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6131B1 - 소화물질의 상태변화 측정이 용이한 소화장치 - Google Patents

소화물질의 상태변화 측정이 용이한 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6131B1
KR101926131B1 KR1020170146636A KR20170146636A KR101926131B1 KR 101926131 B1 KR101926131 B1 KR 101926131B1 KR 1020170146636 A KR1020170146636 A KR 1020170146636A KR 20170146636 A KR20170146636 A KR 20170146636A KR 101926131 B1 KR101926131 B1 KR 101926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inguishing material
fire
extinguishing
state change
diges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열
Original Assignee
김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열 filed Critical 김병열
Priority to KR1020170146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61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5/00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 A62C5/02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of foam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Abstract

소화장치는 열이 가해지면 팽창하는 소화물질과, 소화물질을 내부에 수용하여 소화물질이 팽창되면 파열되는 포장체를 구비하는 소화포켓, 소화포켓을 수용하고, 소화물질을 배출하는 복수의 배출홀이 형성된 케이스 및 소화물질의 상태변화를 측정하는 측정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소화물질의 상태변화 측정이 용이한 소화장치{FIRE EXTINGUISHER WITH FACILITATED MEASURING THE CHANGE OF STATE OF EXTINGUISHING MATERIAL}
이하의 설명은 소화물질의 상태변화 측정이 용이한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를 구동력으로 사용되는 장치가 많아지며 전기콘센트, 스위치박스, 전등기구, 전자제품 들에서 단락으로 인한 화재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화재사고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화재감지기가 화재로 발생하는 연기 및 불꽃을 감지하여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알리고, 소화시설을 이용하여 화재를 진화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화재발생 시 긴급히 소화시설을 검색하고 화재를 진화하여야 하기 때문에 조속한 화재진화가 어려워 화재가 커지는 단점이 발생하였다.
특히, 자동으로 동작하는 대부분의 소화시설은 천장에 설치되어 전기화재의 발화점인 전자기기와는 상당한 거리가 전기화재를 조기에 감지하지 못하거나 화재 진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기술 한국 등록 특허 10-1628708호에서는 전기화재진화를 위한 소화제가 수용되는 포켓을 다수의 배출홀이 형성되는 캡슐의 내부에 수납하고, 포켓의 표면에 발화물질을 코팅하여 점화부를 통해 설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면 발화물질을 가열하여 소화제가 다수의 배출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화재를 진화하는 소화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소화장치의 경우, 전자기기 주변에 배치된 소화장치의 내부에서 소화물질이 굳어서 고체화 되거나 기화되어 증발하게 되면, 이를 확인할 수단이 없어서 소화장치가 화재 시, 작동이 되는지에 대한 확인이 불가능했다. 따라서, 사용자는 캡슐을 개방하여 포켓을 일일이 만져보거나 흔들어 보는 등의 수작업을 통한 확인이 가능하였다.
