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9366A - 전선연결부의 보호캡 - Google Patents

전선연결부의 보호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9366A
KR20090039366A KR1020070104965A KR20070104965A KR20090039366A KR 20090039366 A KR20090039366 A KR 20090039366A KR 1020070104965 A KR1020070104965 A KR 1020070104965A KR 20070104965 A KR20070104965 A KR 20070104965A KR 20090039366 A KR20090039366 A KR 20090039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onnection
protective cap
synthetic resin
space
cov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4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성
신현균
Original Assignee
최재성
신현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성, 신현균 filed Critical 최재성
Priority to KR1020070104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39366A/ko
Publication of KR20090039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93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70Insulation of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aterial, e.g. gels or res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연결부의 보호캡에 관한 것으로서 절연재질의 합성수지로 일측 끝단이 막히도록 형성되어 내측에 2개 이상의 서로 분리된 전선의 피복이 벗겨져 서로 통전되도록 결합되는 전선연결부를 수용하는 제 1 직경을 갖는 원통형의 제 1 공간부를 형성하는 제 1 몸체와, 상기 제 1 몸체와 동일한 절연재질의 합성수지로 한 몸체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1 공간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 1 직경 보다 큰 제 2 직경을 갖는 상기 일측 끝단과 대응하는 타측 끝단이 개방되는 제 2 공간부를 형성하는 제 2 몸체와, 적어도 상기 제 2 공간부 내부를 겔(gel) 상태를 갖다가 공기 중에 노출되면 응고되는 충전제가 채우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선연결부를 방수시키는 충전부와, 상기 제 2 몸체의 타측 끝단면에 공기가 투과되지 않는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상기 충전부를 밀봉하도록 접착되는 밀봉 테이프를 포함한다. 따라서, 구조가 단순하므로 제조가 용이하고 생산 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전선연결부를 보호캡 내에 캡핑한 상태에서 충전물을 주입하지 않으므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전선연결부, 보호캡, 방수, 충전부, 충전제

