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8928B1 - 소화기능을 갖는 전선연결구 - Google Patents

소화기능을 갖는 전선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8928B1
KR102138928B1 KR1020200061835A KR20200061835A KR102138928B1 KR 102138928 B1 KR102138928 B1 KR 102138928B1 KR 1020200061835 A KR1020200061835 A KR 1020200061835A KR 20200061835 A KR20200061835 A KR 20200061835A KR 102138928 B1 KR102138928 B1 KR 102138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ing
conductor
fire
cap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1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광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오션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오션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오션텍
Priority to KR1020200061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89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8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8928B1/ko
Priority to PCT/KR2020/010572 priority patent/WO2021235599A1/ko
Priority to US17/919,748 priority patent/US2023015530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2End caps, i.e. of insulating or conductive material for covering or maintaining connections between wires entering the cap from the same en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0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flames or hea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A62C99/0045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using solid substances, e.g. sand, ashes; using substances forming a crus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70Insulation of connec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 결선부분에서 발생되는 스파크 등의 발화에 의한 불씨를 효율적으로 초기 진압할 수 있는 소화기능을 갖는 전선연결구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전선 결선부분(10)의 도체부(12)를 수용하는 도체캡(120)과, 도체캡(120) 내경 대비 확장 형성되어 결선부분(10)의 절연체부(14)를 수용하는 절연체캡(140)으로 구성되는 보호홀더(100); 상기 도체캡(120) 내부에 설치되어, 도체부(12)를 압입 결속하도록 구비되는 금속튜브(200); 및 상기 절연체캡(140)에 설치되어, 절연체부(14)가 관통 삽입되도록 소화터널(302)이 형성되고, 화재 열에 반응하여 소화분말을 분출하도록 구비되는 소화모듈(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화기능을 갖는 전선연결구를 이용하면, 전선 결선부분에서 발생되는 스파크, 합선 등의 요인으로 인해 초기 불씨가 발화되는 시점에 열에 반응하여 소화분말이 자동 분출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발화 불씨가 조기에 신속하게 진압되어 대형 화재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소화기능을 갖는 전선연결구 {Wire connector with fire fighting function}
본 발명은 소화기능을 갖는 전선연결구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전선 결선부분에서 발생되는 스파크 등의 발화에 의한 불씨를 효율적으로 초기 진압할 수 있는 소화기능을 갖는 전선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기로 작동되는 전자 및 전기제품에 있어서 기술의 고도화로 많은 부품들이 소요되며, 각기 부품들은 전선을 상호 연결하여 사용하게 되고, 차량이나 일반 가정에서 전기를 사용하기 위한 배선 작업시에는 필요에 따라 전선을 상호 결선하게 된다.
예컨대, 전선 결선부분은 대부분 절연 테이프를 감아서 절연처리하고 있지만, 절연 테이프의 특성상 고정력이 약하고, 시간이 지나면 접착부위가 끈적이면서 쉽게 벗겨져 누전에 의한 화재발생 및 감전 등의 안전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허다하게 발생되는 실정이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특허공개 10-2009-0039366호에서, 절연재질의 합성수지로 일측 끝단이 막히도록 형성되어 내측에 2개 이상의 서로 분리된 전선의 피복이 벗겨져 서로 통전되도록 결합되는 전선연결부를 수용하는 제 1 직경을 갖는 원통형의 제 1 공간부를 형성하는 제 1 몸체와, 상기 제 1 몸체와 동일한 절연재질의 합성수지로 한 몸체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1 공간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 1 직경 보다 큰 제 2 직경을 갖는 상기 일측 끝단과 대응하는 타측 끝단이 개방되는 제 2 공간부를 형성하는 제 2 몸체와, 적어도 상기 제 2 공간부 내부를 겔(gel) 상태를 갖다가 공기 중에 노출되면 응고되는 충전제가 채우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선연결부를 방수시키는 충전부와, 상기 제 2 몸체의 타측 끝단면에 공기가 투과되지 않는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상기 충전부를 밀봉하도록 접착되는 밀봉 테이프를 포함하는 기술이 선 제시된 바 있다.
