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세대거주자가 연기차단스위치(630)와 소화수분사스위치(640)를 온오프시키는 것에 의하여 연기차단 동작 및 소화수분사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어부(650)와 연기차단용 전자밸브 구동부(670)와 소화수분사용 전자밸브 구동부(680)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제어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W : 벽체 100 : 문틀
110 : 선틀 120 : 위틀
130 : 밑틀 200 : 도어
210 : 수직프레임 220 : 상부프레임
230 : 하부프레임 211, 221, 231 ; 프레임본체
213, 223, 233 : 패킹설치부 215, 225, 235 : 슬릿
300 : 연기차단수단 310 : 패킹
311 : 패킹본체부 312 : 밀폐부
313 : 가압수주입공간 320 : 가압수주입관
330 : 연기차단용 전자밸브 400 : 소화수분사수단
410 : 급수관 420 : 힌지축관
430 : 분사관 440 : 분사노즐
450 : 소화수분사용 전자밸브 500 : 경고램프
600 : 제어수단 610 : 온도센서
620 : 연기센서 630 : 연기차단스위치
640 : 소화수분사스위치 650 : 제어부
660 : 경고램프구동부 670 : 연기차단용 전자밸브 구동부
680 : 소화수분사용 전자밸브 구동부

Claims (1)

  1. 세대내부공간과 세대외부공간을 구획하는 벽체(W)에 설치되는 문틀(100)과; 상기 문틀(100)에 여닫이식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200)와; 상기 문틀(100)과 도어(200) 사이의 문틈을 폐쇄하는 연기차단수단(300)과; 상기 도어(200)의 전면으로 소화수를 분사하는 소화수분사수단(400)과; 벽체(W)의 일측에 설치되어 세대외부공간의 화재발생을 알리는 경고램프(500); 및 상기 연기차단수단(300)과 소화수분사수단(400)을 제어하는 제어수단(6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문틀(100)은 양측 선틀(110)과 위틀(120) 및 밑틀(130)로 구성되고 상기 양측 선틀(110)과 위틀(120) 및 밑틀(130)은 각각 공간부(112, 122, 132)를 가지는 틀본체(111, 121, 131)와, 상기 틀본체(111, 121, 131)의 전면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공간부(114, 124, 134)를 가지는 걸림턱부(113, 123, 13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도어(200)는 상기 문틀(100)의 양측 선틀(110)에 대응하는 양측 수직프레임(210)과 상기 위틀(120)에 대응하는 상부프레임(220) 및 상기 밑틀(130)에 대응하는 하부프레임(230)을 포함하는 도어프레임(240)과; 상기 도어프레임(240)의 전면에 부착되는 전면패널(250); 및 도어프레임(240)의 후면에 부착되는 후면패널(26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양측 수직프레임(210)과 상부프레임(220) 및 하부프레임(230)은 각각 공간부(212, 222, 232)를 가지는 프레임본체(211, 221, 231)와, 상기 프레임본체(211, 221, 231)의 전면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패킹삽입공간부(214, 224, 234)를 가지는 패킹설치부(213, 223, 233)로 구성되고, 상기 패킹설치부(213, 223, 233)의 문틀대향면에 슬릿(215, 225, 235)이 형성되어 양측 수직프레임(210)과 상부프레임(220) 및 하부프레임(230)을 포함하는 도어프레임(240)의 강도 저하가 방지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양측 수직프레임(210)과 상부프레임(220) 및 하부프레임(230)은 각각 상기 프레임본체(211, 221, 231)과 패킹설치부(213, 223, 233)의 문틀대향면 반대면에 돌출 