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265301A1 -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 - Google Patents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265301A1
WO2022265301A1 PCT/KR2022/008178 KR2022008178W WO2022265301A1 WO 2022265301 A1 WO2022265301 A1 WO 2022265301A1 KR 2022008178 W KR2022008178 W KR 2022008178W WO 2022265301 A1 WO2022265301 A1 WO 202226530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ing
unit
fire
connection part
extingu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817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종석
박지현
정찬택
전흥균
임병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펙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펙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펙스테크
Publication of WO202226530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26530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4Removing or cutting-off the supply of inflamm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0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flames or hea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8Fireproof paints including high temperature resistant pai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9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 H01B7/295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using material resistant to flam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ble connection part fire extinguishing cover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ble connection part fire extinguishing cover module capable of self-extinguishing in the event of a fire while surrounding and protecting a connection part to which a cable is connected.
  • connection portion of the cable is electrically unstabl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amaged due to external factors or a fire occurs due to a temperature increase due to resistance.
  • connection kits have been used to protect the cable connection from such fires or external forces, but there is a problem in suppressing fires due to internal short circuits or water leaks. .
  • connection part of the cable is a part that has been already exposed to the outside and is coupled, and is vulnerable to dust and moisture, and damage occurs due to exposure to air even when the protective cover is attached.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conventional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ble connection fire extinguishing cover module capable of self-extinguishing by itself by supplying an extinguishing material and blocking oxygen inflow in the event of a fire while wrapping and protecting the cable connection from the outside.
  • the fire prevention fire extinguishing cover module for preventing fire by being coupled to a connection part to which a plurality of cables are connected, an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therein and the cables connected by a separate connection kit A cover unit accommodating the connection part, sealing the accommodation space with the outside, and blocking the flow of air, and provided on at least a part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unit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and disposed adjacent to the connection part to have a temperature high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a fire extinguishing unit through which extinguishing material is supplied towards the connection when heat is applied.
  • the cover unit has a cylindrical shape elonga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art, and the circumference of both 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ormed to be relatively small to sur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cable while accommodating the connection part therein.
  • the cover unit has an inner diameter relatively larger than the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part, is formed to sur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on part, and is formed on an outer portion in which the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therein and both 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portion, thereby providing a relatively It has a small circumference and may include a blocking portion formed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end of the cable together.
  • the fire extinguishing unit may be applied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or formed in a sheet form, and one surface may be disposed toward the connection part.
  • the fire extinguishing unit may include a fire extinguishing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microcapsules configured to be melted and broken by heat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surrounding the extinguishing material, and a coating unit applied to one surface of the fire extinguishing unit to protect the fire extinguishing unit.
  • the coating par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elted at a relatively higher temperature than the extinguishing part.
  • the extinguishing material may be evenly dispersed in the extinguishing unit by a separate binder and applied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unit, and the extinguishing material may be uniformly and continuously supplied when melted.
  • a flame retardant cover made of a flame retardant material rather than the cable may further include a flame retardant cover that blocks air while surrounding the connecting portion in the accommodation space.
  • the cable connection part fire extinguishing cover module covers the cable connection part through the cover unit and protects it from the outside, and at the same time has a fire extinguishing unit inside, so that when a fire occurs, it can be quickly extinguished by administering extinguishing materials and blocking oxygen inflow.
  • the fire extinguishing unit is configured to include fire extinguishing capsules having a preset thickness and evenly distribu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not only the suppression of the initial fire but also the fire occurring at the connection part additionally.
  • FIG.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able connection fire extinguishing cove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cable connection part fire extinguishing cover module of Figure 1;
  •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ignition is blocked by a fire extinguishing unit in the cable connection part fire extinguishing cover module of FIG. 1;
  •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e extinguishing part is expanded and filled in the cable connection part fire extinguishing cover module of FIG.
  • the cable connection part fire extinguishing cove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that prevents the fire from spreading by extinguishing the ignition point by itself even if a fire occurs due to heat generation.
  • FIG.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able connection fire extinguishing cove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cable connection fire extinguishing cover module of FIG.
  • FIG. 3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ire extinguishing unit in the cable connection part fire extinguishing cover module of FIG. 1
  •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e extinguishing unit is coupled to the cover unit in the cable connection part fire extinguishing cover module of FIG.
  • connection parts 20 of the cables 10 are inevitably generated to connect the plurality of cables 10 .
  • connection part 20 of the cable 10 is in a relatively electrically unstable state, heat generation due to resistance increases, the risk of fire increases, and damage may occur due to external contact.
  • a fire extinguishing cover module is applied to the connection part 20 of the cable 10 to protect the connection part 20 and block it in advance in the event of a fire.
  • the cable connection part fire extinguishing cover module is formed in a form surrounding the cable 10 so that the connection part 20 is located in the internal accommodation space 130 and is configured to block the outside. It largely includes a cover unit 100, a fire extinguishing unit 200 and a flame retardant unit.
