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8937B1 -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8937B1
KR101638937B1 KR1020160022613A KR20160022613A KR101638937B1 KR 101638937 B1 KR101638937 B1 KR 101638937B1 KR 1020160022613 A KR1020160022613 A KR 1020160022613A KR 20160022613 A KR20160022613 A KR 20160022613A KR 101638937 B1 KR101638937 B1 KR 101638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wave
power distribution
needl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2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린
Priority to KR1020160022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89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2Heat or fire protectiv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or in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이프 형태의 배전선보호관본체로 인입되는 전선을 쉽고 빠르게 접속하되, 배전선을 안정적으로 보호하며,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개선된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전선을 안정적으로 보호하며, 화재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고, 배전반으로부터의 화염 진행을 초기에 차단하여 대형 화재를 방지하며, 침투수를 단계적으로 차단하여 침투수가 배전반으로 유입되지 않게 하고 케이스 내부의 습도를 낮춤으로써 전기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Protective tube feeders for power supply of apartment houses}
본 발명은 공동주택에 전기를 공급하는 기술 분야 중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시 신속히 감지하여 소화액을 비롯한 발포액을 급속히 최단시간내에 방사토록 하여 화재진압이 초기에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를 통해 피해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이나 사무실 및 대규모의 공장 등에서 사용되는 전기는 각 지역별로 설비되어 있는 변전소를 통해 전기를 공급받게 되는데, 이러한 변전소는 전압이나 전류의 변성 및 전력의 배분을 목적으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변전소에서 상용전력으로 변환된 전력을 각 가정으로 송전하는 배전선은 배전선 보호관에 의해 보호된다.
하지만, 상기 배전선 보호관은 안정적으로 배전선을 보호하기 어려우며, 배전선을 보호하는 기능만 수행할 뿐 그외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없어 효율성이 현저히 떨어졌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329799호(2013.11.08)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 등록특허의 경우에는 소화기구 내부의 소화체가 동작하기 위해서는 전선을 타고 화염이 소화기구 본체 내부로 진입하거나 혹은 소화기구본체가 모두 소실된 후라야 가능하므로 초기 대응이 너무 늦어 피해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329799호(2013.11.08)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재 발생시 신속히 감지하여 소화액을 비롯한 발포액을 급속히 최단시간내에 방사토록 하여 화재진압이 초기에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를 통해 피해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배전선(L)을 수용하는 관 형상의 배전선보호관본체(P)를 포함하는 배전선 보호관에 있어서; 상기 배전선보호관본체(P)는 하단 내부에 체결홈(P1)이 단턱져 형성되고, 측면에 설치홀(P2)이 관통형성되는 한편, 상판 후방부에 상하로 관통형성되는 삽입홀(11)과,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통기홀(12)을 갖춘 케이스(10): 힌지를 매개로 케이스(10)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20): 일단이 케이스(10)의 내부 후면에 설치되고, 타단이 돌출되는 이격부재(30): 패널 형상을 가지며, 하단부가 전방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한편, 일측이 개구된 가이드홈(101a)이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형성되고, 하단부에 외측방으로 개구되는 가이드홀(101b)이 상기 가이드홈(101a)과 연통되게 형성되며, 전후방으로 관통형성된 삽입홀(101c)이 가이드홀(101b)에 이웃되게 형성되고, 후면에 형성되어 후방으로 개구되는 개구홈(101d)이 가이드홈(101a)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단열재질의 배전패널(101); 배전패널(101)의 가이드홈(101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일면이 상기 개구홈(101d)을 통해 노출되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면상발열체(102a)와, 면상발열체(102a)에 설치되며 면상발열체(102a)를 배전패널(101)의 가이드홈(101a)에 삽입할 시 배전패널(101)의 가이드홀(101b)를 따라 삽입되는 전기연결단자부(102b)를 갖춘 히터체(102); 배전패널(101)의 삽입홀(101c)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103a)를 갖추고서, 배전패널(101)의 가이드홀(101b)에 삽입된 전기연결단자부(102b)를 지지하는 고정체(103); 배전패널(101)의 전면에 설치되는 차단기(104);를 갖춘 배전반(100): 전후방으로 관통되며 전선(L)이 인입되는 인입홀(41a)을 갖추고서, 배전패널(101)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방으로 돌출되는 전선인입체(41); 일단이 배전패널(101)의 상단에 설치되고 타단이 전선인입체(41)의 하단에 설치되어 배전패널(101)에 전선인입체(41)를 고정하며, 전선인입체 인입홀(41a)의 하부에 배치되어 전선인입체 인입홀(41a)로 인입되는 전선(L)을 상기 인입홀(41a)로 안내하는 고정부(42a)와, 상하로 관통형성되며 상방으로부터 전선(L)이 인입되는 제1인입홀(42b1)과 제1인입홀(42b1)과 이웃되게 상하 관통형성되며 제1인입홀(42b1)을 통과한 전선(L)이 하방으로부터 인입되는 제2인입홀(42b2)을 구비하며, 일단이 고정부(42a)에 설치되고 타단이 배전반(100)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하방으로 경사지는 낙수유도부(42b)를 구비한 낙수유도부재(42);를 갖춘 전선고정기구(40): 케이스(10)의 삽입홀(11)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며, 상단이 케이스(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배전선보호관본체(P)의 체결홈(P1)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결합부(51); 결합부(51)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체결홈(P1)의 하부에 위치하며, 케이스(10)의 상면에 밀착되는 기밀부(52); 결합부(51)의 하단에 구비되어, 케이스(10)의 내부에 