형성되어 전면패널(250)과 후면패널(260)이 접합되는 패널접합부(216, 226, 23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기차단수단(300)은 고무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양측 수직프레임(210)과 상부프레임(220) 및 하부프레임(230)의 패킹삽입공간부(214, 224, 234)에 삽입되는 패킹본체부(311)와, 상기 패킹본체부(311)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슬릿(215, 225, 235)에 삽입되는 밀폐부(312) 및, 상기 패킹본체부(311)와 밀폐부(312)의 내부에 형성되는 가압수주입공간(313)을 가지는 패킹(310)과; 상기 패킹(310)과 동일한 고무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가압수주입공간(313)에 연통 연결되며 일측 선틀(110)의 을 관통하여 후반으로 연장되며 급수원에 연결되는 가압수주입관(320); 및 상기 가압수주입관(320)에 설치되는 연기차단용 전자밸브(3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소화수분사수단(400)은 상기 틀본체(121)의 상면을 관통하여 공간부(121) 내에 설치되며 급수원에 연결되는 급수관(410)과; 상기 급수관(410)의 선단부에서 하향 절곡 연장되어 상기 틀본체(121)의 상단힌지축공(125)과 상기 도어프레임(240)의 프레임본체(221)의 상단힌지축공(227)을 관통하는 힌지축관(420)과; 상기 힌지축관(420)의 하단에 연결되며 상기 전면패널(250)과 후면패널(260) 사이의 공간 내에 삽입되는 분사관(430)과; 상기 분사관(430)에 연결되어 상기 전면패널(250)을 관통하여 전면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분사노즐(440); 및 상기 급수관(410)에 설치되는 소화수분사용 전자밸브(45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경고램프(500)는 벽체(W)에 매립되는 컨트롤박스(CB)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수단(600)은 벽체(W)의 전면 상단에 각각 매설 및 노출되게 설치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610)와 연기센서(620)와; 상기 컨트롤박스(CB)에 설치되어 상기 연기차단수단(300)의 연기차단용 전자밸브(330)의 개폐모드를 입력하는 연기차단스위치(630)와; 상기 컨트롤박스(CB)에 설치되어 상기 소화수분사수단(400)의 소화수분사용 전자밸브(450)의 개폐모드를 입력하는 소화수분사스위치(640)와; 상기 컨트롤박스(CB)의 내부에 설치되어 평소에는 상기 경고램프(500)의 소등제어명령을 출력하고 상기 온도센서(610)에서 감지된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고 연기센서(620)에 의하여 연기가 감지되면 상기 경고램프(500)의 점등제어명령을 출력함과 아울러 상기 연기차단스위치(630)가 오프로 되면 연기차단용 전자밸브(330)의 폐쇄제어명령을 출력하고 연기차단스위치(630)가 온으로 되면 연기차단용 전자밸브(330)의 개방제어명령을 출력하며, 소화수분사스위치(640)가 오프로 되면 소화수분사용 전자밸브(450)의 폐쇄제어명령을 출력하고, 소화수분사스위치(640)가 온으로 되면 소화수분사용 전자밸브(450)의 개방제어명령을 출력하는 제어부(650)와; 상기 제어부(650)의 경고램프(500)에 대한 소등 및 점등제어명령에 따라 경고램프(500)의 소등 및 점등구동신호를 송출하는 경고램프구동부(660)와; 상기 제어부(650)의 연기차단용 전자밸브(330)에 대한 개폐제어명령에 따라 연기차단용 전자밸브(330)의 개폐구동신호를 송출하는 연기차단용 전자밸브 구동부(670)와; 상기 제어부(650)의 소화수분사용 전자밸브(450)에 대한 개폐제어명령에 따라 소화수분사용 전자밸브(450)의 개폐구동신호를 송출하는 소화수분사용 전자밸브 구동부(680);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소방전용 도어 장치.