이러한, 소화장치가 설치된 후 시간이 경과하면, 소화물질의 종류에 따라서 굳거나 증발할 수 있었고, 포켓의 손상이 발생하여 소화물질이 새어나가 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으나 이를 조기에 확인하지 못하여 화재 시, 소화장치가 제 역할을 못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소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실시 예의 목적은, 사용자가 용이하게 소화물질의 상태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소화물질의 상태변화 측정이 용이한 소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소화물질의 상태변화를 외부에 표시하거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알릴 수 있어서 소화물질의 교체시기를 제공하는 소화물질의 상태변화 측정이 용이한 소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소화물질의 상태변화를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서, 화재 시 소화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하여 인명 및 재산피해를 줄일 수 있는 상태변화 측정이 용이한 소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소화물질의 상태변화 측정이 용이한 소화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소화장치는 열이 가해지면 팽창하는 소화물질과, 상기 소화물질을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소화물질이 팽창되면 파열되는 포장체를 구비하는 소화포켓, 상기 소화포켓을 수용하고, 소화물질을 배출하는 복수의 배출홀이 형성된 케이스 및 상기 소화물질의 상태변화를 측정하는 측정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측정모듈은, 상기 소화포켓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소화물질의 표면에 배치되는 부양체 및 상기 소화포켓의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부양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측정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측정센서는, 상기 부양체가 떠있는 상기 소화물질의 표면과 평행하도록 상기 소화포켓의 하면 또는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측정센서에서 측정되는 결과에 따라, 상기 소화물질의 상태변화를 판단하는 제어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측정센서에서 측정되는 값에 따라, 상기 소화물질의 상태변화를 판단하여, 상기 상태변화를 전기적 신호로 발생시키는 상태변화 판단부 및 상기 상태변화 판단부에서 발생한 전기적 신호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상태변화 판단부는, 상기 측정센서에서 측정한 부양체의 거리 변화량을 통해서 상기 소화물질의 충진량을 판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상태변화 판단부는, 상기 측정센서의 측정값이 진동하는 경우, 상기 진동값의 진폭 및 주기, 진동의 지속시간을 통해서 상기 소화물질의 상태변화를 판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상태변화 판단부는, 상기 측정센서의 측정값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경우, 화재의 발생으로 인한 상기 소화물질의 방출로 판단하여, 화재 발생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상태변화에서 발생한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포장체는, 일측에 소화물질을 확인하는 확인창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용이하게 소화물질의 상태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소화물질의 상태변화를 외부에 표시하거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알릴 수 있어서 소화물질의 교체시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소화물질의 상태변화를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서, 화재 시 소화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하여 인명 및 재산피해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소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소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절단 사시도 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소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절단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소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소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소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절단 사시도이며,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소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절단도이다.
도 1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소화장치(1)는 전기콘센트, 스위치박스, 전등기구, 전자제품 등의 전기장치의 내부에 설치되거나, 전기장치와 인접하게 설치된다. 소화장치(1)는 화재 발생 시, 후술하는 소화물질(21)이 화재로 인해 팽창하여서 포장체(22)을 뚫고 전기장치에 방출되어 화재를 조기에 진화할 수 있다. 소화장치(1)는 전기장치의 화재를 완벽하게 연소하지 못해도 1차적으로 진화를 하였기 때문에, 화재 진화를 위한 골든타임을 확장시킬 수 있다. 소화장치(1)는 외부 전원(미도시) 또는 배터리(미도시)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다. 이러한, 소화장치(1)는 케이스(10), 소화포켓(20), 측정모듈(30), 및 제어모듈(40)을 포함한다.
케이스(10)는 내부에 화재 진화를 위한 소화포켓(20)이 수용된다. 케이스(10)는 원통형, 직육면체 형상 등의 소화포켓(20)을 수용하기 용이한 형상이면 가능할 수 있으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10)는 외면에 소화물질(21)이 팽창되어 포장체(22)를 뚫고 방출되면, 소화물질(21)을 외부로 배출하는 복수의 배출홀(11)이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10)는 난연을 위해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질일 수 있다. 케이스(10)는 전기장치의 내부에 설치되거나, 전기장치와 인접하게 설치된다.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소화포켓(20)의 양측 단부가 끼워지는 결합부(12)가 형성된다. 결합부(12)는 케이스(10)의 길이방향의 단부에서 돌출 형성된 집게형상이다. 결합부(12)의 집게형상의 중심에는 소화포켓(20)의 단부가 끼워지는 결합홈(13)이 형성되어 소화포켓(20)을 끼워져 고정된다.
소화포켓(20)은 포장체(22)의 길이방향의 양 단부에 결합홈(13)에 끼워져 결합되는 접합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 접합부(221)는 포장체(22)의 양단부를 견고히 결합하여 소화물질(21)이 포장체(22)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며, 접합부(221)가 결합홈(13)에 끼워짐으로써, 소화포켓(20)이 케이스(10) 내부에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서는 결합부(12)가 집게형상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결합부(12)는 케이스(1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내부 단면과 동일하게 형성된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판 형상의 일면에 접합부가 끼워지는 슬롯홀이 형성되어, 이 결합부가 케이스(10) 내부 양측에 구비됨으로써 소화포켓(20)이 고정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포장체(22)의 내부에 소화물질(21)을 수용한다.
