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5930B1 - 옥내 화재발생 시 안전한 대피를 가능하게 하는 건축용 창구조 - Google Patents

옥내 화재발생 시 안전한 대피를 가능하게 하는 건축용 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5930B1
KR100515930B1 KR1020050014335A KR20050014335A KR100515930B1 KR 100515930 B1 KR100515930 B1 KR 100515930B1 KR 1020050014335 A KR1020050014335 A KR 1020050014335A KR 20050014335 A KR20050014335 A KR 20050014335A KR 100515930 B1 KR100515930 B1 KR 100515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topper
handle
detection sens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4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근
Original Assignee
(주)성미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미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성미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50014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59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5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59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8Shape of edges of wing and/or its frame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창구조에 관한 것으로, 건물의 소정위치에 설치되는 창틀과, 이 창틀과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창을 포함하는 창문으로 된 건축용 창구조에 있어서, 상기 창은, 창유리와; 상기 창틀과 인접하는 세로프레임 소정위치에 절개ㆍ형성되는 손잡이고정홈과, 상기 손잡이고정홈과 연통되고 상기 창의 상면 및/또는 저면에 형성된 개방부를 통해 개구되도록 상기 세로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세로로 형성되는 한편 내면에 각이 형성되어진 가이드를 갖춘 고정프레임으로 되고; 상기 창틀은, 상기 창의 상면 및/또는 저면과 대면하는 일면에 형성된 스토퍼안착부와; 상기 스토퍼안착부의 소정위치에서 상기 창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고정홈에서 회전축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핸들과, 상기 핸들의 회전방향에 탄발력을 가하는 토션스프링과, 일단에 상기 회전축과 스크류방식으로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구를 갖추고 상기 가이드를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개방부를 통해 타단이 돌출되면서 상기 스토퍼와 측방에서 맞닿을 수 있도록 된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하는 손잡이; 및, 화재발생여부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와, 일면이 상기 창의 측면과 맞대어져서 상기 창을 강제로 밀어낼 수 있도록 상기 창틀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된 푸싱바아와, 상기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상기 푸싱바아를 수평이동시키는 구동기구와, 상기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상기 스토퍼의 회전을 제어하는 걸림기구로 된 푸싱장치가 더 포함된 것이다.

Description

옥내 화재발생 시 안전한 대피를 가능하게 하는 건축용 창구조{Window structure having the ability as a safety exit}
본 발명은 건축용 창구조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주거공간인 건물은 실내외 환기 및 채광을 위해 필수적으로 창문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창문은 창틀과 창으로 구성되며, 사람이 여닫거나 미닫을 수 있는 구조로 된다.
한편, 건물 내 화재가 발생하면 유독가스에 의한 질식사가 빈번하게 일어난다. 따라서, 화재발생 시에는 유독가스가 확산되어 있는 실내를 신속히 환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상기 창문은 화재 및 각종 재난 발생 시, 건물내 있는 사람들의 탈출로로도 활용된다. 이는 실질적인 출입구의 경우 실내 있는 사람들이 일시에 탈출하기에는 그 공간이 협소할 뿐만아니라, 다급한 상황에서 침착한 탈출시도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하지만, 창문의 경우 락장치로 잠그는 경우가 일반적인데, 조급하게 탈출을 시도하는 사람들에게 이러한 락장치는 탈출에 있어 큰 장애가 될 수 있고, 최종적으로는 유리창을 직접 부순 후 탈출을 시도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므로 탈출시 파손된 유리에 의해 사람들이 상해를 입을 수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건물 내 화재등의 재난사고 발생 시 탈출로 확보를 위한 창문의 개폐가 용이하고 유독가스가 발생되면 환기를 위해 자동으로 열려 소중한 인명을 보호할 수 있도록 된 건축용 창구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의 소정위치에 설치되는 창틀과, 이 창틀과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창을 포함하는 창문으로 된 건축용 창구조에 있어서,
상기 창은, 창유리와; 상기 창틀과 인접하는 세로프레임 소정위치에 절개ㆍ형성되는 손잡이고정홈과, 상기 손잡이고정홈과 연통되고 상기 창의 상면 및/또는 저면에 형성된 개방부를 통해 개구되도록 상기 세로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세로로 형성되는 한편 내면에 각이 형성되어진 가이드를 갖춘 고정프레임으로 되고;
