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7035B1 - 화재 시 비상대피를 위한 건축용 도어구조 - Google Patents

화재 시 비상대피를 위한 건축용 도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7035B1
KR100527035B1 KR1020050037265A KR20050037265A KR100527035B1 KR 100527035 B1 KR100527035 B1 KR 100527035B1 KR 1020050037265 A KR1020050037265 A KR 1020050037265A KR 20050037265 A KR20050037265 A KR 20050037265A KR 100527035 B1 KR100527035 B1 KR 100527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door
lock device
port
communication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7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청목씨엠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청목씨엠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청목씨엠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50037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70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7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70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4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with ventilation w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화재발생 시 유독가스 및 화염이 확산되는 것은 방지하면서도 거주자의 대피는 원활히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화재 시 비상대피를 위한 건축용 도어구조에 관한 것으로, 출입구를 갖는 사각틀 형상을 이루고, 일측면에는 전기신호를 받아 상기 출입구방향으로 돌출되는 잠금쇠를 구비한 상부락장치를 탑재하며, 연통구를 가지면서 실내 벽체에 형성된 통로에 설치되는 문틀; 힌지를 매개로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되고, 전후로 연통되게 형성된 개구부를 구비하며, 돌출된 상기 잠금쇠의 말단이 삽입되는 잠금쇠구멍과, 상기 연통구와 개구부를 잇는 흡입구를 갖추는 한편, 상기 개구부의 상방에는 소정의 체적을 갖는 공간을 중심으로 양단에 각각 상면이 경사진 경사로를 구비하면서 상기 개구부와 소정간격의 틈새가 생기도록 배치되는 경사대와, 상기 개구부의 하방에는 전기신호를 받아 일방으로 돌출되는 빗장을 구비한 하부락장치가 구비된 메인도어; 다수의 금속재 플레이트가 가요성연결부를 매개로 연결되어서, 상기 경사로 상에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는 원형의 이동바퀴를 갖는 회전축으로 상기 틈새를 지나 권취가능하게 연결되는 한편, 말단에 위치하는 금속재 플레이트에는 상기 빗장이 삽입되는 락구멍이 형성된 비상도어; 일단이 상기 문틀의 연통구와 연통되며 벽체에 내장되는 배기구; 상기 배기구가 외부로 개방되는 타단에 설치되어서, 상기 개구부의 공기를 상기 흡입구ㆍ연통구ㆍ배기구를 거쳐 외부로 배출시키는 환풍기; 화재여부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상부락장치와 하부락장치의 잠금쇠와 빗장이 이동되도록 전기신호를 발신하는 한편, 상기 환풍기를 구동시키는 제어기가 포함된 것이다.

Description

화재 시 비상대피를 위한 건축용 도어구조{Door structure as emergency exit}
본 발명은 건물의 화재발생 시 유독가스 및 화염이 확산되는 것은 방지하면서도 거주자의 대피는 원활히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화재 시 비상대피를 위한 건축용 도어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물 내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재확산과 더불어 유독가스가 발생되면서 재산 상의 피해는 물론 많은 인명피해를 야기한다. 특히, 상기 유독가스의 경우에는 인명사상의 첫번째 원인으로서, 인명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이러한 유독가스의 확산을 막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유독가스는 그 비중이 공기보다 가벼워 공중으로 뜨게 되는데, 근래 건축되는 공공건물 등에는 상기 성질을 이용해 유독가스의 확산이 차단되도록 가스확산차단벽이 설치된다. 또한, 화염이 인접지역으로 번지면서 더 큰 피해가 일어나는 것을 막기 위해 방화벽 등이 설치되기도 한다.
