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6735B1 - 낙하캡슐이 수용된 비상구 유도장치 - Google Patents

낙하캡슐이 수용된 비상구 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6735B1
KR102176735B1 KR1020190119664A KR20190119664A KR102176735B1 KR 102176735 B1 KR102176735 B1 KR 102176735B1 KR 1020190119664 A KR1020190119664 A KR 1020190119664A KR 20190119664 A KR20190119664 A KR 20190119664A KR 102176735 B1 KR102176735 B1 KR 102176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exit
shell
control unit
accommodated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9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현
김도훈
김정근
Original Assignee
강동현
김도훈
김정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동현, 김도훈, 김정근 filed Critical 강동현
Priority to KR1020190119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67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6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6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낙하캡슐이 수용된 비상구 유도장치(10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하방으로 개방구(111)가 형성되고 빛이 투과되는 박스형의 바디(110)와, 상기 바디(110)의 내부에 장착되어 빛을 조사(照射)하는 유도등(120)과, 상기 바디(110)의 내부에 회동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개방구(111)를 개폐하는 하부도어(130)와, 상기 바디(110)의 내부에 장착되어 전기신호에 의해서 상기 하부도어(130)의 열림과 닫힘을 결정하는 잠금장치(140)와, 상기 바디(1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하부도어(130)의 상면에 안착되는 낙하캡슐(160)과, 상기 바디(110)의 내부에 장착되어, 재난을 감지하면 상기 잠금장치(140)에 전기신호를 발신하여 상기 잠금장치(140)의 잠금을 해제하고, 재난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잠금장치(140)의 잠금을 유지하는 감지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낙하캡슐(160)은 낙하에 의한 충격으로 분할되면서 빛과 경고음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첫째, 상부의 유도등(120)과 하부의 안내등(167)을 통해서 이중으로 빛을 조사하기 때문에 배경기술에 비해서 효율적으로 대피 루트를 안내할 수 있다. 특히, 재나 시에 허리를 숙이고 탈출하는 대피자들에게 상기 안내등(167)은 바닥면에서 빛을 비추기 때문에 효율적인 안내가 가능하다.
둘째, 부저(168)가 복도를 따라 울리기 때문에 청각으로도 대피 루트를 안내받을 수 있다. 따라서, 시각과 청각을 이용하여 대피 루트를 안내받을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대피가 가능하다.
셋째, 화재 뿐만 아니라, 지진을 무인자동으로 효율적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 고가의 지진감시시스템을 건물에 적용하는 경제적인 부담을 해소할 수 있다.
넷째, 유독가스나 정전으로 인해서 대피 루트의 시야 확보가 어려울 때 플래시(169)를 이용하여 대피루트를 밝힐 수 있고, 물티슈와 같은 재난용품(1607)으로 부터 자신을 지킬 수 있다.

Description

낙하캡슐이 수용된 비상구 유도장치 {EMERGENCY EXIT GUIDE DEVICE WITH DROP CAPSULE}
본 발명은 낙하캡슐이 수용된 비상구 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평소에는 비상구 유도등의 역할을 하다가, 화재나 지진 발생 등의 재난 시에는 낙하캡슐이 낙하하여 분할됨으로써 내부에 수용되었던 안내등이 비상구로 가는 루트를 안내하고, 내부에 장착되었던 부저가 위험을 알리도록 구성됨으로써, 재난 시에 효율적으로 비상구로 대피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캡슐이 수용된 비상구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배경기술에 의한 비상구 유도등(1)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비상구 유도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재난 시에 비상구로 대피할 수 있도록, 도 1에서 도시한 것과 같은 비상구 유도등(1)이 복도의 천장에 고정되는데, 복도의 갈림길과 비상구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비상구 유도등(1)은 박스형의 바디(10) 내부에 빛을 조사(照射)하는 등(燈)이 내장되고 전면에는 위험을 알리는 이미지(20)가 표현된다.
따라서, 화재나 지진 등의 재난이 발생하게 되어 사람이 경보기를 작동시켜서 경보음이 울리게 되면, 사람들은 상기 비상구 유도등(1)을 보고 비상구로 대피하게 된다.
그런데, 실질적으로 상기 비상구 유도등(1)은 효율적으로 대피 기능을 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상기 비상구 유도등(1)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으로 비상구 유도등(1)은 사람에게 가려지지 않도록 사람의 키보다 높은 곳에 장착된다. 따라서, 천장에 장착된 상태에서 빛을 조사(照射)한다. 그런데, 재난 시에 사람들은 본능적으로 목과 허리를 숙이고 움츠린 상태로 이동하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발견하기 어렵다. 또한, 화재 시에 발생하는 매연은 상방으로 떠오르기 때문에 비상구 유도등(1)이 매연에 가려져서 보이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둘째,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 감지기가 천장에 장착되므로 매연 내지는 열을 감지하여 경보기를 작동시켜서 경보음으로 화재를 알릴 수 있지만, 지진의 경우에는 아직까지 건물마다 감지하는 수단이 미흡한 상태이다. 따라서, 사람이 지진의 정도를 판단하여 경보기를 작동시켜서 경보음을 울려야만 대피가 가능하므로, 지진으로 인한 재난이 급박하여 미처 경보기를 작동시키는 사람이 없게 되면, 신속한 대피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비상구 유도등(1)이 자동으로 지진 여부를 판단하여 경보음을 알릴 수 있으면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겠지만 지금까지 이러한 기술은 전무한 상태이다.
