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1314B1 - 비상출입용 도어의 구조 - Google Patents

비상출입용 도어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1314B1
KR101021314B1 KR1020100068153A KR20100068153A KR101021314B1 KR 101021314 B1 KR101021314 B1 KR 101021314B1 KR 1020100068153 A KR1020100068153 A KR 1020100068153A KR 20100068153 A KR20100068153 A KR 20100068153A KR 101021314 B1 KR101021314 B1 KR 101021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otary link
emergency access
access door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8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길
Original Assignee
전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영길 filed Critical 전영길
Priority to KR1020100068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13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1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1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10Actuating mechanisms for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1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panic or emergency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2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one sliding bar for fastening when moved in one direction and unfastening when moved in opposite direction;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the same direction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Abstract

본 발명 비상출입용 도어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중심 구간에 삽지공이 천공되고 마주보는 내면에 장방형의 수용홈이 길게 형성된 상·하부 문틀, 상·하부 문틀이 상호 지지되는 양쪽 수직 문틀로 이루어지는 사각 틀 형상의 메인프레임;과, 상·하부 문틀 양단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일 방향 개구되는 일측도어 및 타측도어;로 이루어지되, 상기 일측도어에는 그 세로축에서 수평 연장되는 커버체와 이의 일면에서 고정 설치되는 탄성시트가 더 구비되고, 상기 타측도어에는 세로축에서 수평 연장되는 커버체 및 일 방향 회전하는 손잡이를 배치하여 세로축에 장착된 잠금쇠뭉치와 상호 연결 구성된다.
특히, 상기 잠금쇠뭉치는, 사각의 중공부가 중앙에 천공되고 동일 연장선상에서 복수의 연결대가 형성되는 회전링크;와, 회전링크의 연결대에 일단이 고정되고 작동바에 타단이 결속되는 한 쌍의 연동부재;와, 연동부재에 일단이 결속되고 이음부재에 타단이 연결되는 한 쌍의 작동바;와, 작동바에 일단이 연결되고 축설돌기에 타단이 결합되는 한 쌍의 이음부재; 및 이음부재에 일단이 결합되어 상하 구동되는 한 쌍의 축설돌기;를 순차 조립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상출입용 도어의 구조{Structure of Emergency Door}
본 발명은 비상출입용 도어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화재나 기타 긴급을 요하는 상황 발생시 보다 신속하고 안전하게 이러한 현장으로부터 탈출하여 고귀한 인명을 각종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고, 특히 공간의 제약이 따르는 도어의 구조를 가장 바람직한 형태로 개선하여 한정된 공간에서도 대피자가 출입하는데 있어서 전혀 불편함이 없도록 이상적인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나아가 개폐 방식이 용이함으로 인해 도어를 열고 닫는 일련의 행위가 간편해지고, 또한 동선이 크게 줄어들면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여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비상출입용 도어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 등의 건물 내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화재 확산과 더불어 유독가스의 발생으로 재산상의 피해는 물론 수많은 인명피해를 야기하게 된다. 특히, 유독가스의 경우에는 인명사상의 첫 번째 원인으로 꼽히는바, 이러한 인명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유독가스의 확산을 막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할 것이다.
통상적으로, 유독가스는 그 비중이 공기보다 가벼워 공중으로 뜨게 되는데, 근래 건축되는 공공건물 등에는 상기 성질을 이용해 유독가스의 확산이 차단되도록 가스확산차단벽이 설치된다. 또한, 화염이 인접지역으로 번지면서 더 큰 피해가 일어나는 것을 막기 위해 방화벽 등이 설치되기도 한다.