Description

전선연결부의 보호캡{Cover cap of connecting part for cable}
본 발명은 전선연결부의 보호캡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서로 분리된 2개의 전선을 연결하여 통전시키는 전선연결부를 방수가 되도록 하여 수분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선연결부의 보호캡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일반 건축물에서 교류전기나 직류전기를 공급하는 전선은 길이의 제한 및 병렬 또는 직렬방식의 결합 관계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다른 전선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2개의 전선을 결속하는 방법으로는 연결하고자 하는 2개의 전선의 피막을 탈피시킨 다음에, 2개의 피막이 탈피된 부분을 여러 번 꼬아서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시켜 연결부를 형성한다. 다음에, 결속된 연결부의 절연을 위해서 절연 테이프를 여러 번 감아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전선 결속방식에서는 전선을 탈피하고 여러 번 꼬아서 결속시킨 연결부를 절연 테이프로 여러번 권취하여 절연시켜야 하므로 작업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방수 특성이 저하되므로 유입된 수분에 의해 스파크가 발생하거나 감전사고가 발생되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 기술에 따른 전선연결부의 보호캡이 특허출원 제 2006-6396 호가 개시되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선연결부의 보호캡 내에 전선연결부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선연결부의 보호캡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전선연결부의 보호캡(11)은 상부 및 하부몸체(13)(15)에 의해 2개의 전선(25)의 피막이 탈피된 부분을 여러 번 꼬아서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시킨 전선연결부(27)가 수용되는 수용부(21)가 형성된다. 상기에서 상부 및 하부몸체(13)(15)는 일측이 힌지부(17)에 의해 힌지 결합된다. 또한, 상부 및 하부몸체(13)(15)는 힌지부(17)에 의해 회전되면서 고정부(19)에 의해 개폐되어 수용부(21)가 생성되는데, 이 수용부(21)에 전선(25)이 서로 통전되도록 결합된 전선연결부(27)가 수용된다.
그리고, 상부몸체(13)는 수용부(21)와 연결되는 관통구(23)가 형성된다. 상기에서 관통구(2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연결부(27)가 보호캡(11) 내에 캡핑된(capped) 상태, 즉, 수용부(21) 내에 수용되고 상부몸체(13)와 하부몸체(15)가 고정부(19)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수용부(21) 내에 충전부(29)를 형성하기 위한 충전물을 주입된다. 충전부(29)를 형성하는 충전물은 방수, 점착 및 절연성 등이 뛰어나고 액체 상태로 주입되어 응고되는 실린콘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충전부(29)는 충전물이 전선연결부(27)를 에워싸도록 수용부(21) 를 채운 상태에서 응고되므로 전선연결부(27)를 수분으로부터 방수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전선연결부의 보호캡은 구조가 복잡하므로 제조가 어렵고 생산 원가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선연결부를 보호캡으로 캡핑한 후 충전부를 형성하기 위해 충전물을 별도로 주입하여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단순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생산 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전선연결부의 보호캡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선연결부를 보호캡 내에 캡핑한 후 충전부를 형성하기 위한 충전물을 별도로 주입하지 않으므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선연결부의 보호캡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선연결부의 보호캡은 절연재질의 합성수지로 일측 끝단이 막히도록 형성되어 내측에 2개 이상의 서로 분리된 전선의 피복이 벗겨져 서로 통전되도록 결합되는 전선연결부를 수용하는 제 1 직경을 갖는 원통형의 제 1 공간부를 형성하는 제 1 몸체와, 상기 제 1 몸체와 동일한 절연재질의 합성수지로 한 몸체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1 공간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 1 직경 보다 큰 제 2 직경을 갖는 상기 일측 끝단과 대응하는 타측 끝단이 개방되는 제 2 공간부를 형성하는 제 2 몸체와, 상기 제 1 몸체의 내부 표면에 밀착되게 설치된 금속링과, 적어도 상기 제 2 공간부 내부를 겔(gel) 상태를 갖다가 공기 중에 노출되면 응고되는 충진제가 채우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선연결부를 방수시키는 충전부와, 상기 제 2 몸체의 타측 끝단면에 공기가 투과되지 않는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상기 충전부를 밀봉하도록 접착되는 밀봉 테이프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충진제가 실리콘 수지 또는 호마이카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조가 단순하므로 제조가 용이하고 생산 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전선연결부를 보호캡 내에 캡핑한 상태에서 충전물을 주입하지 않으므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된 전선연결부의 보호캡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을 A-A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연결부(47)의 보호캡(30)은 제 1 몸체(31), 제 2 몸체(35), 금속링(39), 충전부(41) 및 밀봉 테이프(43)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제 1 몸체(31)와 제 2 몸체(35)는 절연재질의 합성수지로 한 몸체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제 1 몸체(31)는 내측에 제 1 직경을 갖는 원통형의 제 1 공간부(33)를 이루면서 일측 끝단이 막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몸체(35)는 내측에 제 1 직경 보다 큰 제 2 직경을 가지며 제 1 공간부(33)와 연결되는 원통형의 제 2 공간부(37)를 이루면서 타측 끝단이 개방되게 형성된다.
금속링(39)은 제 1 몸체(31)의 내부 표면에 밀착되게 설치된다.
충전부(41)는 겔(gel) 상태를 갖다가 공기 중에 노출되면 응고되는 방수, 점착 및 절연성이 우수한 충전제로 적어도 제 2 공간부(37)의 내부를 채우도록 형성된다. 상기에서 충전부(41)를 실리콘 수지 또는 호마이카 등을 포함하는 충전제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충전부(41)가 제 2 공간부(37)의 내부를 채우도록 형성되었으나 제 1 및 제 2 공간부(33)(37)의 내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밀봉 테이프(43)는 공기가 투과되지 않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며 제 2 몸체(35)의 타측 끝단면에 접착되어 겔 상태의 충전부(41)가 공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그러므로, 밀봉 테이프(43)는 충전부(41)가 공기와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겔 상태를 유지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연결부(47)의 보호캡(30)의 사용 상태도이다.
보호캡(30)은 서로 분리된 2개의 전선(45)의 피복을 벗겨 서로 꼬아 서로 통전되도록 결합되는 전선연결부(47)가 제 1 몸체(31)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공간부(33)에 수용되도록 삽입된다.
상기에서 보호캡(30)은 밀봉 테이프(43)를 제거한 상태에서 전선연결부(47) 가 충전부(41)를 통과시켜 제 1 공간부(33)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플라이어(pliers), 펜치(pincers) 또는 니퍼(nippers) 등의 공구로 제 1 몸체(31)를 강하게 집는다. 이에, 제 1 몸체(31)와 금속링(39)이 찌그러져 변형되는데, 이때, 금속링(11)은 변형되면서 전선연결부(47)를 조여 제 1 몸체(31)로부터 빠지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되게 한다.
상기에서 적어도 제 2 공간부(37)를 채우는 충전부(41)는 밀봉 테이프(43)에 의해 밀봉된 상태에서는 겔 상태를 유지하는데, 이 밀봉 테이프(43)를 제거하여 충전부(41)가 겔 상태를 유지할 때 전선연결부(47)가 충전부(41)를 통과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전선연결부(47)가 겔 상태의 충전부(41)를 쉽게 통과될 수 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충전부(41)는 겔 상태에서 응고되며, 이에 의해, 전선연결부(47)가 방수되어 수분에 의해 스파크가 발생하거나 감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전선연결부가 2개의 전선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3개 이상의 전선을 결선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선연결부의 보호캡은 적어도 제 2 몸체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공간부 내에, 또는, 제 1 및 제 2 몸체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공간부 내에 겔(gel) 상태를 갖다가 공기 중에 노출되면 응고되는 방수, 점착 및 절연성을 갖는 실리콘 수지 또는 호마이카 등의 충진제로 구성되는 충전부가 형성되고, 이 충전부가 공기에 노출되지 않아 겔 상태를 유지하도록 공기가 투과되지 않는 합성수지로 형성된 밀봉 테이프가 제 2 몸체의 타측 끝단면에 충전부 를 밀봉하도록 접착된다. 이에 의해, 사용시 밀봉 테이프를 제거하고 전선연결부가 겔 상태의 충전부를 통과하여 제 1 몸체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공간부 내에 위치되도록 한 후 제 1 몸체와 금속링을 변형시키고 충전부를 응고시켜 전선연결부가 방수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선연결부의 보호캡 내에 전선연결부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선연결부의 보호캡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된 전선연결부의 보호캡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을 A-A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연결부의 보호캡의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보호캡 31 : 제 1 몸체
33 : 제 1 공간부 35 : 제 2 몸체
37 : 제 2 공간부 39 : 금속링
41 : 충전부 43 : 밀봉 테이프
45 : 전선 47 : 전선연결부