또한, 다른 종래기술인 특허등록 10-0545049호에서, 내부에 일정공간을 가지면서 그 일측이 개방되어 입구부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 공간부에 충진되는 절연성을 가진 겔상의 응고제와; 상기 응고제가 밀봉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입구부에 장착되는 밀봉커버로 이루어진 전선결선용 홀더에 있어서, 상기 밀봉커버는 하우징의 입구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커버면과, 상기 커버면의 외주연을 따라 형성되는 부착면과, 상기 부착면의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의 입구부에는 그 둘레 내주면을 따라 상기 밀봉커버의 부착면이 밀착되게 끼워지는 커버장착부가 형성되는 기술이 선 등록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전선 결선 부분을 피복하여 누전 및 감전사고 등의 위험을 예방하기 위한 기술이나, 전선 결선부분의 특성상 접촉 불량으로 인해 스파크 발생할 확률이 상당히 높고, 스파크가 작은 불씨로 발화되더라도 초기 진압이 불가능하여 대형 화재로 이어지는 폐단이 따랐다.
KR 10-2009-0039366 A (2009.04.22.) KR 10-0545049 B1 (2006.01.13.)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전선 결선부분에서 발생되는 스파크, 합선 등의 요인으로 인해 초기 불씨가 발화되는 시점에 열에 반응하여 소화분말이 자동 분출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발화 불씨가 조기에 신속하게 진압되어 대형 화재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소화기능을 갖는 전선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전선 결선부분(10)의 도체부(12)를 수용하는 도체캡(120)과, 도체캡(120) 내경 대비 확장 형성되어 결선부분(10)의 절연체부(14)를 수용하는 절연체캡(140)으로 구성되는 보호홀더(100); 상기 도체캡(120) 내부에 설치되어, 도체부(12)를 압입 결속하도록 구비되는 금속튜브(200); 및 상기 절연체캡(140)에 설치되어, 절연체부(14)가 관통 삽입되도록 소화터널(302)이 형성되고, 화재 열에 반응하여 소화분말을 분출하도록 구비되는 소화모듈(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소화모듈(300)은 소화분말과 내열바인더를 포함하는 소화혼합물을 성형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화모듈(300)은, 절연체캡(140) 대비 얇은 필름으로 형성되는 내, 외측 튜브(310)(320)와, 내, 외측 튜브(310)(320) 사이에 형성되는 소화실(330)과, 소화실(330) 내부에 충진되는 소화분말을 포함하는 소화혼합물(340)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화실(330)은 일단이 폐쇄되고, 다른 일단에 개방구(332)가 형성되며, 개방구(332)를 통하여 소화실(330) 내부로 소화혼합물(340)을 투입한 후에, 내, 외측 튜브(310)(320)를 열융착하여 개방구(332)를 마감하거나, 덮개시트(334)를 이용하여 개방구(332)를 폐쇄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화모듈(300)은 일단에 확장튜브(350)가 연장되고, 상기 확장튜브(350) 단부에 걸림턱(352)이 형성되며, 상기 확장튜브(350)는 도체캡(120)과 절연체캡(140) 사이에 끼움 결합된 상태로 걸림턱(352)이 금속튜브(200) 단부에 구속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화모듈(300)은 소화터널(302) 일측에 삽입홈(304)이 형성되고, 상기 금속튜브(200)는 일단이 삽입홈(304)에 삽입된 상태로 억지 끼움, 접착, 걸림홈과 턱을 홈을 포함하는 고정수단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금속튜브(200)는 일단에 복수의 방열핀(220)이 형성되고, 방열핀(220)은 소화모듈(300) 내부로 연장되며, 상기 전선 결선부분(10)의 합선 또는 화재열로 인해 도체부(12) 과열시, 금속튜브(200)에 연결되는 방열핀(220)을 통하여 도체부(12)에서 발생되는 열이 소화모듈(300) 내부로 전도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체부(12) 단부와 대응하는 도체캡(120) 일단에 돔형 격실(122)이 형성되고, 돔형 격실(122)은 도체캡(120) 다른 영역 대비 얇은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돔형 격실(122) 내부에 열 팽창층(124)과 색소층(125)이 구비되고, 상기 전선 결선부분(10)의 합선 또는 화재열로 인해 도체부(12) 과열시 열팽창층(124)의 팽창력에 의해 돔형 격실(122)이 폭발하면서 색소(125)가 외부로 비산되어, 화재 전조증상을 조기에 육안 식별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전선 결선부분에서 발생되는 스파크, 합선 등의 요인으로 인해 초기 불씨가 발화되는 시점에 열에 반응하여 소화분말이 자동 분출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발화 불씨가 조기에 신속하게 진압되어 대형 화재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소화기능을 갖는 효과가 있다.
