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396B1 - 화재방지 콘센트 - Google Patents

화재방지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396B1
KR101887396B1 KR1020170088026A KR20170088026A KR101887396B1 KR 101887396 B1 KR101887396 B1 KR 101887396B1 KR 1020170088026 A KR1020170088026 A KR 1020170088026A KR 20170088026 A KR20170088026 A KR 20170088026A KR 101887396 B1 KR101887396 B1 KR 101887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ing
fire
connector
coupl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8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펙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322956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88739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펙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펙스테크
Priority to KR1020170088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3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의 돌출된 결합단자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삽입구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삽입구를 통해 삽입된 상기 플러그와 전기를 전달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커넥터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커넥터와 상기 결합단자의 결합위치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기 설정된 온도 이상 열이 가해지는 경우 소화물질이 상기 결합위치로 공급되는 소화유닛을 포함하는 화재방지 콘센트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화재방지 콘센트{Fire Prevent Consent}
본 발명은 화재방지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센트 내부에서 결합지점에 별도의 소화물질이 포함된 소화유닛을 포함하여 발화 시 발화점을 진화할 수 있는 화재방지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사무실, 공장 등에서 사용하는 각종 전기 및 전자 제품은 전력을 공급받기 위하여 건물에 설치되는 콘센트에 연결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콘센트에 먼지와 습기가 쌓여 전기가 통하는 길이 만들어지고 이때 발생한 열과 불꽃으로 발생하는 트래킹 화재의 경우에는 허용 전류량 이하인 상태에서도 화재가 발생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화재 초기에 발화지점 근처에서 소화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장 소화 효과가 우수하다.
따라서 콘센트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초기 발화점에서의 진화를 위해 내부에 소화장치를 내장하여 화재 초기에 소화를 행할 수 있는 콘센트에 대한 기술이 일부 제안되고 있다.
특히,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1011709호를 살펴보면, 전원공급단자에서 스파크가 발생하거나 누전에 의해 화재가 발생하면 불길을 소화시키는 소화수단을 구비한 콘센트에 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 소화수단은 소화가스가 충진되는 압축용기와, 일정온도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하면 소화가스가 발화지점으로 확산되도록 압축용기의 개구부를 개방하는 차단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하지만, 진화를 위해 콘센트 내부의 압축용기에 소화가스를 충진한 상태이므로, 보관이나 운반 사용중 흔들림에 의해 압축용기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는 경우 소화가스가 유출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차단부재의 설치부위 등에서 압축가스의 미세한 누설이 발생할 경우 실제 화재 시에 소화기능을 충분하게 발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내부에 압축용기를 구비하여 소화가스가 충진되는 경우, 소화가스가 누설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화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다.
특히, 화재의 경우 자주 발생하는 것이 아니지만, 한번만 발생하더라도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입힐 수 있기 때문에 콘센트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소화기능에 대한 신뢰성 확보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콘센트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콘센트 내부에서 플러그의 결합단자가 결합된 결합위치에서 화재가 발생 시 별도의 소화물질을 통해 자체적으로 소화 가능한 화재방지 콘센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측면에 따르면, 플러그의 돌출된 결합단자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삽입구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삽입구를 통해 삽입된 상기 플러그와 전기를 전달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커넥터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커넥터와 상기 결합단자의 결합위치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기 설정된 온도 이상 열이 가해지는 경우 소화물질이 상기 결합위치로 공급되는 소화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소화유닛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시트형태로 형성되어 일면이 상기 결합위치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화유닛은 상기 소화물질을 감싸며 기 설정된 온도에서 열에 의해 용융되어 파손되도록 구성된 복수 개의 미세캡슐을 포함하는 소화부 및 상기 소화부의 일면에 도포되어 상기 소화부를 보호하는 코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부는 상기 소화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용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화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호 