셋째, 상기 비상구 유도등(1)은 경보음을 발생시키지 않으므로 빛으로만 피난 루트를 안내할 뿐 경보음을 통해서는 루트를 안내할 수 없기 때문에 효율적인 대피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만약, 복도를 따라 배치된 비상구 유도등(1)에서 일제히 경보음이 울린다면 시각 및 청각을 동시에 이용하여 대피 루트를 안내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겠지만 배경기술은 이러한 점이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다.
넷째, 화재 시 매연이 복도에 가득 차게 되면 시야 확보가 어렵게 되므로 플래시(flash)가 필요하고, 입과 코를 막을 수 있는 물티슈가 필요하지만, 이러한 재난 물품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비상구 유도등(1)으로 상기 재난 물품을 제공할 수는 없었다.
한국소방공사 사이트 주소: http://www.nofire.co.kr/shop/shopbrand.html?xcode=051&type=X&n_media=27758&n_query=%EB%B9%84%EC%83%81%EA%B5%AC%EC%9C%A0%EB%8F%84%EB%93%B1&n_rank=2&n_ad_group=grp-m001-01-000002046274329&n_ad=nad-a001-01-000000001470070&n_keyword_id=nkw-m001-01-000002046276563&n_keyword=%EB%B9%84%EC%83%81%EA%B5%AC%EC%9C%A0%EB%8F%84%EB%93%B1&n_campaign_type=1&NaPm=ct%3Dk0qb8mqw%7Cci%3D0yC0000D7SbrbVddwf1M%7Ctr%3Dsa%7Chk%3Df8c13a795dff56ef36498910e309a1c4d3449dc0
본 발명에 의한 '낙하캡슐이 수용된 비상구 유도장치'를 통해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경기술에 의한 비상구 유도등이 천장에 장착된 상태에서 빛을 조사(照射)할 때 효율적으로 사람들을 비상구로 대피시킬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즉, 천장과 바닥에서도 동시에 빛이 조사되도록 하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대피 루트를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 감지기가 천장에 장착되므로 매연 내지는 열을 감지하여 경보기를 작동시켜서 경보음으로 화재를 알릴 수 있지만, 지진의 경우에는 아직까지 건물마다 감지하는 수단이 미흡한 상태이다. 따라서, 사람이 지진의 정도를 판단하여 경보기를 작동시켜서 경보음을 울려야만 대피가 가능하므로, 지진으로 인한 재난이 급박하여 미처 경보기를 작동시키는 사람이 없게 되면, 신속한 대피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즉, 지진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대피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상기 비상구 유도등은 경보음을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에 빛으로만 피난 루트를 안내할 뿐 경보음을 통해서는 루트를 안내할 수 없으므로 효율적인 대피가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즉, 빛과 경보음이 동시에 발생하도록 하여 시각 및 청각을 동시에 이용하여 대피 루트를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화재 시 매연이 복도에 가득 차게 되면 시야 확보가 어렵게 되므로 플래시(flash)가 필요하고, 입과 코를 막을 수 있는 물티슈가 필요하지만, 이러한 재난 물품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즉, 상기 비상구 유도등으로 상기 재난 물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낙하캡슐이 수용된 비상구 유도장치'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하방으로 개방구가 형성되고 빛이 투과되는 박스형의 바디와, 상기 바디의 내부에 장착되어 빛을 조사(照射)하는 유도등과, 상기 바디의 내부에 회동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개방구를 개폐하는 하부도어와, 상기 바디의 내부에 장착되어 전기신호에 의해서 상기 하부도어의 열림과 닫힘을 결정하는 잠금장치와, 상기 바디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하부도어의 상면에 안착되는 낙하캡슐과, 상기 바디의 내부에 장착되어, 재난을 감지하면 상기 잠금장치에 전기신호를 발신하여 상기 잠금장치의 잠금을 해제하고, 재난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잠금장치의 잠금을 유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낙하캡슐은 낙하에 의한 충격으로 분할되면서 빛과 경고음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감지부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바디의 내부에 장착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와, 상기 화재감지센서로부터 화재 시그널을 수신하여 상기 잠금장치에 전기신호를 발신하여 잠금을 해제하고, 상기 화재 시그널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잠금장치에 전기신호를 발신하여 잠금이 유지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바디의 내부에 장착되어 지진을 감지하는 지진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진감지센서로부터 진동 시그널을 수신하면 상기 잠금장치에 전기신호를 발신하여 잠금을 해제하고, 상기 진동 시그널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잠금장치에 전기신호를 발신하여 잠금이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낙하캡슐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개방부가 형성된 용기(容器) 형상으로서 2개가 대응되게 형성되고, 개방부의 단부가 상호 부착되어 캡슐 모양으로 마감되는데, 충격력에 의해서 분할되도록 부착된 쉘(shell)과, 상기 쉘에 수납되는 전지와, 상기 전지에 접속되는 것으로서 상기 쉘의 내부에 수용되어 충격력을 감지하는 충격감지부와, 상기 충격감지부와 상기 전지에 접속되어 상기 충격감지부로부터 충격 시그널을 수신하여 상기 전지의 전원을 온(ON)시키고, 충격 시그널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전원을 오프(OFF)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상기 전지에 접속되어, 빛을 조사시키도록 상기 쉘에 수용되는 안내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와 