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9220B1 - 소공간용 튜브 소화기 - Google Patents

소공간용 튜브 소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9220B1
KR102189220B1 KR1020190106086A KR20190106086A KR102189220B1 KR 102189220 B1 KR102189220 B1 KR 102189220B1 KR 1020190106086 A KR1020190106086 A KR 1020190106086A KR 20190106086 A KR20190106086 A KR 20190106086A KR 102189220 B1 KR102189220 B1 KR 102189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fire
sealing
fire extinguisher
extinguish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6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학면
Original Assignee
이학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학면 filed Critical 이학면
Priority to KR1020190106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92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0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flames or hea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02Body construction
    • B65D35/04Body construction made in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02Body construction
    • B65D35/12Connections between body and closure-receiving bus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공간용 튜브 소화기에 관한 것으로, 사람의 접근이 어려운 협소한 공간 또는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확인이 어려운 밀폐된 공간에 설치되어 화재의 발생시 열에 의해 파열되면서 소화약제의 분출 및 비산에 의해 초동진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소화약제가 수용되는 공간을 가지며 파열이 용이한 가용성 재질로 형성되는 튜브와; 화재의 발생에 의해 주변의 온도가 70℃ 이상 상승하면, 튜브가 파열되면서 소화약제가 분출 및 비산되어 초동진화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접합부가 형성된 튜브의 타측에 열 수축에 의해 밀봉되는 밀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소공간의 내측면에 고정하거나 또는 공중에 부양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소공간용 튜브 소화기가 설치되는 공간의 형상에 따라 자유로운 설치가 가능하여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바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소공간용 튜브 소화기{Tube-shaped fire extinguisher installed in a small space}
본 발명은 소공간용 튜브 소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람이 접근하기 어렵거나 확인이 어려운 소공간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 초동진화가 빠르게 이루어져 화재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소화가스가 충입된 튜브 소화기의 양끝 단을 융착 밀봉함으로 견고성과, 작업의 안전성 및 효율성이 향상되도록 한 소공간용 튜브 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대부분 전기로 인한 화재가 전체 화재건수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화재는 배전반, 전자제품, 전등기구 등과 같이 사람의 접근이 어렵거나 확인이 어려운 위치에서 누전, 합선 등에 의해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종래에는 전기화재가 발생하면, 화재가 진행된 후 화재감지기에 의해 체크되어 소화시설이 작동하게 되는데, 이미 화재가 확산된 상태에서 진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초동진화의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부분의 소화시설은 천장에 설치되어 화재의 발화점과는 거리가 떨어져 있어 화재를 조기에 감지하지 못해 화재가 제대로 진압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기술 한국등록실용 제20-0403500호는 특고압 케이블 전기화재 시 케이블 접속부 및 단자접속부 아크열에 의한 화재확산을 차단하는 전기화재방지용 발포소화 내부시트와; 특고압 케이블 접속부의 폭발에 따른 열과 압력을 막아주는 방폭소화 외부시트와; 특고압 케이블의 열을 자동으로 측정하는 디지털 열 센서 온도테이프와; 전기화재 진동, 충격 완화용 지퍼와; 전기화재 방지용 방폭소화 외부시트에 타이밴드식 부착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재방지용 방폭 소화시트가 제시되었다.