결합시키는 접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화물질은 대기를 이루는 물질보다 상대적으로 무겁게 형성되고, 상기 소화부재는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상기 결합위치의 중력방향에 따른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상기 삽입구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커넥터를 고정하며,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삽입된 상기 결합단자가 관통하여 상기 커넥터와 결합되도록 안내하는 중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화유닛은 상기 중판의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커넥터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판은 일부가 상기 결합단자의 삽입 방향에 대응해 하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끝단부에 상기 커넥터가 배치되며 중앙이 상기 삽입구와 연통되어 상기 결합단자 삽입되는 결합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재방지 콘센트에 의하면 콘센트 내부에서 결합단자와 커넥터의 결합위치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소화유닛에 포함된 분말이 하부방향으로 향하여 결합위치의 화재를 자체적으로 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콘센트 내부에 별도의 중판을 구비하여 삽입되는 결합단자를 안정적으로 가이드함과 동시에 교체를 통해 소화유닛의 교체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방지 콘센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화재방지 콘센트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화재방지 콘센트에 플러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화재방지 콘센트에서 소화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및
도 5는 도 1의 화재방지 콘센트에서 소화유닛에 의해 발화가 차단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플러그가 결합되는 멀티탭 형태의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방지 콘센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화재방지 콘센트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화재방지 콘센트에 플러그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의 화재방지 콘센트에서 소화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1의 화재방지 콘센트에서 소화유닛에 의해 발화가 차단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방지 콘센트는 발열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자체적으로 발화점을 소화하여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크게 케이스(100), 커넥터(200) 및 소화유닛(30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0)는 일반적인 콘센트의 외형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공간(120)이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200) 및 상기 소화유닛(300)을 수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스(100)는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수용공간(120)이 형성되며, 외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구(110)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구(110)는 별도의 플러그(10)가 결합되며, 상기 플러그(10)에 돌출 형성된 결합단자(12)가 내부로 관통 삽입되어 끝단부가 상기 수용공간(120) 내부로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100)는 사각 형태로 길게 형성되며, 상면에 복수 개의 상기 삽입구(110)가 형성되고, 측면을 통해 내부에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는 케이블(20)이 연결된다.
상기 케이블(20)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서 후술하는 상기 커넥터(200)와 연결되어 상기 결합단자(12)를 통해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상기 케이스(100)는 상면에서 함몰된 형태로 상기 삽입구(110)가 형성되며, 상기 콘센트에 구비된 상기 결합단자(12)의 형상에 대응하여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홀(112)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삽입구(110)는 하나의 콘센트가 삽입되도록 함몰되어 상기 케이스(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고, 각각에는 상기 결합단자(12)가 관통하여 상기 수용공간(120) 내부에서 상기 커넥터(200)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삽입구(110) 내에 형성되는 상기 삽입홀(112)은 상기 결합단자(12)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상기 콘센트에 형성된 상기 결합단자(12)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를 가진다.
이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삽입구(110)를 가지며, 내부에 상기 수용공간(120)이 형성되어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커넥터(200)는 상기 수용공간(120) 내부에 배치되며 길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단자(12)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넥터(200)는 전류가 통하는 금속성 소재로 구성되어 길게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케이블(20)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200)는 길이방향에 따른 일부에 상기 결합단자(12)와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20)로부터 전달되는 전력을 상기 콘센트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커넥터(200)는 한 쌍으로 형성되며 복수 개의 상기 삽입구(110)가 상기 케이스(100)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케이스(100)의 하부에서 상기 삽입구(110)의 배치방향을 따라 길게 구비된다.
