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3079B1 - 비상탈출용 방화문 - Google Patents

비상탈출용 방화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3079B1
KR101163079B1 KR1020080109262A KR20080109262A KR101163079B1 KR 101163079 B1 KR101163079 B1 KR 101163079B1 KR 1020080109262 A KR1020080109262 A KR 1020080109262A KR 20080109262 A KR20080109262 A KR 20080109262A KR 101163079 B1 KR101163079 B1 KR 101163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door
opening
emergency
emergency esc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9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0129A (ko
Inventor
손기택
Original Assignee
손기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기택 filed Critical 손기택
Priority to KR1020080109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3079B1/ko
Publication of KR20100050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0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3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3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2Fireproof doors having windows or other openings, e.g. for permitting ventilation or escap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2Serving doors; Passing-through doors ; Pet-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방화문은 방화구획에 필수적인 요소로 사용되는 것으로, 화재발생시 다른 부분으로 화재의 전이를 막으며, 화재발생지역에서만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구획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방화문은 벽으로 구획이 가능한 곳에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통로, 공항, 체육관 등과 같이 넓은 공간에는 방화셔터가 이용된다. 방화구획에 대한 설치기준(피난방화규칙 제14조)에서 구획부분의 구조를 내화구조의 바닥, 벽, 방화문, 자동방화셔터로 구획할 것을 정하고 있다. 한편, 방화문은 갑종방화문(60분내화성능)과 을종방화문(30분내화성능)이 있으며, 현장에서는 갑종방화문이 주로 사용된다.
한편, 이러한 방화문은 음식점, 상점 등과 같은 영업소 또는 일반건물의 비상구 측에 설치되고 있지만, 이와 같이 비상구 측에 설치된 방화문의 경우 사람의 통행을 제한하기 위해 잠그는 경우가 많이 있다. 예컨대, 도난 또는 무전취식자들의 도주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상구 측의 방화문을 잠근다.
이와 같이 비상구의 방화문이 잠겨져 있는 상태에서 화재 등과 같은 비상사태가 발생할 경우, 건물 내의 사람들은 잠겨져 있는 방화문을 열지 못하여 안전하게 외부로 대피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뿐만 아니라, 화재 발생 시에 외부의 소방관들이 건물 내로 진입하고자 할 경우에도 방화문이 잠겨있어 건물 내의 사람들을 안전하게 대피시키지 못하는 경우도 빈번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방화문이 잠겨있더라도 비상사태 발생 시에 일정한 충격을 가하면 방화문의 일부분이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안전하고 신속한 비상탈출을 도모할 수 있는 비상탈출용 방화문을 제공한다.
개시된 본 발명은, 방화문의 하부에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측에는 비상탈출용 도어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비상탈출도어는 일정충격이 가해지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상탈출도어의 상단에는 개폐레버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개폐레버에 의해 비상탈출도어의 개폐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레버에는 비상경고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상탈출도어는 그 하단이 힌지축을 매개로 상기 방화문의 개구에 개폐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비상탈출도어는 상기 방화문의 개구에 억지끼움구조로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상탈출도어 및 개구가 서로 접촉가능한 부분에는 탄력성재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비상탈출도어, 개구, 개폐레버, 방화문, 탄력성재질