  • the cover unit 100 is configured to cover a part of the cable 10 adjacent to the connection part 20 of the cable 10 together to protect the connection part 20 from external force and at the same time in case of fire in the connection part 20 With a configuration to prevent diffusion, it has a preset length and forms an accommodation space 130 therein.
  • Both 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opened around the receiving space 130 so that the cable 10 passes through and the connection part 20 is located in the central portion.
  • the cover unit 100 has a configuration for accommodating the connection part 20 of the cable 10 connected by a separate connection kit inside, has a long cylindrical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s a relatively small circumference at both ends. It is configured to wrap a part of the cable 10.
  • the cover unit 100 largely includes an outer portion 110 and a blocking portion 120, and the outer portion 110 has the accommodation space 130 and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connection portion 20. It is configured to have an inner diameter.
  • the outer portion 110 has a cylindrical shape and allows the connection part 20 to be loc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130 therein. It i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maintains a non-contact state, and thus is not affected even if a temperature change of the connection part 20 occurs.
  • the external portion 110 is a material that has elasticity, has a certain level of hardness, and is capable of insulating the interior and exterior and blocking fluid, and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flame retardancy and insulation.
  • the receiving space 130 is formed inside.
  • the blocking portion 120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outer portion 1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as a relatively small circumference, and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end portion of the cable 10 .
  • the blocking portion 120 is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portion 110 to surround the end of the cable 10 and to seal the inside of the receiving space 130 .
  • the blocking part 120 has an inner circumference relatively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able 10, has elasticity, and seals the accommodation space 130 by wrapping the cable 10. .
  • the blocking part 120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part 110 and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or different materials.
  • the blocking part 120 has a predetermined length from both ends of the outer part 110 and is formed to protrude to surround the end of the cable 10 from the outside.
  • the cover unit 100 includes the outer portion 110 and the blocking portion 120 and accommodates the connection portion 20 in the accommodation space 130 formed therein and at the same time blocks the cable 10. It surrounds a part of and blocks the receiving space 130 from the outside.
  • the outer portion 110 and the blocking portion 120 each have a cylindrical or polygonal cross-sectional shape, and the blocking portion 120 is dispos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cross-section of the outer portion 110 . Accordingly, the cable 10 is arranged so that the circumference is wrapped by the blocking part 120, so that the connection part 20 is disposed in the center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130 and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part 110. You can keep a certain interval without doing it.
  • the fire extinguishing unit 200 is provided inside the cover unit 100 and is disposed adjacent to the cable 10 in the accommodation space 130, and when heat above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s applied, an extinguishing material is applied to the cable It is configured to be supplied toward (10).
  • the fire extinguishing unit 200 is formed in the form of a sheet inside the cover unit 100, and is disposed so that one surface faces the connection part 20 of the cable 10. And when a fire breaks out in the cable 10 disposed adjacent to it, the temperature rises due to the generated heat, so that the extinguishing material contained in the fire extinguishing unit 200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ransferred to the cable 10. .
  • the fire extinguishing unit 200 largely includes a fire extinguishing unit 210 and a coating unit 220.
  • the extinguishing unit 210 includes a plurality of microcapsules configured to enclose the extinguishing material and melt and break by heat at a preset temperature.
  • the digestive unit 210 includes a plurality of digestive capsules 212 surrounded by the microcapsules and a binder 214 mixed with the digestive capsules 212.
  • the digestive capsule 212 is formed in the form of wrapping a separate extinguishing material inside the microcapsule, and as the digestive capsule 212 is broken at a temperature above a certain level, the extinguishing material inside is exposed to the outside.
  • the extinguishing material capable of extinguishing the fire inside the extinguishing capsule 212 may include a powdered material or a gas-based fire extinguishing agent.
  • the fire extinguishing capsul 212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supplied with the extinguishing material toward the connection part 20 when a fire occurs in the connection part 20, and accordingly, in the fire extinguishing part 210 itself, the connection part ( 20), even if a fire occurs, it can be quickly extinguished.
  • the extinguishing material is formed to be relatively heavier than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atmosphere, and the fire extinguishing unit 210 is preferably dispos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on unit 20 along the direction of gravity in the accommodation space 130.
  • the fire extinguishing unit 210 is evenly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surface.
  • the binder 214 is a material that forms an outer shape including the digestive capsule 212 and is provided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130, and is in the form of a sheet in a state in which the digestive capsule 212 is evenly stirred. It forms an external shape and is provided inside the receiving space 130.
  • the binder 214 has a thickness of a certain level or more in a mixed state with the small capsul 212 and is coupl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portion 110 in a sheet form.
  • the binder 214 is made of a heat-expandable resin, and when heat is applied to the fire extinguishing unit 210, the binder 214 burns and expands, and the fire extinguishing capsule 212 bursts at the same time, and the extinguishing material configured to face the direction
  •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space 130 is filled by not only burning but also expanding to block contact of the connecting portion 20 with external air.