위치하며,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경사부(53);를 갖추며, 결합부(51) 및 경사부(53)에 배전선(L)이 인입되는 인입홀(54)이 상하로 관통형성되고, 결합부(51) 및 경사부(53)에 화재감지센서제어선(FL)이 통과하는 통과홀(55)이 관통형성되는 기밀부재(50): 상방으로 개구되며 둘레부를 따라 형성되는 스펀지체설치홈(61a)과, 하부에 관통형성되며 스펀지체설치홈(61a)과 연통되는 다수의 배수홀(61b)을 구비하여, 기밀부재(50)의 결합부(51)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환형상의 체결부(61); 스펀지체설치홈(61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스펀지체설치홈(61a) 보다 큰 높이를 갖는 스펀지체(62);를 갖춘 누수차단부재(60): 전선인입체(41)의 삽입홀(11)과 연통되어 전선(L)이 인입되는 제1연통홀(71a1)을 구비하며, 낙수유도부재(42)의 고정부(42a)에 대향되게 전선인입체(41) 및 배전패널(101)에 맞대어져 전선인입체(41)를 배전패널(101)에 고정하는 측판(71a)과, 하방으로 관통형성되는 제2연통홀(71b1)을 구비하며, 전선(L)이 인출되는 하판(71b)을 갖추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소화기구본체(71); 소화기구본체(71)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72); 내부에 소화물질이 충진되며, 화염에 녹는 재질로 이루어져, 소화기구본체(71)의 내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소화체(73);를 갖춘 소화기구(70):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는 화재감지센서(80): 상기 배전선보호관본체(P)의 설치홀(P2)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며, 화재감지센서제어선(FL)을 통해 화재감지센서(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화재감지센서(80)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여, 외부로 무선송출하는 송신기(90):를 포함하되, 화재 발생시 소화체(73)가 신속히 터지면서 진화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상기 전선인입체(41)의 일측면에는 제1파침기(300)가 더 설치되고, 상기 하판(71b)의 하면에는 제2파침기(310)가 더 설치되며; 상기 제1,2파침기(300,310)는 파침기하우징(320)과, 상기 파침기하우징(320)에 내장되며 상기 파침기하우징(320)의 선단면을 관통하여 출몰될 수 있는 바늘(330)과, 상기 바늘(330)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바늘(330) 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바늘헤드(340)와, 일단은 상기 파침기하우징(320)의 선단 내벽에 걸림되고 타단은 상기 바늘헤드(340)에 걸림되도록 상기 바늘(330)에 끼워지는 파침스프링(350)과, 상기 바늘헤드(340)에 면접촉되게 배열되며 서로 다른 열팽창계수를 갖고 서로 합지되어 일체를 이루는 제1,2,3금속(360,362,364)과, 상기 제1,2,3금속(360,362,364)이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파침기하우징(320)의 개방된 타단을 밀폐하는 캡(37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파침기하우징(320)은 후방이 개방되며, 전방은 직경이 작아진 채 단차를 갖고 돌출된 돌출부(322)의 선단면이 밀폐된 형태로 전체 외관이 'ㅏ'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파침기하우징(320)의 돌출된 돌출부(322)의 전면 중앙에는 바늘관통공(324)이 형성되고; 상기 바늘(330)은 상기 바늘관통공(322)을 통해 출몰 가능하게 끼워지며, 바늘(330)의 후단에 일체로 구비되는 원판 형태의 바늘헤드(340)는 상기 파침기하우징(320)의 돌출부(322) 내경과 대응되게 형성되고, 그 속에 끼워져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돌출부(322)의 내경 후단은 확경되기 때문에 파침기하우징(320)의 내경과 단차를 가져 걸림턱(326)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326)에는 제1금속(360)이 걸리도록 구성되며; 상기 파침기하우징(320)의 외주면, 즉 돌출부(322)를 제외한 부분에는 나사산이 가공되고; 상기 제1,2,3금속(360,362,364)은 제1금속(360)이 상기 바늘헤드(340)와 접촉하도록 배치되는데, 제1금속(360)의 열팽창율이 가장 낮고, 제3금속(364)의 열팽창율이 가장 높으며, 상기 제2금속(362)이 이들 제1,3금속(360,364)들이 갖는 열팽창율 차이의 절반 정도에 해당되도록 설계되며; 상기 캡(370)에는 열기가 상기 제1,2,3금속(360,362,364) 쪽으로 잘 전달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372)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전선인입체(41)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1파침기(300)가 조립될 대응형상의 설치홈(380)이 형성되며; 상기 전선입입체(41)와 접촉하고 있는 측판(71a)에는 상기 바늘(330)이 통과할 수 있도록 바늘통과구멍(383)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제2파침기(310)는 상기 제1파침기(300)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되, 하판(71b)의 하면에 설치되므로 조립을 위해 상기 설치홈(380)과 동일 형상의 접속가이드(390)가 상기 하판(71b)에 별도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전선을 안정적으로 보호하며, 화재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고, 배전반으로부터의 화염 진행을 초기에 차단하여 대형 화재를 방지하며, 침투수를 단계적으로 차단하여 침투수가 배전반으로 유입되지 않게 하고 케이스 내부의 습도를 낮춤으로써 전기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패널을 후방에서 바라본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1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7은 도 6의 X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누수차단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 7의 Y-Y선 단면도이고,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추가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고,
그리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적인 발췌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1329799호를 그대로 이용한다. 때문에,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1329799호에 기재된 사항들이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1329799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정 구성 일부를 개선한 추가 실시예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1329799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은 배전선보호관본체(P), 케이스(10), 도어(20), 이격부재(30), 배전반(100), 전선고정기구(40), 기밀부재(50), 누수차단부재(60), 소화기구(70), 화재감지센서(80) 및, 송신기(90)를 포함한다.