그리고, 각각의 상기 삽입구(110)를 통해 삽입된 상기 결합단자(12)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넥터(200)는 구리 등과 같이 전도성이 높은 소재로 구성되어 상기 수용공간(120) 내부에서 상기 케이스(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복수 개의 상기 삽입구(110) 배치방향을 따라 하부에서 연속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커넥터(200)는 상기 결합단자(12)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한 쌍이 이격되어 배치되며, 각각에는 상기 삽입구(110)를 통해 삽입된 결합단자(12)의 끝단부가 결합되도록 별도의 체결수단(210)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수단(210)은 상기 커넥터(200)의 길이방향에 따른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구(110)를 통해 삽입된 상기 결합단자(12)와의 결합위치(A)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위치(A)는 상기 커넥터(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삽입구(1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영역이며, 상기 결합위치(A) 내에 상기 체결수단(210)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복수 개의 삽입구(110)를 가지는 콘센트의 경우 하나의 커넥터(200)에 복수 개의 상기 결합단자(12)가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결합위치(A)가 주로 발화점의 위치가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커넥터(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120) 내부에서 길게 형성되며, 길이방향에 따른 일부에 상기 체결수단(210)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구(110)를 통해 삽입된 상기 결합단자(12)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화유닛(300)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커넥터(200)와 상기 결합단자(12)의 결합위치(A)에서 인접하게 배치되며, 기 설정된 온도 이상 열이 가해지는 경우 소화물질(312)이 상기 결합위치(A)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화유닛(300)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서 시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위치(A)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위치(A)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발생된 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여 상기 소화유닛(300)에 포함된 상기 소화물질(312)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결합위치(A)로 전달된다.
상기 소화유닛(300)은 크게 소화부(310) 및 코팅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소화부(310)는 상기 소화물질(312)을 감싸며 기 설정된 온도에서 열에 의해 용융되며 파손되도록 구성된 복수 개의 미세캡슐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화부(310)는 상기 미세캡슐이 상기 소화물질(312)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미세캡슐이 일정 수준 이상의 온도에서 파손됨에 따라 상기 소화물질(312)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상기 미세캡슐 내부에서 화재를 소화할 수 있는 상기 소화물질(312)뿐만 아니라 산소를 차단할 수 있도록 별도의 냉각기체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소화부(310)는 상기 결합위치(A)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결합위치(A)를 향해 상기 소화물질(312)을 공급되며, 이에 따라 상기 결합위치(A)에서의 화재를 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화물질(312)은 대기를 이루는 물질보다 상대적으로 무겁게 형성되고, 상기 소화부(310)재는 상기 수용공간(120) 내부에서 상기 결합위치(A)의 중력방향에 따른 상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소화부(310)는 별도의 프라이머에 상기 소화물질(312)이 포함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120) 내부에 시트형태로 도포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화부(310)는 상기 삽입구(110)의 하부에서 프라이머, 소화물질(312) 및 프라이머 순으로 도포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에나멜 교반 등을 통해 프라이머 내부에 상기 소화물질(312)이 포함된 상태로 도포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도포된 상기 소화부(310)에 열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소화부(310)에 포함된 상기 소화물질(312)이 하부방향으로 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소화부(310)는 상기 수용공간(120) 내부에서 상기 결합위치(A)를 향하도록 인접하게 배치되며, 열에 의해 일부가 용융되어 상기 소화물질(312)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결합위치(A)로 전달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코팅부(320)는 상기 소화부(310)의 일면에 도포되어 상기 소화부(310)를 보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부(320)는 상기 소화부(310)가 외부로부터 간섭에 의해 파손되거나, 의도하지 않는 상태에서 용융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코팅부(320)는 상기 소화부(310)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소화부(310)를 보호하며, 상기 소화부(31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용도에서 용융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코팅부(320)는 상기 소화부(310)가 기 설정된 온도 이하에서 의도하지 않게 용융되는 것을 차단하며, 외력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위치(A)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코팅부(320)가 먼저 용융되며, 상기 코팅부(320)가 용융된 후 자연스럽게 상기 소화부(310)가 용융되어 상기 소화물질(312)이 상기 결합위치(A)로 제공된다.
