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2409B1 -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 - Google Patents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2409B1
KR102402409B1 KR1020210077956A KR20210077956A KR102402409B1 KR 102402409 B1 KR102402409 B1 KR 102402409B1 KR 1020210077956 A KR1020210077956 A KR 1020210077956A KR 20210077956 A KR20210077956 A KR 20210077956A KR 102402409 B1 KR102402409 B1 KR 102402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ing
unit
connection part
fir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7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석
박지현
정찬택
전흥균
임병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펙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펙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펙스테크
Priority to KR1020210077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24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2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2409B1/ko
Priority to PCT/KR2022/008178 priority patent/WO202226530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065Physical fire-barriers having as the main closure device materials, whose characteristics undergo an irreversible change under high temperatures, e.g. intumesc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4Removing or cutting-off the supply of inflamm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0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flames or hea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007Solid extinguishing substances
    • A62D1/0021Micro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064Gels; Film-forming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8Fireproof paints including high temperature resistant pai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9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 H01B7/295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using material resistant to flame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케이블이 연결된 접속부에 결합되어 화재를 방지하는 화재방지 소화커버모듈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별도의 접속키트에 의해 연결된 상기 케이블의 접속부를 수용하고, 외부와 상기 수용공간을 밀폐시키며 공기의 유동을 차단하는 커버유닛 및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상기 커버유닛의 내면을 따라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며 상기 접속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기 설정된 온도 이상 열이 가해지는 경우 소화물질이 상기 접속부를 향해 공급되는 소화유닛을 포함하는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Cable connection part fire extinguishing cover module}
본 발명은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이 연결된 접속부를 감싸며 보호함과 동시에 화재발생 시 자가 소화가 가능한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에 관한 것이다.
공공건물이나 사무실, 공장 등에서 사용하는 각종 전기 및 전자 제품은 전력을 공급받기 위하여 건물에 설치되는 케이블은 길이의 한계 또는 설치장소의 제한으로 인해 복수 개의 케이블을 연결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특히, 대형 건물이나 고층건물의 경우 많은 양의 전기 및 전자기기를 사용할 뿐만 아니라, 이에 따라 필요한 케이블의 길이 역시 늘어나기 때문에, 기성 제품의 케이블로는 길이의 한계가 있어 이들의 연결을 통해 문제의 해결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러한 케이블의 경우 피복으로 코팅된 부분과 달리 케이블의 연결부는 전기적으로 불안정하며, 외부의 요인으로 인해 파손되거나, 저항으로 인한 온도상승에 의해 화재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케이블의 접속부는 이러한 화재발생이나 외부에서 작용하는 외력으로부터 보호를 위한 접속키트와 수축튜브, 보호커버 등을 사용하여 왔으나, 내부적인 합선이나 누수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기에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케이블의 접속부는 이미 외부와 한번 노출된 상태에서 결합된 부분으로 먼지와 습기 등에 취약하며, 보호커버의 장착으로도 공기의 노출로 인한 훼손이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화재의 경우 자주 발생하는 것이 아니지만, 한번만 발생하더라도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입힐 수 있기 때문에 케이블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빠른 소화가 가능함과 동시에 케이블의 보호가 가능한 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소화커버모듈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케이블 접속부를 외부에서 감싸며 보호함과 동시에 화재 발생 시 자체적으로 소화물질의 공급과 산소유입의 차단을 통해 자체적으로 소화가 가능한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측면에 따르면, 복수 개의 케이블이 연결된 접속부에 결합되어 화재를 방지하는 화재방지 소화커버모듈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별도의 접속키트에 의해 연결된 상기 케이블의 접속부를 수용하고, 외부와 상기 수용공간을 밀폐시키며 공기의 유동을 차단하는 커버유닛 및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상기 커버유닛의 내면을 따라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며 상기 접속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기 설정된 온도 이상 열이 가해지는 경우 소화물질이 상기 접속부를 향해 공급되는 소화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접속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원통형상을 가지며, 길이방향에 따른 양단부의 둘레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접속부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케이블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접속부의 둘레보다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가지며 상기 접속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외형부 및 상기 외형부의 길이방향에 따른 양단부에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작은 둘레를 가지며, 상기 케이블의 끝단 일부를 함께 감싸도록 형성되는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화유닛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도포되거나 시트형태로 형성되며, 일면이 상기 접속부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화유닛은 상기 소화물질을 감싸며 기 설정된 온도에서 열에 의해 용융되어 파손되도록 구성된 복수 개의 미세캡슐을 포함하는 소화부 및 상기 소화부의 일면에 도포되어 상기 소화부를 보호하는 코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부는 상기 소화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용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화부는 별도의 바인더에 의해 상기 소화물질이 고르게 분산되어 상기 커버유닛의 내면에서 기 설정된 두께로 도포되고, 용융 시 상기 소화물질이 균일하게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보다 난연 소재로 구성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상기 접속부를 감싸며 공기를 차단하는 난연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은 커버유닛을 통해 케이블 접속부를 감싸며 외부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내부에 소화유닛을 구비하여 화재발생 시 소화물질의 투여 및 산소유입의 차단을 통해 빠르게 소화할 수 있다.