  • the binder 214 expands by heat to fill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30 and at the same time exposes the digestive capsule 212 accommodated therein to the outside so that the extinguishing material is delivered to the connection part 20. make it possible
  • the fire extinguishing unit 21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connection part 20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130, and the binder 214 expands by heat to fill the accommodation space 130 and air At the same time as blocking the inflow and outflow of the digestive capsul 212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it is transmit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20).
  • the fire extinguishing part 210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part 110, and may additionall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locking part 120 as well.
  • the binder 214 expands and presses the cable 10 while sealing performance increases. The inflow of air into the receiving space 130 can be stably blocked.
  • the coating unit 220 is applied to one surface of the fire extinguishing unit 210 to protect the fire extinguishing unit 210 .
  • the coating part 220 prevents the fire extinguishing part 210 from being damaged by interference from the outside or being melted in an unintended state.
  • the coating unit 220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e extinguishing unit 210 to protect the fire extinguishing unit 210, and is configured to melt at a relatively higher use than the fire extinguishing unit 210.
  • the coating unit 220 prevents the fire extinguishing unit 210 from being unintentionally melted below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prevents damage caused by an external force so that the fire extinguishing unit 210 can operate accurately when a fire occurs. make it possible
  • the coating part 220 is melted first, and after the coating part 220 is melted, the fire extinguishing part 210 naturally is melted and expanded so that the digestive capsul 212 is provided to the connection part 20.
  • the fire extinguishing unit 200 includes the coating part 220 and the fire extinguishing part 210, and when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higher, it is melted so that the extinguishing material is delivered to an ignition point.
  • the extinguish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eavier specific gravity than the atmosphere, and is configured to naturally go downward when the extinguishing capsule 212 is damaged and the extinguishing material is exposed to the outside.
  • the fire extinguishing unit 20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heet and is independently manufactured and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30, but unlike this, directly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unit 100 in a paste state. It may be provided in an applied form.
  • the fire extinguishing capsule 212 is supplied to the connection part 20 disposed under the fire extinguishing unit 200 to prevent fire by extinguishing substances.
  • the fire extinguishing unit 200 is separately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sheet and configured to b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unit 100, and thus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coupling part 230.
  • the coupling part 230 is formed in the form of a groove or a protrusion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re extinguishing unit 2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unit 100 is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oupling part 230 so that it can be coupled stably. so that it can be fixed.
  • the coupling part 230 is formed in a protrusion shape and disposed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unit 100, and the cover unit 100 has a plurality of grooves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oupling part 230.
  • the spaced apart arrangement allows the fire extinguishing unit 210 to be coupled to the cover unit 100 .
  • the coupling part 230 may be formed of a general adhesive rather than a protrusion, and through this,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unit 100 and the fire extinguishing unit 200 may be bonded.
  • the fire extinguishing unit 200 may be formed in a gel form rather than a sheet form, and may be directly applied and solidifi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unit 100 .
  • the fire extinguishing cover module includes the cover unit 100 and the fire extinguishing unit 200, surrounds the connection part 20 of the cable 10 from the outside, blocks the outside and fires at the same time.
  • the fire extinguishing unit 200 expands and the fire extinguishing material is discharged, the inflow of air can be quickly blocked and the fire extinguished.
  • the fire extinguishing cove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e flame retardant cover 300.
  • the flame retardant cover 300 wraps the connection part 20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130 to block direct exposure and at the same time suppress the occurrence of a fire, and is composed of a flame retardant material more than the cable 10. It surrounds the connection part 20 in the receiving space 130 and blocks air.
  • the flame retardant cover 300 is formed in a cylindrical or elliptical shape and is configured to closely cover a portion of the cable 10 together with the connection portion 20 and prevent oxygen from being supplied.
  • the fire extinguishing cove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the flame retardant cover 300, and the fire can be additionally suppressed by the flame retardant cover 300.
  •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ignition is blocked by the fire extinguishing unit 200 in the cable connection part fire extinguishing cover module of FIG. 1, and FIG. This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us.
  • a fire occurs while the connection part 20 is seated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130 .
  • the temperature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130 rises above a predetermined temperature due to a fire at the connection part 20 of the cable 10
  • the fire extinguishing unit 200 expands and the extinguishing material It is transmitted to the connection part 20.
  • the coating unit 220 is first melted and lost due to a temperature rise, direct heat is transferred to the fire extinguishing unit 210, and then the binder 214 foams and expands to form the accommodation space 130.
  • the binder 214 foams and expands to form the accommodation space 130.
  • the extinguishing material is delivered to the connection part (20).
  • the fire extinguishing unit 210 is in a state in which the fire extinguishing capsul 212 is evenly dispersed by the binder 214, and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unit 100.
  • the extinguishing material can be uniformly and continuously supplied through the remaining portion.
  • the fire extinguishing unit 210 primarily extinguishes a fire occurring in the connection unit 20 and can also prevent an additional recurring fire.