이와 같이 상기 소화유닛(300)은 상기 코팅부(320) 및 상기 소화부(310)를 포함하며, 기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는 경우 용융되어 상기 소화물질(312)이 하부로 전달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소화유닛(300)은 상기 수용공간(120) 내부에서 상기 삽입구(110)의 하면에 구비되며, 하부에 위치한 상기 결합위치(A)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온도상승에 의해 상기 미세캡슐이 제거되어 상기 소화물질(312)이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중력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향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소화물질(312)은 대기보다 무거운 비중을 가지며, 상기 미세캡슐이 파손되어 상기 소화물질(312)이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자연스럽게 하부로 향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소화유닛(300)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결합단자(12)와 상기 커넥터(200)의 결합위치(A)로 상기 소화물질(312)이 공급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소화유닛(300)은 시트 형태로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수용공간(120) 내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별도의 접착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부(330)는 일반적인 접착제로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100)의 내면과 상기 소화유닛(300)을 접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소화유닛(300)이 시트형태로 형성되지 않고 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100)의 내면에 직접 도포 및 응고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는 상기 케이스(100), 상기 커넥터(200) 및 상기 소화유닛(300)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단자(12)와 상기 커넥터(200)가 결합된 상기 결합위치(A)의 상부에 상기 소화유닛(300)이 구비되어 화재 발생 시 상기 소화물질(312)을 이용해 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는 상술한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상기 커넥터(200)와 상기 소화유닛(300)뿐만 아니라 별도의 중판(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판(400)은 상기 수용공간(120) 내부에서 상기 삽입구(11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커넥터(200)를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중판(400)은 상기 수용공간(120) 내부로 삽입된 상기 결합단자(12)가 관통하여 상기 커넥터(200)와 결합되도록 유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판(4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120) 내부에서 상기 삽입구(1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일부가 돌출 형성되어 끝단부에 상기 커넥터(200)가 결합되는 결합가이드(410)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가이드(410)는 상기 삽입구(110)에 형성된 상기 삽입홀(112)을 통해 삽입된 상기 결합단자(12)의 측면 일부를 감싸도록 하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끝단부에 상기 커넥터(200)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홀(112) 및 상기 중판(400)을 통과하여 상기 수용공간(120) 내부로 삽입된 상기 결합단자(12)는 상기 커넥터(200)와 결합된다.
즉, 상기 결합가이드(410)는 상기 삽입구(110)와 연통되며 돌출된 하측 끝단부가 상기 결합단자(12)와 상기 커넥터(200)가 결합되는 결합위치(A)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중판(400)은 상기 삽입구(110)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 개로 구성되며 각각이 상기 삽입구(110) 하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가이드(410)는 상기 결합단자(12)의 개수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이격된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방향으로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가이드(410)의 하측 끝단부에는 상술한 상기 체결수단(210)이 배치되며, 이와 같이 상기 결합가이드(410)에 의해 상기 결합단자(12)는 상기 수용공간(120) 내부에서 별도의 간섭 없이 안정적으로 상기 커넥터(200)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삽입구(110)의 하부에 상기 중판(400)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중판(400)의 하면에 상기 소화유닛(300)이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상기 소화유닛(300)은 상기 중판(400)의 하면에 도포 또는 접합되는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결합위치(A)의 상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소화유닛(300)은 상기 중판(400)에서 