배전선보호관본체(P)는 하단 내부에 내측으로 단턱지게 형성되며 나사산이 구비되는 체결홈(P1)과, 측면에 관통형성되는 설치홀(P2)을 갖추고서, 전체적으로 파이프 형상을 이룬다.
케이스(10)는 상판 후방부에 상하로 관통형성되는 삽입홀(11)과,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다수의 통기홀(12)을 갖추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1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를 이루며, 내부가 전방으로 개구된다.
도어(20)는 힌지를 매개로 케이스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이격부재(30)는 일단이 케이스(10)의 내부 후면에 설치되고, 타단이 돌출된다.
배전반(100)은 배전패널(101), 히터체(102), 고정체(103) 및, 차단기(104)를 갖추고서, 케이스(10) 내부의 습도를 낮춘다.
배전패널(101)은, 패널 형상을 가지며, 하단부가 전방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한편, 일측이 개구된 가이드홈(101a)이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형성되고, 하단부에 외측방으로 개구되는 가이드홀(101b)이 상기 가이드홈(101a)과 연통되게 형성되며, 전후방으로 관통형성된 삽입홀(101c)이 가이드홀(101b)에 이웃되게 형성되고, 후면에 형성되어 후방으로 개구되는 개구홈(101d)이 가이드홈(101a)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이때 배전패널(101)의 하단부는 라운드 지기 때문에 히터체(102)를 삽입할 시 편리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배전패널(101)는 단열재질로 이루어지며, 이격부재(30)에 설치된다.
히터체(102)는 배전패널(101)의 가이드홈(101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일면이 상기 개구홈(101d)을 통해 노출되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면상발열체(102a)와, 면상발열체(102a)에 설치되며 면상발열체(102a)를 배전패널(101)의 가이드홈(101a)에 삽입할 시 배전패널(101)의 가이드홀(101b)를 따라 삽입되는 전기접속단자부(102b)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히터체(102)는 전기접속단자부(102b)로 전기가 공급되면 면상발열체(102a)가 발열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히터체(102)는 면상발열체(102a)를 이용하지만, 발열을 하며 배전패널(101)에 수용가능한 구조를 가지면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고정체(103)는 배전패널(101)의 삽입홀(101c)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103a)를 갖추고서, 배전패널(101)의 가이드홀(101b)에 삽입된 전기접속단자부(102b)를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체(103)는 전기접속단자부(102b)를 지지함으로써, 히터체(102)가 배전패널(101)에 안정적으로 수용되도록 한다.
차단기(104)는 배전패널(101)의 전면에 다수 개가 구비된다. 그리고 차단기(104)는 케이스(10)의 삽입홀(11)을 통해 인입되는 전선(L)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으며, 공급된 전력은 차단기(104)를 경유하여 케이스(10)의 측방으로 인출되는 전선(미도시)을 통해 분배된다.
전선고정기구(40)는 전선인입체(41) 및 낙수유도부재(42)를 갖추고서, 전선(L)이 배전반(100)의 차단기(104)에 안정적으로 접속되도록 한다.
전선인입체(41)는 전후방으로 관통되며 전선(L)이 인입되는 인입홀(41a)을 갖추고서, 배전반 배전패널(101)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방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선인입체(41)는 패널 형상을 이룬다.
낙수유도부재(42)는 고정부(42a) 및 낙수유도부(42b)를 갖추고서, 전선인입체(41)를 배전패널(101)에 고정하고, 낙수를 하방으로 유도한다.
고정부(42a)는 일단이 배전패널(101)의 상단에 설치되고, 타단이 전선인입체(41)의 하단에 설치되어, 배전패널(101)에 전선인입체(41)를 고정한다. 이때 고정부(42a)는 전선인입체 인입홀(41a)의 하부에 배치되어 전선인입체 인입홀(41a)로 전선(L)을 인입할 시 전선(L)이 안정적으로 인입되도록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부(42a)는 패널 형상을 이룬다.
낙수유도부(42b)는 상하로 관통형성되며 상방으로부터 전선(L)이 인입되는 제1인입홀(42b1)과, 제1인입홀(42b1)과 이웃되게 상하 관통형성되며 제1인입홀(42b1)을 통과한 전선(L)이 하방으로부터 인입되는 제2인입홀(42b2)을 구비하며, 일단이 고정부(42a)에 설치되고 타단이 배전패널(101)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하방으로 경사진다.
이때 낙수유도부(42b)는 전선(L)이 굴곡지게 함으로써, 전선(L)을 따라 흐르는 낙수가 배전반(100)의 차단기(104)을 향해 이동하지 않도록 하며, 배전반(100)의 후방에 구비되어 그 효과를 더욱 증강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낙수유도부(42b)는 패널 형상을 이룬다.
기밀부재(50)는 케이스(10)의 삽입홀(11)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며, 상단이 케이스(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배전선보호관본체(P)의 체결홈(P1)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결합부(51)와, 결합부(51)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체결홈(P1)의 하부에 위치하며, 케이스(10)의 상면에 밀착되어, 침투수가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플랜지 형상의 기밀부(52)와, 결합부(51)의 하단에 구비되어 케이스(10)의 내부에 위치하며,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져 케이스(10)의 삽입홀(11)로 누수되는 침투수가 하방으로 유도되도록 하는 경사부(53)를 갖춘다. 그리고 기밀부재(50)는 결합부(51) 및 경사부(53)에 배전선(L)이 인입되는 인입홀(54)이 상하로 관통형성되고, 결합부(51) 및 경사부(53)에 화재감지센서제어선(FL)이 통과하는 통과홀(55)이 관통형성 된다.