그런데, 가스확산차단벽의 경우에는 거주자의 신속한 대피를 위해 천장으로부터 일정길이만큼만 하방 돌출되게 설치되므로, 완벽한 유독가스차단을 이룰 수 없고, 실내 특정공간을 완전히 격실하는 방화벽의 경우에는 거주자의 대피를 위한 비상구의 설치가 미약하여 미처 대피하지 못한 거주자의 신속한 대피를 방해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화염이 인접지역으로 번지거나 발생된 유독가스가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면서도 거주자의 안전한 대피를 가능하게 하는 건물 내 유독가스 및 화재확산을 방지하는 화재 시 비상대피를 위한 건축용 도어구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출입구를 갖는 사각틀 형상을 이루고, 일측면에는 전기신호를 받아 상기 출입구방향으로 돌출되는 잠금쇠를 구비한 상부락장치를 탑재하며, 연통구를 가지면서 실내 벽체에 형성된 통로에 설치되는 문틀;
힌지를 매개로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되고, 전후로 연통되게 형성된 개구부를 구비하며, 돌출된 상기 잠금쇠의 말단이 삽입되는 잠금쇠구멍과, 상기 연통구와 개구부를 잇는 흡입구를 갖추는 한편, 상기 개구부의 상방에는 소정의 체적을 갖는 공간을 중심으로 양단에 각각 상면이 경사진 경사로를 구비하면서 상기 개구부와 소정간격의 틈새가 생기도록 배치되는 경사대와, 상기 개구부의 하방에는 전기신호를 받아 일방으로 돌출되는 빗장을 구비한 하부락장치가 구비된 메인도어;
다수의 금속재 플레이트가 가요성연결부를 매개로 연결되어서, 상기 경사로 상에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는 원형의 이동바퀴를 갖는 회전축으로 상기 틈새를 지나 권취가능하게 연결되는 한편, 말단에 위치하는 금속재 플레이트에는 상기 빗장이 삽입되는 락구멍이 형성된 비상도어;
일단이 상기 문틀의 연통구와 연통되며 벽체에 내장되는 배기구;
상기 배기구가 외부로 개방되는 타단에 설치되어서, 상기 개구부의 공기를 상기 흡입구ㆍ연통구ㆍ배기구를 거쳐 외부로 배출시키는 환풍기;
화재여부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상부락장치와 하부락장치의 잠금쇠와 빗장이 이동되도록 전기신호를 발신하는 한편, 상기 환풍기를 구동시키는 제어기;
가 포함된 화재 시 비상대피를 위한 건축용 도어구조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비상대피를 위한 건축용 도어구조에 있어서,
상기 비상도어가 설치된 개구부가 외부에서 가시되지 않도록, 상기 개구부가 위치된 상기 메인도어의 전면 및 후면으로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외장판이 더 포함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비상대피를 위한 건축용 도어구조에 있어서,
상기 메인도어의 전면에 안착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으로는 램프를 탑재한 안내표시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흡기구의 외측 둘레부에는, 상기 메인도어에 의한 상기 출입구의 폐구시 상기 연통구와 흡입구 간의 연통이 긴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탄성을 갖는 고분자합성수지재질의 밀폐띠가 상기 문틀과 메인도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구조의 설치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구조의 분해사시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구조는, 출입구(136)를 갖는 사각틀 형상을 이루고, 일측면에는 전기신호를 받아 상기 출입구방향으로 돌출되는 잠금쇠(132a)를 구비한 상부락장치(132 ; 도 5 참조)를 탑재하며, 관통된 연통구(133)를 가지면서 실내 벽체(W)에 형성된 통로(E)에 설치되는 문틀(130); 힌지(123)를 매개로 상기 출입구(136)를 개폐하도록 설치되고, 전후로 연통되게 형성된 개구부(122)를 구비하며, 돌출된 상기 잠금쇠(132a)의 말단이 삽입되는 잠금쇠구멍(129 ; 도 5 참조)과, 상기 연통구(133)와 개구부(122)를 잇는 흡입구(125)를 갖추는 한편, 상기 개구부(122)의 상방에는 소정의 체적을 갖는 공간(128b ; 도 3 참조)을 중심으로 양단에 각각 상면이 경사진 경사로(128a ; 도 3 참조)를 구비하면서 상기 개구부(122)와 소정간격의 틈새(128c)가 생기도록 배치되는 경사대(128)와, 상기 개구부(122)의 하방에는 전기신호를 받아 일방으로 돌출되는 빗장(126a)을 구비한 하부락장치(126)가 구비된 메인도어(120); 다수의 금속재 플레이트(113 ; 도 3 참조)가 가요성연결부(114 ; 도 3 참조)를 매개로 연결되어서, 상기 경사로(128a) 상에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는 원형의 이동바퀴(111a ; 도 3 참조)를 갖는 회전축(111)으로 상기 틈새(128c)를 지나 권취가능하게 연결되는 한편, 말단에 위치하는 금속재 플레이트(113(에는 상기 빗장(126a)이 삽입되는 락구멍(112)이 형성된 비상도어(110); 일단이 상기 문틀(130)의 연통구(133)와 연통되며 벽체(W)에 내장되는 배기구(150); 상기 배기구(150)가 외부로 개방되는 타단에 설치되어서, 상기 개구부(122)의 공기를 상기 흡입구(125)ㆍ연통구(133)ㆍ배기구(150)를 거쳐 외부로 배출시키는 환풍기(160 ; 도 5 참조); 화재여부를 감지하는 센서(180); 및, 상기 센서(180)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상부락장치(132)와 하부락장치(126)의 잠금쇠(132a)와 빗장(126a)이 돌출되도록 전기신호를 발신하는 한편, 상기 환풍기(160)를 구동시키는 제어기(170 ; 도 5 참조)가 포함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는 벽체(W)를 기준으로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되고, 각 공간들은 문을 통해 연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구조도 상기 문에 대한 것이다.