  • the fire extinguishing unit 210 blocks air by filling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30 as the binder 214 expands due to a temperature rise due to a fire in the connection unit 20.
  • the binder 214 is composed of a thermally foamable resin such as expanded graphite, and expands/foams to seal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30 and extinguish fire by suffocation.
  • the fire extinguishing part 210 is applied not only to the outer part 110 but also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locking part 120, thereby increasing the adhesion between the blocking part 120 and the cable 10.
  • the receiving space 130 can be stably sealed.
  • the fire extinguishing cover module surrounds the connection part 20 through the cover unit 100 and protects it from the outside, and at the same time has a fire extinguishing unit 200 inside, so that in the event of a fire, administration of extinguishing materials and oxygen It can be quickly digested by blocking the inflow.
  • the fire extinguishing unit 200 is configured to include fire extinguishing capsules 212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evenly distributed, not only suppression of the initial fire but also fire caused by re-ignition at the connection part 20 can be prevented. there i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케이블이 연결된 접속부에 결합되어 화재를 방지하는 화재방지 소화커버모듈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별도의 접속키트에 의해 연결된 상기 케이블의 접속부를 수용하고, 외부와 상기 수용공간을 밀폐시키며 공기의 유동을 차단하는 커버유닛 및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상기 커버유닛의 내면을 따라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며 상기 접속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기 설정된 온도 이상 열이 가해지는 경우 소화물질이 상기 접속부를 향해 공급되는 소화유닛을 포함하는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
본 발명은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이 연결된 접속부를 감싸며 보호함과 동시에 화재발생 시 자가 소화가 가능한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에 관한 것이다.
공공건물이나 사무실, 공장 등에서 사용하는 각종 전기 및 전자 제품은 전력을 공급받기 위하여 건물에 설치되는 케이블은 길이의 한계 또는 설치장소의 제한으로 인해 복수 개의 케이블을 연결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특히, 대형 건물이나 고층건물의 경우 많은 양의 전기 및 전자기기를 사용할 뿐만 아니라, 이에 따라 필요한 케이블의 길이 역시 늘어나기 때문에, 기성 제품의 케이블로는 길이의 한계가 있어 이들의 연결을 통해 문제의 해결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러한 케이블의 경우 피복으로 코팅된 부분과 달리 케이블의 연결부는 전기적으로 불안정하며, 외부의 요인으로 인해 파손되거나, 저항으로 인한 온도상승에 의해 화재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케이블의 접속부는 이러한 화재발생이나 외부에서 작용하는 외력으로부터 보호를 위한 접속키트와 수축튜브, 보호커버 등을 사용하여 왔으나, 내부적인 합선이나 누수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기에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케이블의 접속부는 이미 외부와 한번 노출된 상태에서 결합된 부분으로 먼지와 습기 등에 취약하며, 보호커버의 장착으로도 공기의 노출로 인한 훼손이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화재의 경우 자주 발생하는 것이 아니지만, 한번만 발생하더라도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입힐 수 있기 때문에 케이블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빠른 소화가 가능함과 동시에 케이블의 보호가 가능한 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소화커버모듈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케이블 접속부를 외부에서 감싸며 보호함과 동시에 화재 발생 시 자체적으로 소화물질의 공급과 산소유입의 차단을 통해 자체적으로 소화가 가능한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측면에 따르면, 복수 개의 케이블이 연결된 접속부에 결합되어 화재를 방지하는 화재방지 소화커버모듈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별도의 접속키트에 의해 연결된 상기 케이블의 접속부를 수용하고, 외부와 상기 수용공간을 밀폐시키며 공기의 유동을 차단하는 커버유닛 및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상기 커버유닛의 내면을 따라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며 상기 접속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기 설정된 온도 이상 열이 가해지는 경우 소화물질이 상기 접속부를 향해 공급되는 소화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접속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원통형상을 가지며, 길이방향에 따른 양단부의 둘레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접속부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케이블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접속부의 둘레보다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가지며 상기 접속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외형부 및 상기 외형부의 길이방향에 따른 양단부에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작은 둘레를 가지며, 상기 케이블의 끝단 일부를 함께 감싸도록 형성되는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화유닛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도포되거나 시트형태로 형성되며, 일면이 상기 접속부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화유닛은 상기 소화물질을 감싸며 기 설정된 온도에서 열에 의해 용융되어 파손되도록 구성된 복수 개의 미세캡슐을 포함하는 소화부 및 상기 소화부의 일면에 도포되어 상기 소화부를 보호하는 코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부는 상기 소화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용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화부는 별도의 바인더에 의해 상기 소화물질이 고르게 분산되어 상기 커버유닛의 내면에서 기 설정된 두께로 도포되고, 용융 시 상기 소화물질이 균일하게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보다 난연 소재로 구성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상기 접속부를 감싸며 공기를 차단하는 난연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은 커버유닛을 통해 케이블 접속부를 감싸며 외부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내부에 소화유닛을 구비하여 화재발생 시 소화물질의 투여 및 산소유입의 차단을 통해 빠르게 소화할 수 있다.