상기 전지에 접속되어, 경고음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쉘에 수용되는 부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쉘에 수용된 플래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쉘에 수용된 재난용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쉘 중 일측의 외측으로 튀어나온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외측방으로 개방되므로 상기 전지가 수납되는 개방부와, 상기 개방부에 내장되어 상기 전지의 양극과 음극에 접촉되고 상기 쉘을 관통하여 내부까지 연장되는 단자와, 상기 단자에 접속된 상기 충격감지부와, 상기 단자와 충격감지부에 접속된 상기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접속된 상기 안내등 및 부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쉘 중 상기 돌출부가 형성된 쪽의 내부에 끼워져서 커버하는 마감판과, 상기 제어부에 접속되어 상기 마감판을 통과하는 전선과, 상시 전선에 접속되어 상기 마감판의 외부에 배치되는 상기 안내등과, 상기 마감판의 외부에 배치되는 상기 부저와, 상기 부저에 접속되고 상기 마감판을 관통하여 상기 제어부에 접속된 전선을 포함하고, 상기 쉘 중 마감판이 형성되지 않은 쪽의 내부에 수납되는 상기 재난물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마감판의 외측면에 부착된 상기 플래시와, 상기 플래시에 접속되고 상기 마감판을 관통하여 상기 제어부에 접속된 전선(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격감지부에서 충격 시그널이 수신되면 상기 플래시에 전원을 온(ON)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낙하캡슐이 수용된 비상구 유도장치는 상기 해결수단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첫째, 상부의 유도등과 하부의 안내등을 통해서 이중으로 빛을 조사하기 때문에 배경기술에 비해서 효율적으로 대피 루트를 안내할 수 있다. 특히, 재나 시에 허리를 숙이고 탈출하는 대피자들에게 상기 안내등은 바닥면에서 빛을 비추기 때문에 효율적인 안내가 가능하다.
둘째, 부저가 복도를 따라 울리기 때문에 청각으로도 대피 루트를 안내받을 수 있다. 따라서, 안내등 및 유도등과 함께 시각과 청각을 이용하여 대피 루트를 안내받을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대피가 가능하다.
셋째, 화재 뿐만 아니라, 지진을 무인자동으로 효율적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 고가의 지진감시시스템을 건물에 적용하는 경제적인 부담을 해소할 수 있다.
넷째, 유독가스나 정전으로 인해서 대피 루트의 시야 확보가 어려울 때 플래시를 이용하여 대피루트를 밝힐 수 있고, 물티슈와 같은 재난용품으로 부터 자신을 지킬 수 있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비상구 유도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낙하캡슐이 수용된 비상구 유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F-F'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상태에서 하부도어가 열리면서 낙하캡슐이 낙하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4를 V 방향에서 본 것을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낙하캡슐이 수용된 비상구 유도장치가 화재나 지진을 감지하여 대응하는 컨트롤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낙하캡슐이 수용된 비상구 유도장치에 포함되는 낙하캡슐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에서 표현한 낙하캡슐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상태에서 일측 쉘에 마감판이 끼워지고 상대측 쉘에 물수건이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낙하캡슐이 화재나 지진 발생 시 작동되는 컨트롤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낙하캡슐이 수용된 비상구 유도장치(100)의 상세한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낙하캡슐이 수용된 비상구 유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F-F'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상태에서 하부도어가 열리면서 낙하캡슐이 낙하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를 V 방향에서 본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낙하캡슐이 수용된 비상구 유도장치가 화재나 지진을 감지하여 대응하는 컨트롤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하방으로 개방구(111)가 형성되고 빛이 투과되는 박스형의 바디(110)가 구성되고, 상기 바디(110)의 내부에 장착되어 빛을 조사(照射)하는 유도등(12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디(110)의 내부에 회동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개방구(111)를 개폐하는 하부도어(130)가 구성되고, 상기 바디(110)의 내부에 장착되어 전기신호에 의해서 상기 하부도어(130)의 열림과 닫힘을 결정하는 잠금장치(14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디(1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하부도어(130)의 상면에 안착되는 낙하캡슐(160)이 구성되는데, 낙하해서 바닥에 부딪칠 때의 충격으로 분할되면서 빛과 경고음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바디(110)의 내부에 장착되어, 재난을 감지하면 상기 잠금장치(140)에 전기신호를 발신하여 상기 잠금장치(140)의 잠금을 해제하고, 재난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잠금장치(140)의 잠금을 유지하는 감지부(150)가 구성된다. 