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32462A - 캡슐형 소화장치 - Google Patents

캡슐형 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32462A
KR20170132462A KR1020160063326A KR20160063326A KR20170132462A KR 20170132462 A KR20170132462 A KR 20170132462A KR 1020160063326 A KR1020160063326 A KR 1020160063326A KR 20160063326 A KR20160063326 A KR 20160063326A KR 20170132462 A KR20170132462 A KR 20170132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fire extinguishing
fire
extinguish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3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4511B1 (ko
Inventor
김병열
Original Assignee
김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열 filed Critical 김병열
Priority to KR1020160063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511B1/ko
Priority to PCT/KR2016/012092 priority patent/WO2017074026A1/ko
Publication of KR20170132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2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0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flames or hea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028Liquid extinguishing substan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캡슐형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가 발생되어 발생되는 열 에너지를 전달받은 소화물질이 기화되며 소화캡슐이 폭발되는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어, 자중을 최소화 함으로서 손쉽게 지정된 위치에 부착 가능한, 캡슐형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캡슐형 소화장치 {Capsule type fire extinguisher}
본 발명은, 캡슐형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소화장치의 구성을 최소화 하여 자체 하중을 감소시킴으로서, 간단한 부착부를 이용하여 임의의 위치에 탈착 및 부착이 용이한 캡슐형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를 구동력으로 사용되는 장치가 많아지며 전기콘센트, 스위치박스, 전등기구, 전자제품 등에서의 단락으로 인한 화재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화재사고의 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화재감지기가 화재로 발생하는 연기 및 불꽃을 감지하여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알리고, 소화시설을 이용하여 화재를 진화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화재발생 시 긴급히 소화시설을 검색하고 화재를 진압하여야 하기 때문에 조속한 화재진압이 어려워 화재가 커지는 단점이 발생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고압케이블 전기화재시 케이블 접속부 및 단자접속부 아크열에 의한 폭발화재 확산을 차단하는 전기화재방지용 발포소화 내부시트와, 특고압케이블 접속부의 폭발에 따른 열과 압력을 막아주는 방폭소화 외부시트와, 특고압케이블의 열을 자동으로 측정하는 디지털 열 센서 온도테이프와, 전기화재 진동, 충격 완화용 지퍼를 포함하며, 전기화재방지용 방폭소화 외부시트에 타이밴드식으로 부착되는 전기화재방지용 방폭 소화시트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전기장치의 열화진행만 일시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이며, 전기설비의 외부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진압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기 때문에 결국,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선 화재 현장을 확인 후 소화시설에서 소화장치를 운송 후 화재를 진압해야 하므로, 화재 확산을 방지할 수 없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따라서, 화재 발생 위치에 간단하게 설치가능하며, 화재에 대응하여 소화물질을 자동 방출함으로서, 화재를 조기에 진화할 수 있는 소화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7117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화장치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여 자중을 최소화 함으로서, 화재가 발생가능성이 높은 위치에 간단하게 설치 가능할 뿐만 아니라, 화재 발생 시 자동으로 소화물질을 방출 가능한, 양캡슐형 소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캡슐형 소화장치는, 내부에 외부 열에 대응하여 팽창하는 소화물질(101)이 구비되는 소화캡슐(100); 및 상기 소화캡슐(100)을 감싸며, 소화물질 배출공(210)이 형성된 하우징(2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200)은 길이??향 양측 단부에 상기 소화캡슐(10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가 끼워지는 결합공(2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화캡슐(100)은 두께(L)에 대응하여 상기 소화물질(101)의 방출 시점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화캡슐(100)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화캡슐(100)은 길이방향 양측 단부가 시밍(seaming)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화물질(101)은 일정 색상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200)은 상기 소화물질(101)의 색상에 대응하는 색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화캡슐(100)은 UV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화캡슐(100)은 외면과 내면 사이의 두께가 평균 두께보다 얇은 벤트부(1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화캡슐(100)은 외면에 천연 방화성 물질이 코팅된 코팅부(1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200)은 부착부(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인 캡슐형 소화장치는 소화캡슐 내부에 구비된 소화물질이 외부에서 열을 전달 받아 기화 시 폭발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최소의 구성요소로 화재를 자동 