그러나, 가스확산차단벽의 경우에는 거주자의 신속한 대피를 위해 천장으로부터 일정길이만큼만 하방 돌출되게 설치되므로, 완벽하게 유독가스를 차단할 수 없으며, 실내 특정공간을 완전히 격실하는 방화벽의 경우에는 거주자의 대피를 위한 비상구의 설치가 미약하여 미처 대피하지 못한 거주자의 신속한 대피를 방해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어른 허리높이 정도의 크기로 비상도어를 구축하여 긴급 상황시에 대피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를 수단으로 거주자의 출입이 이루어지면서 밀폐 또는 개방하는 방식으로 도어를 조작하여 최악의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방식의 비상도어는 도 1에 도시하였으며,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구성되는 비상도어의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비상도어는 하나의 사각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문틀(2);과, 상기 문틀의 일측에서 일 방향 개구되는 도어(1);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1)는 문틀(2)의 세로축과 복수의 경첩으로 연결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문틀(2)에는 손잡이(3)와 상호 작용하여 잠금 상태가 될 수 있도록 고정대(4)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대는 문틀과 직교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바, 도어에 구비된 손잡이(3)가 일 방향 회전하면서 이에 손잡이 단부가 걸리는 단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비상도어는 문틀 중앙 영역에 고정 배치되어야 할 중간 기둥을 생략하여 사람의 출입을 용이하게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어의 개폐방식을 상기와 같이 문틀 일측에서 전체적으로 개구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방식은 잠금구조가 취약하고 고정대가 노출되어 있어서 사람이 출입하는데 간섭을 초래하게 되어 안전상 바람직하지 않음은 물론, 쉽게 파손될 우려가 있어 비상도어로서의 제 기능을 다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개방된 도어를 닫고자 할 경우에 안쪽으로 밀려 들어가 있는 도어를 재차 바깥으로 당겨야만 하는바, 도어를 열고 닫는 일련의 동작이 쉽지 않게 되고, 통상 두꺼운 두께의 강화유리가 장착된 도어를 움직이는 것 또한 용이하지 않으며, 더욱이 유리 자체 중량으로 인해 시간이 경과되면서 도어가 점차적으로 처지게 되어 또 다른 문제점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각 틀로 짜여진 메인프레임의 중앙 영역에서 통상적으로 고정 배치되는 중간 기둥을 과감히 생략하면서도 중간 기둥이 있는 것과 동일한 기능 및 방식으로 구현되는 비상출입용 도어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일련의 잠금장치를 도어 자체에 내장시켜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함으로써 외부 요인에 의한 간섭성을 철저히 배제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이러한 잠금 수단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구현하여 신속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보다 빠른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비상출입용 도어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비상출입용 도어는,
중심 구간에 삽지공이 천공되고 마주보는 내면에 장방형의 수용홈이 길게 형성된 상·하부 문틀, 상·하부 문틀이 상호 지지되는 양쪽 수직 문틀로 이루어지는 사각 틀 형상의 메인프레임;과,
상·하부 문틀 양단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일 방향 개구되는 일측도어 및 타측도어;로 이루어지되,
상기 일측도어에는 그 세로축에서 수평 연장되는 커버체와 이의 일면에서 고정 설치되는 탄성시트가 더 구비되고,
상기 타측도어에는 세로축에서 수평 연장되는 커버체 및 일 방향 회전하는 손잡이를 배치하여 세로축에 장착된 잠금쇠뭉치와 상호 연결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타측도어의 세로축은 내부가 중공이 되게 형성하여 잠금쇠뭉치를 내장하고,
상기 잠금쇠뭉치는,
사각의 중공부가 중앙에 천공되고 동일 연장선상에서 복수의 연결대가 형성되는 회전링크;
회전링크의 연결대에 일단이 고정되고 작동바에 타단이 결속되는 한 쌍의 연동부재;
연동부재에 일단이 결속되고 이음부재에 타단이 연결되는 한 쌍의 작동바;
작동바에 일단이 연결되고 축설돌기에 타단이 결합되는 한 쌍의 이음부재;
이음부재에 일단이 결합되어 상하 구동되는 한 쌍의 축설돌기;를 순차 조립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링크의 중공부에는 손잡이와 연결 구성된 회전돌부가 맞춤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동부재는 회전링크에 근접 배치되는 영역을 완만하게 굴곡 형성하여 중공부에 밀접하게 권취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연동부재는 상하 대칭되도록 위치시켜 굴곡이 형성된 부위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여 회전링크의 연결대에 각각 구속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링크는 일측으로 회전되어 연결대와 상하에서 각각 구속된 연동부재를 중공부에 권취하고, 연동부재의 권취로 인해 작동바, 이음부재, 축설돌기가 중심측으로 수축 구동되는 한편,