상기 재난은 건물 내에서 사고 내지는 테러 또는 자연재해로 발생한 유독가스나 열기 내지는 폭발에 의한 건물붕괴를 들 수 있는데, 일례로 화재 및 지진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 바디(110)의 보다 상세한 실시예를 도 2 및 도 3과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하방으로 개방구(111)가 형성되는데, 일례로서 백색 내지는 투명한 재질의 아크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PVC, 나일론 등의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됨으로써 빛의 투과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도 2에서처럼 전면에는 비상구 이미지(I)가 표시되므로 대피 시 사람들의 육안에 용이하게 인지되어 효율적으로 비상구로 안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바디(110)는 도 3에서처럼 일측에는 하부에 개방구(111)가 형성되고, 상대측에는 하부가 막혀져 구성되므로 상기 유도등(120) 및 감지부(150)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칸막이(115)가 내부에 개재되므로 일측에는 상부와 둘레의 측방이 막혀지고 하방으로 개방구(111)가 이루어진 제1공간부(116)가 형성되고, 상대측에는 상부 및 하부와 둘레의 측방이 막혀진 제2공간부(117)의 구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2공간부(117)의 하부에는 통공(H)이 다수 형성됨으로써 화재 시 발생한 유독가스(일례: 일산화탄소 등) 내지는 열기가 용이하게 유입되어 상기 감지부(150)에서 화재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개방구(111)에는 도 3 내지 도 5에서처럼 하부도어(130)의 일측이 회동하도록 장착되므로 자중에 의해서 하방으로 회동하여 열리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잠금장치는 일례로서 솔레노이드(145)로 구성하므로 잠금상태 즉, 로드(147)가 전진하여 하부도어(130)를 받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솔레노이드(145)에 전기신호를 주게 되면 열림상태 즉, 로드(147)가 후진하면서 하부도어(130)는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열리도록 구성된다. 상기 솔레노이드(145)는 일례로서 챔버(117)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칸막이(115)에 고정되고 로드(147)는 칸막이(115)를 관통하여 하부도어(130)를 받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4 및 도 5에서처럼 상기 하부도어(130)는 개방구(111)의 후방부 좌우측에 회동하도록 장착되므로 열렸을 때 하부도어(130)의 바닥면(133)이 전방에서 볼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면(133)에는 비상구로 방향을 지칭하는 안내이미지(R)가 표시된다. 상기 안내이미지(R)는 일례로서 비상구를 가리키는 화살표가 가능하다.
상기 감지부(150)의 구성을 도 3 내지 도 6과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바디(110)의 내부 즉, 제2공간부(117)의 내부에 장착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151)가 구성되고, 상기 화재감지센서(151)로부터 화재 시그널을 수신하여 상기 잠금장치(140)에 전기신호를 발신하여 잠금을 해제하고, 상기 화재 시그널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잠금장치(140)에 전기신호를 발신하여 잠금이 유지되도록 하는 제어부(155)가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55)는 CPU(중앙처리장치) 내지는 컨트롤 기능을 하는 회로기판이 해당되는데 당해업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화재감지센서(151)는 일례로서 화재 시 유독가스에 다량 포함된 일산화가스를 감지하는 센서 내지는 열기를 감지하는 센서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화재감지센서(151)는 일반적인 사항으로서 당해업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바디(110)의 내부 즉, 제2공간부(117)의 내부에 장착되어 지진을 감지하는 지진감지센서(153)가 구성되는데, 상기 제어부(155)는 상기 지진감지센서(153)로부터 진동 시그널을 수신하면 상기 잠금장치(140)에 전기신호를 발신하여 잠금을 해제하고, 상기 진동 시그널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잠금장치(140)에 전기신호를 발신하여 잠금이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진감지센서(153)는 자이로센서 등 진동이나 기울기를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되는데, 당해업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감지부(15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축전지(157)가 접속되어 구성되는데, 상기 잠금장치(140)에도 접속되어 구성된다. 상기 축전지(157)는 상용전원에 접속되므로 평소에 충전되므로 비상 시에 단전되더라도 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게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용전원에서 분리된 축전지(157)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유도등(120)도 축전지(157)에 접속되므로 24시간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물론 유도등(120)과 축전지(157) 사이에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개재되므로 온오프(ON/OFF)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축전지(157)에 접속되어 발광하는 경고등(170)이 구성되는데, 상기 바디(110)의 전면에 관통되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경고등(170)은 다수 개로 구비되고 각각 색상을 가진 것으로서 색상 별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55)는 경고등(170)과 축전지(157) 사이에 접속되므로 재난이 감지되지 않는 상태와 화재 내지는 지진이 감지되는 각각의 상태를 경고등(170)을 통해서 색깔별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하므로 사람들이 현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례로 평상시에는 노란색의 경고등(170)이 비치도록 하고,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붉은색 경고등(170)이 조사하도록 하며, 지진이 일어난 때에는 파란색 경고등(170)이 발광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경고등(170)은 제2공간부(117)의 내부에 배치되어 바디(110)의 전면에 노출될 수도 있고, 도 2 및 도 3에서처럼 제1공간부(116)에도 위치하여 바디(110)의 전면에 드러날 수도 있다.