소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기존의 복잡한 구성요소를 가지는 소화장치가 위치되기 어려웠던 다양한 장소에 손쉽게 부착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소화캡슐(100)의 두께를 제어하여 소화물질의 방출되는 시점을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소화캡슐에 벤트부 또는 발화부가 형성되어 소화물질이 방출되는 방향을 제어하여 소화 능력을 극대화 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소화물질이 외부로 새어나갈 경우 외부에서 이를 확인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주기적인 점검이 필요없을 뿐만 아니라, 교체 시기를 알려주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소화장치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인 캡슐형 소화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캡슐형 소화장치에 벤트부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제1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인 캡슐형 소화장치에 벤트부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제2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인 캡슐형 소화장치에 발화부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개념도.(제3 실시예)
도 6는 본 발명인 양면테이프를 이용한 캡슐형 소화장치의 측면도(부착부 형성 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인 캡슐형 소화장치는, 내부에 외부 열에 대응하여 팽창하는 소화물질(101)이 구비되는 소화캡슐(100) 및 상기 소화캡슐(100)을 감싸며 소화물질 배출공(210)이 형성된 하우징(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화재 발생 시 외부에서 전해지는 열 에너지를 전달받은 상기 소화물질(101)이 팽창하고, 상기 소화캡슐(100)이 이에 대응하여 팽창되며 폭발하여 소화물질(101)이 외부로 방출되어 화재를 소화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소화캡슐(100)상에 구비된 소화물질(101)이 외부 열에 대응하여 기화 시 일정 시점에서 폭발하는 소화캡슐(100)과, 이를 보호하는 하우징(200)을 포함하는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자중을 최소화 함으로서 단순히 하우징(200)에 부착부(300)를 형성하여 원하는 위치에 부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때, 상기 부착부(3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이 상기 하우징(200)에 결합되고 타면이 지정 대상(벽, 배관 등)에 결합되어 상기 소화캡슐(100) 및 하우징(200)의 자중을 견딜 수 있으면 충분하므로, 양면테이프, 접착 필름 등 다양한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액체 또는 반액체 상태에서 고화되며 두 개의 대상을 서로 접합하는 다양한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화캡슐(100)은 두께(L)를 제어하여 상기 소화물질(101)의 방출 시점을 제어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소화물질(101)은 화재에서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전달받아 가열 기화하는 액체상의 기화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소화캡슐(100)은 기화하며 팽창되는 소화물질(101)의 부피 증가에 대응하여 팽창되며, 한계점에 이르면 소화물질(101)이 소화캡슐(100)을 뚫고 상기 하우징(200)에 형성된 상기 배출공(210)을 통해 소화물질(101)이 외부로 방출되므로, 소화캡슐(100)의 두께(L)를 제어하여 소화물질(101)이 방출되는 시점을 제어하는 것이다.
즉, 외부에서 소화물질(101)로 전달되어 가열된 소화물질(101)의 온도와 이에 따른 소화물질(101)의 팽창 정도를 계산하여 소화캡슐(100)의 두께를 설정함으로서, 지정된 화재상황에서 소화물질(101)이 화재를 진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소화물질(101)은 플루오르화 케톤액 노백 1230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화성 소화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소화캡슐(100) 또한 상기 소화물질(101)에 대응하여 지정된 시점에서 소화물질(101)을 방출 가능하면 충분하므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을 포함하는 다양한 화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00)은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 상기 소화캡슐(10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가 끼워지는 결합공(220)이 형성되어 소화캡슐(100)의 유동을 최소화 하고, 내부에 소화캡슐(100)을 지정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소화캡슐(100)은 내부에 소화물질(101)이 구비되어 소화캡슐(100)에 충격이 가해지나, 움직임이 발생될 경우 소화물질(101)이 이에 대응하여 팽창하여 사용자에게 불안감을 조성할 수 있고, 소화캡슐(100)이 파손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소화캡슐(100)의 움직임을 최소화 하였으며, 복수개의 소화캡슐(100)이 하우징(200) 내부에 구비될 경우 소화캡슐(100)이 지정된 위치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서로 이격 배치되지 않으면 소화물질(101) 팽창 시 팽창하는 소화캡슐(100)의 팽창부위가 서로의 팽창부위를 압박하여 지정된 시점에 지정된 방향으로 소화물질(101)을 방출시킬 수 없으므로 상기 결합공(220)에 상기 소화캡슐(10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를 끼워 소화캡슐(100)을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도면 상에는 상기 하우징(20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 상기 결합공(220)이 형성되어 상기 소화캡슐(100)의 길이방향 양측이 하우징(200) 외부로 돌출된 것을 도시 하였지만, 이외에도, 하우징(20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가 밀폐되고, 하우징(200) 내부 양측에 결합공(220)이 형성된 거치핀이 형성되어 소화캡슐(110)이 거치핀에 형성된 결합공(220)에 끼워지는 방법도 가능하며, 상기 거치핀은 하우징(200) 내부에 고정되는 판형상을 가지되, 소화캡슐(10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가 끼워지는 결합공(220)이 형성되면 충분하므로 그 형상은 한정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소화캡슐(100)은 상기 소화캡슐(10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가 시밍(seaming)되어 강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권장한다.