Description

비상탈출용 방화문{FIRE DOOR FOR EMERGENCY ESCAPE}
본 발명은 비상탈출용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상사태 발생 시에 방화문이 잠겨져 있더라도 신속하고 안전하게 외부로 피난할 수 있도록 구성된 비상탈출용 방화문에 관한 것이다.
방화문은 방화구획에 필수적인 요소로 사용되는 것으로, 화재발생시 다른 부분으로 화재의 전이를 막으며, 화재발생지역에서만 연소가 이루어지도록 구획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방화문은 벽으로 구획이 가능한 곳에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통로, 공항, 체육관 등과 같이 넓은 공간에는 방화셔터가 이용된다. 방화구획에 대한 설치기준(피난방화규칙 제14조)에서 구획부분의 구조를 내화구조의 바닥, 벽, 방화문, 자동방화셔터로 구획할 것을 정하고 있다. 한편, 방화문은 갑종방화문(60분내화성능)과 을종방화문(30분내화성능)이 있으며, 현장에서는 갑종방화문이 주로 사용된다.
한편, 이러한 방화문은 음식점, 상점 등과 같은 영업소 또는 일반건물의 비상구 측에 설치되고 있지만, 이와 같이 비상구 측에 설치된 방화문의 경우 사람의 통행을 제한하기 위해 잠그는 경우가 많이 있다. 예컨대, 도난 또는 무전취식자들 의 도주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상구 측의 방화문을 잠근다.
이와 같이 비상구의 방화문이 잠겨져 있는 상태에서 화재 등과 같은 비상사태가 발생할 경우, 건물 내의 사람들은 잠겨져 있는 방화문을 열지 못하여 안전하게 외부로 대피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뿐만 아니라, 화재 발생 시에 외부의 소방관들이 건물 내로 진입하고자 할 경우에도 방화문이 잠겨있어 건물 내의 사람들을 안전하게 대피시키지 못하는 경우도 빈번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방화문이 잠겨있더라도 비상사태 발생 시에 일정한 충격을 가하면 방화문의 일부분이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안전하고 신속한 비상탈출을 도모할 수 있는 비상탈출용 방화문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방화문의 하부에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측에는 비상탈출용 도어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비상탈출도어는 일정충격이 가해지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상탈출도어의 상단에는 개폐레버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개폐레버에 의해 비상탈출도어의 개폐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레버에는 비상경고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상탈출도어는 그 하단이 힌지축을 매개로 상기 방화문의 개구에 개폐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상기 비상탈출도어는 상기 방화문의 개구에 억지끼움구조로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비상탈출도어 및 개구가 서로 접촉가능한 부분에는 탄력성재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비상상태 발생시에 일정 충격을 가하면 비상탈출도어가 외부로 간편하게 개방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안전한 비상탈출을 도모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보다 많은 인명을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방화문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비상탈출용 방화문(10)은 그 하부에 개구(11)를 가지고, 이 개구(11)에는 비상탈출도어(2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비상탈출도어(20)는 그 하단에 힌지핀(21)을 구비하고, 이 힌지핀(21)이 개구(11)의 하부에 힌지결합됨으로써 비상탈출도어(20)는 개구(11)를 개폐할 있고, 이러한 비상탈출도어(20)의 개폐는 방화문(10)이 잠겨 있는 상태에 상관없이 이루어짐으로써 비상사태 발생시 건물 외부로의 비상탈출을 보다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상탈출도어(20)의 개방은 건물의 외부를 향해서만 회동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비상탈출도어(20)는 그 폐쇄작동은 억지끼움식으로 이루어지고, 그 개 방작동은 일정한 충격에 의해 회동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즉, 비상탈출도어(20)를 개구(11)측으로 회동시켜 폐쇄하는 경우 비상탈출도어(20)의 외측 가장자리가 개구(11)의 내측 가장자리에 억지끼움되고, 피난자가 발 또는 손으로 일정한 충격을 가하면 비상탈출도어(20)가 외부로 회동함으로써 그 개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비상탈출도어(20)의 억지끼움식 폐쇄를 위해, 비상탈출도어(20)의 폭 또는 높이가 개구(11)의 폭 또는 높이 보다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비상탈출도어(20)와 개구(11)가 서로 접촉하는 부분에 예컨대, 도 5와 같이 비상탈출도어(20)의 외측 가장자리 또는 개구(11)의 내측 가장자리에 고무 등과 같은 탄력성재질(23)이 피복되거나 접착되어 있을 수 있다. 비상탈출도어(20)가 개구(11)를 폐쇄하는 경우, 탄력성재질(23)이 개구(11)의 가장자리와 접촉함에 따라 비상탈출도어(20)의 억지끼움식 폐쇄작동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비상탈출도어(2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는 보강재(26)를 구비함으로써 그 강성을 확보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비상탈출도어(20)의 상단에는 개폐레버(25)가 설치되고, 이 개폐레버(25)의 일단은 힌지축(25a)을 통해 비상탈출도어(20)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개폐레버(25)의 타단은 방화문(10)의 개구(11)측에 인접하여 걸침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개폐레버(25)가 수직상태가 되면 개폐레버(25)는 비상탈출도어(20) 및 이에 인접한 방화문(10) 부분에 걸쳐져 있으므로 비상탈출도어(20)는 외측방향으로 회동이 방지되고, 개폐레버(25)가 회동되어 수평상태가 되면 개폐레버(25)는 방화문(10)과 간섭되지 않으므로 비상탈출도어(20)의 개방이 가능해진다.
한편, 개폐레버(25)에는 비상경고부(3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이 비상경고부(30)는 비상경고벨 또는 경광램프 등과 같이 청각적 또는 시각적 경고수단으로 작용한다. 이에, 개폐레버(25)의 회동조작시에 비상사태의 발생을 경고하여 주거나 절도용의자 또는 무전취식자가 몰래 빠져 나가는 것을 경고할 수 있다. 특히, 그 사용의 편의성을 위해 비상탈출도어(20)의 표면에 위급상황이 아니면 개폐레버(25)를 조작하지 말것을 경고하는 안내문을 부착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비상경고부(30)는 비상탈출도어(20)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영업소의 카운터, 복도 등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탈출용 방화문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A방향을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비상탈출용 방화문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화살표 B방향을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C-C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방화문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비상탈출용 방화문 11: 개구
20: 비상탈출도어 21: 힌지핀
25: 개폐레버

Claims (5)