종래기술은 전기장치의 열화진행만 일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전기설비의 외부에서 발생한 화재는 진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소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문헌으로 등록특허공보 제10-1628708호(2016.06.09. 공고)의 "캡슐 소화 장치"는 전기장치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면에 다수의 배출홀이 형성되는 캡슐; 상기 캡슐의 내부에 수납되며, 내부에 전기화재 진압을 위한 소화제가 수용되는 포켓; 상기 캡슐의 내부에서 포켓과 연접되게 수납되며, 외면에 발화물질이 코팅되는 열전달체; 및 상기 열전달체의 외면과 접촉되며 전기화재발생시 설정 온도 이상의 화염이 접촉되거나 설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면 발화물질을 점화 및 연소시키는 점화부를 포함하며, 상기 발화물질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열이 열전달체를 통해 포켓으로 전달되면서 포켓이 개방되어 소화제가 다수의 배출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포켓은 외면 소정 부분에 천연 방화성 물질이 코팅된 코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선행문헌은 발화물질에 의해 발화가 이루어져 열전달체로 설정 온도 이상의 열 전달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포켓에 수용된 소화제가 배출홀을 통해 분출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발화지점과 거리가 떨어진 상태에서는 초동진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해 화재가 확산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28708호(2016.06.09. 공고)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람들이 화재의 발생을 쉽게 알기 어려운 배전반, 전자제품, 전등기구 등과 같이 협소한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되어 주변의 온도가 70℃ 이상 상승하면, 튜브가 파열되면서 소화가스의 분출에 의해 초동진화가 이루어져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소공간용 튜브 소화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화가스가 충입된 튜브 소화기의 양끝단에 설치되는 밀봉부재를 "
Figure 112019088751766-pat00001
"형과 "
Figure 112019088751766-pat00002
"형과 같이 밀봉함으로 견고성과, 작업의 안전성 및 효율성이 향상 되도록한 소공간용 튜브 소화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공간에 고정공이 형성된 고정홀더, 걸고리, 와이어 등을 이용하여 소공간의 내측면 또는 공중에 부양된 상태로 고정이 이루어져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바로 대응되도록 한 소공간용 튜브 소화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람의 접근이 어려운 협소한 공간 또는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확인이 어려운 밀폐된 공간에 설치되어 화재의 발생에 의해 주변의 온도가 70℃ 이상 상승하면, 파열되면서 소화약제의 분출 및 비산에 의해 초동진화가 될 수 있도록 소화약제가 수용되는 공간을 가지며 파열이 용이한 가용성 재질로 형성되는 튜브와; 화재의 발생에 의해 주변의 온도가 70℃ 이상 상승하면, 튜브가 파열되면서 소화약제가 분출 및 비산되어 초동진화가 되도록 튜브의 양측단 각각에 설치되어 열 수축에 의해 밀봉되는 밀봉부재로 이루어지는 튜브 소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공간용 튜브 소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튜브는, 밀봉부재의 끼움부재와 튜브밀봉캡 사이에 결합되는 튜브밀봉캡가 열에 의해 수축되면서 밀봉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밀봉부재는, 튜브 내측에 결합되는 끼움부재와; 끼움부재의 입구가 찌그러지지 않게 구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입구 내측에 설치되는 금속관과; 튜브 내측에 수용된 소화약제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금속관 내측에 인입되어 밀봉되는 밀봉수지; 및 열 수축에 의해 기밀성을 갖도록 끼움부재의 입구에만 고정이 이루어져 튜브의 외주연에 밀봉되는 튜브밀봉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튜브밀봉캡은, 열 수축 튜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화재가 발생하여 일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튜브의 어느 한 부분이 파열되면서 소화액 또는 소화가스를 포함하는 소화약제가 순간적으로 분사되어 초동진화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람들이 화재의 발생을 쉽게 알기 어려운 배전반 등과 같이 협소한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되면 주변의 온도가 70℃ 이상 상승하거나 또는 화염에 의해 튜브가 파열되면서 소화약제가 분출하여 초동진화가 됨으로서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하여 인명피해 및 재산상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공간의 내측면 또는 공중에 부양된 상태로 고정이 이루어지므로 소공간용 튜브 소화기가 설치되는 공간의 형상에 따라 자유로운 설치가 가능하여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바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소공간용 튜브 소화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소공간용 튜브 소화기를 분리하여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소공간용 튜브 소화기의 결합된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소공간용 튜브 소화기가 다양하게 설치되어 소화약제가 분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소공간용 튜브 소화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소공간용 튜브 소화기를 분리하여 도시한 구성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소공간용 튜브 소화기의 결합된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소공간용 튜브 소화기를 설치한 상태에서 화재에 의해 소화가스가 분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소공간용 튜브 소화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소공간용 튜브 소화기는 사람의 접근이 어려운 협소한 공간 또는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확인이 어려운 밀폐된 공간에 설치하여 화재의 발생시 주변의 온도가 70℃ 이상 상승하면, 튜브(100)가 파열되어 소화가스의 분출에 의해 초동진화가 이루어지도록 튜브(100) 내측에 소화가스가 수용되며, 소화가스가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튜브(100)의 측단 각각에 설치되는 밀봉부재(200)가 설치되어 소화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소공간용 튜브 소화기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소공간용 튜브 소화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소공간용 튜브 소화기를 분리하여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소공간용 튜브 소화기의 결합된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의한 소공간용 튜브 소화기가 다양하게 설치되어 소화약제가 분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4b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한 소공간용 튜브 소화기는 튜브(100)와 밀봉부재(200)를 포함한다.