상기소화캡슐(100)의 양측 단부는 상기 결합공(220)에 끼워져 소화캡슐(100)의 위치를 고정하므로, 일정 이상을 강성을 가져야 소화캡슐(100)의 양측 단부가 변형되지 않고, 결합공(220)에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결합공(220)에 끼워지는 소화캡슐(10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를 상기 결합공(22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시밍하여, 소화캡슐(100)과 하우징(200)의 결합을 공고히 함으로서, 소화캡슐(100)이 하우징(200)에 대한 변위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소화물질(101) 기화 시 팽창된 소화물질(101)이 지정된 방향으로 방출되지 못하고 결합공(220)에 끼워진 소화캡슐(10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소화물질(101)은 일정 색상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200)은 상기 소화물질(101)의 색상에 대응하는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소화물질(101)은 상기 발열부(110)에서 전달되는 열 에너지를 이용하여 가열 시 기화되는 다양한 액상의 소화물질로 이루어지며, 제품의 사용기간이 경과되면 액상의 소화물질(101)이 자연 기화되어 소화캡슐(100)을 통해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즉, 소화캡슐(100) 교체 주기가 오는 것이다.
그러나, 케톤액을 포함하는 소화물질(101)의 경우 기화되어 외부로 방출되더라도 외부에서 파악하기 어려우므로 소화물질(101)상에 염료를 섞고, 하우징(200)을 소화물질(101)에 함유된 염료가 외부로 방출될 시 염료와 접촉하여 뚜렷하게 표현 가능한 물질 또는 색상으로 코팅 또는 제조하여 소화캡슐(100)의 교체 시기를 파악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소화캡슐(100)은 상기 소화물질(101) 또는 상기 소화캡슐(100)이 자외선과 반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화캡슐(100)을 자외선 차단 코팅하여 본 발명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인 캡슐형 소화장치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화캡슐(100)의 외면과 내면 사이의 두께(L)가 평균 두께보다 얇은 벤트부(110)가 형성되거나, 소화캡슐(100)의 외면에 열이 가해지면 자연 발화되는 천연 방화성 물질이 코팅된 발화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소화물질(101)이 상기 발열부(110)에서 열 에너지를 전달받아 기화하며 팽창 시 소화캡슐(100) 또한 소화물질(101)에 대응하여 팽창되며, 소화물질(101)은 팽창되며 내구성이 가장 약한 소화캡슐(100)의 일부분을 뚫고 외부로 방출된다. 즉, 소화물질(101)이 팽창되며 파손되는 소화캡슐(100)의 부위에 대응하여 소화물질(101)의 방출 방향과 방출 범위가 제어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소화캡슐(100)의 두께(L)가 평균두께보다 얇아지는 벤트부(120)를 형성하거나, 소화캡슐(100)에 일정 온도에서 발화되는 방화성 물질이 코팅된 발화부(120)를 형성하여, 소화물질(101)의 방출을 제어하여 소화성능을 극대화 시킨 것이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인 소화캡슐(100)의 외부 표면이 알루미늄으로 UV(자외선 차단) 코팅되어, 소화물질(101)을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고, 소화캡슐(100)을 열로부터 보호하고, 소화캡슐(100)의 응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소화물질(101)로 자외선이 입사되어 소화물질(101)의 화학적 변형이 발생하거나, 가열되어 소화물질(101)이 팽창되는 정도 제어가 원하는 상황에서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소화캡슐(100)의 표면을 알루미늄으로 코팅하는 방법은, 알루미늄 용액에 소화캡슐(100)을 담군 후 빼내어 응고 시키는 방법, 얇은 알루미늄 판 내면에 접착부를 형성하여 소화캡슐(100)을 감싸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므로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0 : 소화캡슐 101 : 소화물질
110 : 벤트부 120 : 발화부
200 : 하우징 210 : 배출공
300 : 부착부

Claims (10)

  1. 내부에 외부 열에 대응하여 팽창하는 소화물질(101)이 구비되는 소화캡슐(100); 및
    상기 소화캡슐(100)을 감싸며, 소화물질 배출공(210)이 형성된 하우징(200);
    을 포함하는, 양면테이프를 이용한 캡슐형 소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0)은 길이??향 양측 단부에 상기 소화캡슐(10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가 끼워지는 결합공(210)이 형성되는, 양면테이프를 이용한 캡슐형 소화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캡슐(100)은 두께(L)에 대응하여 상기 소화물질(101)의 방출 시점이 제어되는, 양면테이프를 이용한 캡슐형 소화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캡슐(100)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테이프를 이용한 캡슐형 소화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캡슐(100)은 길이방향 양측 단부가 시밍(seaming)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테이프를 이용한 캡슐형 소화장치.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물질(101)은 일정 색상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200)은 상기 소화물질(101)의 색상에 대응하는 색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테이프를 이용한 캡슐형 소화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캡슐(100)은 UV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테이프를 이용한 캡슐형 소화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캡슐(100)은 외면과 내면 사이의 두께가 평균 두께보다 얇은 벤트부(110)가 형성되는, 양면테이프를 이용한 캡슐형 소화장치.