누수차단부재(60)는 환 형상의 체결부(61) 및 체결부(61)에 설치되는 스펀지체(62)를 갖추고서,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된 침투수의 이동을 차단한다.
체결부(61)는 상방으로 개구되며 둘레부를 따라 형성되는 스펀지체설치홈(61a)과, 둘레부를 따라 하부에 관통형성되며 스펀지체설치홈(61a)과 연통되는 다수의 배수홀(61b)을 갖추고서, 기밀부재(50)의 결합부(51)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된다.
스펀지체(62)는 스펀지체설치홈(61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침투수를 흡수한다. 이때 스펀지체(62)의 상단은 스펀지체설치홈(61a) 보다 큰 높이를 가져 스펀지체설치홈(61a)의 상부로 노출되도록 삽입된다. 따라서 스펀지체(62)는 케이스(10)의 내부 상면과 맞닿을 시 하부로 가압되면서, 케이스(10)에 밀착되어, 침투수가 측방으로 유출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펀지체(62)는 스펀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침투수를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이면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소화기구(70)는 소화기구본체(71), 도어(72) 및, 다수의 소화체(73)를 갖추고서, 배전반(100)으로부터 발생되는 화염을 차단한다.
소화기구본체(71)는 전선인입체(41)의 삽입홀(11)과 연통되어 전선(L)이 인입되는 제1연통홀(71a1)을 구비하며, 낙수유도부재(42)의 고정부(42a)에 대향되게 전선인입체(41) 및 배전패널(101)에 맞대어져 전선인입체(41)를 배전패널(101)에 고정하는 측판(71a)과, 하방으로 관통형성되는 제2연통홀(71b1)을 구비하며, 전선(L)이 인출되는 하판(71b)을 갖추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도어(72)는 힌지를 매개로 소화기구본체(71)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소화체(73)는 내부에 소화물질이 충진되며, 화염에 녹는 재질로 이루어져, 소화기구본체(71)의 내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소화체(73)는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소화물질은 일반적으로 소화기에 사용되는 소화분말이 사용된다. 이때 소화분말은 소화체(73)에 압축되어 내장되며, 소화체(73)는 전선(L) 보다 열에 약하고 튜브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재감지센서(80)는 케이스(10) 내부 상면에 설치되어, 배전반(100)에 화재가 발생할 시 이를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화재감지센서(80)는 열에 의한 공기의 팽창을 이용하는 차동식 감지기, 이종합금이 열에 의한 변형을 감지하는 정온식 감지기, 반도체를 이용한 화재감지기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화재를 감지할 수만 있으면 설치위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송신기(90)는 상기 배전선보호관본체(P)의 설치홀(P2)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며, 화재감지센서(80)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여, 외부로 무선송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화재감지센서(80)와 송신기(90)의 전기적 접속은 화재감지센서제어선(FL)을 통해 이루어지며, 화재감지센서제어선(FL)은 배전선보호관본체(P)의 설치홀(P2) 및 기밀부재(50)의 통과홀(55)을 통과하여 화재감지센서(80)와 송신기(90)를 상호 접속한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이 공동주택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기합선이 발생하여 배전반(100)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재감지센서(80)는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화재신호를 송신기(90)를 통해 도 9와 같이 무선송출된다.
그리고 별도의 관리센터(미도시)에서는 상기 화재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한다.
한편 화재 발생시, 화염은 도 9와 같이 배전선(L)을 따라 진행하려고 한다.
이때 상기 화염이 배전선(L)을 따라 소화기구본체(71) 내부로 진행하면, 열에 의해 소화체(73)는 터지고, 이와 동시에 소화물질이 화염으로 분출되어 화염의 진행을 저지한다.
따라서 화염은 배전선(L)을 따라 케이스(10) 외부로 이동되지 않으며, 대형 화재의 발생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는 기밀부재(50)의 기밀부(52)에 의해 우천 시에도 내부로 침투수가 유입되지 않는다. 하지만 설치 후 오랜 시간이 경과하여, 기밀부재(50)의 기밀부(52)와 케이스(10)의 상면 사이의 밀착이 느슨해지면, 침투수는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된다.
그러면 상기 침투수는 도 10과 같이 기밀부재(50)의 결합부(51)의 외면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기밀부재(50)의 경사부(53)를 따라 계속해서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침투수는 배전선(L)을 따라 계속해서 하방으로 이동하고, 낙수유도부재(42)의 낙수유도부(42b)에 의해 하방으로 안내되어 계속해서 하방으로 낙하된다.
한편 상기 기밀부재(50)의 결합부(51)의 외면을 따라 흐르는 침투수 중 일부는 도 11과 같이 케이스(10)의 상면을 따라 측방으로 흐르려고 한다. 이때 상기 침투수는 누수차단부재(60)의 스펀지체(62)에 의해 흡수되어, 측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며, 스펀지체(62)에 흡수된 침투수는 시간이 경과하면 자중에 의해 도 11과 같이 누수차단부재(60)의 배수홀(61b)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침투수가 케이스(10)의 내부 후방으로 낙수 될 경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습도가 증가한다. 이렇게 습도가 증가할 경우 배전반(100)에 구비된 전기소자는 부정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케이스(10) 내부에 습도가 증가했다는 판단이 들 경우, 작업자는 히터체(102)의 전기접속단자부(102b)를 통해 전기를 공급하여, 면상발열체(102a)가 발열하도록 한다.