상기 튜브(100)는 소화가스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을 갖는 몸체(110)를 구성하고, 상기 몸체(110)는 화재 발생시 주변의 온도가 70℃ 이상 상승하면, 쉽게 파열될 수 있는 가용성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110)는 원통형의 파이프 형상, 원통형의 파이프가 삼방향 이상 연결되는 형상, 일측이 개방된 다면체 형상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내측 공간에 소화액 및 소화가스를 포함하는 소화약제(이하 '소화약제'로 칭함)가 수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몸체(110)는 자체적으로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져 화재의 발생이 아닌 다른 상황에 의해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몸체(110)는 길이가 다르게 다수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몸체(110)의 길이를 각각 다르게 구성함으로서 소화약제의 용량이 각각 다르게 수용되고, 용량이 다르게 수용된 튜브 소화기가 설치공간 전체에 대응되어 신속하게 초동진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소화기 튜브(100)의 양측단에 설치되어 밀봉되는 밀봉부재(200)는 양끝단을 "
Figure 112019088751766-pat00003
"형 및 "
Figure 112019088751766-pat00004
"형과 같이 융착 밀봉하여 튜브 소화기 밀봉의 견고성과, 작업의 안전성 및 효율성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만 밀봉부재(200)가 설치되는 경우, 밀봉부재(200)가 설치된 몸체(110)의 다른 일측에는 초음파 융착에 의해 접합부(111)가 형성된다. 상기 접합부(111)에는 열에 의해 수축이 이루어져 고정되는 마감부재(120)가 설치된다. 상기 마감부재(120)는 열에 의해 수축되어 초음파 융착에 의해 형성된 접합부(111)가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자체 탄성을 갖는 열수축튜브(10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밀봉부재(200)는 끼움부재(210), 금속관(220), 밀봉수지(230) 및 튜브밀봉캡(2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끼움부재(210)는 입구(211) 및 몸체끼움부재(212)로 구성된다. 상기 입구(211)는 몸체끼움부재(212)보다 작게 형성되어 튜브(100) 내측으로 소화약제를 주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끼움부재(212)는 상기 입구(211)에서 확개되면서 연장되어 튜브(100)의 내측으로 인입되게 설치된다.
상기 금속관(220)은 밀봉부재(200)의 입구(211)의 내측에 설치되어 밀봉부재(200)의 입구(211)가 찌그러지지 않도록 구경을 유지하면서 밀봉수지(230)가 용이하게 주입되어 밀봉이 잘 이루어지도록 통공(221)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밀봉수지(230)는 튜브(100) 내측에 수용된 소화약재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금속관(220)의 내측으로 주입되어 통공(221)을 밀봉한다.
상기 밀봉수지(230)는 기밀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외부의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소프트 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실리콘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튜브밀봉캡(240)은 입구결합부재(241)와 튜브결합부재(242)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튜브밀봉캡(240)은 끼움부재(210)와 튜브밀봉캡(240) 사이로 튜브(100)가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부재(210)의 입구(211)가 형성된 부분에만 고정된다.
먼저, 밀봉부재(200)의 끼움부재(210)를 튜브(100) 내측에 결합하면, 튜브(100)는 끼움부재(210)와 튜브밀봉캡(240)의 사이에 위치되고, 이때 튜브밀봉캡(240)에 열을 가하여 튜브(100)의 외주연에서 수축이 일어나 부착되면서 튜브(100)에 밀봉부재(200)가 고정된다.
상기 튜브밀봉캡(240)에 형성된 기밀부재(243)가 열에 의해 튜브(100)의 외주연에서 밀착되게 부착되면서 밀봉이 이루어져 튜브(100)와 튜브밀봉캡(240) 사이로 소화약제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끼움부재(210)와 튜브밀봉캡(240) 사이로 튜브(100)를 끼운 상태에서 끼움부재(210)의 입구(211)에 설치한 금속관(220)의 통공으로 밀봉수지(230)를 주입하여 튜브(100)에 수용되는 소화약제의 누출이 방지된다. 이때 튜브(100) 양측에 설치된 복수의 밀봉부재(200) 중 하나에는 밀봉수지(230)를 주입하고, 다른 하나에는 밀봉수지(230)를 주입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튜브(100) 내측으로 소화약제를 투입하기 위해서는 소화약제 투입장치에 튜브(100)를 거치하는데, 이때 밀봉수지(230)가 주입되지 않은 쪽으로 소화약제를 주입할 수 있도록 거치한다.