회전링크를 타측으로 회전시켜 중공부에 권취된 연동부재를 전개하여 작동바, 이음부재, 축설돌기가 양방향 이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링크와, 이와 연결 구성된 연동부재 및 작동바 일체는 내부가 중공이 되게 구비되는 케이싱에 수용되고,
상기 케이싱은 측면 중심 영역에 통공이 천공되고 상하면에는 작동바가 구동될 수 있도록 또 다른 통공이 천공되며, 회전링크가 배치되는 근접 공간에는 마주하는 측면으로부터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토퍼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측도어와 타측도어는 각각의 가로축 단부에 금속재로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의 가요성지지부가 수용되고,
상기 가요성지지부는 결합부재가 인입되어 가로축에 고정 장착되도록 하나 이상의 결합공이 천공되고, 상하 유연한 휨성이 제공되도록 일측을 상방으로 절곡 형성하되, 절곡 형성된 단부에는 중심축에 연결된 연재질의 고무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요성지지부는 상·하부 문틀의 수용홈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공간의 제약이 따르게 되는 비상출입구의 특성상, 이에 설치되는 도어의 구조를 적극 개선하여 한정된 공간에서도 대피자가 출입하는데 있어서 전혀 불편함이 없는 이상적인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개폐 방식이 용이함으로 인해 도어를 열고 닫는 일련의 개폐 행위가 보다 쉽고 간편해져 효율성이 극대화되고, 또한 동선이 크게 줄어들면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여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특히, 이러한 도어에 적용되는 잠금 구조가 모두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내부 공간에 내장됨으로써 외부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아 파손의 위험으로부터 적극적으로 보호되는 것은 물론, 사람이 드나들 때 방해받지 않게 되면서 더욱 안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구성되는 비상도어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비상출입용 도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잠금쇠뭉치 일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a,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잠금쇠뭉치의 구체적인 작동 개요도.
도 5는 본 발명의 잠금 수단이 구현되는 제반 구성요소를 도시한 부분 결합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요부인 가요성지지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a,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비상출입용 도어의 사용 상태도.
본 발명은 사각 틀로 짜여진 메인프레임의 중앙 영역에서 통상적으로 고정 배치되는 중간 기둥을 과감히 생략하면서도 중간 기둥이 있는 것과 동일한 기능 및 방식으로 구현되는 비상출입용 도어의 구조에 관련되는 것이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비상출입용 도어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00)의 중심을 기점으로 양분 형성되어 후방으로 개구되는 복수의 도어(200,300)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중심 구간에 삽지공(112)이 천공되고 마주보는 내면에 장방형의 수용홈(115)이 길게 형성되는 상·하부 문틀(110,120)과, 상·하부 문틀이 상호 지지되는 양쪽 수직 문틀(130)로 이루어져 사각 틀 형상으로 구축된다.
상기 복수의 도어는 일측도어(200)와 타측도어(300)로 구분되고, 이들은 상·하부 문틀(110,120) 양단에서 각각 힌지 결합되어 일 방향 개구된다.
상기 일측도어(200)에는 세로축에서 수평 연장되는 커버체(210)와 함께 이의 일면에서 고정 설치되는 탄성시트(미도시함)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탄성시트는 일측도어와 타측도어의 커버체가 서로 맞닿을 경우, 이들의 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소정의 고무소재로 형성한 것이며, 일측도어의 커버체 일면을 따라 종 방향 형성되어 상기 커버체의 일면을 완벽하게 수용한다.
상기 타측도어(300) 또한 일측도어의 것과 동일한 커버체(310)가 구비되고, 더불어 일 방향 회전하는 손잡이(320)를 배치하여 이후 기술할 잠금쇠뭉치(350)와 상호 연결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잠금쇠뭉치(350) 일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잠금쇠뭉치(350)는 타측도어(300)의 세로축에 수용되고, 원활한 수용을 위해 타측도어의 세로축은 내부가 중공이 되게 형성하여 잠금쇠뭉치를 내장하기에 적합한 공간을 제공한다.