상기 문틀(130)은 벽체(W)의 일정공간에 절개 형성된 통로(E)에 설치된다. 이러한 문틀(130)은 메인도어(120)의 설치를 위해 반드시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메인도어(120)가 설치되는 출입구(136)를 갖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문틀(130)에는 연통구(133)가 더 포함된다. 상기 연통구(133)는 벽체(W)에 내장된 배기구(150)와 연결되는데,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다시 하도록 하겠다.
상기 문틀(130)의 내측 일면에는 상부락장치(132)가 더 포함된다. 상기 상부락장치(132)는 화재발생 시, 화염이 실내전체로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해 메인도어(120)를 강제로 잠그는 것으로, 이에 상응하여 상기 메인도어(120)에는 상부락장치(132)의 잠금쇠(132a)가 삽입되는 잠금쇠구멍(129)이 더 포함된다. 즉, 상기 상부락장치(132)는 전기신호를 받아 상기 잠금쇠구멍(129)의 잠금쇠(132a)가 돌출되게 작동하고, 이렇게 돌출된 잠금쇠(132a)는 상기 메인도어(120)의 잠금쇠구멍(1229)으로 삽입되면서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메인도어(120)의 작동을 저지하게 된다.
상기 메인도어(120)는 문틀(130)의 출입구(136)에 힌지(123)를 매개로 설치되어서, 여닫이 방식으로 상기 출입구(136)를 개폐한다 한편, 상기 메인도어(120)에는 상기 연통구(133)와 연통되는 흡입구(125)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125)는 메인도어(120)의 출입구(136) 폐구시 상기 연통구(133)와 일렬로 마주하게 되면서 개구부(122)의 공기가 흡입구(125)를 지나 연통구(133)로 유입될 수 있도록 된다.
한편, 상기 개구부(122)에는 상기 비상도어(110) 및 하부락장치(126)가 배치되며, 상기 비상도어(110)와 더불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도어의 작동모습을 보이기 위해 경사대와 비상도어 및 메인도어의 개구부를 분해도시한 부분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도어의 측면을 도시한 단면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비상도어(110)는 소정폭을 갖는 다수개의 플레이트가 가요성연결부(114)를 매개로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면서 회전축(111)의 외주면을 따라 권취되도록 된다. 방범기능을 위해 상기 플레이트(113)는 강도가 우수한 금속재일 것이다.
상기 가요성연결부(114)는 상기 플레이트와 플레이트를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것이라면 무엇이든지 가능할 것이며, 연결로프 또는 연결와이어 등을 각 플레이트에 엮는 방식 등을 그 일예로 들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플레이트(113) 중 비상도어(110)의 말단부에 위치하는 플레이트에는 락구멍(112)이 형성된다. 상기 락구멍(112)은 상기 하부락장치(126)의 빗장(126a)이 관통되어 상기 비상도어(110)가 개구부(122)를 폐구하는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113)들을 권취하고 있는 상기 회전축(111)에는 동축상에 연장된 이동바퀴(111a)가 더 포함된다.
상기 경사대(128)는 상면이 경사진 경사로(128a)를 양단에 각각 구비하고, 상기 경사로(128a) 사이에는 소정체적의 공간(128b)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바퀴(111a)는 경사로(128a) 상에 안착되며, 권취되는 플레이트(113)들은 상기 공간(128b)에 수용된다. 그런데, 상기 경사로(128a)는 상술된 바와 같이 소정각도로 기울어져서 상기 이동바퀴(111a)가 경사로(128a)를 따라 굴러가도록 된다. 따라서, 도 4의 (a)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락장치(126)는 상기 락구멍(112)을 관통하고 있는 빗장(126a)이 플레이트(113)의 이동을 정지시킴으로서 상기 이동바퀴(111a)가 경사로(128a)를 따라 굴러내려가지 못하게 잡는다.