상기 소화약제 투입장치에 설치한 상태에서 금속관(220)이 설치된 끼움부재(210)의 입구(211)에 소화약제 주입부재를 밀착시켜 소화약제를 튜브(100) 내측으로 주입하고, 입구(211)에 소화약제 주입부재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금속관(220)의 내측으로 밀봉수지(230)를 주입하여 건조되도록 한다.
상기 금속관(220)의 통공(221)으로 주입된 밀봉수지(230)가 건조되면서 튜브(100) 내측에 수용된 소화약제가 금속관(220)의 통공(221)으로 누출되는 것을 막는다.
상기의 제조과정을 통해 제조된 본 발명의 소공간용 튜브 소화기를 사람의 접근이 어려운 협소한 공간 또는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확인이 어려운 밀폐된 공간, 예를 들어 가전제품, 배전반 및 자동차 엔진룸 등과 같은 소공간에 별도의 고정밴드를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주변의 온도가 70℃ 이상 상승하면, 튜브(100)가 파열되고, 튜브(100) 내측에 수용된 소화약재가 분출 및 비산되어 초동진화가 빠르게 이루어짐으로서 화재가 번지는 것을 차단하여 재산상의 손실 및 인명피해를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소공간용 튜브 소화기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5 내지 8에 도시된 바오 같이 다르게 실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소공간용 튜브 소화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소공간용 튜브 소화기를 분리하여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소공간용 튜브 소화기의 결합된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소공간용 튜브 소화기를 설치한 상태에서 화재에 의해 소화가스가 분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한 소공간용 튜브 소화기는 튜브(100), 밀봉부재(200) 및 튜브결합부재(242)로 구성된다.
상기 밀봉부재(200)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이에 대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1 내지 4에 도시된 구성에서 튜브(100)와 튜브결합부재(242)가 상이하게 구성되므로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튜브(100)는 원통형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며 몸체(110)가 구성된다. 상기 몸체(110)의 일측에는 밀봉부재(200)가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되고, 상기 밀봉부재(200)가 결합된 몸체(110)의 타측에는 접합부(111)가 형성된다.
상기 접합부(111)는 몸체(110) 내측에 소화약제가 수용될 수 있도록 다른 일측을 지그가 고정된 상태에서 초음파 융착(열과 진동에 의한 융착)에 의해 형성되어 수용된 소화약제가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튜브결합부재(242)는 끼움부재(210)의 입구(211) 외주연에 고정될 수 있도록 끼움부재(210)의 입구(211)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튜브결합부재(242)는 입구결합부재(241)에 연설되어 튜브(100)의 외측에 고정될 수 있도록 입구결합부재(241)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튜브결합부재(242)는 열에 의해 수축이 일어나 튜브(100)의 외주연에 부착된다.
또한, 상기 튜브결합부재(242)는 튜브(100)의 내측에 수용되는 소화약재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밀부재(243)가 튜브결합부재(242)의 내측에 구성된다. 상기 기밀부재(243)는 튜브결합부재(242)와 같이 열에 의해 수축이 이루어지면서 튜브(100)의 외주연에 밀착되어 고정되며 소화약제가 튜브(100)와 튜브밀봉캡(240) 사이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밀봉부재(200)가 설치된 튜브(100)는 스틱형태 또는 막대풍선 형태로 이루어져 사람의 접근이 어려운 협소한 공간 또는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확인이 어려운 밀폐된 공간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소공간용 튜브 소화기의 제조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밀봉부재(200)의 끼움부재(210)를 튜브(100) 내측으로 인입되게 결합하면, 튜브(100)는 끼움부재(210)와 튜브밀봉캡(240)의 사이에 위치되고, 이때 튜브밀봉캡(240)에 열을 가하면 튜브(100)의 외주연에서 수축이 되며 부착이 됨으로서 튜브(100)에 밀봉부재(200)가 고정된다.