이러한 잠금쇠뭉치(350)는,
사각의 중공부(351a)가 중앙에 천공되고 동일 연장선상에서 복수의 연결대(351b)가 형성되는 회전링크(351);와, 회전링크의 연결대(351b)에 일단이 고정되고 작동바(353)에 타단이 결속되는 한 쌍의 연동부재(352);와, 연동부재(352)에 일단이 결속되고 이음부재(354)에 타단이 연결되는 한 쌍의 작동바(353);와, 작동바(353)에 일단이 연결되고 축설돌기(355)에 타단이 결합되는 한 쌍의 이음부재(354); 및 이음부재(354)에 일단이 결합되어 상하 구동되는 한 쌍의 축설돌기(355);를 순차 조립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링크(351)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중심을 관통 형성시킨 중공부(351a)와, 이의 외주연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적정 위치로부터 서로 대향되게 연장되는 연장부(351c)로 구성된다. 이격 배치되어 서로 마주보는 연장부(351c)에는 일정 부분 절개하여 단차를 형성시킨 걸림턱(351d)이 구비되고, 소정의 연결대(351b)가 이의 내부 공간에 축설되면서 연장부(351c)와 연장부를 연결한다.
상기 연결대(351b)는 연장부의 일직선상에 각각 구비되며, 연동부재(352)의 단부와 결속될 수 있도록 적정 굵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공부(351a)는 손잡이(320)와 상호 결합되기 위하여 손잡이의 회전돌부(321)와 동일한 크기 및 형상으로 구비되고, 본 발명에서는 실시 예에 따라 사각 형상으로 천공하였다.
상기 연동부재(352)는 회전링크(351)에 근접 배치되는 일부 부위가 완만하게 굴곡되도록 형성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동부재의 일측 단부에는 전술한 연결대(351b)와 상호 결속되기에 적합한 통공을 천공하고, 통공으로부터 이어지는 부분을 소폭 절개하여 굴곡부가 형성되게 하였는바, 이는 회전링크의 중공부(351a)에 유연하게 권취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회전링크(351)가 회전하면서 이와 고정된 연결대(351b)가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가 가변되고, 이에 상기 연결대에 고정된 연동부재(352) 또한 연결대가 움직이는 방향을 따라 회전하게 되면서 연동부재의 굴곡부는 회전링크(351)의 중공부(351a) 외주연에 맞물려 밀접하게 권취되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회전운동을 반 시계방향으로 가해줄 경우, 회전링크(351)의 회전에 따라 연결대(351b)가 재차 구동하여 제자리 위치되면서, 이에 고정된 연동부재(352) 또한 연결대와 함께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중공부(351a)의 권취 상태를 자연스럽게 해제함으로써 상기 연동부재는 중공부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일정 거리만큼 전개될 수 있다.
특히, 상기의 권취 상태 및 권취 해제 상태를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회전링크(351) 상하에 각각 거치되는 연동부재(352)를 서로 상하 대칭되도록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로써 굴곡이 형성된 부위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됨에 따라 회전링크의 중공부(351a) 양쪽에서 일련의 권취 과정이 동일하게 이루어지게 되는바, 도 4b와 같은 적극적인 공간의 활용을 도모하여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보다 완벽하게 수행될 수 있게 하였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연동부재(352)를 상하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하여 다수 쌍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회전링크의 연결대(351b)와 결속된 연동부재(352)는 그 타측 단부가 작동바(353)와 연결 구성되고, 견고한 결속을 위해 그 단부에 또 다른 통공이 천공된다.
상기 작동바(353)는 연동부재(352)와 결합되는 일측 단부의 중앙 영역을 절개 형성하여 고정축(353a)을 축설하고, 축설된 고정축(3523)에 연동부재의 타측 단부가 거치되게 하였다. 연동부재의 통공으로 고정축이 인입 고정되는바, 이로써 작동바(353)와 연동부재(352)는 긴밀히 연결 구성되어 회전링크(351)가 전해오는 회전력을 동일하게 전달받아 상하 양방향 구동이 자유롭게 설치된다.