상기 창틀은, 상기 창의 상면 및/또는 저면과 대면하는 일면에 형성된 스토퍼안착부와; 상기 스토퍼안착부의 소정위치에서 상기 창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고정홈에서 회전축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핸들과, 상기 핸들의 회전방향에 탄발력을 가하는 토션스프링과, 일단에 상기 회전축과 스크류방식으로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구를 갖추고 상기 가이드를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개방부를 통해 타단이 돌출되면서 상기 스토퍼와 측방에서 맞닿을 수 있도록 된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하는 손잡이; 및,
화재발생여부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와, 일면이 상기 창의 측면과 맞대어져서 상기 창을 강제로 밀어낼 수 있도록 상기 창틀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된 푸싱바아와, 상기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상기 푸싱바아를 수평이동시키는 구동기구와, 상기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상기 스토퍼의 회전을 제어하는 걸림기구로 된 푸싱장치;
가 더 포함된 건축용 창구조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건축용 창구조에 있어서,
상기 푸싱장치는
상기 스토퍼안착부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면서, 일단에는 레크가 구비되고, 타단은 상기 스토퍼가 상기 개방부를 통해 돌출된 슬라이딩부재 타단의 수평이동력에 의해 회전되지 못하도록 위치되는 걸림바아;
상기 걸림바아와 맞물리는 피니언; 및,
상기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모터;
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건축용 창구조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푸싱바아의 타면부가 수평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실린더;
상기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상기 실린더로 가스를 주입하는 가스배출기구; 및,
상기 실린더에 주입된 가스를 배출시키는 배기구;
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건축용 창구조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푸싱바아의 타면부와 스크류방식으로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크류; 및,
상기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제2구동모터;
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창구조로 된 창문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창구조로 된 창문(100)은, 건물의 소정위치에 설치되는 창틀(110)과, 이 창틀(110)과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창(120)을 포함하는 창문(100)으로 된 건축용 창구조에 있어서, 상기 창(120)은, 창유리(121)와; 상기 창틀(110)과 인접하는 세로프레임(122a) 소정위치에 절개ㆍ형성되는 손잡이고정홈(123)과, 상기 손잡이고정홈(123)과 연통되고 상기 창(120)의 상면 및/또는 저면에 형성된 개방부(125)를 통해 개구되도록 상기 세로프레임(122a)의 길이방향을 따라 세로로 형성되는 한편 내면에 각이 형성되어진 가이드(124)를 갖춘 고정프레임(122)으로 되고; 상기 창틀(110)은, 상기 창(120)의 상면 및/또는 저면과 대면하는 일면에 형성된 스토퍼안착부(111 ; 도 3 참조)과; 상기 스토퍼안착부(111)의 소정위치에서 상기 창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스토퍼(112 ; 도 3 참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고정홈(123)에서 회전축(132)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핸들(131)과, 상기 핸들(131)의 회전방향에 탄발력을 가하는 토션스프링(133)과, 일단에 상기 회전축(132)과 스크류방식으로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구(134)를 갖추고 상기 가이드(124)를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개방부(125)를 통해 타단이 돌출되면서 상기 스토퍼(112)와 측방에서 맞닿을 수 있도록 된 슬라이딩부재135)를 포함하는 손잡이(130); 및, 화재발생여부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미도시됨)와, 일면이 상기 창(120)의 측면과 맞대어져서 상기 창(120)을 강제로 밀어낼 수 있도록 상기 창틀(110)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된 푸싱바아(143 ; 도 5 참조)와, 상기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상기 푸싱바아(143)를 수평이동시키는 구동기구와, 상기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상기 스토퍼(112)의 회전을 제어하는 걸림기구로 된 푸싱장치(140)를 더 포함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창문(100)은 건물의 소정위치에 배치되어 실내외를 연결하는 통로로, 사람이 창(120)을 쉽게 여닫을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창(120)에는 손잡이(130)가 포함된다. 상기 손잡이(130)는 사람이 손으로 잡아 창(120)에 힘을 가하기 쉬운 형상으로 된 핸들(131)을 구비하는데, 상기 핸들(131)은 회전축(132)을 매개로 상기 손잡이고정홈(123)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서 창(120)을 열기위해 힘을 가할 때마다 회동된다. 한편, 상기 회전축(132) 토션스프링(133)에 의해 그 회전에 탄발력을 받게 되므로 사람이 핸들(131)에 힘을 가하지 않게되면 상기 탄발력에 의해 제 위치로 복원된다.