둘째, 소화유닛이 기 설정된 두께를 가지며 고르게 분산된 소화캡슐을 포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초기 화재의 진압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접속부에서 발생하는 화재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에서 소화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에서 커버유닛에 소화유닛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의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에서 소화유닛에 의해 발화가 차단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의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에서 소화부가 팽창하여 충진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은 발열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자체적으로 발화점을 소화하여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에서 소화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1의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에서 커버유닛에 소화유닛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건물 등에서는 많은 케이블(10)이 사용되며, 이러한 복수 개의 케이블(10) 연결을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케이블(10)의 접속부(20)가 발생한다. 그리고 이러한 케이블(10) 접속부(20)는 상대적으로 전기적 불안정 상태가 되며 저항으로 인한 발열이 증가하여 화재의 발생 위험이 높아지며, 외부의 접촉으로 인한 파손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케이블(10) 접속부(20)에는 접속부(20)의 보호와 함께 화재 발생 시 이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소화커버모듈이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은 상기 케이블(10)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의 수용공간(130)에 상기 접속부(20)가 위치하도록 하며 외부와 차단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크게 커버유닛(100), 소화유닛(200) 및 난연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유닛(100)은 상기 케이블(10) 접속부(20)와 인접한 케이블(10)의 일부를 함께 감싸도록 구성되어 외력으로부터 상기 접속부(20)를 보호함과 동시에 접속부(20)에서 화재 발생 시 확산을 방지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수용공간(130)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130)을 중심으로 길이방향에 따른 양단부가 개방되어 상기 케이블(10)이 관통하며 중앙부에 상기 접속부(20)가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유닛(100) 별도의 접속키트에 의해 연결된 상기 케이블(10)의 접속부(20)를 내부에 수용하는 구성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원통형상을 가지며, 양단부의 둘레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10)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유닛(100)은 크게 외형부(110) 및 차단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외형부(110)는 상기 수용공간(130)을 가지며 상기 접속부(20)보다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외형부(110)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내부의 상기 수용공간(130)에 상기 접속부(20)가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외형부(110)는 내부면이 상기 접속부(20)와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접촉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접속부(20)의 온도 변화가 발생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
상기 외형부(110)는 탄성을 가지며 일정 수준의 경도를 가지며 내 외부의 단열 및 유체의 차단이 가능한 소재로써, 난연 및 절연이 가능한 것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고무 소재로 구성되어 내부에 상기 수용공간(130)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차단부(120)는 상기 외형부(110)의 길이방향에 따른 양단부에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작은 둘레를 가지며 상기 케이블(10)의 끝단부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단부(120)는 상기 외형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10)의 끝단부를 감싸며 상기 수용공간(130) 내부를 밀폐시키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차단부(120)는 내면의 둘레가 상기 케이블(10)의 외면 둘레보다 상대적으로 작거나 같도록 형성되어 탄성을 가지며 상기 케이블(10)을 감쌈으로써 상기 수용공간(130)을 밀폐한다.
이때, 상기 차단부(120)는 상기 외형부(110)와 일체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동일소재 또는 이종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차단부(120)는 상기 외형부(110)의 양단부에서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10)의 끝단부를 외부에서 감싸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커버유닛(100)은 상기 외형부(110)와 상기 차단부(120)를 포함하며 내부에 형성된 상기 수용공간(130)에 상기 접속부(20)를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케이블(10)의 일부를 감싸며 상기 수용공간(130)을 외부와 차단한다.
여기서, 상기 외형부(110)와 상기 차단부(120)는 각각 원통 또는 다각형태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차단부(120)는 상기 외형부(110)의 단면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블(10)은 상기 차단부(120)에 의해 둘레가 감싸지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접속부(20)가 상기 수용공간(130) 내부에서 중앙에 배치되며 상기 외형부(110)의 내면에 접촉하지 않고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화유닛(200)은 상기 커버유닛(10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130)에서 상기 케이블(10)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기 설정된 온도 이상 열이 가해지는 경우 소화물질이 상기 케이블(10)을 향해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화유닛(200)은 상기 커버유닛(100) 내부에서 시트 형태로 형성되며, 일면이 상기 케이블(10)의 접속부(20)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케이블(10)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발생된 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여 상기 소화유닛(200)에 포함된 상기 소화물질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케이블(10)로 전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소화유닛(200)은 크게 소화부(210) 및 코팅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소화부(210)는 상기 소화물질을 감싸며 기 설정된 온도에서 열에 의해 용융되며 파손되도록 구성된 복수 개의 미세캡슐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화부(210)는 상기 미세캡슐에 의해 감싸지며 복수 개로 구성된 소화캡술(212) 및 상기 소화캡술(212)과 혼합되는 바인더(214)를 포함한다.