또한, 작동바(353)는 하기에 후술할 케이싱(370)의 상하에서 이완되거나 수축되면서 케이싱 내외부로 자유롭게 인입 및 인출될 수 있으며, 이음부재(354)와 상호 견고한 결속력이 유지되도록 타단에는 일정 깊이로 이루어진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음부재(354)는 몸체에 나사홈을 형성하여 작동바의 타측 단부에 끼움 결속되게 하는 한편, 몸체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을 환형으로 확장하여 육각 형상의 홀이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이러한 홀로 하여금 축설돌기(355)의 일단이 끼워져 고정 배치될 수 있고, 고정 배치된 축설돌기(355)는 그 타단이 타측도어(300)의 세로축 상하에서 연장되거나 혹은 수축되면서 잠금 상태를 유지 및 해제하게 된다.
상기 축설돌기(355)는 도면에서와 같은 형상으로 구현되어 상기에서 전술한 구성요소의 구동력이 전달되는 최종 목적지로, 회전링크(351)의 중공부(351a)에서 연동부재(352)가 인출되는 일련의 구동이 이와 연결된 작동바(353), 이음부재(354), 축설돌기(355)를 순차적으로 상하 양방향 이완 전개시켜 상부 및 하부 문틀(110,120)의 삽지공(112)에 축설돌기(355)의 타단이 끼워져 록킹되고, 또한 회전링크의 중공부에 연동부재가 일부 권취되는 일련의 구동이 동일한 방식에 의해 축설돌기를 삽지공(112)으로부터 벗어나게 하면서 록킹이 해제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잠금 수단이 구현되는 제반 구성요소를 도시한 부분 결합 사시도.
상기 손잡이(320)는 사용자가 손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적정 길이 연장되고, 타측도어(300)와의 결합을 위해 하나 이상의 결합공(322a)으로 이루어진 고정편(322)을 상하에 대응되게 형성하며, 특히 회전링크의 중공부(351a)와 상호 맞춤 수용되도록 이와 동일한 형상의 회전돌부(321)가 연장 형성된다.
상기 케이싱(370)은 회전링크(351), 연동부재(352), 작동바(353) 일체를 포함하고, 이러한 구성요소들을 적절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이 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측면 중심 영역에 통공이 천공되고 상하면에는 작동바(353)가 구동될 수 있도록 또 다른 통공이 천공되며, 회전링크(351)가 배치되는 근접 공간에는 마주하는 측면으로부터 직교 방향으로 축설되는 스토퍼(37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이러한 케이싱(370) 내부로 회전링크와 연결 구성된 연동부재 및 작동바를 상하 복수 수용하되, 중공부(351a)는 통공을 통해 외부에 표출되어 손잡이의 회전돌부(321)가 이에 인입되어 맞물림 가능하고, 손잡이의 구동으로 회전하는 회전링크(351)는 자체 구비된 걸림턱(351d)에 스토퍼(371)가 걸리게 되면서 더 이상 구동되지 못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요부인 가요성지지부(38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가요성지지부(380)는 일측도어(200)와 타측도어(300)의 상하 가로축 단부에 장착되어 상·하부 문틀(110,120)의 수용홈(115)에 안착되는 구성요소로, 금속재로 형성하여 소정의 탄발력을 갖추도록 하였다. 또한, 가요성지지부(380)는 결합부재(미도시함)가 인입되어 가로축에 고정 장착되도록 하나 이상의 결합공(381)이 천공되고, 상하 유연한 휨성이 제공되도록 일측을 상방으로 절곡 형성하되, 절곡 형성된 단부에는 중심축에 연결된 연재질의 고무롤러(382)가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서와 같이, 가요성지지부(380)의 고무롤러(382)는 일측도어(200)와 타측도어(300)의 상하 가로축에 완벽하게 함몰되지 않도록 장착되어 도어를 닫을 경우 상·하부 문틀(110,120)에 간섭되는바, 이러한 간섭에 의해 고무롤러(382)는 소폭 하향하게 되면서 수용홈(115)으로 진입되고, 진입이 완료되면 자연스럽게 재차 원래의 높이만큼 복원되어 닫겨진 도어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결국, 잠금장치를 개시하지 않더라도 가요성지지부(380)에 의해 해당 도어(200,300)가 고정되면서 일차적인 록킹이 가능해진다.