이러한 핸들(131)의 상면 및/또는 저면에는 상기 회전축(132)과 스크류방식으로 연결되는 슬라이딩부재(135)가 위치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135)의 일단에는 상기 회전축(132)과 스크류방식으로 연결되는 연결구(134)가 구비되며 외주면에는 나사산(134a)이 형성된다. 물론 도면에 인출되고 있진 않지만, 상기 회전축(132)은 상기 연결구(134)가 삽입되는 삽입홈과 이 삽입홈의 내주면에는 상기 나사산(134a)에 상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술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연결구(134) 내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132)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132)이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되는 구조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의 작동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슬라이딩부재(135)는 각이 형성된 가이드(124)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각은 상기 슬라이딩부재(135)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축(132)과 연결구(134)의 결합관계 및 핸들(131)이 회전하는 구조에 따라, 상기 핸들(131)이 회전 및 복귀되면서 회전축(132)과 연결구(134) 간의 슬라이딩 결합이 조여지거나 풀리게 된다.
도 3의 (a)도면은 핸들(131)에 아무런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로 창(120)이 닫혀진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창틀(110)에는 회전축(113)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스토퍼(112)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재(135)의 타단은 개방부(125)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서 상기 스토퍼(112)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창(120)은 좌우로 이동할 수 없어 닫혀진 상태로 잠긴다.
그런데 (b)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람이 창(120)을 열기위해 핸들(131)을 잡아끌면 상기 핸들(131)은 회전되면서 스크류방식으로 결합된 상기 연결구(134) 및 회전축(132)을 조이게 되고, 돌출된 상기 슬라이딩부재(135)의 타단을 고정프레임(122) 안쪽으로 유입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부재(135)는 스토퍼(112)에 걸리지 않아 창(120)을 열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도 4의 (a)도면은 창(120)이 열려진 상태에서 핸들(131)에 아무런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b)도면은 창(120)을 밀어 닫혀지는 모습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핸들(131)을 조작할 필요없이 그대로 밀어 닫으면 돌출된 상기 슬라이딩부재(135)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상기 스토퍼(112)를 밀면서 닫힌다. 즉, 상기 창(120)은 열릴 때는 상기 스토퍼(112)에 걸리면서 핸들(131) 조작없이는 열 수 없는 반면, 닫힐 때는 상기 스토퍼(112)에 슬라이딩부재(135)의 타단이 걸리더라도 상기 스토퍼(112)가 회전하면서 창(120)의 이동에 방해를 주지 않으므로 별 어려움없이 그대로 닫히게 된다.