상기 유도등(120)과 경고등(170)은 일례로서 엘이디(LED)로 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낙하캡슐(160)의 보다 상세한 실시예를 아래에 기재한 도면과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낙하캡슐이 수용된 비상구 유도장치에 포함되는 낙하캡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표현한 낙하캡슐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상태에서 일측 쉘에 마감판이 끼워지고 상대측 쉘에 물수건이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낙하캡슐이 화재나 지진 발생 시 작동되는 컨트롤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개방부(163)가 형성된 용기(容器) 형상으로서 2개가 대응되게 형성되고, 개방부(163)의 단부(S)가 상호 부착되어 캡슐 모양으로 마감되는데, 충격력에 의해서 분할되도록 부착된 쉘(161, shell)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쉘(161)에 전지(164)가 수납되며, 상기 전지(164)에 접속되는 것으로서 상기 쉘(161)의 내부에 수용되어 충격력을 감지하는 충격감지부(165)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충격감지부(165)와 상기 전지(164)에 접속되어 상기 충격감지부(165)로부터 충격 시그널을 수신하여 상기 전지(164)의 전원을 온(ON)시키고, 충격 시그널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전원을 오프(OFF)시키는 제어부(166)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66)와 상기 전지(164)에 접속되어, 빛을 조사시키도록 상기 쉘(161)에 수용되는 안내등(167)이 구성되는데, 일례로 엘이디(LED)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6)와 상기 전지(164)에 접속되어, 경고음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쉘(161)에 수용되는 부저(168)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쉘(161)에 수용된 플래시(169, flash)와 재난용품(1607)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재난용품(1607)은 일례로서 유독가스로부터 입과 코를 막을 수 있는 물티슈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쉘(161)은 단부(S)가 일례로서 접착제로 부착될 수도 있고, 일측과 상대측에 각각 형성된 돌기와 삽입공에 의해서 조합된 것일 수도 있는데, 낙하 시 바닥에 부딪칠 때 발생한 충격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부착력이 조정된 것이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 쉘(161)은 도 7에서처럼 타원형 모양도 가능하고 구 형상도 가능하며 육면체 등의 다면체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도 8에서처럼, 상기 쉘(161) 중 일측의 외측으로 튀어나온 돌출부(1620)가 형성되므로, 쉘(161)이 타원형이거나 구 형상일 때 구르는 현상이 방지되므로 구석으로 굴러가서 눈에 띄지 않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1620)의 외측방으로 개방되므로 상기 전지가 수납되는 개방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므로 전지(도시하지 않음)의 교환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개방부는 캡(도시하지 않음)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개방부에 내장되어 상기 전지(164)의 양극과 음극에 접촉되고 상기 쉘(161)을 관통하여 내부까지 연장되는 단자(1623)가 구성되고, 상기 단자(1623)에 상기 충격감지부(165)가 접속되고, 단자(1623)와 충격감지부(165)에 상기 제어부(166)가 접속되며, 제어부(166)에 상기 안내등(167) 및 부저(168)가 접속된다.
또한, 상세한 실시예로서 상기 쉘(161) 중 상기 돌출부(1620)가 형성된 쪽의 내부에 끼워져서 커버하는 마감판(1630)이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166)에 접속되어 상기 마감판(1630)을 통과하는 전선(1640)이 구성되며, 상시 전선(1640)에 접속되어 상기 마감판(1630)의 외부에 상기 안내등(167)이 접속되어 구성된다. 이때 안내등(167)은 마감판(1630)에 고정될 수도 있고, 도 8 및 도 9에서처럼 마감판(1630)에서 분리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안내등(167)은 엘이디(LED)로 구성하며 다양한 색상의 것을 다수 구비하므로 대피자의 육안에 용이하게 발견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마감판(1630)의 외부에 상기 부저(168)가 배치되고, 상기 부저(168)에 접속되고 상기 마감판(1630)을 관통하여 상기 제어부(166)에 접속된 전선(도시하지 않음)이 구성된다. 상기 부저(168)는 도 8 및 도 9에서처럼 마감판(1630)에 고정될 수도 있고, 분리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마감판(1630)의 외측면에 상기 플래시(169)가 부착되고, 상기 플래시(169)에 접속되고 상기 마감판(1630)을 관통하여 상기 제어부(166)에 접속된 전선(도시하지 않음)이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55)는 상기 충격감지부(165)에서 충격 시그널이 수신되면 상기 플래시(169)에 전원을 온(ON)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대피자는 쉘(161)을 잡고 전방을 비추므로 대피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플래시(169)는 상기 제어부(166)에서 분리되어 별도로 전지가 내장된 것이고 자체 장착된 스위치에 의해서 점멸되는 것일 수도 있다. 그리고 마감판(1630)에는 고정된 것일 수도 있고 분리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충격감지부(165)는 일례로서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것처럼, 일측 쉘(161)의 내측면에 부착된 플러그단자(P)와 상대측 쉘(161)의 내측면에 부착된 소켓단자(S)가 구성된다. 이것들은 상호 조합이 용이하도록 쉘(161)의 단부에 배치하는 게 바람직하다. 