  9.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캡슐(100)은 외면에 천연 방화성 물질이 코팅된 발화부(120)가 형성되는, 양면테이프를 이용한 캡슐형 소화장치.
  10.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0)은 부착부(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테이프를 이용한 캡슐형 소화장치.


KR1020160063326A 2015-10-26 2016-05-24 캡슐형 소화장치 KR101924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326A KR101924511B1 (ko) 2016-05-24 2016-05-24 캡슐형 소화장치
PCT/KR2016/012092 WO2017074026A1 (ko) 2015-10-26 2016-10-26 캡슐형 소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3326A KR101924511B1 (ko) 2016-05-24 2016-05-24 캡슐형 소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2462A true KR20170132462A (ko) 2017-12-04
KR101924511B1 KR101924511B1 (ko) 2018-12-04

Family

ID=60921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3326A KR101924511B1 (ko) 2015-10-26 2016-05-24 캡슐형 소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5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88857A (zh) * 2019-12-27 2020-05-01 甬港现代工程有限公司 防火隔板
CN111101613A (zh) * 2019-12-27 2020-05-05 甬港现代工程有限公司 防火隔间墙结构
CN115282544A (zh) * 2022-08-25 2022-11-04 嘉兴港区金安环保新材料有限公司 一种锂电池灭火剂及利用其制备的锂电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402B1 (ko) 2020-03-18 2022-03-04 주식회사 크로스카이 풍선타입 소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3384A (ja) * 2002-07-02 2004-02-05 Ind:Kk 自動消火用室内装備品
KR200316817Y1 (ko) * 2003-03-11 2003-06-18 김성훈 1회용 소화기
KR100932097B1 (ko) * 2009-06-23 2009-12-16 고려화공 주식회사 측면 방출구를 포함하는 전기작동 고체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88857A (zh) * 2019-12-27 2020-05-01 甬港现代工程有限公司 防火隔板
CN111101613A (zh) * 2019-12-27 2020-05-05 甬港现代工程有限公司 防火隔间墙结构
CN115282544A (zh) * 2022-08-25 2022-11-04 嘉兴港区金安环保新材料有限公司 一种锂电池灭火剂及利用其制备的锂电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4511B1 (ko) 2018-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7775B1 (ko) 소화캡슐, 소화캡슐을 이용한 캡슐형 소화장치
KR101924511B1 (ko) 캡슐형 소화장치
KR101945435B1 (ko) 소화캡슐 및 이를 구비하는 캡슐형 소화장치
KR101985076B1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캡슐형 소화장치
KR101628708B1 (ko) 캡슐 소화 장치
WO2017074026A1 (ko) 캡슐형 소화 장치
JP5911497B2 (ja) インフレータに基づく消火
JP5813119B2 (ja) ガス発生器
CN112448071A (zh) 用于防止电池爆炸的胶囊式灭火装置及具有其的电池
EP3636324B1 (en) Fire extinguishing capsule and capsule-type fire extinguishing device including same
KR101898040B1 (ko) 온도센서를 이용한 캡슐형 소화장치
KR101610297B1 (ko) 고압 전력선의 소화장치
KR101926131B1 (ko) 소화물질의 상태변화 측정이 용이한 소화장치
KR101945476B1 (ko) 발열 소화캡슐 및 이를 구비하는 캡슐형 소화장치
CN110141815A (zh) 一种新型降温灭火弹
CN213220685U (zh) 灭火装置
NO20210276A1 (en) Automatic cooling and fire-extinguishing system
CN215538039U (zh) 固定式非储压灭火器
WO2021034747A1 (en) Fire suppression system for tanks
KR102070190B1 (ko) 소화용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소형 소화기 모듈
CN115382129B (zh) 一种主动灭火材料及该材料为基础制成的灭火装置
RU2283149C1 (ru) Модуль двухпорогового режима работы и автомат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CN113509663A (zh) 非贮压全氟己酮灭火装置
CN215309854U (zh) 非贮压全氟己酮灭火装置
CN210698571U (zh) 一种气溶胶灭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