또, 검침과정에서 전선 결선부분을 일일이 육안으로 찾아서 확인하지 않더라도 색소층에 의해 형성된 돔형 격실 폭발 흔적을 이용하여 전선 결선부분의 스파크, 합선 등의 화재 전조증상을 조기 검출하여 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기능을 갖는 전선연결구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기능을 갖는 전선연결구의 소화모듈을 성형하여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기능을 갖는 전선연결구의 소화모듈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기능을 갖는 전선연결구의 소화모듈 내부에 소화혼합물을 충진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기능을 갖는 전선연결구의 소화모듈과 금속튜브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기능을 갖는 전선연결구의 방열핀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기능을 갖는 전선연결구의 돔형 격실을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들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기능을 갖는 전선연결구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소화기능을 갖는 전선연결구에 관련되며, 이는 전선 결선부분에서 발생되는 스파크, 합선 등의 요인으로 인해 초기 불씨가 발화되는 시점에 열에 반응하여 소화분말이 자동 분출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발화 불씨가 조기에 신속하게 진압되어 대형 화재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보호홀더(100), 금속튜브(200), 소화모듈(300)을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홀더(100)는 전선 결선부분(10)의 도체부(12)를 수용하는 도체캡(120)과, 도체캡(120) 내경 대비 확장 형성되어 결선부분(10)의 절연체부(14)를 수용하는 절연체캡(140)으로 구성된다. 즉, 보호홀더(100)는 도체부(12)와 절연체부(14)가 모두 수용되도록 도체캡(120)과 절연체캡(140)이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도체부(12)는 전선피복이 제거된 속선을 서로 꼬아서 결속한 부분이고, 절연체부(14)는 도체부(12)와 접하는 전선피복 일부 영역을 일컫는다.
이때, 상기 도체캡(120)은 일단이 폐쇄된 절연관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후술하는 금속튜브(200)가 설치되고, 상기 절연체캡(140)은 도체캡(120) 일단에 일체로 연결되면서 도체캡(120) 지름 대비 확장된 사이즈로 형성되는 절연관체로서, 내부에 후술하는 소화모듈(300)이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금속튜브(200)는 상기 도체캡(120) 내부에 설치되어, 도체부(12)를 압입 결속하도록 구비된다. 금속튜브(200)는 알루미늄, 철, 스테인레스를 포함하는 관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금속튜브(200)는 전선 결선부분(10)의 도체부(12)가 삽입된 상태로 펜치(pincers)를 포함하는 공구로 도체캡(120)을 압착하면 금속튜브(200)가 찌그러져 변형되는데, 이때, 금속튜브(200)는 변형되면서 도체부(12)를 결속하므로 도체캡(120) 내에서 도체부(12)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화모듈(300)은 상기 절연체캡(140)에 설치되어, 절연체부(14)가 관통 삽입되도록 소화터널(302)이 형성되고, 화재 열에 반응하여 소화작용을 수행하도록 소화분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소화모듈(300)은 화재열에 노출시 소화분말이 분출되어 소화작용을 수행하는 구성으로, 절연체부(14) 외경을 감싸도록 소화터널(302)이 관통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전선 결선부분(10)의 도체부(12)는 소화모듈(300)의 소화터널(302)을 관통하여 금속튜브(200)에 삽입되고, 상기 절연체부(14)는 소화모듈(300)의 소화터널(302)에 수용된 상태로 보호된다. 이때 소화모듈(300)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바, 이에 따른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는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한다.