따라서, 양측 쉘(161)을 부착하여 마감하게 되면 플러그단자(P)가 소켓단자(S)에 삽입되는 구조가 되며 전기의 도통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플러그단자(P) 또는 소켓단자(S)에 각각 접속된 전선(R)은 상기 제어부(166)에 접속된다. 이때, 제어부(166)는 상기 플러그단자(P)와 소켓단자(S)에 전지(164)의 전원을 도통시켜서 결합된 상태에서 전류가 흐르게 되면 상기 부저(168), 플래시(169), 안내등(167)에 전기를 인가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플러그단자(P)와 소켓단자(S)가 분리된 상태에서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면 상기 부저(168), 플래시(169), 안내등(167)에 전기를 흐르게 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어부(166)는 일례로서 스위칭 회로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양측 쉘(161)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빛과 경고음이 발생하지 않고, 충격에 의해서 양측 쉘(161)이 분리되면 빛과 경고음이 구현되는 구조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쉘(161) 중 마감판(1630)이 형성되지 않은 쪽의 내부에 상기 재난물품(1607)이 수납된다. 따라서, 상기 쉘(161)이 충격으로 용이하게 분리되므로 안내등(167)과 부저(168)가 노출되어 빛과 소리가 용이하게 발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만약, 상기 마감판(1630)이 없다면 재난물품(1607)이 양측 쉘(161)에 충전된 상태가 되므로 낙하 시 양측 쉘(161)이 분리되지 않게 되어 안내등(167)과 부저(168)가 노출되지 않게 되어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상, 살펴본 낙하캡슐이 수용된 비상구 유도장치(100)의 작동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낙하캡슐이 수용된 비상구 유도장치(100)를 비상구로 이어지는 복도의 벽면에 다수 부착시킨다. 물론, 천장에도 고정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유도등(120)이 켜지므로 평상시에도 비상구로 통하는 루트를 24시간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바디(110)의 전면에 표시된 비상구이미지(I)는 누가 보더라도 비상구로 안내하는 표식임을 알 수 있다.
평상시에 상기 화재감지센서(151)가 화재를 감지하거나, 지진감지센서(153)가 지진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155)가 재난 시그널을 수신한 후 상기 잠금장치(140)에 전기를 인가하여 하부도어(130)의 잠김을 해제하도록 한다. 즉, 상기 솔레노이드(145)의 로드(147)를 후진시켜서 하부도어(130)가 자중에 의해서 하방으로 회동하여 열리도록 한다. 이때, 상기 낙하캡슐(160)이 하방으로 떨어지게 되고, 하부도어(130)의 바닥면(133)에 표시된 안내이미지(R)가 노출되므로 다시 한번 비상구로 가는 방향을 지칭하게 된다. 이때의 안내이미지(R)는 화살표로 표시하므로 효율적으로 방향을 가리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5)는 평상시에는 경고등(170)에서 재난 상태가 아님을 가리키는 것에 전기를 인가하여 비치도록 하다가 화재감지센서(151)로부터 화재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화재를 나타내는 경고등(170)이 조사되도록 하며, 지진감지센서(153)로부터 지진 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지진을 나타내는 경고등(170)이 발광하도록 한다. 따라서, 대피자들은 현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재난 신호에 의해서 상기 하부도어(130)가 열리게 되어, 낙하캡슐(160)은 복도의 바닥면에 닿는 순간 충격력에 의해서 2개의 쉘로(161)로 분리된다. 그리고 이때의 충격력을 상기 충격감지부(165)가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66)로 충격 시그널을 발신하게 되면, 제어부(166)는 상기 안내등(167), 부저(168)에 전원을 인가하여 빛이 조사되고 경고음이 발생하도록 한다. 이러한 현상이 대피 루트를 따라 다수 발생한다면, 대피자는 상기 바디(110)를 통해서 비치는 유도등(120)과 상기 안내등(167)을 통해서 이중으로 대피 루트를 안내받게 되므로 효율적인 대피 안내가 가능하다. 아울러, 유독가스나 정전으로 인해서 복도가 어두울 때에는 상기 낙하캡슐(160)에 수용된 안내등(167)으로 인해서 대피 루트를 효율적으로 안내받을 수 있다. 특히, 안내등(167)은 다수의 다양한 색상의 엘이디(LED)로 구성된 경우 시인성을 향상시켜 원활한 대피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부저(168)를 통해서 대피 루트를 따라 경고음이 발생하므로 시각 및 청각을 동원하여 보다 쉽게 대피 루트를 안내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화재 뿐만 아니라, 지진을 무인자동으로 효율적으로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고가의 비용을 들여 지지감지시스템을 별도로 건물에 설치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독가스와 정전으로 인해서 시야가 어두울 때에는 상기 쉘(161) 중 플래시(169)가 접속된 쪽을 잡고 전방을 비추면서 대피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쉘(161)에 수용된 재난물품(1607)으로 인해서 유독가스 등의 재난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재난물품(1607)으로 물티슈가 수용된 경우 입과 코를 막으므로 대피 시 유독가스를 여과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0: 낙하캡슐이 수용된 비상구 유도장치 110: 바디
111: 개방구 120: 유도등
130: 하부도어 140: 잠금장치
150: 감지부 151: 화재감지센서
153: 지진감지센서 155: 제어부
160: 낙하캡슐 161: 쉘
164: 전지 165: 충격감지부
166: 제어부 167: 안내등
168: 부저 169: 플래시
1607: 재난물품 1620: 돌출부
1623: 단자 1630: 마감판
1640: 전선

Claims (10)

  1. 하방으로 개방구(111)가 형성되고 빛이 투과되는 박스형의 바디(110)와,
    상기 바디(110)의 내부에 장착되어 빛을 조사(照射)하는 유도등(120)과,