그러면 면상발열체(102a)는 도 12와 같이 배전패널(101)의 개구홈(101d)를 통해 케이스(10)의 내부 후방으로 열을 발산하며, 이로 인해 케이스(10) 내부 후방의 습기가 제거됨과 함께 전체적으로 케이스(10) 내부의 습도가 낮아진다. 이때 배전반(100)은 전기소자를 다수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열에 취약하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면상발열체(102a)를 통해 발산되는 열은 단열재질인 배전패널(101)에 의해 차단되어 배전반(100)의 열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전선(L)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으며, 화재가 발생할 시, 즉각적으로 외부에 알릴 수 있어, 화재발생에 대한 조치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전반(100)에 화재가 발생할 시 화염이 케이스(10) 외부로 이동하지 않도록 초기에 진화하여, 대형 화재를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10)의 삽입홀(11)로 유입되는 침투수를 기밀부재(50)의 기밀부(52)로 1차 저지하고, 1차 저지를 통과하여 유입되는 침투수를 기밀부재(50)의 경사부(53)를 통해 하방으로 유도하여, 배전반(100)으로 침투수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낙수유도부재(42)를 통해 상기 경사부(53)에 의해 유도된 침투수가 배전반(100)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특히 본 발명은 누수차단부재(60)를 통해, 상기 1차 저지를 통과한 침투수가 케이스(10)의 내부 상면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여 배전반(100)으로 낙하하는 것을 2차 저지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침투수를 단계적으로 차단하여, 침투수가 배전반(100)으로 유입되지 않게 함으로써, 전기합선과 같은 전기 안전사고를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배전반(100)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케이스(10) 내부의 습도를 낮출 수 있어, 전기합선과 같은 전기 안전사고를 방지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구조를 그대로 포함하되, 도 13에서와 같이 화재 발생시 소화체(73)가 신속히 터지면서 진화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제1파침기(300)와 제2파침기(31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파침기(300)는 전선인입체(41)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2파침기(310)는 하판(71b)의 하면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2파침기(300,310)는 동일한 구조를 갖지만 설치위치가 다름으로 인해 고정구조가 상이한 바,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그럼, 제1,2파침기(300,310)의 기본 구조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상기 제1,2파침기(300,310)는 파침기하우징(320)과, 상기 파침기하우징(320)에 내장되며 상기 파침기하우징(320)의 선단면을 관통하여 출몰될 수 있는 바늘(330)과, 상기 바늘(330)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바늘(330) 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바늘헤드(340)와, 일단은 상기 파침기하우징(320)의 선단 내벽에 걸림되고 타단은 상기 바늘헤드(340)에 걸림되도록 상기 바늘(330)에 끼워지는 파침스프링(350)과, 상기 바늘헤드(340)에 면접촉되게 배열되며 서로 다른 열팽창계수를 갖고 서로 합지되어 일체를 이루는 제1,2,3금속(360,362,364)과, 상기 제1,2,3금속(360,362,364)이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파침기하우징(320)의 개방된 타단을 밀폐하는 캡(3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파침기하우징(320)은 후방이 개방되고, 전방은 직경이 작아진 채 단차를 갖고 돌출된 돌출부(322)의 선단면이 밀폐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바, 전체 외관을 참고할 때 대략 'ㅏ' 형상에 가깝다.
그리고, 상기 파침기하우징(320)의 돌출된 돌출부(322)의 전면 중앙에는 바늘관통공(324)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바늘(330)은 상기 바늘관통공(322)을 통해 출몰 가능하게 끼워지며, 바늘(330)의 후단에 일체로 구비되는 원판 형태의 바늘헤드(340)는 상기 파침기하우징(320)의 돌출부(322) 내경과 대응되게 형성되며, 그 속에 끼워져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돌출부(322)의 내경 후단은 확경되기 때문에 파침기하우징(320)의 내경과 단차를 가지므로 그 단차면은 곧 걸림턱(326)이 된다.
특히, 상기 걸림턱(326)에는 제1금속(360)이 걸리도록 구성되므로 걸림턱(326)은 상기 제1금속(360)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파침기하우징(320)의 외주면, 즉 돌출부(322)를 제외한 부분에는 나사산이 가공된다.
나아가, 상기 제1,2,3금속(360,362,364)은 순서대로 끼워지므로 제1금속(360)이 상기 바늘헤드(340)와 접촉하도록 배치되는데, 이때 제1,2,3금속(360,362,364)은 제1금속(360)의 열팽창율이 가장 낮고, 제3금속(364)의 열팽창율이 가장 높으며, 상기 제2금속(362)이 이들 제1,3금속(360,364)들이 갖는 열팽창율 차이의 절반 정도에 해당되도록 설계된다.
특히, 상기 제1,3금속(360,364)의 열팽창율 차이는 2배를 유지하도록 하여 화재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신속하게 반응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이들 제1,2,3금속(360,362,364)은 일종의 바이메탈 스위치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캡(370)에는 열기가 상기 제1,2,3금속(360,362,364) 쪽으로 잘 전달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372)이 관통 형성된다.
때문에, 평상시에는 상기 파침스프링(350)의 탄성력 때문에 바늘(330)의 선단은 상기 돌출부(322)의 선단면으로부터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며, 화재 등에 의해 열이 전달되면 제1금속(360)은 가장 늦게 팽창되고 제3금속(364)은 가장 빨리 팽창되므로 상기 제1,2,3금속(360,362,364)들이 합지되어 이루어진 바이메탈위치가 제3금속(364) 쪽으로 휘어지면서 중앙부가 제1금속(360)의 중앙부가 볼록하게 솟아오르면서 돔 형상을 갖게 된다.
그러면, 볼록하게 솟아오른 부분에 의해 바늘헤드(340)가 밀리면서 파침스프링(350)을 압축한 채 돌출부(322)의 내경에서 움직이게 된다.