여기서, 소화물질(21)은 열이 가해지면 팽창한다. 다시 말하면, 소화물질(21)은 가열 시 기화되는 다양한 물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소화물질(21)은 가열되어 팽창되면, 포장체(22)를 뚫고 방출되어 화재를 진화할 수 있다. 이러한, 소화물질(21)은 플루오르화 케톤을 포함할 수 있다.
플루오르화 케톤은 무색 무취에다 점성이 물과 거의 비슷하고, 무게가 물보다 1.7배 무겁다. 플루오르화 케톤은 전자제품을 담갔을 때 이물질을 구성하는 불소가 안정된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전기가 통하지 않고, 접촉한 물질과 산화 등의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다. 또한, 플루오르화 케톤을 화재현장에 분사 했을 때, 불과 연기와 접촉함과 동시에 빠르게 증발하기 때문에 열기는 빼앗으면서도 사물에 남지는 않기 때문에 전자제품의 화재 진화에 효과적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소화물질(21)은 액상의 플루오르화 케톤과 고체상태의 소화물질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고체의 소화물질은 드라이 케미칼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드라이 케미칼 분말은 대부분의 화재에 모두 사용 가능하며, 가격이 저렴하여 널리 사용된다.
포장체(22)는 캡슐 형태, 파우치 형태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지며, 소화물질(21)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포장체(22)는 소화물질(21)이 열에 의해 팽창하면, 파열되어 소화물질(21)을 방출시킨다. 포장체(22)는 PP(polypropylene), OPP(oriented polypropylene), PVC(polyvinyl chlorid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등의 재질일 수 있으며, 자외선을 차단하고 소화물질(21)을 외부의 열로부터 보호하는 알루미늄 재질이 코팅될 수 있다.
플루오르화 케톤 등의 대부분의 액상의 소화물질은 팽창하여 포장체(22)를 뚫고 배출되는 것으로, 특성상 자연기화 되어 증발할 수 있다. 또한, 드라이 케미칼 분말 고체의 소화물질은 시간이 경과되는 굳어서 덩어리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포장체(22)의 손상이나 제품의 유통기한을 넘어서는 장시간동안 사용되지 않고 방치되는 경우, 소화포켓(20)이 정상작동 되는지 확인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포장체(22)의 외면 일측에는 포장체(22)의 내부에 수용되는 소화물질(21) 상태변화의 확인을 위해 확인창(222)이 형성된다. 확인창(222)은 내부가 확인되는 투명한 모든 재질이 가능할 수 있다.
확인창(222)은 포장체(22)의 다른 부분보다 얇게 형성되어 포장체(22)의 파열보다 먼저 파열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도록 확인창(222)의 일면에 보호필름(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보호필름은 확인창(222)에 부착되어 보호필름과 확인창(222)의 파단강도가 포장체(22)의 파단강도와 동일한 강도를 형성함으로써, 포장체(22)의 파열 시, 확인창(222)이 같이 파열되는 동일한 강도를 형성할 수 있다.
소화포켓(20)에 확인창(222)이 형성된다 하더라도, 소화포켓(20)을 케이스(10)로부터 분리하여 소화물질(21)의 상태변화를 확인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확인창(222)을 확인하기 위해 소화포켓(20)을 케이스(10)로부터 분리해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소화장치(1)는 측정모듈(30) 및 제어모듈(40)을 구비하여 소화물질(21)의 상태변화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측정모듈(30)은 소화물질(21)의 상태변화를 측정한다. 다시 말하면, 측정모듈(30)은 소화포켓(20)을 케이스(10)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용이하게 소화물질(21)의 상태변화를 확인할 수 있도록 소화물질(21)의 상태변화를 측정한다. 측정모듈(30)은 부양체(31) 및 측정센서(32)를 포함한다.