상기에서 하부 문틀(120)의 수용홈(115)에는 가요성지지부(380)가 접근되는 부근을 제외하고 소정의 커버(미도시함)를 배치시켜 이물질이 이러한 공간에 진입되지 못하게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러한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 및 그로 인해 수반되는 효과에 대해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되는 잠금쇠뭉치(350)의 구체적인 작동 개요도이고, 도 7a,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비상출입용 도어의 사용 상태도를 나타낸다.
우선, 개폐방식과 관련한 작동개요에 대해 살펴본다.
후방으로 개방된 일측도어(200)를 당겨 상·하부 문틀의 수용홈(115)에 가요성지지부(380)가 진입되게 하고, 일측도어 상하에 각각 장착된 가요성지지부는 상기 수용홈이 자체 형성하는 단턱에 걸려 제자리 위치되면서 일측도어를 고정시킨다. 이후, 동일하게 타측도어(300)를 전방으로 당겨 상·하부 문틀의 수용홈(115)에 가요성지지부(380)를 인입시켜 고정 배치함으로써 별도의 장치 없이도 상기 일측도어 및 타측도어가 메인프레임(100)을 벗어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일측도어의 커버체(210) 및 탄성시트에 타측도어의 세로축 전면이 일부 맞닿아 위치되고, 타측도어의 커버체(310)는 일측도어의 세로축 후면에 일부 맞닿아 위치되는바, 밀폐를 위해 일측도어와 타측도어를 닫았을 경우 일측도어의 커버체(210)는 이들이 근접 배치되는 도어 전면의 중앙 영역을 커버하게 되는 한편, 타측도어의 커버체(310)는 동일한 방식으로 도어 후면의 중앙 영역을 커버한다.
상기 과정에서 타측도어(300)에 형성된 손잡이(320)를 일 방향, 예컨대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링크(351)의 중공부(351a)에 권취되어 있던 상측 및 하측 연동부재(352)가 중공부를 벗어나 구동되면서 일정 거리 이완 전개되고, 이러한 연동부재의 이완 작용에 의해 이와 맞물림 연결된 작동바(353) 및 이음부재(354) 또한 순차적으로 상하 양방향 펼쳐지면서 위치가 가변되며, 결국에는 이음부재(354)와 연결 구성된 축설돌기(355)를 외부로 밀어내어 상·하부 문틀(110,120)에 천공시킨 삽지공(112)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잠금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는 반대로, 잠금 상태의 도어를 개구하고자 할 경우에는 이 역시 타측도어(300)에 형성된 손잡이(320)를 반대 방향(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회전링크의 중공부(351a)에 상하 연동부재(352)가 포개지면서 권취되도록 하고, 상기 연동부재의 권취로 인해 이와 맞물려 연결 구성된 작동바(353) 및 이음부재(354) 또한 연동부재가 중심측으로 권취된 거리만큼 수축되고, 결국 삽지공(112)에 연장되어 끼워져 있던 축설돌기(355)가 중심 방향으로 수축되면서 삽지공을 벗어나 잠금이 해제된다.