KR1020160050951A 2016-04-26 2016-04-26 공동주택의 소방전용 도어 장치 KR101714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951A KR101714738B1 (ko) 2016-04-26 2016-04-26 공동주택의 소방전용 도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951A KR101714738B1 (ko) 2016-04-26 2016-04-26 공동주택의 소방전용 도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4738B1 true KR101714738B1 (ko) 2017-03-09

Family

ID=58402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0951A KR101714738B1 (ko) 2016-04-26 2016-04-26 공동주택의 소방전용 도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473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4868B1 (ko) * 2017-06-08 2018-02-02 (주)리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
CN108547556A (zh) * 2018-06-15 2018-09-18 深圳市华力智控技术有限公司 一种高层住宅避难门
KR102150060B1 (ko) 2020-04-02 2020-08-31 주식회사 기람엔지니어링 건축물용 방화문
CN112412285A (zh) * 2020-10-28 2021-02-26 浙江齐嘉消防科技有限公司 一种隔烟净化防火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7898B1 (ko) * 2005-11-25 2006-06-12 주식회사 길건축사사무소 화재감지기를 구비하는 방화문
KR100928682B1 (ko) 2009-02-24 2009-11-27 정근영 모터를 이용한 소방용 도어클로저
KR200475020Y1 (ko) * 2014-06-05 2014-11-03 유준식 화재대피 비상문
JP5775878B2 (ja) * 2009-12-15 2015-09-09 バク、ガップ ファンPARK, Gap Hwan 防火戸及び防火戸の枠
KR101623013B1 (ko) * 2015-12-23 2016-05-20 임성호 발포 콘크리트를 이용한 방화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7898B1 (ko) * 2005-11-25 2006-06-12 주식회사 길건축사사무소 화재감지기를 구비하는 방화문
KR100928682B1 (ko) 2009-02-24 2009-11-27 정근영 모터를 이용한 소방용 도어클로저
JP5775878B2 (ja) * 2009-12-15 2015-09-09 バク、ガップ ファンPARK, Gap Hwan 防火戸及び防火戸の枠
KR200475020Y1 (ko) * 2014-06-05 2014-11-03 유준식 화재대피 비상문
KR101623013B1 (ko) * 2015-12-23 2016-05-20 임성호 발포 콘크리트를 이용한 방화문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4868B1 (ko) * 2017-06-08 2018-02-02 (주)리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
CN108547556A (zh) * 2018-06-15 2018-09-18 深圳市华力智控技术有限公司 一种高层住宅避难门
CN108547556B (zh) * 2018-06-15 2024-03-19 深圳市华力智控技术有限公司 一种高层住宅避难门
KR102150060B1 (ko) 2020-04-02 2020-08-31 주식회사 기람엔지니어링 건축물용 방화문
CN112412285A (zh) * 2020-10-28 2021-02-26 浙江齐嘉消防科技有限公司 一种隔烟净化防火门
CN112412285B (zh) * 2020-10-28 2022-04-29 浙江齐嘉消防科技有限公司 一种隔烟净化防火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4738B1 (ko) 공동주택의 소방전용 도어 장치
KR101623013B1 (ko) 발포 콘크리트를 이용한 방화문
CN205743588U (zh) 一种安全通道防火门
KR102152545B1 (ko) 목조건물 소방방재시스템
KR101794327B1 (ko) 건축물의 화재발생시 화염차단기능을 갖춘 소방용 출입문
CN108179963A (zh) 一种具有灭火功能的木塑铝合金门窗
KR101685522B1 (ko) 건축물의 스프링클러 연결형 소방방재장치
CN207701032U (zh) 一种消防窗
CN111520044A (zh) 设消防灭火机构的门
CN106703642A (zh) 一种多重防火门
KR100760178B1 (ko) 자동소화기가 구비된 레인지후드
KR102231652B1 (ko) 화재발생시 공동주택의 소방 방화벽 장치 작동시스템
KR20160054366A (ko) 방화창 유니트
KR102073356B1 (ko) 화재시 급기와 배기 조절 기능을 구비한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
KR101685512B1 (ko) 건축물의 소방배관 누수감지가 가능한 소방장치
KR102050539B1 (ko) 화재 비상 대피 안전 시스템
KR101824868B1 (ko)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
US269227A (en) Automatic fire-extinguisher
CN213418913U (zh) 一种具有灭火装置的防火门
CN211623192U (zh) 一种防火门
KR20090126972A (ko) 창호용 방화장치 및 방법
KR20120083672A (ko) 소방전용 도어를 갖는 방화문
JP2009000049A (ja) 虫侵入阻止システム
KR20050079609A (ko) 제연기능성 방화문
KR100823139B1 (ko) 제연구역 내 방화문의 도어클로저 닫힘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