이에 상기 도체부(12)에서 발생되는 스파크, 합선 등의 요인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되면, 소화모듈(300)이 열에 반응하여 소화분말이 분출되고, 이로 인해 절연체부(14)는 물론 전선 결선부분(10)과 인접하는 영역의 화재 발생이 미연에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기능을 갖는 전선연결구의 소화모듈을 성형하여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상기 소화모듈(300)은 소화분말과 내열바인더를 포함하는 소화혼합물을 압축 성형 또는 접착 성형하여 형성된다. 소화분말은 캡슐구획 내에 소화제가 수용되고, 열에 반응하여 캡슐구획이 파괴되면서 소화제가 분출되는 마이크로 캡슐 타입으로 형성되고, 내열바인더는 세라믹, 무기질, 수지를 포함하는 내열 물질로서, 내열바인더에는 내열 접착물질이 포함된다.
즉, 상기 소화모듈(300)은 소화분말과 내열바인더를 포함하는 소화혼합물을 접착 성형하여 중앙에 소화터널(302)이 형성되는 관체로 형성되어 절연체캡(140) 내부에 삽입 설치된다.
이에 상기 소화모듈(300)이 열에 노출시 소화분말이 분출되고, 이때 소화분말은 절연체캡(140)에 의해 형성된 내부 구획으로 분출되어 전선 결선부분(10) 측으로 집중 공급되므로 초기 발화 불씨가 신속하게 조기 진압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기능을 갖는 전선연결구의 소화모듈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상기 소화모듈(300)은, 절연체캡(140) 대비 얇은 필름으로 형성되는 내, 외측 튜브(310)(320)와, 내, 외측 튜브(310)(320) 사이에 형성되는 소화실(330)과, 소화실(330) 내부에 충진되는 소화분말을 포함하는 소화혼합물(34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소화실(330)은 일단이 폐쇄되고, 다른 일단에 개방구(332)가 형성되며, 개방구(332)를 통하여 소화실(330) 내부로 소화혼합물(340)을 투입한 후에, 도 4와 같이 내, 외측 튜브(310)(320)를 열융착하여 개방구(332)를 마감한 다음 끝단부를 커팅하거나, 도 5처럼 덮개시트(334)를 이용하여 개방구(332)를 폐쇄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상기 소화모듈(300)이 열에 노출시 소화분말이 분출되면서 소화실(330) 내부 압력이 상승하고, 이때 외측 튜브(320)는 절연체캡(140) 내주면에 보호된 상태로 내구성이 취약한 내측 튜브(310)가 우선 폭발하면서 소화분말이 전선 결선부분(10) 측으로 집중 공급되어 초기 발화 불씨를 조기 진압된다.
도 2 내지 3에서, 상기 소화모듈(300)은 일단에 확장튜브(350)가 연장되고, 상기 확장튜브(350) 단부에 걸림턱(352)이 형성되며, 상기 확장튜브(350)는 도체캡(120)과 절연체캡(140) 사이에 끼움 결합된 상태로 걸림턱(352)이 금속튜브(200) 단부에 구속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도체캡(120) 내부에 금속튜브(200)를 삽입설치하는 과정 중에 확장튜브(350)의 걸림턱(352)이 확장튜브(350) 단부에 걸려 도체캡(120) 내부로 함께 삽입되고, 이때 확장튜브(350)는 도체캡(120)과 절연체캡(140) 사이에 압입 상태로 끼움 결합되어 간단하게 위치고정된다.