  1. 방화문의 하부에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측에는 비상탈출용 도어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비상탈출도어의 상단에는 개폐레버의 일단이 힌지축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개폐레버의 타단은 상기 방화문의 개구 측에 인접하여 걸침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개폐레버에는 비상경고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비상탈출도어는 그 하단이 힌지축을 매개로 상기 방화문의 개구에 개폐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비상탈출도어는 상기 방화문의 개구에 억지끼움구조로 폐쇄되고, 상기 비상탈출도어 및 개구가 서로 접촉가능한 부분에는 탄력성재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탈출용 방화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80109262A 2008-11-05 2008-11-05 비상탈출용 방화문 KR101163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262A KR101163079B1 (ko) 2008-11-05 2008-11-05 비상탈출용 방화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262A KR101163079B1 (ko) 2008-11-05 2008-11-05 비상탈출용 방화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0129A KR20100050129A (ko) 2010-05-13
KR101163079B1 true KR101163079B1 (ko) 2012-07-20

Family

ID=42276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9262A KR101163079B1 (ko) 2008-11-05 2008-11-05 비상탈출용 방화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307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8326B1 (ko) * 2016-07-29 2017-03-21 (주)경진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
KR101801739B1 (ko) 2016-09-30 2017-1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도어용 탈출 안전장치
KR101824868B1 (ko) * 2017-06-08 2018-02-02 (주)리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
KR102005758B1 (ko) 2018-11-22 2019-10-01 김민후 비상상황에 용이한 안전문
KR102167186B1 (ko) 2020-04-16 2020-10-16 나영선 비상 탈출이 가능한 도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25364A (zh) * 2011-09-07 2012-04-25 江苏海陆科技股份有限公司 上下通风的船用防火门
CN106996249A (zh) * 2017-06-03 2017-08-01 合肥伊只门窗有限公司 一种具有逃生功能的防火门
KR102151980B1 (ko) * 2018-09-21 2020-09-04 호산테크 주식회사 Acqc 유닛용 밀폐형 수커넥터 자동 접속 장치
CN109707293A (zh) * 2019-01-25 2019-05-03 福建商学院 一种带有逃生通道的无障碍防火门
KR102349379B1 (ko) * 2021-04-13 2022-01-12 (주)한길엔지니어링 건축물용 방화문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0865A (ja) 1998-09-07 2000-03-21 Hiroshi Fujita 脱出用扉のあるドア
JP2001234676A (ja) 2000-02-24 2001-08-31 Tekken Constr Co Ltd 脱出用補助扉付き地下室のドア
JP2007205044A (ja) * 2006-02-02 2007-08-16 Toraaki Shoji 脱出口付き玄関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0865A (ja) 1998-09-07 2000-03-21 Hiroshi Fujita 脱出用扉のあるドア
JP2001234676A (ja) 2000-02-24 2001-08-31 Tekken Constr Co Ltd 脱出用補助扉付き地下室のドア
JP2007205044A (ja) * 2006-02-02 2007-08-16 Toraaki Shoji 脱出口付き玄関構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8326B1 (ko) * 2016-07-29 2017-03-21 (주)경진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
KR101801739B1 (ko) 2016-09-30 2017-1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도어용 탈출 안전장치
KR101824868B1 (ko) * 2017-06-08 2018-02-02 (주)리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
KR102005758B1 (ko) 2018-11-22 2019-10-01 김민후 비상상황에 용이한 안전문
KR102167186B1 (ko) 2020-04-16 2020-10-16 나영선 비상 탈출이 가능한 도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0129A (ko) 2010-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3079B1 (ko) 비상탈출용 방화문
KR102167186B1 (ko) 비상 탈출이 가능한 도어 장치
KR100750903B1 (ko) 접이식 방화문
JP5937289B2 (ja) 室内設備の冠水を防止する防火扉
KR20100009291U (ko) 미닫이식 방화유리 자동문
US3042910A (en) Alarm equipped cabinet for fire extinguisher
KR200443972Y1 (ko) 개폐식 방범창
KR101017078B1 (ko) 피난 사다리 장치
KR200420406Y1 (ko) 수직사다리 출입통제 장치
KR102467543B1 (ko) 비상탈출용 사다리 장치
KR20130017928A (ko) 하향식 피난 사다리
JPH10127796A (ja) 建築構造物の避難用ハッチ
WO2015177875A1 (ja) 回転式の防火扉
KR101444911B1 (ko) 대피공간 전용 창호
KR101702044B1 (ko)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KR20180138471A (ko) 피난용 사다리 덮개장치
KR101081626B1 (ko) 방화셔터의 비상도어용 힌지구조
KR101747150B1 (ko) 소방 호스 전용 도어를 갖는 방화문
KR101591231B1 (ko) 대피공간이 형성되는 비상문
JP6819310B2 (ja) 消火器箱
KR100527035B1 (ko) 화재 시 비상대피를 위한 건축용 도어구조
JP6204402B2 (ja) 室内設備の冠水を防止する防火扉
KR200416697Y1 (ko) 비상용 사다리를 갖춘 방범창
KR101893347B1 (ko) 방화문
CN108442865A (zh) 一种安全防护的防火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