결국, 바늘(330)은 돌출부(322)의 선단면에서 일정길이 노출되고, 그때 바늘(330)이 소화액을 담고 있는 튜브형 소화체(73)를 터뜨려 소화액이 쏟아지면서 주변 화재를 조기에 진압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전선(L)을 타고 소화기구본체(71) 내부로까지 화염이 들어오지 않아도 그 전에 미리 동작되기 때문에 화재 진압효과가 뛰어나다.
여기에서, 상기 제1파침기(300)은 전선인입체(41)의 일측면에 설치되기 때문에 이를 위해 상기 전선인입체(41)의 일측면에는 설치홈(380)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홈(380)은 상기 파침기하우징(320)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둘레면 일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선입입체(41)와 접촉하고 있는 측판(71a)에는 상기 바늘(330)이 통과할 수 있도록 바늘통과구멍(383)이 관통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파침기(310)는 상술한 제1파침기(300)와 완전히 동일한 구조를 갖추고 있지만, 하판(71b)의 외부에 설치되므로 여기에는 전선입입체(41)가 없어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기 때문에 별도의 접속가이드(390)가 마련된다.
상기 접속가이드(390)는 상기 설치홈(380)과 동일한 형상, 즉 상기 제2파침기(310)가 끼워진 후 나사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나사를 통해 상기 하판(71b) 상에 고정되며, 화재시 열에 의해 동작하는 방식은 동일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케이스(10)의 내벽면은 내화재로 스프레이되어 내화코팅막이 형성됨으로써 화재 발생시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스프레이되는 내화재를 구성하는 내화액은 프로필렌아세테이트 100중량부에 대해, 에틸렌비스테트라브로모프탈이미드 50중량부, 폴리스티렌수지 15중량부, 폴리비닐아세테이트 40중량부, 폴리다이아조디페닐아민 15중량부, 팽창흑연 60중량부, 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20중량부, 규산소다 35중량부, 염화파라핀 5중량부, Ammonium Polyphosphate 10중량부로 조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프로필렌아세테이트는 독성이 낮은 유기용매이며, 상기 에틸렌비스테트라브로모프탈이미드는 염소계 난연제로서 열에 의해 분해되면서 불연성 기체를 발생시켜 산소를 차단함으로써 난연기능을 수행하고, 폴리스트렌수지는 내열성과 내충격성이 뛰어나며 혼용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되며, 폴리비닐아세테이트는 일종의 에스테르로서 점착성이 있어 고무(RU)에 부착력을 높이기 위해 첨가되고, 폴리다이아조디페닐아민은 경화를 촉진하기 위해 첨가되며, 팽창흑연은 그라파이트 층상구조를 갖기 때문에 열을 받을 경우 입자가 수백배 팽창하면서 난연강화 기능을 수행하고, 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은 수지와 무기계 난연제인 팽창흑연의 커플링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되며, 규산소다는 겔화를 유도하여 표면에서의 내화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고, 염화파라핀과 Ammonium Polyphosphate는 난연성 보강을 위한 무기계 난연제이다.
이렇게 조성된 내화액을 시편(철판)에 스프레이하여 1mm의 두께로 코팅한 다음 난연성 확인을 위해 시편의 일측에서 토치를 이용하여 화염을 방사하고 약 1000℃의 온도로 5분간 가열하였다.
그리고, 반대쪽에서 적외선 온도계로 측정한 결과, 120.6℃로 검출되었다. 이를 통해, 난연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른 한편, 도 14에서와 같이 도어(20)에 상하로 간격을 두고 환기공(400)을 형성하고, 상기 도어(20)의 안쪽면, 즉 케이스(10)의 내부측에는 상기 환기공(400)을 커버링할 수 있는 덮개(410)를 형성하되 상기 덮개(410)에는 창이 큰 유통구멍(420)을 형성하며, 상기 덮개(410)의 내부에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구동롤(430)과 종동롤(440)을 설치하고, 상기 구동롤(430)은 모터(450)에 의해 구동가능하게 구성하며, 상기 구동롤(430)과 종동롤(440) 사이는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의 구멍(460)이 형성된 벨트(470)를 무한궤도 형태로 감아 회전되면서 환기공(400)과의 일치여부에 따라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벨트(470) 내부에는 내화발포재(480)가 내장되도록 더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화발포재(480)는 아파트 등 공동주택의 입상배관 상에 설치되어 화재시 고온에 의하여 자기 몸집의 약 300-400배로 볼륨이 커지는 공지된 발포재이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10)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하거나 혹은 도어(20) 외측에서 화재가 발생되어 고온의 열기가 내화발포재(480)에 영향을 미치게 되면 내화발포재(480)가 급속히 팽창하면서 폭발하여 벨트(470)를 뚫고 케이스(10) 내부로 방사되어 케이스(10) 내부를 화재로부터 보호하게 되며, 내부에 화재가 발생되었을 경우에는 진화작업하게 된다.
특히, 상기 벨트(470)는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유통구멍(420)이 뚫려 있기 때문에 장력이 약하므로 내화발포재(480)의 폭발력에 의해 쉽게 찢어지게 되므로 내화발포재(480)가 폭발하여 케이스(10) 내부로 방사되는 것을 방해하지 못한다.
이때, 상기 내화발포재(480)는 3등분된 형태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게 하여 환기시스템의 원활성을 확보하도록 구성됨이 특히 바람직하다.