이때, 튜브밀봉캡(240)에 형성된 기밀부재(243)가 열에 의해 튜브(100)의 외주연에 밀착되면서 밀봉이 이루어져 튜브(100)와 튜브밀봉캡(240) 사이로 소화약제가 누출되지 않는다.
상기 끼움부재(210)와 튜브밀봉캡(240) 사이로 튜브(100)를 끼워 고정한 상태에서 끼움부재(210)의 입구(211)에 설치한 금속관(220)의 통공으로 밀봉수지(230)를 주입하여 튜브(100)에 수용되는 소화약제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튜브(100)의 일측에 밀봉부재(200)를 설치한 상태에서 소화약제를 주입하기 위해서 튜브(100)에 밀봉부재(200)가 설치되지 않은 부분을 초음파 접합장치의 고정부재(미도시)로 고정한 상태에서 소화약제 투입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튜브(100)의 기밀(氣密)을 유지하면서 소화약제를 주입한다.
상기 튜브(100)의 내측에 소화약제를 주입한 상태에서 초음파 접합장치에 설치된 지그를 이용하여 접합 부위를 압착함으로서 소화약제가 누출되지 못하도록 하는데, 이때 유압 또는 에어실린더에 의해 압착금형을 이동시켜 열과 함께 초음파에 의해 진동을 튜브(100)에 가하여 접합되게 한다.
상기 초음파에 의해 압착금형을 통해 튜브(100)의 일부분이 접혀지면서 진동과 함께 열이 전달되고, 상기 열에 튜브(100)의 접혀진 부분이 녹으면서 진동에 의해 접혀진 공간 사이가 매워지면서 밀봉된다.
상기 튜브(100)의 일측에 초음파 접합이 완료되면, 유압 또는 에어실린더에 의해 튜브(100)를 압착하던 압착금형과 지그가 동시에 이동된다.
그리고 튜브(100)의 초음파 접합이 이루어진 부분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합부(111)의 크기와 보다 더 크게 형성한 마감부재(120)를 접합부(111)에 끼운상태에서 열을 가하여 수축 및 고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튜브(100)의 접합부(111)에 결합되는 마감부재(120)에 걸이공(미도시)을 형성하여 소공간에 다양한 형태로 설치 할 수 있다.
상기의 제조과정을 통해 제조된 본 발명의 소공간용 튜브 소화기를 사람의 접근이 어려운 협소한 공간 또는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확인이 어려운 밀폐된 공간, 예를 들어 가전제품, 배전반 및 자동차 엔진룸 등과 같은 소공간에 별도의 고정밴드로 고정하는 방식 또는 공중에 부양되게 와이어로 고정하는 방식 또는 고리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식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주변의 온도가 70℃ 이상 상승에 의해 튜브(100)가 파열되고, 튜브(100) 내측에 수용된 소화약재가 분출 및 비산되어 초동진화가 이루어져 화재가 번지는 것을 막아 재산상의 손실 및 인명피해를 막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튜브 110: 몸체
111: 접합부 120: 마감부재
200: 밀봉부재 210: 끼움부재
211: 입구 212: 몸체끼움부재
220: 금속관 221: 통공
230: 밀봉수지 240: 튜브밀봉캡
241: 입구결합부재 242: 튜브결합부재
243: 기밀부재

Claims (5)

  1. 화재의 발생에 의해 주변의 온도가 70℃ 이상 상승하면, 파열되면서 소화약제의 분출 및 비산에 의해 초동진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소화약제가 수용되는 공간을 가지며 파열이 용이한 가용성 재질로 형성되는 튜브(100)와;
    화재의 발생에 의해 주변의 온도가 70℃ 이상 상승하면, 튜브(100)가 파열되면서 소화약제가 분출 및 비산되어 초동진화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튜브(100)의 양측단 각각에 설치되어 밀봉되는 밀봉부재(200);로 구성되되,
    상기 밀봉부재(200)가 설치된 튜브(100)는 스틱형태 또는 막대풍선 형태로 이루어져 사람의 접근이 어려운 협소한 공간 또는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확인이 어려운 밀폐된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밀봉부재(200)는,
    튜브(100) 내측에 결합되는 끼움부재(210)와;
    끼움부재(210)의 입구(211)가 찌그러지지 않게 구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입구(211) 내측에 설치되는 금속관(220)과;
    튜브(100) 내측에 수용된 소화약제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금속관(220) 내측에 인입되어 밀봉되는 밀봉수지(230); 및
    열 수축에 의해 기밀성을 갖도록 끼움부재(210)의 입구(211)에만 고정이 이루어져 튜브(100)의 외주연에 밀봉되는 튜브밀봉캡(24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공간용 튜브 소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튜브(100)의 양측단은,
    밀봉부재(200)의 끼움부재(210)와 튜브밀봉캡(240) 사이에 각각 결합되며, 열이 가해지는 튜브밀봉캡(240)이 수축되면서 튜브(100)와 끼움부재(210)를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공간용 튜브 소화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밀봉캡(240)은,
    열 수축 튜브(1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공간용 튜브 소화기.