결과적으로, 잠금 구조에 관련되는 본 발명의 제반 구성요소들은 모두 동일한 공간에 위치되어 일련의 작동을 개시함으로써 사용상 보다 편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로 인해 파생되는 효과 또한 종래의 것에 비해 탁월한 기술사항이 될 수 있다. 또한, 통상 하나의 도어로 구현되는 종래 도어에서는 무게가 무거운 강화유리를 불가피하게 하나의 도어에만 장착하게 되면서 무게 분담이 이루어지지 않아 비효율적이었으며, 이와는 달리 본 발명에서는 복수 분할된 도어(200,300)를 선택함으로써 이러한 강화유리를 분할하여 각각의 도어에 장착할 수 있게 되어 무게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일련의 잠금장치를 도어 자체에 내장시켜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함으로써 외부 요인에 의한 간섭성을 철저히 배제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러한 잠금 구조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구현하여 보다 빠른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메인프레임 110: 상부 문틀
112: 삽지공 115: 수용홈
120: 하부 문틀 130: 수직 문틀
200: 일측도어 210: 커버체
300: 타측도어 310: 커버체
320: 손잡이 321: 회전돌부
322: 고정편 322a: 결합공
350: 잠금쇠뭉치 351: 회전링크
351a: 중공부 351b: 연결대
351c: 연장부 351d: 걸림턱
352: 연동부재 352a: 고정축
353: 작동바 354: 이음부재
355: 축설돌기 370: 케이싱
371: 스토퍼 380: 가요성지지부
381: 결합공 382: 고무롤러

Claims (9)

  1. 비상출입용 도어의 구조에 있어서,
    중앙에 삽지공(112)이 천공되고 내면에 장방형의 수용홈(115)이 형성된 상·하부 문틀(110,120), 상·하부 문틀이 상호 지지되는 양쪽 수직 문틀(130)로 이루어지는 사각 틀 형상의 메인프레임(100);과,
    상·하부 문틀 양단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일 방향 개구되는 일측도어(200) 및 타측도어(300);로 이루어지되,
    상기 일측도어(200)는 세로축에서 수평 연장되는 커버체(210)와 이의 일면에서 고정 설치되는 탄성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타측도어(300)는 세로축에서 수평 연장되는 커버체(310)와 일 방향 회전하는 손잡이(320)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320)는 타측도어 세로축에 내장된 잠금쇠뭉치(350)와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일측도어(200)와 타측도어(300)는 각각의 가로축 단부에 가요성지지부(380)가 수용되고,
    상기 가요성지지부(380)는 하나 이상의 결합공(381)이 천공되고, 상하 유연한 휨성이 제공되도록 일측을 상방으로 절곡 형성하되, 절곡 형성된 단부에는 중심축에 연결된 연재질의 고무롤러(38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출입용 도어의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타측도어(300)의 세로축은 내부가 중공이 되게 형성하여 잠금쇠뭉치(350)를 내장하고,
    상기 잠금쇠뭉치(350)는,
    사각의 중공부(351a)가 중앙에 천공되고 동일 연장선상에서 복수의 연결대(351b)가 형성되는 회전링크(351);
    회전링크의 연결대(351b)에 일단이 고정되고 작동바(353)에 타단이 결속되는 한 쌍의 연동부재(352);
    연동부재(352)에 일단이 결속되고 이음부재(354)에 타단이 연결되는 한 쌍의 작동바(353);
    작동바(353)에 일단이 연결되고 축설돌기(355)에 타단이 결합되는 한 쌍의 이음부재(354);
    이음부재(354)에 일단이 결합되어 상하 구동되는 한 쌍의 축설돌기(355);를 순차 조립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출입용 도어의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링크(351)의 중공부(351a)에는 손잡이(320)와 연결 구성된 회전돌부(321)가 맞춤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출입용 도어의 구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재(352)는 회전링크(351)에 근접 배치되는 부위가 굴곡 형성되어 중공부(351a)에 권취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출입용 도어의 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재(352)는 상하 대칭으로 위치시켜 굴곡 형성된 부위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여 회전링크의 연결대(351b)에 각각 구속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출입용 도어의 구조.