Claims (2)

  1. 절연재질의 합성수지로 일측 끝단이 막히도록 형성되어 내측에 2개 이상의 서로 분리된 전선의 피복이 벗겨져 서로 통전되도록 결합되는 전선연결부를 수용하는 제 1 직경을 갖는 원통형의 제 1 공간부를 형성하는 제 1 몸체와,
    상기 제 1 몸체와 동일한 절연재질의 합성수지로 한 몸체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 1 공간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 1 직경 보다 큰 제 2 직경을 갖는 상기 일측 끝단과 대응하는 타측 끝단이 개방되는 제 2 공간부를 형성하는 제 2 몸체와,
    상기 제 1 몸체의 내부 표면에 밀착되게 설치된 금속링과,
    적어도 상기 제 2 공간부 내부를 겔(gel) 상태를 갖다가 공기 중에 노출되면 응고되는 충진제가 채우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선연결부를 방수시키는 충전부와,
    상기 제 2 몸체의 타측 끝단면에 공기가 투과되지 않는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상기 충전부를 밀봉하도록 접착되는 밀봉 테이프를 포함하는 전선연결부의 보호캡.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진제가 실리콘 수지 또는 호마이카를 포함하는 전선연결부의 보호캡.
KR1020070104965A 2007-10-18 2007-10-18 전선연결부의 보호캡 KR200900393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4965A KR20090039366A (ko) 2007-10-18 2007-10-18 전선연결부의 보호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4965A KR20090039366A (ko) 2007-10-18 2007-10-18 전선연결부의 보호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9366A true KR20090039366A (ko) 2009-04-22

Family

ID=40763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4965A KR20090039366A (ko) 2007-10-18 2007-10-18 전선연결부의 보호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3936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133B1 (ko) * 2013-07-19 2014-08-13 주식회사 경신 클로즈 바렐 단자 및 그의 수밀접속방법
KR102138928B1 (ko) 2020-05-22 2020-07-29 주식회사 코리아오션텍 소화기능을 갖는 전선연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0133B1 (ko) * 2013-07-19 2014-08-13 주식회사 경신 클로즈 바렐 단자 및 그의 수밀접속방법
KR102138928B1 (ko) 2020-05-22 2020-07-29 주식회사 코리아오션텍 소화기능을 갖는 전선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32662B1 (en) Waterproof wire connectors
US6376773B1 (en) Structure for connecting electrical cables to a flat electrical cable
US5151239A (en) Method of making a wire junction encapsulating wire connector
US7311563B2 (en) Insulated water-tight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a set screw driver and plug
CN101120483B (zh) 具有可剥离覆层的扭接式导线连接器及其制造方法
US20080105452A1 (en) Wire connector
CA2511444C (en) An insulating cover for electrical connectors
CN203377391U (zh) 带绝缘外壳的电缆线夹
US20140174822A1 (en) Waterproof seal for electrical assemblies
US3209069A (en) Joint enclosure for joined electric cables
KR20090039366A (ko) 전선연결부의 보호캡
US8502074B2 (en) Seal for anode connection to cable and method of use
US10498049B2 (en) Assembly as a junction box replacement and method for installing said assembly
CN103117480B (zh) 用于电缆线接线祼露处防水、防潮处理的组合套件及方法
KR0163198B1 (ko) 꼬임전선커넥터 및 그 꼬임전선커넥터주위에서 실런트함유셸를 제조하는 방법
KR101252008B1 (ko) 전선연결장치
WO2012071032A1 (en) Seal for anode connection to cable and method of use
JP2002252918A (ja) 電線分岐接続部の防水構造
US5149916A (en) Termination of mineral insulated electric cable
JP6687093B2 (ja) ワイヤハーネス用の止水具を備えた止水構造
NO164570B (no) Anordning for forbindelse av elektriske, kunststoffisolerte ledere, og fremgangsmaate for fremstilling av en saadan forbindelse.
JPS5814660Y2 (ja) 絶縁電線の防水スリ−ブ
CN102280721B (zh) Led灯防水接头及其制作工艺
US9698518B1 (en) Wire connectors and wire connector kits
CN108508230B (zh) 加速度传感器组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90622

Effective date: 2010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