부양체(31)는 소화포켓(20)의 내부에 구비되고, 소화물질(21)의 표면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부양체(31)는 소화물질(21)보다 비중이 낮을 수 있다. 부양체(31)는 소화물질의 표면에 부양되며 배치된다. 부양체의 형상은 소화물질(21) 부력을 가지고 떠있을수 있는 모든 형상이면 가능할 수 있다. 부양체(31)는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측정센서(32)는 소화포켓(20)의 외부에 구비된다. 측정센서(32)는 부양체(31)가 떠있는 소화물질(21)의 표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측정센서(32)는 부양체(31)를 기준으로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센서(32)는 소화포켓(20)의 외면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거나, 케이스(10)의 내부 저면 또는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측정센서(32)는 바(BAR)형상일 수 있다. 측정센서(32)는 부양체(31)가 이동될 때, 정확한 감지를 위해 소화물질(21)의 표면 전체에 걸쳐 측정할 수 있는 충분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측정센서(32)는 부양체(31)와의 거리를 측정한다. 예를 들어, 측정센서(32)는 자기장을 감지하는 트렌지스터인 홀센서일 수 있다. 홀센서는 자기장의 방향이나 세기, 분포를 알아보는데 쓰이는 센서로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전압이 변하는 소자이다. 측정센서(32)는 부양체(31)의 거리에 따른 자기장 변화를 통해 부양체(31)의 거리를 측정한다.
일 실시 예에서는 부양체(31)가 자석을 포함하고, 측정센서(32)가 홀센서인 것을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부양체(31)와 측정센서(32)가 연동하여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모든 센서가 가능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소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모듈(40)은 측정센서(32)에서 측정되는 결과에 따라, 소화물질(21)의 상태변화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모듈(40)은 인쇄회로기판(PCB)(41)일 수 있다. 제어모듈(40)은 케이스(10) 내부 일측에 배치된다. 제어모듈(40)의 위치는 한정되지 않으며, 측정센서(32)와 연결될 수 있는 모든 위치가 가능할 수 있다. 제어모듈(40)은 상태변화 판단부(42), 표시부(43) 및 통신부(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태변화 판단부(42)는 측정센서(32)에서 측정되는 값에 따라 소화물질(21)의 상태변화를 판단하여 상태변화를 전기적 신호로 발생한다. 일 예로 상태변화 판단부(42)는 측정센서(32)에서 측정되는 부양체(31)의 거리 값에서 소화물질(21)의 충진량을 판단한다. 상태변화 판단부(42)는 측정센서(32)에서 측정되는 부양체(31)의 거리가 초기 설정값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경우, 소화물질(21)의 충진량의 변화가 없음을 판단한다. 다만, 상태변화 판단부(42)는 측정센서(32)에 측정되는 부양체(31)의 거리가 초기 설정값에 비해 짧아진 경우, 포장체(22) 또는 소화물질(21)에 이상이 있음을 판단한다. 다시 말하면, 상태변화 판단부(42)는 부양체(31)의 거리가 설정거리 이하인 경우에는 소화포켓(20)의 교체시기로 판단한다.
상태변화 판단부(42)는 측정센서(32)에 측정값이 진동하는 경우, 진동값의 진폭 및 주기, 진동의 지속시간을 통해서 소화물질(21)의 상태변화를 판단하여 상태변화를 전기적 신호로 발생한다. 상태변화 판단부(42)는 진동값의 진폭 및 주기, 진동의 지속시간을 통해서 소화물질(21)의 기화 또는 방출여부를 확인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상의 소화물질이 기화되거나 방출되어 고체형태의 소화물질만 남아 있거나, 소화물질이 액상으로만 이루어져 모두 기화되거나 방출되었다면, 상태변화 판단부(42)의 측정 시, 측정값의 진동의 진폭 및 주기가 작고, 진동의 지속시간이 짧아질 수 있다. 상태변화 판단부(42)는 진동의 진폭 및 주기, 진동의 지속시간이 설정값 아래인 경우, 소화포켓(20)의 교체시기로 판단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한다. 상태변화 판단부(42)가 진동값의 진폭 및 주기, 진동의 지속시간을 통해서 소화물질(21)의 상태변화를 판단하는 단계는 측정센서(32)에서 측정한 부양체(31)의 거리 변화량을 통해서 충진량을 판단하기 전에 선행되어야 한다.