상기 스토퍼(112)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스토퍼안착부(111)은 충분히 크게 절개되고, 상기 걸림바아(141)의 타단에는 안착홈(142)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걸림바아(141)는 좌우이동하면서 스토퍼(112)의 일방회전을 저지하는 것으로, 도시된 걸림바아(141)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불과하다. 따라서, 상기 걸림바아(141)는 스토퍼(112)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저지 및 허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라면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도 내에서 보다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싱장치의 작동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푸싱장치(140)는, 상기 스토퍼안착부(111 ; 도 3 참조)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면서, 일단에는 레크(141a)가 구비되고, 타단은 상기 스토퍼(112)가 상기 개방부(125)를 통해 돌출된 슬라이딩부재(135) 타단의 수평이동력에 의해 회전되지 못하도록 위치되는 걸림바아(141); 상기 걸림바아(141)와 맞물리는 피니언(141b); 및, 상기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상기 피니언(141b)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모터(147)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사시 창(120)을 밀어 강제로 열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상기 창(120)이 사람의 핸들(131) 조작없이도 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슬라이딩부재(135)가 스토퍼(112)를 밀고 나갈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112)를 강제로 저지하던 걸림바아(141)를 후진시킴으로서, 창(120)이 열리면서 슬라이딩부재(135)의 타단이 스토퍼(112)에 걸리더라도 스토퍼(112)가 슬라이딩부재(135)의 수평이동을 방해하지 않게 되고, 이로인해 상기 창(120)은 열리게 된다.
상기 걸림바아(141)의 수평이동은, 상기 걸림바아(141) 일단에 구비된 레크(141a)와 이에 상응하여 피니언(141b)의 상호 연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피니언(141b)은 화재감지센서와 통신하는 제1구동모터(147)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걸림바아(141)를 이동시키는 구동원이 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림바아(141)가 창문(100) 상부에만 설치된 것으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걸림바아(141)는 창문(100) 하부에도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창(120)의 수평이동이 자유로운 상태로 되면 창(120)을 강제로 밀어 열 수 있는 구동기구가 작동된다.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푸싱바아(143)의 타면부가 수평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실린더(144); 상기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상기 실린더(144)로 가스를 주입하는 가스배출기구(145); 및, 상기 실린더(144)에 주입된 가스를 배출시키는 배기구(146)로 이루어진다.
상기 푸싱바아(143)는 일단이 창(120)의 측면에 맞대어져서 상기 창(120)을 강제로 밀어내는 부재로, 타단은 상기 실린더(144)와 수평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상기 실린더(144)는 배기구(146)를 제외하고 완전히 밀폐되며, 화재감지센서로부터 화재발생신호를 수신하면 대량의 가스를 발생시켜 실린더(144) 안으로 분사시키는 가스배출기구(145)의 구동으로 높은 압력이 조성되어 상기 푸싱바아(143)에 힘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푸싱바아(143)는 순간적으로 수평이동하면서 창(120)을 강하게 밀어내고, 이로서 상기 창(120)은 열리게 된다. 상기 배기구(146)는 실린더(144) 내에 가득찬 가스를 배출시켜 푸싱바아(143)를 수작업으로도 복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푸싱바아(143)는 실린더(144) 내의 갑작스런 기압증가로 인해 이동하면서 창(120)에 힘을 가하게 되므로, 큰 수평력에 의해 창(120)이 파손될 수도 있다. 따라서, 창(120)의 측면과 맞대어지는 푸싱바아(143)의 일단에는 완충부재(144)를 도포하여 창(120)의 파손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푸싱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푸싱바아(143')의 타면부와 스크류방식으로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크류(148); 및, 상기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상기 스크류(148)를 회전시키는 제2구동모터(149)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구동모터(149)는 스크류(148)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스크류(148)와 스크류방식으로 결합된 푸싱바아(143')를 밀어낸다. 물론 상기 푸싱바아(143')는 스크류(148)의 회전으로 스크류방식의 결합이 풀리면서 수평이동되고, 이러한 수평이동으로 상기 창(120)은 열리게 된다.