상기 소화캡술(212)은 미세캡슐 내부에 별도의 소화물질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소화캡술(212)이 일정 수준 이상의 온도에서 파손됨에 따라 내부의 상기 소화물질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상기 소화캡술(212) 내부에서 화재를 소화할 수 있는 상기 소화물질은 분말 형태의 물질이거나 가스계 소화약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소화캡술(212)은 상기 접속부(20)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접속부(20)를 향해 상기 소화물질이 공급되며, 이에 따라 상기 소화부(210)에서 자체적으로 상기 접속부(20)의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빠르게 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화물질은 대기를 이루는 물질보다 상대적으로 무겁게 형성되고, 상기 소화부(210)는 상기 수용공간(130) 내부에서 상기 접속부(20)의 의 중력방향에 따른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실시예와 같이 커버유닛(100)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하의 구분이 어려운 경우, 내면의 둘레를 따라 고르게 상기 소화부(210)가 배치된다.
한편, 상기 바인더(214)는 상기 소화캡술(212)을 포함한 상태로 외형을 이루며 상기 수용공간(13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도록 하는 소재로써 상기 소화캡술(212)이 고르게 교반된 상태로 시트형태의 외형을 이루며 상기 수용공간(130) 내부에서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인더(214) 상기 소화캡술(212)과 혼합된 상태로 일정 수준 이상의 두께를 가지며 시트형태로 상기 외형부(110)의 내면을 따라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바인더(214)는 열발포성 수지로 이루어지며, 소화부(210)에 열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바인더(214)가 연소 및 팽창함과 동시에 상기 소화캡술(212)이 터지며 소화물질이 하부방향으로 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바인더(214)에 열이 가해지는 경우 단순히 연소하는 것뿐만 아니라 팽창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130) 내부를 충진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접속부(20)가 외부공기와 접촉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상기 바인더(214)는 열에 의해 팽창하여 상기 수용공간(130) 내부를 충진함과 동시에 내부에 수용된 상기 소화캡술(212)을 외부로 노출시켜 상기 소화물질이 상기 접속부(2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소화부(210)는 상기 수용공간(130) 내부에서 상기 접속부(20)를 향하도록 인접하게 배치되며, 열에 의해 상기 바인더(214)가 팽창해 상기 수용공간(130)을 충짐하며 공기의 유입출을 차단함과 동시에 상기 소화캡술(212)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접속부(20)로 전달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소화부(210)는 상기 외형부(110)의 내면에 구비되며, 추가적으로 상기 차단부(120)의 내면에도 함께 구비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소화부(210)가 상기 차단부(120)의 내면에 구비된 상태에서 열을 전달받는 경우 상기 바인더(214)가 팽창하며 상기 케이블(10)을 압박함과 동시에 밀폐성능이 증가하여 상기 수용공간(130) 내부로의 공기 유입을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팅부(220)는 상기 소화부(210)의 일면에 도포되어 상기 소화부(210)를 보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부(220)는 상기 소화부(210)가 외부로부터 간섭에 의해 파손되거나, 의도하지 않는 상태에서 용융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코팅부(220)는 상기 소화부(210)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소화부(210)를 보호하며, 상기 소화부(21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용도에서 용융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코팅부(220)는 상기 소화부(210)가 기 설정된 온도 이하에서 의도하지 않게 용융되는 것을 차단하며, 외력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재 발생시 정확하게 상기 소화부(210)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수용공간(130) 내부에 안착된 상기 접속부(20)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코팅부(220)가 먼저 용융되며, 상기 코팅부(220)가 용융된 후 자연스럽게 상기 소화부(210)가 용융 및 팽창되어 상기 소화캡술(212)이 상기 접속부(20)로 제공된다.
이와 같이 상기 소화유닛(200)은 상기 코팅부(220) 및 상기 소화부(210)를 포함하며, 기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는 경우 용융되어 상기 소화물질이 발화지점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소화물질은 대기보다 무거운 비중을 가지며, 상기 소화캡술(212)이 파손되어 상기 소화물질이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자연스럽게 하부로 향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소화유닛(200)은 시트형태로 구성되어 독립적으로 제작되며 상기 수용공간(130) 내부에 결합되는 상태로 구성되지만, 이와 달리 페이스트 상태에서 상기 커버유닛(100)의 내면에 직접 도포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화재 발생 시 상기 소화유닛(200)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접속부(20)로 상기 소화캡술(212)이 공급되어 소화물질에 의해 화재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소화유닛(200)은 시트 형태로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커버유닛(100)의 내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별도의 결합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30)는 상기 소화부(210)의 배면에서 홈 또는 돌기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유닛(100)의 내면은 상기 결합부(230)의 형상에 대응하여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부(230)는 돌기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유닛(100)의 내면을 향해 배치되며, 상기 커버유닛(100)은 상기 결합부(230)의 형상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홈이 이격 배치됨으로써 상기 소화부(210)가 상기 커버유닛(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결합부(230)가 돌기 형태가 아니라 일반적인 접착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커버유닛(100)의 내면과 상기 소화유닛(200)을 접합시킬 수도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소화유닛(200)이 시트형태로 형성되지 않고 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유닛(100)의 내면에 직접 도포 및 응고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화커버모듈은 상기 커버유닛(100) 및 상기 소화유닛(200)을 포함하여, 상기 케이블(10) 접속부(20)를 외부에서 감싸며 외부와의 차단을 수행함과 동시에 화재발생 시 상기 소화유닛(200)의 팽창 및 소화물질 배출을 통해 빠르게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고 소화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소화커버모듈은 별도의 난연커버(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난연커버(300)는 상기 수용공간(130) 내부에 상기 접속부(20)를 감싸며 직접적인 노출을 차단함과 동시에 1차적은 화재발생을 억제하는 구성으로써, 상기 케이블(10)보다 난연 소재로 구성되어 상기 수용공간(130) 내부에서 상기 접속부(20)를 감싸며 공기를 차단한다.