둘째, 소화유닛이 기 설정된 두께를 가지며 고르게 분산된 소화캡슐을 포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초기 화재의 진압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접속부에서 발생하는 화재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단면도
도 3은 도 1의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에서 소화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소화유닛
도 4는 도 1의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에서 커버유닛에 소화유닛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돌기+홈의 결합구조
도 5는 도 1의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에서 소화유닛에 의해 발화가 차단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의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에서 소화부가 팽창하여 충진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은 발열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자체적으로 발화점을 소화하여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에서 소화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1의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에서 커버유닛에 소화유닛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건물 등에서는 많은 케이블(10)이 사용되며, 이러한 복수 개의 케이블(10) 연결을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케이블(10)의 접속부(20)가 발생한다. 그리고 이러한 케이블(10) 접속부(20)는 상대적으로 전기적 불안정 상태가 되며 저항으로 인한 발열이 증가하여 화재의 발생 위험이 높아지며, 외부의 접촉으로 인한 파손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케이블(10) 접속부(20)에는 접속부(20)의 보호와 함께 화재 발생 시 이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소화커버모듈이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은 상기 케이블(10)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의 수용공간(130)에 상기 접속부(20)가 위치하도록 하며 외부와 차단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크게 커버유닛(100), 소화유닛(200) 및 난연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유닛(100)은 상기 케이블(10) 접속부(20)와 인접한 케이블(10)의 일부를 함께 감싸도록 구성되어 외력으로부터 상기 접속부(20)를 보호함과 동시에 접속부(20)에서 화재 발생 시 확산을 방지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내부에 수용공간(130)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130)을 중심으로 길이방향에 따른 양단부가 개방되어 상기 케이블(10)이 관통하며 중앙부에 상기 접속부(20)가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유닛(100) 별도의 접속키트에 의해 연결된 상기 케이블(10)의 접속부(20)를 내부에 수용하는 구성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원통형상을 가지며, 양단부의 둘레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10)의 일부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커버유닛(100)은 크게 외형부(110) 및 차단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외형부(110)는 상기 수용공간(130)을 가지며 상기 접속부(20)보다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외형부(110)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내부의 상기 수용공간(130)에 상기 접속부(20)가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외형부(110)는 내부면이 상기 접속부(20)와 기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되어 접촉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며, 이에 따라 상기 접속부(20)의 온도 변화가 발생하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
상기 외형부(110)는 탄성을 가지며 일정 수준의 경도를 가지며 내 외부의 단열 및 유체의 차단이 가능한 소재로써, 난연 및 절연이 가능한 것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고무 소재로 구성되어 내부에 상기 수용공간(130)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차단부(120)는 상기 외형부(110)의 길이방향에 따른 양단부에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작은 둘레를 가지며 상기 케이블(10)의 끝단부를 감싸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단부(120)는 상기 외형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10)의 끝단부를 감싸며 상기 수용공간(130) 내부를 밀폐시키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차단부(120)는 내면의 둘레가 상기 케이블(10)의 외면 둘레보다 상대적으로 작거나 같도록 형성되어 탄성을 가지며 상기 케이블(10)을 감쌈으로써 상기 수용공간(130)을 밀폐한다.