  5. 제1항에 있어서,
    소화기 튜브(100)의 양측단에 설치되어 밀봉되는 밀봉부재(200)는 양끝단을 "
    Figure 112019088751766-pat00005
    "형 및 "
    Figure 112019088751766-pat00006
    "형과 같이 융착 밀봉하여 튜브 소화기 밀봉의 견고성과, 작업의 안전성 및 효율성이 향상되도록 한것을 특징로 하는 소공간용 튜브 소화기.
KR1020190106086A 2019-08-28 2019-08-28 소공간용 튜브 소화기 KR102189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086A KR102189220B1 (ko) 2019-08-28 2019-08-28 소공간용 튜브 소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6086A KR102189220B1 (ko) 2019-08-28 2019-08-28 소공간용 튜브 소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9220B1 true KR102189220B1 (ko) 2020-12-09

Family

ID=73787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6086A KR102189220B1 (ko) 2019-08-28 2019-08-28 소공간용 튜브 소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922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3384A (ja) * 2002-07-02 2004-02-05 Ind:Kk 自動消火用室内装備品
KR101628708B1 (ko) 2015-10-26 2016-06-09 김병열 캡슐 소화 장치
KR101670191B1 (ko) * 2013-09-27 2016-10-27 가부시키가이샤 니치보우 자동 소화구
KR101926131B1 (ko) * 2017-11-06 2018-12-06 김병열 소화물질의 상태변화 측정이 용이한 소화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3384A (ja) * 2002-07-02 2004-02-05 Ind:Kk 自動消火用室内装備品
KR101670191B1 (ko) * 2013-09-27 2016-10-27 가부시키가이샤 니치보우 자동 소화구
KR101628708B1 (ko) 2015-10-26 2016-06-09 김병열 캡슐 소화 장치
KR101926131B1 (ko) * 2017-11-06 2018-12-06 김병열 소화물질의 상태변화 측정이 용이한 소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0297B1 (ko) 고압 전력선의 소화장치
KR101628708B1 (ko) 캡슐 소화 장치
KR20100017130A (ko) 소화볼
KR101769009B1 (ko) 내화용 폼 패드와 차열재에 의해 복합 열화 차단 구조를 갖는 전기 케이블 방화 시스템
WO2018194332A2 (ko) 자동소화장치
US3512556A (en) Self-protective conduit system
CN113209520A (zh) 洁净型非储压灭火器
CN110164615A (zh) 耐火电缆
CN103311872A (zh) 气囊式电缆接头保护盒
KR101719492B1 (ko) 열감응 자동 소화 장치
KR102189220B1 (ko) 소공간용 튜브 소화기
KR101144680B1 (ko) 공동주택의 배수파이프에 설치되는 화재 확산 방지구
CN215538039U (zh) 固定式非储压灭火器
KR102138928B1 (ko) 소화기능을 갖는 전선연결구
KR20170132462A (ko) 캡슐형 소화장치
KR101778238B1 (ko) 자립형 소화장치
KR102417215B1 (ko) 질식소화를 이용한 소화커버모듈
KR20210076459A (ko) 자기소화 케이블 접속재 커버
KR102402409B1 (ko)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
CN111643835A (zh) 一种电池防爆阻燃方法及其装置
CN210096733U (zh) 一种迷你灭火装置
CN109999387A (zh) 一种迷你灭火装置
KR200316817Y1 (ko) 1회용 소화기
CN113509663A (zh) 非贮压全氟己酮灭火装置
CN112018714A (zh) 一种电缆接头保护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