이상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창이 유사시에 강제로 열리도록 되어 창문이 유독가스의 신속한 배출 및 사람의 탈출로로서의 기능을 안전하고 원활히 수행할 수 있게 되고, 창의 열고닫음이 용이하여 편리한 창문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창구조로 된 창문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창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창문의 작동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싱장치의 작동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푸싱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00 ; 창문 110 ; 창틀
111 ; 스토퍼안착부 112 ; 스토퍼
113 ; 회전축 120 ; 창
122 ; 고정프레임 122a ; 세로프레임
123 ; 손잡이고정홈 124 ; 가이드
125 ; 개방부 130 ; 손잡이
131 ; 핸들 132 ; 회전축
133 ; 토션스프링 134 ; 연결구
135 ; 슬라이딩부재 140 ; 푸싱장치
141 ; 걸림바아 141a ; 레크
141b ; 피니언 142 ; 안착홈
143, 143' ; 푸싱바아 144 ; 실린더
145 ; 가스배출기구 146 ; 배기구
147 ; 제1구동모터 148 ; 스크류149 ; 제2구동모터

Claims (4)

  1. 건물의 소정위치에 설치되는 창틀과, 이 창틀과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창을 포함하는 창문으로 된 건축용 창구조에 있어서,
    상기 창은, 창유리와; 상기 창틀과 인접하는 세로프레임 소정위치에 절개ㆍ형성되는 손잡이고정홈과, 상기 손잡이고정홈과 연통되고 상기 창의 상면 및/또는 저면에 형성된 개방부를 통해 개구되도록 상기 세로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세로로 형성되는 한편 내면에 각이 형성되어진 가이드를 갖춘 고정프레임으로 되고;
    상기 창틀은, 상기 창의 상면 및/또는 저면과 대면하는 일면에 형성된 스토퍼안착부와; 상기 스토퍼안착부의 소정위치에서 상기 창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고정홈에서 회전축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핸들과, 상기 핸들의 회전방향에 탄발력을 가하는 토션스프링과, 일단은 상기 회전축과 스크류방식으로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구를 갖추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를 따라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개방부를 통해 돌출되면서 상기 스토퍼와 측방에서 맞닿을 수 있도록 된 슬라이딩부재를 포함하는 손잡이; 및,
    화재발생여부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와, 일면이 상기 창의 측면과 맞대어져서 상기 창을 강제로 밀어낼 수 있도록 상기 창틀에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된 푸싱바아와, 상기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상기 푸싱바아를 수평이동시키는 구동기구와, 상기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상기 스토퍼의 회전을 제어하는 걸림기구로 된 푸싱장치;
    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창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싱장치는
    상기 스토퍼안착부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면서, 일단에는 레크가 구비되고, 타단은 상기 스토퍼가 상기 개방부를 통해 돌출된 슬라이딩부재의 수평이동력에 의해 회전되지 못하도록 위치되는 걸림바아;
    상기 걸림바아의 일단에 형성된 레크와 맞물리는 피니언; 및,
    상기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모터;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창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푸싱바아의 타면부가 수평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실린더;
    상기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상기 실린더로 가스를 주입하는 가스배출기구; 및,
    상기 실린더에 주입된 가스를 배출시키는 배기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창구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푸싱바아의 타면부와 스크류방식으로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스크류; 및,
    상기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따라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제2구동모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창구조.
KR1020050014335A 2005-02-22 2005-02-22 옥내 화재발생 시 안전한 대피를 가능하게 하는 건축용 창구조 KR100515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335A KR100515930B1 (ko) 2005-02-22 2005-02-22 옥내 화재발생 시 안전한 대피를 가능하게 하는 건축용 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335A KR100515930B1 (ko) 2005-02-22 2005-02-22 옥내 화재발생 시 안전한 대피를 가능하게 하는 건축용 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5930B1 true KR100515930B1 (ko) 2005-09-20