10; 케이스 11; 삽입홀
12; 통기홀 20; 도어
30; 이격부재 40; 전선고정기구
41; 전선인입체 42; 낙수유도부재
50; 기밀부재 51; 결합부
52; 기밀부 53; 경사부
54; 인입홀 60; 누수차단부재
61; 체결부 62; 스펀지체
70; 소화기구 71; 소화기구본체
72; 도어 73; 소화체
80; 화재감지센서 90; 송신기

Claims (1)

  1. 배전선(L)을 수용하는 관 형상의 배전선보호관본체(P)를 포함하는 배전선 보호관에 있어서;
    상기 배전선보호관본체(P)는 하단 내부에 체결홈(P1)이 단턱져 형성되고, 측면에 설치홀(P2)이 관통형성되는 한편, 상판 후방부에 상하로 관통형성되는 삽입홀(11)과,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통기홀(12)을 갖춘 케이스(10): 힌지를 매개로 케이스(10)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20): 일단이 케이스(10)의 내부 후면에 설치되고, 타단이 돌출되는 이격부재(30): 패널 형상을 가지며, 하단부가 전방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한편, 일측이 개구된 가이드홈(101a)이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형성되고, 하단부에 외측방으로 개구되는 가이드홀(101b)이 상기 가이드홈(101a)과 연통되게 형성되며, 전후방으로 관통형성된 삽입홀(101c)이 가이드홀(101b)에 이웃되게 형성되고, 후면에 형성되어 후방으로 개구되는 개구홈(101d)이 가이드홈(101a)과 연통되게 형성되는 단열재질의 배전패널(101); 배전패널(101)의 가이드홈(101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일면이 상기 개구홈(101d)을 통해 노출되는 플렉시블한 재질의 면상발열체(102a)와, 면상발열체(102a)에 설치되며 면상발열체(102a)를 배전패널(101)의 가이드홈(101a)에 삽입할 시 배전패널(101)의 가이드홀(101b)를 따라 삽입되는 전기연결단자부(102b)를 갖춘 히터체(102); 배전패널(101)의 삽입홀(101c)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부(103a)를 갖추고서, 배전패널(101)의 가이드홀(101b)에 삽입된 전기연결단자부(102b)를 지지하는 고정체(103); 배전패널(101)의 전면에 설치되는 차단기(104);를 갖춘 배전반(100): 전후방으로 관통되며 전선(L)이 인입되는 인입홀(41a)을 갖추고서, 배전패널(101)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방으로 돌출되는 전선인입체(41); 일단이 배전패널(101)의 상단에 설치되고 타단이 전선인입체(41)의 하단에 설치되어 배전패널(101)에 전선인입체(41)를 고정하며, 전선인입체 인입홀(41a)의 하부에 배치되어 전선인입체 인입홀(41a)로 인입되는 전선(L)을 상기 인입홀(41a)로 안내하는 고정부(42a)와, 상하로 관통형성되며 상방으로부터 전선(L)이 인입되는 제1인입홀(42b1)과 제1인입홀(42b1)과 이웃되게 상하 관통형성되며 제1인입홀(42b1)을 통과한 전선(L)이 하방으로부터 인입되는 제2인입홀(42b2)을 구비하며, 일단이 고정부(42a)에 설치되고 타단이 배전반(100)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하방으로 경사지는 낙수유도부(42b)를 구비한 낙수유도부재(42);를 갖춘 전선고정기구(40): 케이스(10)의 삽입홀(11)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며, 상단이 케이스(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배전선보호관본체(P)의 체결홈(P1)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결합부(51); 결합부(51)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체결홈(P1)의 하부에 위치하며, 케이스(10)의 상면에 밀착되는 기밀부(52); 결합부(51)의 하단에 구비되어, 케이스(10)의 내부에 위치하며,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경사부(53);를 갖추며, 결합부(51) 및 경사부(53)에 배전선(L)이 인입되는 인입홀(54)이 상하로 관통형성되고, 결합부(51) 및 경사부(53)에 화재감지센서제어선(FL)이 통과하는 통과홀(55)이 관통형성되는 기밀부재(50): 상방으로 개구되며 둘레부를 따라 형성되는 스펀지체설치홈(61a)과, 하부에 관통형성되며 스펀지체설치홈(61a)과 연통되는 다수의 배수홀(61b)을 구비하여, 기밀부재(50)의 결합부(51)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산 결합되는 환형상의 체결부(61); 스펀지체설치홈(61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며 스펀지체설치홈(61a) 보다 큰 높이를 갖는 스펀지체(62);를 갖춘 누수차단부재(60): 전선인입체(41)의 삽입홀(11)과 연통되어 전선(L)이 인입되는 제1연통홀(71a1)을 구비하며, 낙수유도부재(42)의 고정부(42a)에 대향되게 전선인입체(41) 및 배전패널(101)에 맞대어져 전선인입체(41)를 배전패널(101)에 고정하는 측판(71a)과, 하방으로 관통형성되는 제2연통홀(71b1)을 구비하며, 전선(L)이 인출되는 하판(71b)을 갖추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소화기구본체(71); 소화기구본체(71)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72); 내부에 소화물질이 충진되며, 화염에 녹는 재질로 이루어져, 소화기구본체(71)의 내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소화체(73);를 갖춘 소화기구(70):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는 화재감지센서(80): 상기 배전선보호관본체(P)의 설치홀(P2)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되며, 화재감지센서제어선(FL)을 통해 화재감지센서(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화재감지센서(80)로부터 화재신호를 수신하여, 외부로 무선송출하는 송신기(90):를 포함하되,
    화재 발생시 소화체(73)가 신속히 터지면서 진화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상기 전선인입체(41)의 일측면에는 제1파침기(300)가 더 설치되고, 상기 하판(71b)의 하면에는 제2파침기(310)가 더 설치되며;
    상기 제1,2파침기(300,310)는 파침기하우징(320)과, 상기 파침기하우징(320)에 내장되며 상기 파침기하우징(320)의 선단면을 관통하여 출몰될 수 있는 바늘(330)과, 상기 바늘(330)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고 바늘(330) 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바늘헤드(340)와, 일단은 상기 파침기하우징(320)의 선단 내벽에 걸림되고 타단은 상기 바늘헤드(340)에 걸림되도록 상기 바늘(330)에 끼워지는 파침스프링(350)과, 상기 바늘헤드(340)에 면접촉되게 배열되며 서로 다른 열팽창계수를 갖고 서로 합지되어 일체를 이루는 제1,2,3금속(360,362,364)과, 상기 제1,2,3금속(360,362,364)이 분리 이탈되지 않도록 파침기하우징(320)의 개방된 타단을 밀폐하는 캡(37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파침기하우징(320)은 후방이 개방되며, 전방은 직경이 작아진 채 단차를 갖고 돌출된 돌출부(322)의 선단면이 밀폐된 형태로 전체 외관이 'ㅏ'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파침기하우징(320)의 돌출된 돌출부(322)의 전면 중앙에는 바늘관통공(324)이 형성되고;