상태변화 판단부(42)는 측정센서(32)에서 측정값이 급격한 변화를 일으키는 경우에는 화재의 발생으로 인한 소화물질(21)의 방출로 판단하여, 화재 발생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상태변화 판단부(42)는 진폭 및 주기, 진동의 지속시간이 설정값 이하인 경우에는 화재 발생으로 인한 소화물질(21)의 기화로 판단한다. 상태변화 판단부(42)는 진폭 및 주기, 진동의 지속시간이 설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외부 충격으로 인한 외부 교란값으로 판단한다.
다만, 상태변화 판단부(42)는 진동값의 진폭 및 주기, 진동의 지속시간을 통해 부양체(31)의 움직임이 상태변화에 따른 측정값인지 아니면 외부 충격으로 인한 외부교란값인지를 판단한다. 상태변화 판단부(42)는 진폭 및 주기, 진동의 지속시간이 설정값 이하이고, 부양체(31)의 거리가 급격하게 가까워 졌다면 화재 발생신호를 발생시켜 표시부(43) 및 통신부(44)에 전달한다.
표시부(43)는 상태변화 판단부(42)에서 발생한 전기적 신호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43)는 제어모듈(40)을 통해 색상이 변화하는 조명일 수 있다. 표시부(43)는 인쇄회로기판(41)에 결합되거나 연결되고, 케이스(10)의 내부에서 외면까지 관통되어 돌출 형성된다. 표시부(43)는 케이스(10)를 열지 않아도 소화물질(21)의 상태변화를 표시한다.
표시부(43)는 제1조명(431) 및 제2조명(432)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조명(431)은 상태변화 판단부(42)에서 측정되는 값이 소화포켓(20)이 정상작동을 할 수 있는 값이면 초록색으로 발광하고, 소화포켓(20)의 교체가 필요하다면 노란색으로 발광될 수 있다. 제2조명(432)은 전원과 관계있는 부분으로 전원공급이 원할하면 녹색으로 발광되고, 전원의 공급이 원할하지 않다면 노란색으로 발광될 수 있다. 다만, 제1조명(431) 및 제2조명(432)은 상태변화 판단부(42)에서 화재로 인한 소화물질의 방출로 판단하는 경우 빨간색으로 발광하거나 연속하여 점등하여 신호를 알릴 수 있다. 또한, 표시부(43)가 청각적으로 표시하는 경우에는 스피커(미도시)가 알람소리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43)가 발광하는 각각의 색상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색상일 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표시부(43)는 하나의 조명으로 구성될 수 도 있다.
통신부(44)는 상태변화 판단부(42)에서 발생한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 단말(T)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44)는 유/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망과 접속할 수 있다. 통신부(44)의 통신방법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및 3G 데이터 통신망, 지그비, 비콘, WCMDA 및 기타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통신방법일 수 있다. 통신부(44)는 상태변화 판단부(42)에서 발생한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 단말(T)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소화장치(1)의 작동여부, 소화포켓(20)의 교체시기, 화재의 발생여부 등의 소화장치 작동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T)을 통해 지속적으로 소화장치 작동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는 소화장치(1)의 작동여부 및 소화포켓(20)의 교체시기를 관리함으로써 화재발생시 소화장치(1)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화재의 발생시 조기에 대처가 가능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단말(T)이 소방관서 등에 배치되어 있다면, 화재의 발생 시 소방관들이 조기에 출동하여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T)은 PC, 랩탑, PDA, 모바일 단말기기, 스마트티비 등 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T)은 통신부(44)로부터 화재상황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외에도 통신부(44)는 사물인터넷 기반으로 운용시 배전반 또는 가스밸브 차단기 등과 통신하여 화재 시 차단기를 작동시켜 2차 피해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용이하게 소화물질의 상태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소화물질의 상태변화를 외부에 표시하거나, 사용자 단말을 통해 알릴 수 있어서 소화물질의 교체시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소화물질의 상태변화를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서, 화재 시 소화장치의 오작동을 방지하여 인명 및 재산피해를 줄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 소화장치 10: 케이스
