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1739B1 - 도어용 탈출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용 탈출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1739B1
KR101801739B1 KR1020160126003A KR20160126003A KR101801739B1 KR 101801739 B1 KR101801739 B1 KR 101801739B1 KR 1020160126003 A KR1020160126003 A KR 1020160126003A KR 20160126003 A KR20160126003 A KR 20160126003A KR 101801739 B1 KR101801739 B1 KR 101801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passage
emergency
plate
passage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6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용희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6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17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1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1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04Air-catching equipment related to windows or port-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56Bulkheads; Bulkhead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18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collision or grounding; reducing collision damage
    • B63B43/20Fee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2Serving doors; Passing-through doors ; Pet-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43/003Arrangements of emergency exits, e.g. for escape from engine rooms
    • B63B2704/00
    • B63B2707/00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2007/023Air flow induced by f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도어용 탈출 안전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용 탈출 안전장치는 도어에 형성된 비상통로의 입구 쪽에 설치된 제1플레이트; 비상통로의 출구 쪽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제2플레이트; 비상 시 제1플레이트를 열고 비상통로로 들어온 사용자가 제2플레이트를 제거하고 비상통로의 출구 쪽으로 펼치면서 탈출할 수 있도록 비상통로 내측의 제2플레이트 전방에 접혀진 상태로 배치된 보호막; 및 비상통로 내측으로 하강되며, 비상통로 내측으로 유입된 가스를 비상통로 입구 밖으로 배출시키는 송풍기를 마련한 가스배출격벽;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어용 탈출 안전장치{ESCAPE SAFETY APPARATUS USED FOR DOOR}
본 발명은 도어용 탈출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 등의 화재 시 발생하는 유독가스는 사람에게 치명적인 손상을 줄 수 있다. 예컨대 선실 등에서 화재 등으로 인해 유독가스가 발생한 경우, 통상적으로 대피소의 문을 열고 대피소 안으로 대피하게 된다.
그러나, 대피소의 문을 열고 대피하는 과정에서, 유독가스가 함께 들어와 2차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관련 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04025호(2016.01.12. 공개)를 참조하기 바란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04025호(2016.01.12. 공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비상 시 유독가스의 유입을 막으면서 사용자가 비상통로를 통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용 탈출 안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도어에 형성된 비상통로의 입구 쪽에 설치된 제1플레이트; 상기 비상통로의 출구 쪽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제2플레이트; 비상 시 상기 제1플레이트를 열고 상기 비상통로로 들어온 사용자가 상기 제2플레이트를 제거하고 상기 비상통로의 출구 쪽으로 펼치면서 탈출할 수 있도록 상기 비상통로 내측의 상기 제2플레이트 전방에 접혀진 상태로 배치된 보호막; 및 상기 비상통로 내측으로 하강되며, 상기 비상통로 내측으로 유입된 가스를 상기 비상통로 입구 밖으로 배출시키는 송풍기를 마련한 가스배출격벽;을 포함하는 도어용 탈출 안전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플레이트는 힘이 가해질 경우 상기 비상통로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주변부에 복수의 천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는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비상통로 내측으로 유입된 가스를 상기 송풍기를 통해 상기 비상통로 입구 밖으로 배출시키도록 가스배출구를 마련할 수 있다.
상기 보호막은 사용자가 상기 보호막을 펼치면서 전진해 가면, 사용자가 지나간 자리의 공간이 좁혀지도록 상단에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의 무게추를 마련할 수 있다.