여기서, 상기 난연커버(300)는 원통 또는 타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접속부(20)와 함께 케이블(10)의 일부에 밀착하여 감싸도록 구성되며, 산소가 공급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화커버모듈은 상기 난연커버(3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난연커버(300)에 의해 화재를 추가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에서 화재를 방지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1의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에서 소화유닛(200)에 의해 발화가 차단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에서 소화부(210)가 팽창하여 충진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5를 살펴보면, 상기 접속부(20)가 상기 수용공간(130) 내부에 안착된 상태에 화재가 발생한 상태이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10) 접속부(20)의 화재로 인해 상기 수용공간(130) 내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 상기 소화유닛(200)이 팽창함과 동시에 상기 소화물질이 상기 접속부(20)로 전달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부(220)가 먼저 온도상승에 의해 용융되어 소실된 후 상기 소화부(210)로 직접적인 열이 전달되며, 이후 상기 바인더(214)가 발포하며 팽창하여 상기 수용공간(130)을 충진함과 동시에 상기 소화캡술(212)이 파손되어 소화물질이 상기 접속부(20)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소화부(210)는 상기 바인더(214)에 의해 상기 소화캡술(212)이 고르게 분산된 상태이며, 상기 커버유닛(100)의 내면에서 기 설정된 두께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접속부(20)의 화재로 인해 상기 소화부(210)가 용융되어 일부가 소실되더라도, 남은 부분을 통해 상기 소화물질이 균일하게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소화부(210)는 상기 접속부(20)에 화재가 발생하여 일차적으로 소화시키며 추가적으로 재발하는 화재 역시 방지할 수 있다.
즉, 일정 두께 이상의 소화부(210)가 상기 수용공간(130) 내부에 구비되어 초반의 화재로 일부가 소실 되더라도, 추가적으로 소화가 가능함으로써 접속부(20)의 추가발화로 인한 화재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화부(2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부(20)의 화재로 인한 온도상승으로 상기 바인더(214)가 팽창 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130) 내부를 충진해 공기를 차단한다. 여기서 상기 바인더(214)는 팽창 그라파이트와 같은 열발포성수지로 구성되어 에서 팽창/발포함으로써 수용공간(130) 내부를 밀폐하여 질식 소화를 진행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소화부(210)는 상기 외형부(110)뿐만 아니라 차단부(120)의 내면에도 함께 도포 됨으로써 상기 차단부(120)와 상기 케이블(10) 사이의 밀착력을 증가시켜 안정적으로 상기 수용공간(130)을 밀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화커버모듈은 상기 커버유닛(100)을 통해 상기 접속부(20)를 감싸며 외부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내부에 소화유닛(200)을 구비하여 화재발생 시 소화물질의 투여 및 산소유입의 차단을 통해 빠르게 소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소화유닛(200)이 기 설정된 두께를 가지며 고르게 분산된 소화캡술(212)을 포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초기 화재의 진압뿐만 아니라 접속부(20)에서 재점화에 의해 발생하는 화재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부호의 설명)
10: 케이블
20: 접속부
100: 커버유닛
110: 외형부
120: 차단부
130: 수용공간
200: 소화유닛
210: 소화부
220: 코팅부
230: 결합부
300: 난연커버

Claims (7)

  1. 복수 개의 케이블이 연결된 접속부에 결합되어 화재를 방지하는 화재방지 소화커버모듈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별도의 접속키트에 의해 연결된 상기 케이블의 접속부를 수용하고, 외부와 상기 수용공간을 밀폐시키며 공기의 유동을 차단하는 커버유닛; 및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상기 커버유닛의 내면을 따라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며 상기 접속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기 설정된 온도 이상 열이 가해지는 경우 소화물질이 상기 접속부를 향해 공급되는 소화유닛;
    을 포함하는 소화커버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접속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원통형상을 가지며, 길이방향에 따른 양단부의 둘레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접속부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케이블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소화커버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접속부의 둘레보다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가지며 상기 접속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외형부; 및
    상기 외형부의 길이방향에 따른 양단부에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작은 둘레를 가지며, 상기 케이블의 끝단 일부를 함께 감싸도록 형성되는 차단부;
    를 포함하는 소화커버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유닛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시트형태로 형성되며, 일면이 상기 접속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소화커버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유닛은,
    상기 소화물질을 감싸며 기 설정된 온도에서 열에 의해 용융되어 파손되도록 구성된 복수 개의 미세캡슐을 포함하는 소화부; 및
    상기 소화부의 일면에 도포되어 상기 소화부를 보호하는 코팅부;
    를 포함하는 소화커버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부는,
    상기 소화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용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커버모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부는,
    별도의 바인더에 의해 상기 소화물질이 고르게 분산되어 상기 커버유닛의 내면에서 기 설정된 두께로 도포되고, 용융 시 상기 소화물질이 균일하게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소화커버모듈.