11: 배출홀 12: 결합부
13: 결합홈 20: 소화포켓
21: 소화물질 22: 포장체
221: 접합부 222: 확인창
30: 측정모듈 31: 부양체
32: 측정센서 40: 제어모듈
41: 인쇄회로기판 42: 상태변화 판단부
43: 표시부 431: 제1조명
432: 제2조명 44: 통신부
T: 사용자 단말

Claims (11)

  1. 열이 가해지면 팽창하는 소화물질과, 상기 소화물질을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소화물질이 팽창되면 파열되는 포장체를 구비하는 소화포켓;
    상기 소화포켓을 수용하고, 소화물질을 배출하는 복수의 배출홀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소화포켓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소화물질의 표면에 배치되는 부양체와, 상기 소화포켓의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부양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측정센서를 포함하는 측정모듈; 및
    상기 측정센서에서 측정된 측정값이 진동하는 경우, 상기 진동하는 측정값의 진폭 및 주기, 진동의 지속시간을 통해서 상기 소화물질의 상태변화를 판단하는 제어모듈;
    을 포함하는 소화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센서는,
    상기 부양체가 떠있는 상기 소화물질의 표면과 평행하도록 상기 소화포켓의 하면 또는 상면에 배치되는 소화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측정센서에서 측정되는 값에 따라, 상기 소화물질의 상태변화를 판단하여, 상기 상태변화를 전기적 신호로 발생시키는 상태변화 판단부; 및
    상기 상태변화 판단부에서 발생한 전기적 신호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시부;
    를 포함하는 소화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변화 판단부는,
    상기 측정센서에서 측정한 부양체의 거리 변화량을 통해서 상기 소화물질의 충진량을 판단하는 소화장치.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변화 판단부는,
    상기 측정센서의 측정값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경우, 화재의 발생으로 인한 상기 소화물질의 방출로 판단하여, 화재 발생신호를 발생시키는 소화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상태변화에서 발생한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 단말로 송신하는 통신부;
    를 더 포함하는 소화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체는,
    일측에 소화물질을 확인하는 확인창이 형성되는 소화장치.
  11. 열이 가해지면 팽창하는 소화물질과, 상기 소화물질을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소화물질이 팽창되면 파열되는 포장체를 구비하는 소화포켓;
    상기 소화포켓을 수용하고, 소화물질을 배출하는 복수의 배출홀이 형성된 케이스;
    상기 소화포켓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소화물질의 표면에 배치되는 부양체와, 상기 소화포켓의 외부에 구비되고 상기 부양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측정센서를 포함하는 측정모듈; 및
    상기 측정센서의 측정값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경우, 화재의 발생으로 인한 상기 소화물질의 방출로 판단하여, 화재 발생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모듈;
    을 포함하는 소화장치.
KR1020170146636A 2017-11-06 2017-11-06 소화물질의 상태변화 측정이 용이한 소화장치 KR101926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636A KR101926131B1 (ko) 2017-11-06 2017-11-06 소화물질의 상태변화 측정이 용이한 소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636A KR101926131B1 (ko) 2017-11-06 2017-11-06 소화물질의 상태변화 측정이 용이한 소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6131B1 true KR101926131B1 (ko) 2018-12-06

Family

ID=64671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636A KR101926131B1 (ko) 2017-11-06 2017-11-06 소화물질의 상태변화 측정이 용이한 소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613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190B1 (ko) * 2019-04-23 2020-03-02 주식회사 지에프아이 소화용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소형 소화기 모듈