이처럼, 상기 소화모듈(300)이 절연체캡(140)에 삽입된 상태로 확장튜브(350)에 의해 간접 고정됨에 따라 소화모듈(300)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접착제 또는 물리적 고정수단이 생략되므로 제조공정이 간소화되고, 특히, 도 2와 같이 소화모듈(300)을 성형체로 형성하여 취성이 약하더라도 소화모듈(300) 측으로 직접적인 고정력이 미작용하여 보관 및 설치과정 중에 파손이 방지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기능을 갖는 전선연결구의 소화모듈과 금속튜브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상기 소화모듈(300)은 소화터널(302) 일측에 삽입홈(304)이 형성되고, 상기 금속튜브(200)는 일단이 삽입홈(304)에 삽입된 상태로 억지 끼움, 접착, 걸림홈과 턱을 홈을 포함하는 고정수단에 의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소화모듈(300)을 성형체(예컨대, 도 2의 소화모듈(300) 형태)로 형성시에는 금속튜브(200)는 일단이 삽입홈(304)에 인서트 몰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소화혼합물(340)이 내, 외측 튜브(310)(320)에 의해 보호되도록 형성되는 경우에는 소화모듈(300) 일단에 삽입홈(304)을 형성하여 금속튜브(200)와 결합되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소화모듈(300)이 금속튜브(200)에 의해 간접 고정됨에 따라 소화모듈(300)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접착제 또는 물리적 고정수단이 생략되므로 제조공정이 간소화되고, 특히, 도 2와 같이 소화모듈(300)을 성형물로 형성하여 취성이 약하더라도 소화모듈(300) 측으로 직접적인 고정력이 미작용하여 보관 및 설치과정 중에 파손이 방지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기능을 갖는 전선연결구의 방열핀을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상기 금속튜브(200)는 일단에 복수의 방열핀(220)이 형성되고, 방열핀(220)은 소화모듈(300) 내부로 연장된다. 방열핀(220)은 금속튜브(200)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방열핀(220)을 별도로 형성하여 서로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전선 결선부분(10)의 합선 또는 화재열로 인해 도체부(12) 과열시, 금속튜브(200)에 연결되는 방열핀(220)을 통하여 도체부(12)에서 발생되는 열이 소화모듈(300) 내부로 전도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상기 스파크, 합선 등으로 방열핀(220)에서 열이 발생되어 금속튜브(200)가 가열되는 순간 방열핀(220)을 통하여 금속튜브(200)의 열이 소화모듈(300)로 공유되어 소화혼합물(340)이 열에 즉각 반응하여 분출되도록 구성되므로, 전선 결선부분(10)의 합선 또는 화재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초기 발화 불씨를 조기 진압하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기능을 갖는 전선연결구의 돔형 격실을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상기 도체부(12) 단부와 대응하는 도체캡(120) 일단에 돔형 격실(122)이 형성되고, 돔형 격실(122)은 도체캡(120) 다른 영역 대비 얇은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돔형 격실(122) 내부에 열 팽창층(124)과 색소층(125)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열 팽창층(124)은 탄산칼슘, 알루미늄금속산화물을 포함하는 혼합물로 형성되어 도체부(12)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색소층(125)은 돔형 격실(122) 내주면에 인접하게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전선 결선부분(10)의 합선 또는 화재열로 인해 도체부(12) 과열시 열팽창층(124)의 팽창력에 의해 돔형 격실(122)이 폭발하면서 색소(125)가 외부로 비산되어, 화재 전조증상을 조기에 육안 식별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도체부(12)가 소정의 온도(발화점)에 도달하면, 열 팽창층(124)이 열에 반응하여 팽창되면서 소정의 압력에 도달하여 돔형 격실(122)이 폭발하고, 이때 색소층(125)이 돔형 격실(122) 외부로 비산되어 주변에 폭발 흔적을 남기게 된다.