    상기 바디(110)의 내부에 회동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개방구(111)를 개폐하는 하부도어(130)와,
    상기 바디(110)의 내부에 장착되어 전기신호에 의해서 상기 하부도어(130)의 열림과 닫힘을 결정하는 잠금장치(140)와,
    상기 바디(1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하부도어(130)의 상면에 안착되는 낙하캡슐(160)과,
    상기 바디(110)의 내부에 장착되어, 재난을 감지하면 상기 잠금장치(140)에 전기신호를 발신하여 상기 잠금장치(140)의 잠금을 해제하고, 재난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잠금장치(140)의 잠금을 유지하는 감지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낙하캡슐(160)은 낙하에 의한 충격으로 분할되면서 빛과 경고음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캡슐이 수용된 비상구 유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150)는,
    상기 바디(110)의 내부에 장착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151)와,
    상기 화재감지센서(151)로부터 화재 시그널을 수신하여 상기 잠금장치(140)에 전기신호를 발신하여 잠금을 해제하고, 상기 화재 시그널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잠금장치(140)에 전기신호를 발신하여 잠금이 유지되도록 하는 제어부(1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캡슐이 수용된 비상구 유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150)는,
    상기 바디(110)의 내부에 장착되어 지진을 감지하는 지진감지센서(153)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55)는 상기 지진감지센서(153)로부터 진동 시그널을 수신하면 상기 잠금장치(140)에 전기신호를 발신하여 잠금을 해제하고, 상기 진동 시그널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잠금장치(140)에 전기신호를 발신하여 잠금이 유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캡슐이 수용된 비상구 유도장치.
  4. 제1항에서 제3항까지의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캡슐(160)은,
    개방부(163)가 형성된 용기(容器) 형상으로서 2개가 대응되게 형성되고, 개방부(163)의 단부(S)가 상호 부착되어 캡슐 모양으로 마감되는데, 충격력에 의해서 분할되도록 부착된 쉘(161, shell)과,
    상기 쉘(161)에 수납되는 전지(164)와,
    상기 전지(164)에 접속되는 것으로서 상기 쉘(161)의 내부에 수용되어 충격력을 감지하는 충격감지부(165)와,
    상기 충격감지부(165)와 상기 전지(164)에 접속되어 상기 충격감지부(165)로부터 충격 시그널을 수신하여 상기 전지(164)의 전원을 온(ON)시키고, 충격 시그널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전원을 오프(OFF)시키는 제어부(166)와,
    상기 제어부(166)와 상기 전지(164)에 접속되어, 빛을 조사시키도록 상기 쉘(161)에 수용되는 안내등(16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캡슐이 수용된 비상구 유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66)와 상기 전지(164)에 접속되어, 경고음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쉘(161)에 수용되는 부저(16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캡슐이 수용된 비상구 유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쉘(161)에 수용된 플래시(16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캡슐이 수용된 비상구 유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쉘(161)에 수용된 재난물품(160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캡슐이 수용된 비상구 유도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쉘(161) 중 일측의 외측으로 튀어나온 돌출부(1620)와,
    상기 돌출부(1620)의 외측방으로 개방되므로 상기 전지가 수납되는 개방부(도시하지 않음)와,
    상기 개방부에 내장되어 상기 전지(164)의 양극과 음극에 접촉되고 상기 쉘(161)을 관통하여 내부까지 연장되는 단자(1623)와,
    상기 단자(1623)에 접속된 상기 충격감지부(165)와,
    상기 단자(1623)와 충격감지부(165)에 접속된 상기 제어부(166)와,
    상기 제어부(166)에 접속된 상기 안내등(167) 및 부저(16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캡슐이 수용된 비상구 유도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쉘(161) 중 상기 돌출부(1620)가 형성된 쪽의 내부에 끼워져서 커버하는 마감판(1630)과,
    상기 제어부(166)에 접속되어 상기 마감판(1630)을 통과하는 전선(1640)과,
    상시 전선(1640)에 접속되어 상기 마감판(1630)의 외부에 배치되는 상기 안내등(167)과,
    상기 마감판(1630)의 외부에 배치되는 상기 부저(168)와,
    상기 부저(168)에 접속되고 상기 마감판(1630)을 관통하여 상기 제어부(166)에 접속된 전선(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고,
    상기 쉘(161) 중 마감판(1630)이 형성되지 않은 쪽의 내부에 수납되는 재난물품(160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캡슐이 수용된 비상구 유도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판(1630)의 외측면에 부착된 상기 플래시(169)와,
    상기 플래시(169)에 접속되고 상기 마감판(1630)을 관통하여 상기 제어부(155)에 접속된 전선(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55)는 상기 충격감지부(165)에서 충격 시그널이 수신되면 상기 플래시(169)에 전원을 온(ON)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캡슐이 수용된 비상구 유도장치.