이때, 상기 차단부(120)는 상기 외형부(110)와 일체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동일소재 또는 이종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차단부(120)는 상기 외형부(110)의 양단부에서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10)의 끝단부를 외부에서 감싸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커버유닛(100)은 상기 외형부(110)와 상기 차단부(120)를 포함하며 내부에 형성된 상기 수용공간(130)에 상기 접속부(20)를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케이블(10)의 일부를 감싸며 상기 수용공간(130)을 외부와 차단한다.
여기서, 상기 외형부(110)와 상기 차단부(120)는 각각 원통 또는 다각형태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차단부(120)는 상기 외형부(110)의 단면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블(10)은 상기 차단부(120)에 의해 둘레가 감싸지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접속부(20)가 상기 수용공간(130) 내부에서 중앙에 배치되며 상기 외형부(110)의 내면에 접촉하지 않고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화유닛(200)은 상기 커버유닛(10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130)에서 상기 케이블(10)과 인접하게 배치되며 기 설정된 온도 이상 열이 가해지는 경우 소화물질이 상기 케이블(10)을 향해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화유닛(200)은 상기 커버유닛(100) 내부에서 시트 형태로 형성되며, 일면이 상기 케이블(10)의 접속부(20)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케이블(10)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발생된 열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여 상기 소화유닛(200)에 포함된 상기 소화물질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케이블(10)로 전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소화유닛(200)은 크게 소화부(210) 및 코팅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소화부(210)는 상기 소화물질을 감싸며 기 설정된 온도에서 열에 의해 용융되며 파손되도록 구성된 복수 개의 미세캡슐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소화부(210)는 상기 미세캡슐에 의해 감싸지며 복수 개로 구성된 소화캡술(212) 및 상기 소화캡술(212)과 혼합되는 바인더(214)를 포함한다.
상기 소화캡술(212)은 미세캡슐 내부에 별도의 소화물질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소화캡술(212)이 일정 수준 이상의 온도에서 파손됨에 따라 내부의 상기 소화물질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상기 소화캡술(212) 내부에서 화재를 소화할 수 있는 상기 소화물질은 분말 형태의 물질이거나 가스계 소화약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소화캡술(212)은 상기 접속부(20)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접속부(20)를 향해 상기 소화물질이 공급되며, 이에 따라 상기 소화부(210)에서 자체적으로 상기 접속부(20)의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빠르게 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화물질은 대기를 이루는 물질보다 상대적으로 무겁게 형성되고, 상기 소화부(210)는 상기 수용공간(130) 내부에서 상기 접속부(20)의 의 중력방향에 따른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실시예와 같이 커버유닛(100)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하의 구분이 어려운 경우, 내면의 둘레를 따라 고르게 상기 소화부(210)가 배치된다.