  6. 청구항 2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링크(351)는 일측으로 회전되어 연결대(351b)와 상하에서 각각 구속된 연동부재(352)를 중공부(351a)에 권취하고, 연동부재의 권취로 인해 작동바(353), 이음부재(354), 축설돌기(355)가 중심 방향으로 수축 구동되는 한편,
    회전링크(351)를 타측으로 회전시켜 중공부(351a)에 권취된 연동부재(352)를 전개하고 작동바(353), 이음부재(354), 축설돌기(355)가 양방향 이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출입용 도어의 구조.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링크(351)와, 이와 연결 구성된 연동부재(352) 및 작동바(353) 일체는 케이싱(370)에 수용되고,
    상기 케이싱(370)은, 측면 중심부에 통공이 천공되고 상하면에는 작동바가 구동될 수 있도록 또 다른 통공이 천공되며, 회전링크(351)가 배치되는 근접 공간에는 마주하는 측면과 직교 방향으로 축설되는 스토퍼(371)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출입용 도어의 구조.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지지부(380)는 상·하부 문틀의 수용홈(115)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출입용 도어의 구조.
KR1020100068153A 2010-07-14 2010-07-14 비상출입용 도어의 구조 KR101021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153A KR101021314B1 (ko) 2010-07-14 2010-07-14 비상출입용 도어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153A KR101021314B1 (ko) 2010-07-14 2010-07-14 비상출입용 도어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1314B1 true KR101021314B1 (ko) 2011-03-11

Family

ID=43938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8153A KR101021314B1 (ko) 2010-07-14 2010-07-14 비상출입용 도어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13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6511A (ko) * 2021-07-26 2023-02-02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지하공간 침수시 탈출을 위한 양방향 개폐 출입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6994A (en) * 1977-01-10 1979-04-03 Williams Clarence E Door having improved closing and latching systems
KR200241048Y1 (ko) 2001-04-13 2001-10-11 한신메디칼 주식회사 도어 록킹장치
KR200252596Y1 (ko) 2001-07-10 2001-11-17 공진산업 주식회사 도어 록킹장치
JP2007262740A (ja) * 2006-03-28 2007-10-11 C T S Kk 両開き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6994A (en) * 1977-01-10 1979-04-03 Williams Clarence E Door having improved closing and latching systems
KR200241048Y1 (ko) 2001-04-13 2001-10-11 한신메디칼 주식회사 도어 록킹장치
KR200252596Y1 (ko) 2001-07-10 2001-11-17 공진산업 주식회사 도어 록킹장치
JP2007262740A (ja) * 2006-03-28 2007-10-11 C T S Kk 両開き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6511A (ko) * 2021-07-26 2023-02-02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지하공간 침수시 탈출을 위한 양방향 개폐 출입문
KR102499782B1 (ko) * 2021-07-26 2023-02-14 대한민국 지하공간 침수시 탈출을 위한 양방향 개폐 출입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585B1 (ko) 층간 비상탈출장치
KR101055294B1 (ko) 화재 피난 대피시설
US20210301540A1 (en) Fire and disaster evacuation apparatus
KR20130103132A (ko) 해치형 비상 피난장치
KR101021314B1 (ko) 비상출입용 도어의 구조
KR20150102832A (ko) 화재 피난 대피시설
KR102252742B1 (ko)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KR100983680B1 (ko) 고층건물용 비상탈출구
JP2016209408A (ja)
KR100655858B1 (ko) 비상대피를 위한 다층건물의 창문구조
KR102056911B1 (ko) 건물의 비상 탈출장치
KR102244987B1 (ko) 비상 대피장치가 내장된 난간
KR200451040Y1 (ko) 인장형 가스 스프링이 구비된 화재 대피창
KR102037262B1 (ko)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
KR101944474B1 (ko) 옥외 탈출용 수직구조대
KR102601754B1 (ko) 건물 외벽 및 루버창을 이용한 건물 대피 시설
RU2317394C2 (ru) Защитно-эвакуац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оконного проема
KR100784482B1 (ko) 비상용 탈출 사다리 장치
KR100993102B1 (ko) 개량 방화 스크린 셔터
KR101893421B1 (ko) 손 끼임 방지 도어
KR101591231B1 (ko) 대피공간이 형성되는 비상문
KR102441597B1 (ko) 화재 대피용 사다리 장치
RU96600U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ая оконная решетка
KR200398181Y1 (ko) 방범창
KR102441598B1 (ko) 화재 대피 사다리용 설치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