이에 검침과정에서 전선 결선부분(10)을 일일이 육안으로 찾아서 확인하지 않더라도 색소층(125)에 의해 형성된 돔형 격실(122) 폭발 흔적을 이용하여 전선 결선부분(10)의 스파크, 합선 등의 화재 전조증상을 조기에 발견하여 조치하므로 대형 화재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0: 결선부분 12: 도체부 14: 절연체부
100: 보호홀더 120: 도체캡 122: 돔형 격실
124: 열 팽창층 125: 색소층 140: 절연체캡
200: 금속튜브 220: 방열핀
300: 소화모듈 302: 소화터널 304: 삽입홈
310: 내측 튜브 320: 외측 튜브 330: 소화실
332: 개방구 334: 덮개시트 340: 소화혼합물
350: 확장튜브 352: 걸림턱

Claims (7)

  1. 전선 결선부분(10)의 도체부(12)를 수용하는 도체캡(120)과, 도체캡(120) 내경 대비 확장 형성되어 결선부분(10)의 절연체부(14)를 수용하는 절연체캡(140)으로 구성되는 보호홀더(100);
    상기 도체캡(120) 내부에 설치되어, 도체부(12)를 압입 결속하도록 구비되는 금속튜브(200); 및
    상기 절연체캡(140)에 설치되어, 절연체부(14)가 관통 삽입되도록 소화터널(302)이 형성되고, 화재 열에 반응하여 소화분말을 분출하도록 구비되는 소화모듈(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능을 갖는 전선연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모듈(300)은 소화분말과 내열바인더를 포함하는 소화혼합물을 성형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능을 갖는 전선연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모듈(300)은, 절연체캡(140) 대비 얇은 필름으로 형성되는 내, 외측 튜브(310)(320)와, 내, 외측 튜브(310)(320) 사이에 형성되는 소화실(330)과, 소화실(330) 내부에 충진되는 소화분말을 포함하는 소화혼합물(340)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화실(330)은 일단이 폐쇄되고, 다른 일단에 개방구(332)가 형성되며, 개방구(332)를 통하여 소화실(330) 내부로 소화혼합물(340)을 투입한 후에, 내, 외측 튜브(310)(320)를 열융착하여 개방구(332)를 마감하거나, 덮개시트(334)를 이용하여 개방구(332)를 폐쇄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능을 갖는 전선연결구.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모듈(300)은 일단에 확장튜브(350)가 연장되고, 상기 확장튜브(350) 단부에 걸림턱(352)이 형성되며, 상기 확장튜브(350)는 도체캡(120)과 절연체캡(140) 사이에 끼움 결합된 상태로 걸림턱(352)이 금속튜브(200) 단부에 구속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능을 갖는 전선연결구.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모듈(300)은 소화터널(302) 일측에 삽입홈(304)이 형성되고, 상기 금속튜브(200)는 일단이 삽입홈(304)에 삽입된 상태로 억지 끼움, 접착, 걸림홈과 턱을 홈을 포함하는 고정수단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능을 갖는 전선연결구.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튜브(200)는 일단에 복수의 방열핀(220)이 형성되고, 방열핀(220)은 소화모듈(300) 내부로 연장되며, 상기 전선 결선부분(10)의 합선 또는 화재열로 인해 도체부(12) 과열시, 금속튜브(200)에 연결되는 방열핀(220)을 통하여 도체부(12)에서 발생되는 열이 소화모듈(300) 내부로 전도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능을 갖는 전선연결구.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부(12) 단부와 대응하는 도체캡(120) 일단에 돔형 격실(122)이 형성되고, 돔형 격실(122)은 도체캡(120) 다른 영역 대비 얇은 두께로 형성되며, 상기 돔형 격실(122) 내부에 열 팽창층(124)과 색소층(125)이 구비되고, 상기 전선 결선부분(10)의 합선 또는 화재열로 인해 도체부(12) 과열시 열팽창층(124)의 팽창력에 의해 돔형 격실(122)이 폭발하면서 색소(125)가 외부로 비산되어, 화재 전조증상을 조기에 육안 식별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능을 갖는 전선연결구.