한편, 상기 바인더(214)는 상기 소화캡술(212)을 포함한 상태로 외형을 이루며 상기 수용공간(13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도록 하는 소재로써 상기 소화캡술(212)이 고르게 교반된 상태로 시트형태의 외형을 이루며 상기 수용공간(130) 내부에서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인더(214) 상기 소화캡술(212)과 혼합된 상태로 일정 수준 이상의 두께를 가지며 시트형태로 상기 외형부(110)의 내면을 따라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바인더(214)는 열발포성 수지로 이루어지며, 소화부(210)에 열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바인더(214)가 연소 및 팽창함과 동시에 상기 소화캡술(212)이 터지며 소화물질이 하부방향으로 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바인더(214)에 열이 가해지는 경우 단순히 연소하는 것뿐만 아니라 팽창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130) 내부를 충진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접속부(20)가 외부공기와 접촉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상기 바인더(214)는 열에 의해 팽창하여 상기 수용공간(130) 내부를 충진함과 동시에 내부에 수용된 상기 소화캡술(212)을 외부로 노출시켜 상기 소화물질이 상기 접속부(20)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소화부(210)는 상기 수용공간(130) 내부에서 상기 접속부(20)를 향하도록 인접하게 배치되며, 열에 의해 상기 바인더(214)가 팽창해 상기 수용공간(130)을 충짐하며 공기의 유입출을 차단함과 동시에 상기 소화캡술(212)이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접속부(20)로 전달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소화부(210)는 상기 외형부(110)의 내면에 구비되며, 추가적으로 상기 차단부(120)의 내면에도 함께 구비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소화부(210)가 상기 차단부(120)의 내면에 구비된 상태에서 열을 전달받는 경우 상기 바인더(214)가 팽창하며 상기 케이블(10)을 압박함과 동시에 밀폐성능이 증가하여 상기 수용공간(130) 내부로의 공기 유입을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팅부(220)는 상기 소화부(210)의 일면에 도포되어 상기 소화부(210)를 보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부(220)는 상기 소화부(210)가 외부로부터 간섭에 의해 파손되거나, 의도하지 않는 상태에서 용융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코팅부(220)는 상기 소화부(210)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소화부(210)를 보호하며, 상기 소화부(21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용도에서 용융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코팅부(220)는 상기 소화부(210)가 기 설정된 온도 이하에서 의도하지 않게 용융되는 것을 차단하며, 외력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재 발생시 정확하게 상기 소화부(210)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수용공간(130) 내부에 안착된 상기 접속부(20)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코팅부(220)가 먼저 용융되며, 상기 코팅부(220)가 용융된 후 자연스럽게 상기 소화부(210)가 용융 및 팽창되어 상기 소화캡술(212)이 상기 접속부(20)로 제공된다.
이와 같이 상기 소화유닛(200)은 상기 코팅부(220) 및 상기 소화부(210)를 포함하며, 기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는 경우 용융되어 상기 소화물질이 발화지점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소화물질은 대기보다 무거운 비중을 가지며, 상기 소화캡술(212)이 파손되어 상기 소화물질이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 자연스럽게 하부로 향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소화유닛(200)은 시트형태로 구성되어 독립적으로 제작되며 상기 수용공간(130) 내부에 결합되는 상태로 구성되지만, 이와 달리 페이스트 상태에서 상기 커버유닛(100)의 내면에 직접 도포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화재 발생 시 상기 소화유닛(200)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접속부(20)로 상기 소화캡술(212)이 공급되어 소화물질에 의해 화재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소화유닛(200)은 시트 형태로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커버유닛(100)의 내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별도의 결합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30)는 상기 소화부(210)의 배면에서 홈 또는 돌기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유닛(100)의 내면은 상기 결합부(230)의 형상에 대응하여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부(230)는 돌기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유닛(100)의 내면을 향해 배치되며, 상기 커버유닛(100)은 상기 결합부(230)의 형상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홈이 이격 배치됨으로써 상기 소화부(210)가 상기 커버유닛(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결합부(230)가 돌기 형태가 아니라 일반적인 접착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커버유닛(100)의 내면과 상기 소화유닛(200)을 접합시킬 수도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소화유닛(200)이 시트형태로 형성되지 않고 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유닛(100)의 내면에 직접 도포 및 응고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화커버모듈은 상기 커버유닛(100) 및 상기 소화유닛(200)을 포함하여, 상기 케이블(10) 접속부(20)를 외부에서 감싸며 외부와의 차단을 수행함과 동시에 화재발생 시 상기 소화유닛(200)의 팽창 및 소화물질 배출을 통해 빠르게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고 소화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소화커버모듈은 별도의 난연커버(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난연커버(300)는 상기 수용공간(130) 내부에 상기 접속부(20)를 감싸며 직접적인 노출을 차단함과 동시에 1차적은 화재발생을 억제하는 구성으로써, 상기 케이블(10)보다 난연 소재로 구성되어 상기 수용공간(130) 내부에서 상기 접속부(20)를 감싸며 공기를 차단한다.