상기 비상통로에 마련되며, 상기 비상통로를 통해 유입된 가스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수신한 가스감지신호를 기초로 상기 가스배출격벽을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스배출격벽의 하측에 마련되며, 상기 가스배출격벽이 하강하여 상기 비상통로 바닥면에 접촉하여 발생한 충격을 감지하고, 해당 충격감지신호를 상기 송풍기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로 전달하는 충격감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는 수신된 상기 충격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송풍기를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용 탈출 안전장치는 비상 시 유독가스의 유입을 막으면서 사용자가 비상통로를 통해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용 탈출 안전장치가 구비된 도어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도어용 탈출 안전장치를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1의 도어용 탈출 안전장치에 포함된 제2플레이트의 설치 형태의 예를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2의 도어용 탈출 안전장치에 포함된 보호막을 통해 탈출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2의 도어용 탈출 안전장치에서 손잡이를 당겨 비상통로 내측을 통해 반대편 대피소로 탈출하는 모습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탈출 시 송풍기를 통해 가스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송풍기를 장착한 가스배출격벽이 하강된 모습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용 탈출 안전장치는 도어(101)에 형성된 비상통로(103)의 입구 쪽에 설치된 제1플레이트(110)와, 비상통로(103)의 출구 쪽에 설치된 제2플레이트(120)와, 비상 시 제1플레이트(110)를 열고 비상통로(103)로 들어온 사용자가 제2플레이트(120)를 제거하고, 비상통로(103) 출구 쪽으로 펼치면서 탈출할 수 있도록, 비상통로(103) 내측의 제2플레이트(120) 전방에 접혀진 상태로 배치된 보호막(130)과, 비상통로(103) 내측으로 하강되며, 비상통로(103) 내측으로 유입된 유독가스(이하 “가스”라고 함)를 비상통로(103) 입구 밖으로 배출시키는 송풍기(145)를 마련한 가스배출격벽(140)을 포함한다.
도어(101)는 예컨대 대피소 쪽으로 통하는 도어(101)일 수 있으며, 선실 내의 화재 발생 시 사용자는 도어(101)에 형성된 비상통로(103)를 통해 대피소로 대피할 수 있다. 이때, 선실 내의 화재 발생 시 도어(101)는 자동으로 폐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오직 도어(101)에 형성된 비상통로(103)를 통해 대피소로 대피할 수 있다. 도어(101)는 방화용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화재 발생 시 불길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제1플레이트(110)는 도어(101) 앞면 쪽 하부에 힌지 결합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고, 하측에 접이식 손잡이(115)를 마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비상 시 손잡이(115)를 펼쳐 당겨, 제1플레이트(110)를 편리하게 열고 도어(101)에 형성된 비상통로(103) 쪽으로 들어갈 수 있다. 제1플레이트(110)는 이후 자중에 의해 닫힐 수 있다.
제2플레이트(120)는 사용자에 의해 힘이 가해질 경우 분리되도록, 비상통로(103) 출구 쪽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제2플레이트(120)는 비상통로(103) 출구 쪽에 부착되되, 주변부에 천공(120a)이 일정 간격으로 미리 설정된 형태에 따라 형성되어, 사용자가 일정 힘을 가하면 떨어져 나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는 제2플레이트(120)가 비상통로(103) 출구 쪽에 잠금고리와 같은 잠금장치에 의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간편하게 잠금을 해제시키는 방법으로 제2플레이트(120)를 분리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는 일정 힘이 가해졌을 경우 부서지기 쉬운 소재로 제2플레이트(120)를 제작할 수도 있다.
도 2와 도 4를 참조하면, 상술한 보호막(130)은 비닐 소재로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보호막(130)을 펼치면서 비상통로(103) 출구 밖으로 전진해 가면, 사용자가 지나간 자리의 공간이 좁혀지도록 상단에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의 무게추(150)를 마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비상통로(103) 내측으로 들어온 유해한 가스가 보호막(130)을 통해 대피소 안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막을 수 있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가스배출격벽(140)은 비상 시 도어(101) 상부의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홀(106)을 따라 비상통로(103)로 하강되어 비상통로(103)를 차단한다.