KR102189221B1 (ko) * 2019-08-28 2020-12-09 이학면 소공간용 튜브 소화기 제조방법 및 튜브 소화기
KR102189220B1 (ko) * 2019-08-28 2020-12-09 이학면 소공간용 튜브 소화기
KR20210117132A (ko) 2020-03-18 2021-09-28 주식회사 크로스카이 풍선타입 소화장치
CN114259681A (zh) * 2020-09-16 2022-04-01 金秉烈 灭火胶囊及包括其的灭火装置
KR20230001990A (ko) * 2021-06-29 2023-01-05 김종석 자동식 소화기의 소화용기 폭발 및 소화약제 안전 검사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119Y1 (ko) * 2001-12-18 2002-03-28 주식회사 그린센서 압력센서를 이용한 소화기 받침대
KR200298174Y1 (ko) * 2002-09-03 2002-12-16 이석영 간이형 스프링쿨러 시스템
KR200378425Y1 (ko) * 2004-12-30 2005-03-16 심상옥 확인창이 마련된 소화기
KR101628708B1 (ko) * 2015-10-26 2016-06-09 김병열 캡슐 소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119Y1 (ko) * 2001-12-18 2002-03-28 주식회사 그린센서 압력센서를 이용한 소화기 받침대
KR200298174Y1 (ko) * 2002-09-03 2002-12-16 이석영 간이형 스프링쿨러 시스템
KR200378425Y1 (ko) * 2004-12-30 2005-03-16 심상옥 확인창이 마련된 소화기
KR101628708B1 (ko) * 2015-10-26 2016-06-09 김병열 캡슐 소화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190B1 (ko) * 2019-04-23 2020-03-02 주식회사 지에프아이 소화용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소형 소화기 모듈
KR102189221B1 (ko) * 2019-08-28 2020-12-09 이학면 소공간용 튜브 소화기 제조방법 및 튜브 소화기
KR102189220B1 (ko) * 2019-08-28 2020-12-09 이학면 소공간용 튜브 소화기
KR20210117132A (ko) 2020-03-18 2021-09-28 주식회사 크로스카이 풍선타입 소화장치
CN114259681A (zh) * 2020-09-16 2022-04-01 金秉烈 灭火胶囊及包括其的灭火装置
KR20230001990A (ko) * 2021-06-29 2023-01-05 김종석 자동식 소화기의 소화용기 폭발 및 소화약제 안전 검사 장치
KR102563937B1 (ko) * 2021-06-29 2023-08-03 김종석 자동식 소화기의 소화용기 폭발 및 소화약제 안전 검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6131B1 (ko) 소화물질의 상태변화 측정이 용이한 소화장치
KR101985076B1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캡슐형 소화장치
KR102157992B1 (ko) 소화물질의 상태변화 센싱이 가능한 소화 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소화 장치
CN101925934B (zh) 撤离系统及其逃生线路指示器
EP1750810B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tecting an object against fire
EP2586496A1 (en) Fire prevention device
KR100936265B1 (ko) 제조업의 산업안전재해 감시를 위한 휴대형센서
KR101857775B1 (ko) 소화캡슐, 소화캡슐을 이용한 캡슐형 소화장치
CN101164087B (zh) 带有消息的方向指示报警发声器及报警系统
KR101863100B1 (ko) Iot기반 전통시장 화재 확장 예방시스템
KR101146474B1 (ko) 화재 경보 장치 및 화재 확산 방향 분석 방법
CN104260686A (zh) 公交车安全控制方法及系统
KR101717774B1 (ko) 스마트 화재 감지장치
KR101945476B1 (ko) 발열 소화캡슐 및 이를 구비하는 캡슐형 소화장치
KR101898040B1 (ko) 온도센서를 이용한 캡슐형 소화장치
WO2008053254A1 (en) Automatic emerging fire extinguisher
KR101807263B1 (ko) 실내 공간 융합형 소방 방재 시스템
KR101328605B1 (ko) 방사선 및 방사능 측정 시스템
KR20070025005A (ko) 기지국 통신장비 함체내 자동식 소화 장치 및 방법
KR20160001170U (ko) 접점식 압력 게이지를 포함하는 소화 설비용 기동 용기함
WO2017026919A2 (ru) Автономный извещатель предпожарных ситуаций, возникающих в результате локальных перегревов электрооборудования
KR102136262B1 (ko) 자동 확산형 소화장치
KR102176735B1 (ko) 낙하캡슐이 수용된 비상구 유도장치
CN114259681A (zh) 灭火胶囊及包括其的灭火装置
WO2017026920A1 (ru) Способ обнаружения предпожарных ситуаций, возникающих из-за неисправностей в электрической цеп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