KR1020190119664A 2019-09-27 2019-09-27 낙하캡슐이 수용된 비상구 유도장치 KR102176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664A KR102176735B1 (ko) 2019-09-27 2019-09-27 낙하캡슐이 수용된 비상구 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664A KR102176735B1 (ko) 2019-09-27 2019-09-27 낙하캡슐이 수용된 비상구 유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6735B1 true KR102176735B1 (ko) 2020-11-09

Family

ID=73429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9664A KR102176735B1 (ko) 2019-09-27 2019-09-27 낙하캡슐이 수용된 비상구 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67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3463B1 (ko) * 2021-08-10 2022-05-03 주식회사 건일이엔지 화재 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1650A (ja) * 1994-12-01 1996-06-21 Toda Constr Co Ltd 誘導表示装置
JPH08252334A (ja) * 1995-03-15 1996-10-01 Fujita Corp 建物における災害時の避難誘導装置
JPH08339701A (ja) * 1995-06-09 1996-12-24 Misao Fukuda 地震時の照明装置
KR101625760B1 (ko) * 2014-12-12 2016-05-3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비상구 유도 장치
KR20160120561A (ko) * 2015-04-08 2016-10-18 (주)유림아크릴 안전물품의 사용이 편리한 소방용 안전보관함
KR20170079165A (ko) * 2015-12-30 2017-07-10 주식회사 스마트파워 지진 감지가 가능한 소방 방재 시스템
KR101996949B1 (ko) * 2019-03-04 2019-07-08 주식회사 호성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인명구조용 소방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1650A (ja) * 1994-12-01 1996-06-21 Toda Constr Co Ltd 誘導表示装置
JPH08252334A (ja) * 1995-03-15 1996-10-01 Fujita Corp 建物における災害時の避難誘導装置
JPH08339701A (ja) * 1995-06-09 1996-12-24 Misao Fukuda 地震時の照明装置
KR101625760B1 (ko) * 2014-12-12 2016-05-30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비상구 유도 장치
KR20160120561A (ko) * 2015-04-08 2016-10-18 (주)유림아크릴 안전물품의 사용이 편리한 소방용 안전보관함
KR20170079165A (ko) * 2015-12-30 2017-07-10 주식회사 스마트파워 지진 감지가 가능한 소방 방재 시스템
KR101996949B1 (ko) * 2019-03-04 2019-07-08 주식회사 호성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인명구조용 소방 안전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www.nofire.co.kr/shop/shopbrand.html?xcode=051&type=X&n_media=27758&n_query=%EB%B9%84%EC%83%81%EA%B5%AC%EC%9C%A0%EB%8F%84%EB%93%B1&n_rank=2&n_ad_group=grp-m001-01-000002046274329&n_ad=nad-a001-01-000000001470070&n_keyword_id=nkw-m001-01-000002046276563&n_keyword=%EB%B9%84%EC%83%81%EA%B5%AC%EC%9C%A0%EB%8F%84%EB%93%B1&n_campaign_type=1&NaPm=ct%3Dk0qb8mqw%7Cci%3D0yC0000D7SbrbVddwf1M%7Ctr%3Dsa%7Chk%3Df8c13a795dff56ef36498910e309a1c4d3449dc0
한국소방공사 사이트 주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3463B1 (ko) * 2021-08-10 2022-05-03 주식회사 건일이엔지 화재 시 소방용 비상구 유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198939T3 (es) Detector de incendios y sistema de alarma de incendios.
US4438428A (en) Multiple function personal security alarm
KR100734475B1 (ko) 안내 스피커 내장형 비상구 유도등
US6646545B2 (en) Color-coded evacuation signaling system
CN108780598A (zh) 用于无线灾害火灾探测和犯罪预防的具有便携式灯的社会安全网络系统
JP2013529329A (ja) 投射式方向表示を備える非常用照明システム
KR101111159B1 (ko) 소화기 거치대
KR20160120561A (ko) 안전물품의 사용이 편리한 소방용 안전보관함
KR102103631B1 (ko) 안전 기구함
KR101625760B1 (ko) 비상구 유도 장치
US20070120699A1 (en) Threshold having safety lights
KR102176735B1 (ko) 낙하캡슐이 수용된 비상구 유도장치
KR101775770B1 (ko) 소방용 비상 경보장치
CN205644847U (zh) 安全逃生引导系统
KR101900203B1 (ko)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지능형 자동화재탐지 시스템
CN104616434B (zh) 消防员内攻登记系统
CN106166343A (zh) 一种自动感应火灾的消防急救包
KR101902976B1 (ko) 비상용품이 구비되는 비상 경보 장치
KR101872258B1 (ko) 마스크 보관함
ES2426472T3 (es) Soporte para extintores de incendios
KR20110002173U (ko) 비상탈출용구 보관함
KR102153935B1 (ko) 화재발생시 공동주택의 소방 통합 관리시스템
JP2000296182A (ja) 消火器の設置具
CN209146944U (zh) 一种智能感知矿灯
KR101871382B1 (ko) 비상탈출용구 보관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