KR1020200061835A 2020-05-22 2020-05-22 소화기능을 갖는 전선연결구 KR102138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835A KR102138928B1 (ko) 2020-05-22 2020-05-22 소화기능을 갖는 전선연결구
PCT/KR2020/010572 WO2021235599A1 (ko) 2020-05-22 2020-08-10 소화기능을 갖는 전선연결구
US17/919,748 US20230155307A1 (en) 2020-05-22 2020-08-10 Electric wire connector having fire-extinguish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835A KR102138928B1 (ko) 2020-05-22 2020-05-22 소화기능을 갖는 전선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8928B1 true KR102138928B1 (ko) 2020-07-29

Family

ID=71893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835A KR102138928B1 (ko) 2020-05-22 2020-05-22 소화기능을 갖는 전선연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155307A1 (ko)
KR (1) KR102138928B1 (ko)
WO (1) WO202123559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5599A1 (ko) * 2020-05-22 2021-11-25 주식회사 코리아오션텍 소화기능을 갖는 전선연결구
KR102390486B1 (ko) * 2021-12-01 2022-04-26 주식회사 코리아오션텍 단전 및 소화기능을 갖는 케이블 커넥터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1173U (ko) * 1985-12-28 1987-07-15
JPH05214305A (ja) * 1991-07-26 1993-08-24 Sumitomo Electric Ind Ltd 難燃性接着剤及び熱収縮性チューブ
KR100545049B1 (ko) 2002-11-21 2006-01-24 임영묵 전선 결선용 홀더
KR20090039366A (ko) 2007-10-18 2009-04-22 최재성 전선연결부의 보호캡
KR20200011067A (ko) * 2018-07-24 2020-02-03 주식회사 케이넌코리아 소화기능을 갖춘 플러그 아답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52597B2 (ja) * 1988-12-20 1999-09-27 能美防災株式会社 防災設備における電線の接続構造およびその接続方法
CN104810629B (zh) * 2015-03-30 2017-03-15 国家电网公司 一种多用途导线连接装置
KR101734514B1 (ko) * 2015-09-03 2017-05-11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재 조기진압용 전원콘센트 장착 소화덮개
KR102138928B1 (ko) * 2020-05-22 2020-07-29 주식회사 코리아오션텍 소화기능을 갖는 전선연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11173U (ko) * 1985-12-28 1987-07-15
JPH05214305A (ja) * 1991-07-26 1993-08-24 Sumitomo Electric Ind Ltd 難燃性接着剤及び熱収縮性チューブ
KR100545049B1 (ko) 2002-11-21 2006-01-24 임영묵 전선 결선용 홀더
KR20090039366A (ko) 2007-10-18 2009-04-22 최재성 전선연결부의 보호캡
KR20200011067A (ko) * 2018-07-24 2020-02-03 주식회사 케이넌코리아 소화기능을 갖춘 플러그 아답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5599A1 (ko) * 2020-05-22 2021-11-25 주식회사 코리아오션텍 소화기능을 갖는 전선연결구
KR102390486B1 (ko) * 2021-12-01 2022-04-26 주식회사 코리아오션텍 단전 및 소화기능을 갖는 케이블 커넥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55307A1 (en) 2023-05-18
WO2021235599A1 (ko) 202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8928B1 (ko) 소화기능을 갖는 전선연결구
EP1564090B1 (en) Inflator for an air bag
JP2021022569A (ja) エネルギー貯蔵装置
KR100417437B1 (ko) 고 전류 세기용 전기 회로의 분리 장치
JP2018538655A5 (ko)
KR101628708B1 (ko) 캡슐 소화 장치
CN107732589B (zh) 电连接器
CN103109340B (zh) 机电超温保护元件
JPH1055742A (ja) 回路遮断器
KR20170006459A (ko) 열감응 자동 소화 장치
WO2023101145A1 (ko) 단전 및 소화기능을 갖는 케이블 커넥터 시스템
CN216022875U (zh) 电引发器启动装置及灭火器
CN110279960A (zh) 一种防火自灭火插座及插头
CN216022876U (zh) 导火索启动装置及灭火器
CN217606892U (zh) 一种灭火装置、电池箱体以及电池
KR102393292B1 (ko) 화재 진화수단을 구비한 안전 콘센트
KR102417215B1 (ko) 질식소화를 이용한 소화커버모듈
KR102402409B1 (ko)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
CN210096733U (zh) 一种迷你灭火装置
CN113633918A (zh) 导火索启动装置及灭火器
JPH11232978A (ja) 回路遮断装置
JP7219687B2 (ja) 点火器組立体、ガス発生器及び点火器組立体の組み立て方法
CN113633919B (zh) 电引发器启动装置及灭火器
CN113509663A (zh) 非贮压全氟己酮灭火装置
JP3451186B2 (ja) 回路遮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