하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결합위치(A)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소화물질(312)을 외부로 노출시켜 상기 결합위치(A)로 공급함으로써 화재를 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도 5의 (a)와 같이 상기 결합위치(A)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코팅부(320)와 상기 미세캡슐이 용융되어 상기 소화물질(312)이 외부로 노출되며 중력에 의해 하부의 상기 결합위치(A)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도 5의 (b)와 같이 상기 소화물질(312)이 상기 결합위치(A)로 전달되어 화재를 진화하게 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소화물질(312)은 일반적인 입자형태의 분말 또는 공기보다 무거운 냉각기체를 이용하여 상기 결합위치(A)에 발생된 발화점을 소화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는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서 상기 삽입구(110)의 하부에 별도의 상기 소화물질(312)이 구비되며, 상기 소화물질(312)이 기 설정된 온도 이상 가열되는 경우 상기 소화물질(312)이 상기 결합위치(A)로 공급되어 화재를 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는 상기 중판(400)을 구비하며 상기 중판(400)상에 상기 소화유닛(300)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중판(400)의 교체만으로 간단하게 상기 소화유닛(300)을 교체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플러그
12: 결합단자
20: 케이블
100: 케이스
110: 삽입구
200: 커넥터
210: 체결수단
300: 소화유닛
310: 소화부
320: 코팅부
330: 접착부
400: 중판

Claims (9)

  1. 플러그의 돌출된 결합단자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삽입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수용공간에서 상기 삽입구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삽입구를 통해 삽입된 상기 플러그와 전기를 전달할 수 있도록 연결되는 커넥터;
    소화물질이 혼합된 시트형태로 상기 커넥터와 상기 결합단자의 결합위치 상부에서 하부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 배치되며, 기 설정된 온도 이상 열이 가해지는 경우 용융되어 상기 결합위치로 상기 소화물질이 노출된 상태로 하강하는 소화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소화유닛은 상기 소화물질을 감싸며 기 설정된 온도에서 설정된 온도에서 열에 의해 용융되는 복수 개의 미세캡슐을 포함하며, 시트형태의 프라이머에 상기 미세캡슐이 포함되어 일면이 상기 결합위치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소화부를 포함하고, 화재에 의해 상기 소화부 자체가 용융되며 대기보다 무거운 비중의 상기 소화물질이 상기 결합위치로 직접 하강하여 소화하는 콘센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유닛은,
    상기 소화물질을 감싸며 기 설정된 온도에서 열에 의해 용융되어 파손되도록 구성된 복수 개의 미세캡슐을 포함하는 소화부; 및
    상기 소화부의 일면에 도포되어 상기 소화부를 보호하는 코팅부;
    를 포함하는 콘센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부는,
    상기 소화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용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호 결합시키는 접착부를 더 포함하는 콘센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물질은 대기를 이루는 물질보다 상대적으로 무겁게 형성되고,
    상기 소화유닛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상기 결합위치의 중력방향에 따른 상부에 배치되는 콘센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상기 삽입구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커넥터를 고정하며,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삽입된 상기 결합단자가 관통하여 상기 커넥터와 결합되도록 안내하는 중판을 더 포함하는 콘센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유닛은,
    상기 중판의 하면에 배치되어 상기 커넥터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콘센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판은,
    일부가 상기 결합단자의 삽입 방향에 대응해 하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끝단부에 상기 커넥터가 배치되며 중앙이 상기 삽입구와 연통되어 상기 결합단자 삽입되는 결합가이드를 포함하는 콘센트.
KR1020170088026A 2017-07-11 2017-07-11 화재방지 콘센트 KR101887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026A KR101887396B1 (ko) 2017-07-11 2017-07-11 화재방지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026A KR101887396B1 (ko) 2017-07-11 2017-07-11 화재방지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7396B1 true KR101887396B1 (ko) 2018-08-10

Family

ID=63229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8026A KR101887396B1 (ko) 2017-07-11 2017-07-11 화재방지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7396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3318B1 (ko) * 2019-01-02 2019-11-11 권오섭 소화모듈을 구비하는 케이블 트레이 및 그 시공방법