물론 (b)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락장치(126)가 전기신호를 받아 빗장(126a)을 이동시키면, 상기 락구멍(112)을 관통하여 잡고 있던 빗장(126a)이 제거되면서 상기 회전축(111)은 하중에 의해 상기 경사로(128a)를 따라 굴르게 된다.
그런데, 상기 경사로(128a)와 맞물리는 것은 이동바퀴(111a)이고, 이동바퀴(111a)는 그 직경이 충분히 작아 비교적 짧은 경사로(128a)의 길이에 맞물려서도 상기 회전축(111)의 회전수가 크게 증가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플레이트(113)들은 상기 회전축(111)의 외주면에 모두 권취된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113)들이 연결되는 수직길이는 상기 개구부(122)를 폐구할 수 있는 최소길이로 되어서, 상기 하부락장치(126)에 의한 회전축(111)의 고정 시 상기 이동바퀴(111a)의 위치가 경사로(128a)의 상단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상기 경사대(128)는 개구부(122)와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며, 이렇게 이격된 틈새(128c)로 상기 플레이트(113)가 이동된다.
한편, 상기 플레이트(113)는 일정한 두께를 지닌다. 따라서, 상기 플레이트(113)들이 상기 회전축(111)으로의 권취회수가 증가될수록 그 외경이 커지게 되므로 상기 이동바퀴(111a)의 기울기는 이를 감안하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이동바퀴(111a)의 회전수가 증가하면 플레이트(113)가 권취되면서 상기 회전축(111)의 중심으로부터 외경까지의 길이도 증가될 것인데, 이 외경과 이동바퀴(111a)가 상기 경사로(128a)를 따라 하방이동하면서도 그 외주면이 상기 틈새(128c)의 상방에 위치되도록 되어 상기 플레이트(113)들이 항시 정위치에서 말려 올라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하부락장치(126)가 외관상 드러나지 않도록 상기 개구부(122)의 하방에는 하부락장치(126)의 탑재공간인 공간부(127)를 둘 수 있다.
상기 메인도어(120)의 소정위치에는 안착홈(124)이 형성되고, 이 안착홈(124)으로는 안내표시수단(140)이 탑재될 수 있다. 이러한 안내표시수단(140)은 화재발생 시 발생되는 연기로 인해 그 출구를 쉽게 찾을 수 없게 되는 것을 막기 위해 출구의 위치를 안내한다. 일반적으로 안내표시수단(140)은 '비상구' 또는 'EXIT' 등의 문구를 기재하고, 이를 조명할 수 있는 램프(141)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구조의 전체 시스템을 이해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벽체(W)에는 배기구(150)가 내장된다. 상기 배기구(150)는 그 일단이 상기 연통구(133)와 연통되고, 그 타단은 외부로 개방되며 강제적으로 기류를 형성하도록 환풍기(160)가 설치된다.
상기 환풍기(160)는 그 작동을 통해 개구부(122)의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여 상기 흡입구(125), 연통구(133) 및 배기구(150)를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화재발생 시 다량으로 발생되는 연기는 신체에 악형향을 미치는 것은 물론 가시거리를 짧게하여 많은 인명피해를 일으키는 원인이다. 따라서, 미처 탈출하지 못한 거주자가 상기 개구부(122)를 쉽게 파악하고 안전하고 탈출할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122)에 인접한 공기들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며, 본 발명에 따른 도어구조는 이를 실현시킬 수 있다.
한편, 화재를 감지하여 상기 상부락장치(132) 및 하부락장치(126)를 작동시키는 센서(180) 및 제어기(17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센서(180)는 화재발생을 감지하여 그 여부를 제어기(170)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기(170)는 전선(L)을 통해 상부락장치(132) 및 하부락장치(126)로 작동신호를 발신한다.