PCT/KR2022/008178 2021-06-16 2022-06-10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 WO202226530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956A KR102402409B1 (ko) 2021-06-16 2021-06-16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
KR10-2021-0077956 2021-06-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65301A1 true WO2022265301A1 (ko) 2022-12-22

Family

ID=81792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8178 WO2022265301A1 (ko) 2021-06-16 2022-06-10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02409B1 (ko)
WO (1) WO20222653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2409B1 (ko) * 2021-06-16 2022-05-27 주식회사 스펙스테크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408B1 (ko) * 2009-03-12 2009-07-20 (주)도원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내에 설치되는 케이블 지지 트레이의 화재확산 방지장치
KR101610297B1 (ko) * 2016-02-15 2016-04-07 (주)월호정보기술 고압 전력선의 소화장치
JP6241535B1 (ja) * 2016-12-05 2017-12-06 東京電力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消火チューブ敷設方法及び固定具
KR102118661B1 (ko) * 2017-08-24 2020-06-04 주식회사 스펙스테크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
KR20200131493A (ko) * 2019-05-14 2020-11-24 한국전력공사 케이블용 소화장치
KR102402409B1 (ko) * 2021-06-16 2022-05-27 주식회사 스펙스테크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408B1 (ko) * 2009-03-12 2009-07-20 (주)도원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내에 설치되는 케이블 지지 트레이의 화재확산 방지장치
KR101610297B1 (ko) * 2016-02-15 2016-04-07 (주)월호정보기술 고압 전력선의 소화장치
JP6241535B1 (ja) * 2016-12-05 2017-12-06 東京電力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消火チューブ敷設方法及び固定具
KR102118661B1 (ko) * 2017-08-24 2020-06-04 주식회사 스펙스테크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
KR20200131493A (ko) * 2019-05-14 2020-11-24 한국전력공사 케이블용 소화장치
KR102402409B1 (ko) * 2021-06-16 2022-05-27 주식회사 스펙스테크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2409B1 (ko) 2022-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94059A1 (ko) 소화용 마이크로캡슐을 함유한 소화필름이 구비된 배터리 팩
WO2022265301A1 (ko)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
WO2022265425A1 (ko) 질식소화를 이용한 소화커버모듈
KR101887396B1 (ko) 화재방지 콘센트
WO2009134046A2 (ko)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안전 스위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2차 전지의 충방전 시스템
WO2020180115A1 (ko) 열폭주 현상 발생 시 모듈 내부로 공기 유입을 막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WO2021215645A1 (ko) 소화용 마이크로 캡슐을 포함하는 소화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120381B1 (ko) 라인형 자동소화용구 및 소화절연테이프가 구비된 전력변환장치
WO2017074026A1 (ko) 캡슐형 소화 장치
WO2018216851A1 (ko) 마이크로캡슐이 구비된 자기소화 전력케이블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8225893A1 (ko) 소화캡슐 및 이를 구비하는 캡슐형 소화장치
KR101610297B1 (ko) 고압 전력선의 소화장치
KR20170132457A (ko) 온도센서를 이용한 캡슐형 소화장치
WO2023224374A1 (ko) 신속한 화재진압이 가능한 콘센트
WO2023101145A1 (ko) 단전 및 소화기능을 갖는 케이블 커넥터 시스템
WO2024039133A1 (ko) 소화액체가 포함된 인터-모듈 버스바
WO2024054098A1 (ko) 내화염성이 향상된 버스바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JPH09294321A (ja) 耐火ケーブル用ケーブル挿入口の構造
WO2023075524A1 (ko) 안전성이 향상된 배터리 팩
WO2024063426A1 (ko) 화재 진압을 위한 소화로프
WO2023128401A1 (ko) 배터리 팩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WO2023121076A1 (ko) 소화수 저장 탱크를 구비한 배터리 팩
WO2020059905A1 (ko) 필요 적용 공간에 도포 및 주입 가능한 소방 방재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WO2024106923A1 (ko) 배터리 화재진화장치
CN214588158U (zh) 一种高阻燃绝缘线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2522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