Family

ID=37304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4335A KR100515930B1 (ko) 2005-02-22 2005-02-22 옥내 화재발생 시 안전한 대피를 가능하게 하는 건축용 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59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94698A (zh) * 2017-04-18 2017-06-27 南京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用于开关窗户的智能控制装置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9968U (ko) * 1986-11-08 1988-07-23 이철남 캐비넷문의 괘정장치
JPH01105893A (ja) * 1987-10-19 1989-04-24 Nippon Kentetsu Co Ltd 窓開放装置
KR900015820U (ko) * 1989-02-16 1990-09-03 박갑일 건물용 배연창
KR910014360U (ko) * 1990-01-25 1991-08-31 경북소방설비 주식회사 건물용 배기창의 자동 개방장치
JPH0941763A (ja) * 1995-08-02 1997-02-10 Shibutani:Kk ドアの開閉装置
KR980002598A (ko) * 1996-06-17 1998-03-30 김용구 비상문 자동열림장치
KR19990026033A (ko) * 1997-09-22 1999-04-15 정몽규 비상시 도어의 자동열림장치
JP2000008710A (ja) * 1998-06-26 2000-01-11 Tescon Co Ltd 窓開放システム
KR200200376Y1 (ko) * 2000-05-13 2000-10-16 윤두남 라체트식 미닫이창문
KR200252596Y1 (ko) * 2001-07-10 2001-11-17 공진산업 주식회사 도어 록킹장치
KR20030079110A (ko) * 2002-04-02 2003-10-10 김억지 미닫이 창문의 자동 개폐 장치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9968U (ko) * 1986-11-08 1988-07-23 이철남 캐비넷문의 괘정장치
JPH01105893A (ja) * 1987-10-19 1989-04-24 Nippon Kentetsu Co Ltd 窓開放装置
KR900015820U (ko) * 1989-02-16 1990-09-03 박갑일 건물용 배연창
KR910014360U (ko) * 1990-01-25 1991-08-31 경북소방설비 주식회사 건물용 배기창의 자동 개방장치
JPH0941763A (ja) * 1995-08-02 1997-02-10 Shibutani:Kk ドアの開閉装置
KR980002598A (ko) * 1996-06-17 1998-03-30 김용구 비상문 자동열림장치
KR19990026033A (ko) * 1997-09-22 1999-04-15 정몽규 비상시 도어의 자동열림장치
JP2000008710A (ja) * 1998-06-26 2000-01-11 Tescon Co Ltd 窓開放システム
KR200200376Y1 (ko) * 2000-05-13 2000-10-16 윤두남 라체트식 미닫이창문
KR200252596Y1 (ko) * 2001-07-10 2001-11-17 공진산업 주식회사 도어 록킹장치
KR20030079110A (ko) * 2002-04-02 2003-10-10 김억지 미닫이 창문의 자동 개폐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94698A (zh) * 2017-04-18 2017-06-27 南京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用于开关窗户的智能控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24163T3 (es) Sistema de enclavamiento para una puerta
US9670697B2 (en) Door device with pressure difference mitigating mechanism
EP0235290B1 (en) Self-closing door sealing structure
KR101187938B1 (ko) 창문용 자동 폐쇄 장치
WO2006137621A1 (en) Automatic close device and system of fire door
JPH0598863A (ja) 動くことができるようにして枠に取付けられている閉鎖装置の動く範囲を制限する制限装置
KR100515930B1 (ko) 옥내 화재발생 시 안전한 대피를 가능하게 하는 건축용 창구조
KR101169607B1 (ko) 안전문
CN208220562U (zh) 一种上悬带隐藏式闭窗器的防火窗
KR101035118B1 (ko) 방화문용 도어 클로저
KR20160032612A (ko) 가스 유입 방지용 개폐문
KR20140091427A (ko) 배연창 개폐장치용 록킹구조
KR101779108B1 (ko) 회전 타입 피난용 갱문의 수동 및 자동 겸용 폐쇄장치
CN208267685U (zh) 电动防护密闭门
CN210508718U (zh) 一种自动锁和防火门窗
JP2007138579A (ja) 窓(扉、戸等の開閉手段を含む)のロック部の自動施錠及び/又は開錠と、センサーによる窓の開閉を司る窓の自動開閉システム
KR101035120B1 (ko) 방화문용 도어 클로저
JP3188203B2 (ja) サッシ
WO2006134618A1 (en) External frame for windows and doors with locking device in the opening position
KR100920009B1 (ko) 미닫이 도어의 개폐손잡이
JP6944217B1 (ja) 引き違い窓の小開口装置
KR101021314B1 (ko) 비상출입용 도어의 구조
KR102601754B1 (ko) 건물 외벽 및 루버창을 이용한 건물 대피 시설
KR20160031925A (ko) 배연창 개폐장치
KR200395663Y1 (ko) 상하좌우로 작동되는 여닫이문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