    상기 바늘(330)은 상기 바늘관통공(324)을 통해 출몰 가능하게 끼워지며, 바늘(330)의 후단에 일체로 구비되는 원판 형태의 바늘헤드(340)는 상기 파침기하우징(320)의 돌출부(322) 내경과 대응되게 형성되고, 그 속에 끼워져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돌출부(322)의 내경 후단은 확경되기 때문에 파침기하우징(320)의 내경과 단차를 가져 걸림턱(326)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326)에는 제1금속(360)이 걸리도록 구성되며;
    상기 파침기하우징(320)의 외주면, 즉 돌출부(322)를 제외한 부분에는 나사산이 가공되고;
    상기 제1,2,3금속(360,362,364)은 제1금속(360)이 상기 바늘헤드(340)와 접촉하도록 배치되는데, 제1금속(360)의 열팽창율이 가장 낮고, 제3금속(364)의 열팽창율이 가장 높으며, 상기 제2금속(362)이 이들 제1,3금속(360,364)들이 갖는 열팽창율 차이의 절반 정도에 해당되도록 설계되며;
    상기 캡(370)에는 열기가 상기 제1,2,3금속(360,362,364) 쪽으로 잘 전달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372)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전선인입체(41)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1파침기(300)가 조립될 대응형상의 설치홈(380)이 형성되며;
    상기 전선인입체(41)와 접촉하고 있는 측판(71a)에는 상기 바늘(330)이 통과할 수 있도록 바늘통과구멍(383)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제2파침기(310)는 상기 제1파침기(300)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되, 하판(71b)의 하면에 설치되므로 조립을 위해 상기 설치홈(380)과 동일 형상의 접속가이드(390)가 상기 하판(71b)에 별도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KR1020160022613A 2016-02-25 2016-02-25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KR101638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613A KR101638937B1 (ko) 2016-02-25 2016-02-25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613A KR101638937B1 (ko) 2016-02-25 2016-02-25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8937B1 true KR101638937B1 (ko) 2016-07-22

Family

ID=56681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2613A KR101638937B1 (ko) 2016-02-25 2016-02-25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89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374B1 (ko) * 2019-06-07 2020-01-30 주식회사 동산전력 산업용 방폭 분전반
KR102292974B1 (ko) * 2021-02-01 2021-08-23 전준열 소방전기공사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1442A (ja) * 2003-04-24 2004-11-18 Hidenobu Wakamatsu 消火方法とその消火装置
KR101329799B1 (ko) 2013-08-14 2013-11-15 주식회사 세명전기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1442A (ja) * 2003-04-24 2004-11-18 Hidenobu Wakamatsu 消火方法とその消火装置
KR101329799B1 (ko) 2013-08-14 2013-11-15 주식회사 세명전기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374B1 (ko) * 2019-06-07 2020-01-30 주식회사 동산전력 산업용 방폭 분전반
KR102292974B1 (ko) * 2021-02-01 2021-08-23 전준열 소방전기공사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50810B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tecting an object against fire
KR101329799B1 (ko)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KR101638937B1 (ko)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JP2002541671A5 (ko)
KR102323963B1 (ko) 소화기능을 포함하는 배전반
CN104094489B (zh) 电气壳体的过热抑制系统和方法
CN204932689U (zh) 定温与电启动悬挂式灭火装置
KR101011709B1 (ko) 콘센트
KR101329800B1 (ko) 공동주택의 인입전선 절연을 위한 절연형 분전함
KR20160126683A (ko) 소화 기능을 가지는 안전 콘센트 장치
KR102242698B1 (ko) 공동주택 전기의 안전장치
KR102320242B1 (ko) 화재진압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연결기기
CN205303978U (zh) 具备灭火及自断电功能的配电箱
KR101559832B1 (ko)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장치
KR100509232B1 (ko) 전기 배전반 및 전기 판넬용 자동소화장치
WO2014195221A1 (en) A household appliance with improved fire safety
CN214074790U (zh) 用于电气设备的自动隔离窒息灭火报警装置
US4768024A (en) Apparatus for monitoring fire hazards in a building
ES2876002T3 (es) Dispositivo de protección contra incendios
KR101915148B1 (ko) 개선된 기능을 갖는 내선 전기공사 조인트 컨넥터
WO2012056084A1 (en) Safety device
CN209451182U (zh) 一种电缆接头灭火综合智能监控装置
KR20090079183A (ko) 콘센트
KR101626610B1 (ko) 공동주택의 전원공급용 배전선 보호관
KR101934528B1 (ko) 개선된 기능을 갖는 벽면 매설용 건축 전기 콘센트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