결과적으로, 실내에 화재가 발생되면, 상기 센서(180)가 작동되고, 상기 센서(180)의 신호를 수신한 제어기(170)는 작동신호를 상부락장치(132) 및 하부락장치(126)로 보내 이들을 작동시키게 되며, 상기 상부락장치(132)는 메인도어(120)를 잠그고, 하부락장치(126)는 비상도어(126)를 개구시키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도어(120)는 문틀(130)과 소정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럴경우 상기 환풍기(160)의 흡입력이 틈새를 통해 소실될 수 있으므로, 환풍기(160)의 흡입력이 개구부(122)에 충분히 미칠 수 있도록 그 틈새를 매꾸는 밀폐띠(125a)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밀폐띠(125a)는 탄성재질의 고분자합성수지로 되며, 상기 흡입구(125)의 둘레부를 따라 위치되어서, 상기 메인도어(120)가 출입구(136)를 폐구했을 경우 상기 연통구(133)와 흡입구(125) 사이에서 틈새를 매꾸게 된다.
상기 개구부(122)에 배치되는 비상도어(110)는 외관미가 크게 떨어지므로, 이를 고려하여 상기 개구부(122)를 덮는 외장판(134, 135)이 메인도어(120)의 전후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장판(134, 135)은 유사시 메인도어(120)로부터 쉽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고정되는 것이 좋을 것이며,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는 그 고정방식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일실시예로서, 상기 개구부(122)와 외장판(134, 135)의 크기를 정확히 맞춰 단순히 끼워맞추는 형태가 있을 수 있다.
미설명 인출부호 '121'는 손잡이로, 상기 메인도어(120)를 여닫기 쉽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미설명 인축부호 '131'은 제한턱으로,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메인도어(120)가 일방으로만 회전되도록 함은 물론, 문틀(130)과 메인도어(120) 간의 틈새를 가능한한 줄이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상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이상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발생 시 이를 감지하여 화재가 인접지역을 번지거나 유독가스가 확산되어지는 통로인 문을 잠가 화염 및 유독가스의 이동을 차단하는 동시에, 비교적 유독가스로부터 안전한 바닥쪽으로 거주자가 탈출할 수 있는 통로 배치한 후 유사 시에는 이곳이 자동으로 개구되도록 함으로서, 이곳을 통해 거주자의 신속하고 안전한 탈출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구조의 설치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구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도어의 작동모습을 보이기 위해 경사대와 비상도어 및 메인도어의 개구부를 분해도시한 부분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도어의 측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구조의 전체 시스템을 이해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10 ; 비상도어 111 ; 회전축
111a ; 이동바퀴 112 ; 락구멍
113 ; 플레이트 114 ; 가요성연결부
120 ; 메인도어 121 ; 손잡이
122 ; 개구부 123 ; 힌지
124 ; 안착홈 125 ; 흡입구
126 ; 하부락장치 126a ; 빗장
127 ; 공간부 130 ; 문틀
131 ; 제한턱 132 ; 상부락장치
132a ; 잠금쇠 133 ; 연통구
134, 135 ; 외장판 136 ; 출입구
140 ; 비상등 141 ; 램프
150 ; 배기구 160 ; 환풍기
170 ; 제어기 180 ; 센서
E ; 통로 L ; 전선
W ; 벽체

Claims (3)

  1. 출입구를 갖는 사각틀 형상을 이루고, 일측면에는 전기신호를 받아 상기 출입구방향으로 돌출되는 잠금쇠를 구비한 상부락장치를 탑재하며, 연통구를 가지면서 실내 벽체에 형성된 통로에 설치되는 문틀;
    힌지를 매개로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도록 설치되고, 전후로 연통되게 형성된 개구부를 구비하며, 돌출된 상기 잠금쇠의 말단이 삽입되는 잠금쇠구멍과, 상기 연통구와 개구부를 잇는 흡입구를 갖추는 한편, 상기 개구부의 상방에는 소정의 체적을 갖는 공간을 중심으로 양단에 각각 상면이 경사진 경사로를 구비하면서 상기 개구부와 소정간격의 틈새가 생기도록 배치되는 경사대와, 상기 개구부의 하방에는 전기신호를 받아 일방으로 돌출되는 빗장을 구비한 하부락장치가 구비된 메인도어;
    다수의 금속재 플레이트가 가요성연결부를 매개로 연결되어서, 상기 경사로 상에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는 원형의 이동바퀴를 갖는 회전축으로 상기 틈새를 지나 권취가능하게 연결되는 한편, 말단에 위치하는 금속재 플레이트에는 상기 빗장이 삽입되는 락구멍이 형성된 비상도어;
    일단이 상기 문틀의 연통구와 연통되며 벽체에 내장되는 배기구;
    상기 배기구가 외부로 개방되는 타단에 설치되어서, 상기 개구부의 공기를 상기 흡입구ㆍ연통구ㆍ배기구를 거쳐 외부로 배출시키는 환풍기;
    화재여부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상부락장치와 하부락장치의 잠금쇠와 빗장이 이동되도록 전기신호를 발신하는 한편, 상기 환풍기를 구동시키는 제어기;
    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시 비상대피를 위한 건축용 도어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도어가 설치된 개구부가 외부에서 가시되지 않도록, 상기 개구부가 위치된 상기 메인도어의 전면 및 후면으로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외장판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시 비상대피를 위한 건축용 도어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도어의 전면에 안착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으로는 램프를 탑재한 안내표시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흡기구의 외측 둘레부에는, 상기 메인도어에 의한 상기 출입구의 폐구시 상기 연통구와 흡입구 간의 연통이 긴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탄성을 갖는 고분자합성수지재질의 밀폐띠가 상기 문틀과 메인도어 사이에 배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시 비상대피를 위한 건축용 도어구조.