KR102163256B1 (ko) 2019-04-16 2020-10-12 이영숙 소화 카트리지가 구비된 전원장치
CN112467484A (zh) * 2020-12-03 2021-03-09 杭州加分贸易有限公司 具有漏电警报结构的插排放置机构
KR102290234B1 (ko) * 2020-04-22 2021-08-13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멀티탭
KR102293864B1 (ko) * 2021-04-16 2021-08-26 (주)파이터코리아 자동 소화형 안전 멀티탭
CN113437575A (zh) * 2021-06-26 2021-09-24 深圳市索迪新创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插座
KR20220008158A (ko) 2020-07-13 2022-01-20 (주)파이터코리아 자동 소화 멀티탭
KR102393292B1 (ko) * 2021-10-27 2022-05-03 (주)대성 화재 진화수단을 구비한 안전 콘센트
KR102414919B1 (ko) 2021-09-14 2022-06-29 류진환 전기화재 조기 소화장치
KR20230000142U (ko) 2021-07-09 2023-01-17 연기우 전기 플러그 부착용 소화패치
KR102520933B1 (ko) 2023-01-06 2023-04-12 주식회사 무영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전기화재 소화유닛
KR102521826B1 (ko) 2022-05-18 2023-04-17 스페이스파워 주식회사 신속한 화재진압이 가능한 콘센트
KR102551229B1 (ko) * 2022-11-18 2023-07-03 장석운 화재 예방 장치 내장 플러그인 타입 공기 정화 장치
KR102593415B1 (ko) * 2023-01-13 2023-10-25 (주)수 멀티탭의 소화액 도포용 지그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3318B1 (ko) * 2019-01-02 2019-11-11 권오섭 소화모듈을 구비하는 케이블 트레이 및 그 시공방법
KR102163256B1 (ko) 2019-04-16 2020-10-12 이영숙 소화 카트리지가 구비된 전원장치
KR102290234B1 (ko) * 2020-04-22 2021-08-13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멀티탭
KR20220008158A (ko) 2020-07-13 2022-01-20 (주)파이터코리아 자동 소화 멀티탭
CN112467484A (zh) * 2020-12-03 2021-03-09 杭州加分贸易有限公司 具有漏电警报结构的插排放置机构
KR102293864B1 (ko) * 2021-04-16 2021-08-26 (주)파이터코리아 자동 소화형 안전 멀티탭
CN113437575A (zh) * 2021-06-26 2021-09-24 深圳市索迪新创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插座
KR20230000142U (ko) 2021-07-09 2023-01-17 연기우 전기 플러그 부착용 소화패치
KR102414919B1 (ko) 2021-09-14 2022-06-29 류진환 전기화재 조기 소화장치
KR102393292B1 (ko) * 2021-10-27 2022-05-03 (주)대성 화재 진화수단을 구비한 안전 콘센트
KR102521826B1 (ko) 2022-05-18 2023-04-17 스페이스파워 주식회사 신속한 화재진압이 가능한 콘센트
KR102551229B1 (ko) * 2022-11-18 2023-07-03 장석운 화재 예방 장치 내장 플러그인 타입 공기 정화 장치
KR102520933B1 (ko) 2023-01-06 2023-04-12 주식회사 무영씨엠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전기화재 소화유닛
KR102593415B1 (ko) * 2023-01-13 2023-10-25 (주)수 멀티탭의 소화액 도포용 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7396B1 (ko) 화재방지 콘센트
US8619413B2 (en) Partially compound-filled power supply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KR20080034854A (ko) 폭발 방지 커넥터
KR102091825B1 (ko) 변전소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
KR101737113B1 (ko) 소화 기능을 가지는 안전 콘센트 장치
CN104981922B (zh) 保护电路模块、和包括保护电路模块的蓄电池模块
KR20190021944A (ko)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
EP2043181A1 (en) Protection circuit module for a secondary battery
KR20140103456A (ko) 소화기능을 갖춘 콘센트
US7601014B2 (en) High-voltage rubber cone plug-in connector
KR102606264B1 (ko) 이차전지
JP2005528769A (ja) 電力を供給する電気接続器を連結し又は遮断するコネクタ、機器組立体及びその方法
JP2008226622A (ja) ケーブル用耐火コネクタ
TW200945695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multi-cable
TW201436668A (zh) 用以在電路板上中平面安置平行光通信模組之方法、裝置及系統
CN113056840A (zh) 用于使两个蓄电池单池可拆卸接触的装置
CN108476599A (zh) 现场设备的外壳
JP2023505870A (ja) ガス抜きの際にバッテリセルへの電気的接続を分離するための装置
CN102611022A (zh) 地面设置型变压器装置
CN102593633B (zh) 具有替换式保护模块的插座装置
KR102556107B1 (ko) 소화필름을 구비한 배터리모듈
KR102402409B1 (ko)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
KR102417215B1 (ko) 질식소화를 이용한 소화커버모듈
TW201742305A (zh) 電池裝置及電池連接模組
KR20130001652U (ko) 고압에 대한 안전이 보장되는 가스누설방지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0002305;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210729

Effective date: 2022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