가스배출격벽(140)에 마련된 송풍기(145)는 비상통로(103) 내측으로 이미 유입된 가스를 비상통로(103) 입구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가스 배출을 위해 제1플레이트(110)에는 격자형태의 보호망(116)이 설치된 가스배출구(112)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어용 탈출 안전장치에는 비상통로(103)에 마련되며, 비상통로(103)를 통해 유입된 가스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60)와, 감지센서(160)로부터 수신한 가스감지신호를 기초로 가스배출격벽(140)을 승강시키는 승강부(170)와, 가스배출격벽(140)의 하측에 마련되며, 가스배출격벽(140)의 하강에 의해 발생한 충격을 감지하는 충격감지부(180)가 마련될 수 있다.
감지센서(160)는 가스감지신호를 승강부(170) 및 제1 및 제2알림부(162,164)로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감지센서(160)는 비상통로(103)를 통해 유입된 가스의 농도가 기준치 이상 또는 이하일 경우, 그에 따른 제어값을 포함하는 가스감지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제1 및 제2알림부(162,164)는 감지센서(160)로부터 수신한 가스감지신호에 포함된 제어값에 따라 온/오프되어 해당 사실을 알릴 수 있다. 예컨대, 제1알림부(162)는 적색 발광을 통해 비상통로(103)를 통해 유입된 가스의 농도가 기준치 이상이라는 사실을 알릴 수 있고, 제2알림부(164)는 녹색 발광을 통해 비상통로(103)를 통해 유입된 가스의 농도가 기준치 이하여서 안전하다는 사실을 알릴 수 있다.
승강부(170)는 가스배출격벽(140)와 와이어(W)로 연결되고, 와이어(W)를 감거나 푸는 윈치(171) 등의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 승강부(170)는 도어(101) 상단 부위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해당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어(101)의 내측 공간 또는 도어(101) 위쪽의 다른 공간 등에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가스배출격벽(140)은 도어(101)의 상부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홀(106)을 따라 승강부(170)에 의해 비상통로(103) 내측으로 하강될 수 있다.
충격감지부(180)는 가스배출격벽(140)이 하강하여 비상통로(103) 바닥면에 접촉하여 발생한 충격을 감지하고, 해당 충격감지신호를 송풍기(145)를 구동시키는 구동부(147)로 전송한다. 구동부(147)는 충격감지부(180)로부터 충격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송풍기(145)를 작동시킨다. 구동부는 예컨대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비상통로(103) 내부로 들어온 가스에 대한 배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2차 피해를 막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1: 도어 103: 비상통로
110: 제1플레이트 120: 제2플레이트
130: 보호막 140: 가스배출격벽
145: 송풍기 150: 무게추
160: 감지센서 170: 승강부
180: 충격감지부

Claims (6)

  1. 도어에 형성된 비상통로의 입구 쪽에 설치된 제1플레이트;
    상기 비상통로의 출구 쪽에 설치된 제2플레이트;
    비상 시 상기 제1플레이트를 열고 상기 비상통로로 들어온 사용자가 상기 제2플레이트를 제거하고 상기 비상통로의 출구 쪽으로 펼치면서 탈출할 수 있도록, 상기 비상통로 내측의 상기 제2플레이트 전방에 접혀진 상태로 배치된 보호막; 및
    상기 비상통로 내측으로 하강되며, 상기 비상통로 내측으로 유입된 가스를 상기 비상통로 입구 밖으로 배출시키는 송풍기를 마련한 가스배출격벽;을 포함하는 도어용 탈출 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레이트는 힘이 가해질 경우 상기 비상통로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주변부에 복수의 천공이 형성되어 있는 도어용 탈출 안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는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비상통로 내측으로 유입된 가스를 상기 송풍기를 통해 상기 비상통로 입구 밖으로 배출시키도록 가스배출구를 마련한 도어용 탈출 안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막은 사용자가 상기 보호막을 펼치면서 전진해 가면, 사용자가 지나간 자리의 공간이 좁혀지도록 상단에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의 무게추를 마련한 도어용 탈출 안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통로에 마련되며, 상기 비상통로를 통해 유입된 가스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수신한 가스감지신호를 기초로 상기 가스배출격벽을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더 포함하는 도어용 탈출 안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격벽의 하측에 마련되며, 상기 가스배출격벽이 하강하여 상기 비상통로 바닥면에 접촉하여 발생한 충격을 감지하고, 해당 충격감지신호를 상기 송풍기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로 전달하는 충격감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구동부는 수신된 상기 충격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송풍기를 작동시키는 도어용 탈출 안전장치.