KR1020050037265A 2005-05-03 2005-05-03 화재 시 비상대피를 위한 건축용 도어구조 KR100527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7265A KR100527035B1 (ko) 2005-05-03 2005-05-03 화재 시 비상대피를 위한 건축용 도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7265A KR100527035B1 (ko) 2005-05-03 2005-05-03 화재 시 비상대피를 위한 건축용 도어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7035B1 true KR100527035B1 (ko) 2005-11-09

Family

ID=37305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7265A KR100527035B1 (ko) 2005-05-03 2005-05-03 화재 시 비상대피를 위한 건축용 도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70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4868B1 (ko) * 2017-06-08 2018-02-02 (주)리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
KR20230139725A (ko) * 2022-03-28 2023-10-05 합자회사 원진설비 화재로 인한 연기흡입 기능을 갖는 소방용 방화문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4868B1 (ko) * 2017-06-08 2018-02-02 (주)리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방화문 구조
KR20230139725A (ko) * 2022-03-28 2023-10-05 합자회사 원진설비 화재로 인한 연기흡입 기능을 갖는 소방용 방화문구조
KR102647573B1 (ko) * 2022-03-28 2024-03-15 합자회사 원진설비 화재로 인한 연기흡입 기능을 갖는 소방용 방화문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1605B1 (ko) 아파트의 화재 비상탈출장치
KR100757204B1 (ko) 화재대피실이 구비된 건물의 피난장치
KR102189861B1 (ko) 2개의 모터를 동시에 제어하는 배연창 개폐장치
KR100527035B1 (ko) 화재 시 비상대피를 위한 건축용 도어구조
KR20060109711A (ko) 방화스크린장치
KR20100009291U (ko) 미닫이식 방화유리 자동문
JPH11313901A (ja) 防火・防煙シャッター
JP2003089490A (ja) エレベータ用防災装置
KR101203392B1 (ko) 피난문 연동 방화셔터 구동시스템
KR102497554B1 (ko) 재난시 인접세대로의 비상탈출 구조물
KR101779108B1 (ko) 회전 타입 피난용 갱문의 수동 및 자동 겸용 폐쇄장치
JP2010144443A (ja) 開閉体装置
KR200403273Y1 (ko) 방화스크린의 비상문 개폐 시스템
FR2870284A1 (fr) Dispostif de securite pour un acces externe et/ou interne de batiment et acces equipe d'un tel dispositif
JP3283950B2 (ja) 防煙装置
JP5294824B2 (ja) 開閉体装置
KR20210061127A (ko) 배연기능을 갖는 배연창 개폐장치
JP2010144446A (ja) 開閉体装置
JP3661685B2 (ja) くぐり戸を備えた防火または防煙用シャッター
KR102693411B1 (ko) 슬라이딩 도어를 포함하는 방화 자동문
JP2009281130A (ja) 避難用両袖扉の同時連動シャッター閉鎖装置
KR102664625B1 (ko) 자연 배출식 제연시스템
KR100515930B1 (ko) 옥내 화재발생 시 안전한 대피를 가능하게 하는 건축용 창구조
JP5294825B2 (ja) 開閉体装置
JP2006167401A (ja) 防火戸開閉システムの変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