여기서, 상기 난연커버(300)는 원통 또는 타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접속부(20)와 함께 케이블(10)의 일부에 밀착하여 감싸도록 구성되며, 산소가 공급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화커버모듈은 상기 난연커버(3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난연커버(300)에 의해 화재를 추가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에서 화재를 방지하는 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1의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에서 소화유닛(200)에 의해 발화가 차단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에서 소화부(210)가 팽창하여 충진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5를 살펴보면, 상기 접속부(20)가 상기 수용공간(130) 내부에 안착된 상태에 화재가 발생한 상태이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10) 접속부(20)의 화재로 인해 상기 수용공간(130) 내부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 상기 소화유닛(200)이 팽창함과 동시에 상기 소화물질이 상기 접속부(20)로 전달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부(220)가 먼저 온도상승에 의해 용융되어 소실된 후 상기 소화부(210)로 직접적인 열이 전달되며, 이후 상기 바인더(214)가 발포하며 팽창하여 상기 수용공간(130)을 충진함과 동시에 상기 소화캡술(212)이 파손되어 소화물질이 상기 접속부(20)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소화부(210)는 상기 바인더(214)에 의해 상기 소화캡술(212)이 고르게 분산된 상태이며, 상기 커버유닛(100)의 내면에서 기 설정된 두께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접속부(20)의 화재로 인해 상기 소화부(210)가 용융되어 일부가 소실되더라도, 남은 부분을 통해 상기 소화물질이 균일하게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소화부(210)는 상기 접속부(20)에 화재가 발생하여 일차적으로 소화시키며 추가적으로 재발하는 화재 역시 방지할 수 있다.
즉, 일정 두께 이상의 소화부(210)가 상기 수용공간(130) 내부에 구비되어 초반의 화재로 일부가 소실 되더라도, 추가적으로 소화가 가능함으로써 접속부(20)의 추가발화로 인한 화재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화부(2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부(20)의 화재로 인한 온도상승으로 상기 바인더(214)가 팽창 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130) 내부를 충진해 공기를 차단한다. 여기서 상기 바인더(214)는 팽창 그라파이트와 같은 열발포성수지로 구성되어 에서 팽창/발포함으로써 수용공간(130) 내부를 밀폐하여 질식 소화를 진행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소화부(210)는 상기 외형부(110)뿐만 아니라 차단부(120)의 내면에도 함께 도포 됨으로써 상기 차단부(120)와 상기 케이블(10) 사이의 밀착력을 증가시켜 안정적으로 상기 수용공간(130)을 밀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화커버모듈은 상기 커버유닛(100)을 통해 상기 접속부(20)를 감싸며 외부로부터 보호함과 동시에 내부에 소화유닛(200)을 구비하여 화재발생 시 소화물질의 투여 및 산소유입의 차단을 통해 빠르게 소화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소화유닛(200)이 기 설정된 두께를 가지며 고르게 분산된 소화캡술(212)을 포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초기 화재의 진압뿐만 아니라 접속부(20)에서 재점화에 의해 발생하는 화재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케이블
20: 접속부
100: 커버유닛
110: 외형부
120: 차단부
130: 수용공간
200: 소화유닛
210: 소화부
220: 코팅부
230: 결합부
300: 난연커버

Claims (7)

  1. 복수 개의 케이블이 연결된 접속부에 결합되어 화재를 방지하는 화재방지 소화커버모듈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별도의 접속키트에 의해 연결된 상기 케이블의 접속부를 수용하고, 외부와 상기 수용공간을 밀폐시키며 공기의 유동을 차단하는 커버유닛; 및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상기 커버유닛의 내면을 따라 적어도 일부에 구비되며 상기 접속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기 설정된 온도 이상 열이 가해지는 경우 소화물질이 상기 접속부를 향해 공급되는 소화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접속부의 둘레보다 상대적으로 큰 내경을 가지며 내부에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접속부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외형부 및 상기 외형부의 길이방향에 따른 양단부에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작은 둘레를 가지며, 상기 케이블의 끝단을 함께 감싸는 차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화유닛은 상기 외형부 및 상기 차단부의 내면 둘레를 따라 구비되는 소화커버모듈.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유닛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시트형태로 형성되며, 일면이 상기 접속부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소화커버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유닛은,
    상기 소화물질을 감싸며 기 설정된 온도에서 열에 의해 용융되어 파손되도록 구성된 복수 개의 미세캡슐을 포함하는 소화부; 및
    상기 소화부의 일면에 도포되어 상기 소화부를 보호하는 코팅부;
    를 포함하는 소화커버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부는,
    상기 소화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용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커버모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부는,
    별도의 바인더에 의해 상기 소화물질이 고르게 분산되어 상기 커버유닛의 내면에서 기 설정된 두께로 도포되고, 용융 시 상기 소화물질이 균일하게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소화커버모듈.