KR1020160126003A 2016-09-30 2016-09-30 도어용 탈출 안전장치 KR101801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003A KR101801739B1 (ko) 2016-09-30 2016-09-30 도어용 탈출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6003A KR101801739B1 (ko) 2016-09-30 2016-09-30 도어용 탈출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1739B1 true KR101801739B1 (ko) 2017-11-28

Family

ID=60811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6003A KR101801739B1 (ko) 2016-09-30 2016-09-30 도어용 탈출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17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6194B1 (ko) * 2019-12-20 2020-06-24 (주)전인씨엠건축사사무소 화재시 대피가 용이한 건축물의 피난구 구조
DE102020107113A1 (de) 2020-03-16 2021-09-16 Sebastian Schade Tür mit Rettungsluke, deren Herstellung und Anwendung, und Nachrüst-Einsatztür für eine Tür
KR102461549B1 (ko) 2022-04-13 2022-11-02 주식회사 광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재난 발생시 자동 개방되는 탈출도어를 갖는 방화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079B1 (ko) 2008-11-05 2012-07-20 손기택 비상탈출용 방화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3079B1 (ko) 2008-11-05 2012-07-20 손기택 비상탈출용 방화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6194B1 (ko) * 2019-12-20 2020-06-24 (주)전인씨엠건축사사무소 화재시 대피가 용이한 건축물의 피난구 구조
DE102020107113A1 (de) 2020-03-16 2021-09-16 Sebastian Schade Tür mit Rettungsluke, deren Herstellung und Anwendung, und Nachrüst-Einsatztür für eine Tür
KR102461549B1 (ko) 2022-04-13 2022-11-02 주식회사 광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재난 발생시 자동 개방되는 탈출도어를 갖는 방화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1739B1 (ko) 도어용 탈출 안전장치
KR100757204B1 (ko) 화재대피실이 구비된 건물의 피난장치
KR20090060033A (ko) 고층건물 피난장치
KR100996129B1 (ko) 절첩식 구난장치
KR102167186B1 (ko) 비상 탈출이 가능한 도어 장치
KR101396495B1 (ko) 연무 차단 장치
KR102257464B1 (ko) 3시간 이상의 방화성능을 갖는 밀폐식 이중 홀 도어를 구비한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
KR20090096594A (ko) 고층건물 피난장치
CN106246085A (zh) 一种多功能防护窗
KR101035081B1 (ko) 아파트의 난간을 이용한 완강기
KR101235308B1 (ko) 공동주택의 발코니 난간대
KR101545524B1 (ko) 피난 장치
KR102203052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소방대피시스템
JPH10314329A (ja) 耐火スクリーン装置
KR101131484B1 (ko) 긴급대피용 피난장치
KR20170027206A (ko) 재난용 비상탈출 장치
KR102497554B1 (ko) 재난시 인접세대로의 비상탈출 구조물
WO2010070301A1 (en) Safety ladder assembly
KR20110087572A (ko) 회전식 구난 사다리가 부착된 안전 난간대
KR102105877B1 (ko)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소방용 베란다 완강기
JP6436740B2 (ja) 地上脱出用の避難扉装置
KR102037262B1 (ko)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
JP2010248722A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とその火災発生時制御方法
KR101297429B1 (ko) 연무 차단 장치
KR20120100452A (ko) 건물용 비상탈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