KR1020210077956A 2021-06-16 2021-06-16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 KR102402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956A KR102402409B1 (ko) 2021-06-16 2021-06-16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
PCT/KR2022/008178 WO2022265301A1 (ko) 2021-06-16 2022-06-10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956A KR102402409B1 (ko) 2021-06-16 2021-06-16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2409B1 true KR102402409B1 (ko) 2022-05-27

Family

ID=81792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7956A KR102402409B1 (ko) 2021-06-16 2021-06-16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02409B1 (ko)
WO (1) WO202226530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5301A1 (ko) * 2021-06-16 2022-12-22 주식회사 스펙스테크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0297B1 (ko) * 2016-02-15 2016-04-07 (주)월호정보기술 고압 전력선의 소화장치
KR102118661B1 (ko) * 2017-08-24 2020-06-04 주식회사 스펙스테크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
KR20200131493A (ko) * 2019-05-14 2020-11-24 한국전력공사 케이블용 소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408B1 (ko) * 2009-03-12 2009-07-20 (주)도원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내에 설치되는 케이블 지지 트레이의 화재확산 방지장치
JP6241535B1 (ja) * 2016-12-05 2017-12-06 東京電力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消火チューブ敷設方法及び固定具
KR102402409B1 (ko) * 2021-06-16 2022-05-27 주식회사 스펙스테크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0297B1 (ko) * 2016-02-15 2016-04-07 (주)월호정보기술 고압 전력선의 소화장치
KR102118661B1 (ko) * 2017-08-24 2020-06-04 주식회사 스펙스테크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
KR20200131493A (ko) * 2019-05-14 2020-11-24 한국전력공사 케이블용 소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5301A1 (ko) * 2021-06-16 2022-12-22 주식회사 스펙스테크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65301A1 (ko) 2022-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7396B1 (ko) 화재방지 콘센트
KR101610297B1 (ko) 고압 전력선의 소화장치
KR102091825B1 (ko) 변전소 송배전 고압케이블 이음장치
CN104919623B (zh) 用于便携式工具的蓄电池和用来制造用于便携式工具的蓄电池的方法
KR101855236B1 (ko) 마이크로캡슐이 구비된 자기소화 전력케이블
KR102402409B1 (ko)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
BR102013017315A2 (pt) Cabo elétrico
KR102120381B1 (ko) 라인형 자동소화용구 및 소화절연테이프가 구비된 전력변환장치
KR101628708B1 (ko) 캡슐 소화 장치
KR102417215B1 (ko) 질식소화를 이용한 소화커버모듈
CN110164615A (zh) 耐火电缆
KR20190021944A (ko) 화재방지용 케이블 트레이 보호장치
JP2020081809A (ja) マイクロカプセル及びそれを用いた消火性シート、消火性コードとその補助具
FI13108Y1 (fi) Automaattinen jäähdytys- ja sammutusjärjestelmä
KR20170132457A (ko) 온도센서를 이용한 캡슐형 소화장치
US2382120A (en) Electric cable system
CN207024463U (zh) 阻燃装置
CN210096733U (zh) 一种迷你灭火装置
CN108848581B (zh) 一种阻燃电伴热带
KR102136262B1 (ko) 자동 확산형 소화장치
KR102610158B1 (ko) 전선 케이블 접속용 자가소화장치 커버부재
CN214705532U (zh) 一种消防用防火屏蔽计算机电缆
KR20230037223A (ko) 표면적을 증가시킨 접착형 소화모듈
KR102189220B1 (ko) 소공간용 튜브 소화기
RU220277U1 (ru) Противопожарная электромонтажная короб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