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5476B1 - 발열 소화캡슐 및 이를 구비하는 캡슐형 소화장치 - Google Patents

발열 소화캡슐 및 이를 구비하는 캡슐형 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5476B1
KR101945476B1 KR1020170069624A KR20170069624A KR101945476B1 KR 101945476 B1 KR101945476 B1 KR 101945476B1 KR 1020170069624 A KR1020170069624 A KR 1020170069624A KR 20170069624 A KR20170069624 A KR 20170069624A KR 101945476 B1 KR101945476 B1 KR 101945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inguishing
fire
capsule
extinguishing material
p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9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3104A (ko
Inventor
김병열
Original Assignee
김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열 filed Critical 김병열
Priority to KR1020170069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5476B1/ko
Priority to PCT/KR2017/008267 priority patent/WO2018225893A1/ko
Priority to EP17751979.0A priority patent/EP3636324A4/en
Priority to US16/614,431 priority patent/US11883701B2/en
Publication of KR20180133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476B1/ko
Priority to US18/536,655 priority patent/US20240100378A1/en
Priority to US18/536,666 priority patent/US2024010892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007Solid extinguishing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4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with electrically-controlled releas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포켓 상에 발열체를 구비하여 내부의 소화물질에 열을 가해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발열 소화캡슐 및 이를 구비하는 캡슐형 소화장치가 개시된다. 발열 소화캡슐은 열에 의해 팽창하는 소화물질 및 소화물질에 열을 가하는 발열체를 포함하고, 소화물질을 내부에 수용하여, 소화물질을 팽창되면 파열되어 팽창된 소화물질을 외부로 방출하는 포켓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발열 소화캡슐 및 이를 구비하는 캡슐형 소화장치 {Heating extinguish capsule and Capsule type fire extinguish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포켓 상에 발열체를 구비하여 내부의 소화물질에 열을 가해 소화물질을 팽창시켜 화재를 진압하여 화염이 다른 곳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발열 소화캡슐 및 이를 구비하는 캡슐형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를 구동력으로 사용되는 장치들이 많아지며 전기 콘센트, 스위치박스, 전등기구, 전자제품 들에서 단락으로 인한 화재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화재사고의 피해를 화재 감지기가 화재로 방생하는 연기 및 불꽃을 감지하여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알리고, 소화시설을 이용하여 화재를 진화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화재발생시 소화시설을 검색하고 화재를 진화하여야 하기 때문에 조속한 화재진화가 어려워 화재가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기술 한국등록실용 제0403500호는 특고압케이블 전기화재 시 케이블 접속부 및 단자접속부 아크열에 의한 폭발화재확산을 차단하는 전기화재방지용 발포소화 내부시트와 특고압케이블 접속부의 폭발에 따른 열과 압력를 막아주는 방폭소화 외부시트와 특고압케이블의 열을 자동으로 측정하는 디지털 열 센서 온도테이프와 전기화재 진동, 충격 완화용 지퍼와 전기화재방지용 방폭소화 외부시트에 타이밴드식 부착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재방지용 방폭 소화시트를 제시한 적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전기장치의 열화진행만 일시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이며, 전기설비의 외부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진화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기 때문에, 결국, 화재를 진화하기 위해선 화재 현장을 확인 후 소화시설에서 소화장치를 운송 후 화재를 진화해야 하므로, 화재 확산을 방지할 수 없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따라서, 화재 발생 위치에 간단하게 설치가능하며, 화재에 대응하여 소화물질을 자동 방출함으로써, 화재를 조기에 진화할 수 있는 소화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소화장치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여, 화재의 발생가능성이 높은 위치에 간단하게 설치 가능할 뿐만 아니라, 화재 발생시 자동으로 소화물질을 방출 가능한 발열 소화캡슐 및 이를 구비하는 캡슐형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화재발생 시 초기 대응시간인 골든 타임을 연장시켜, 인명 및 재산피해를 줄일 수 있는 발열 소화캡슐 및 이를 구비하는 캡슐형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화재의 열에도 반응하여 자동으로 소화액을 방출할 수 있는 발열 소화캡슐 및 이를 구비하는 캡슐형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 소화캡슐 및 이를 구비하는 캡슐형 소화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발열 소화캡슐은 열에 의해 팽창하는 소화물질 및 상기 소화물질에 열을 가하는 발열체를 포함하고, 상기 소화물질을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소화물질을 팽창되면 파열되어 상기 팽창된 소화물질을 외부로 방출하는 포켓을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포켓은 외부 열로부터 상기 소화물질을 보호하는 내장재 및 상기 내장재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외부 충격 및 오염으로부터 상기 소화물질을 보호하는 외장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발열체는 상기 내장재와 상기 외장재 사이에 일부 또는 전체에 구비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발열체는 전기에 의해 발열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내장재는 내주면 전체에 복수의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외장재는 외주면 전체에 상기 소화물질이 팽창되면 상기 외장재가 파열되는 것을 안내하는 파열 안내선이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포켓은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명창이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포켓은 상기 소화물질이 팽창될 때 상기 포켓보다 상기 투명창이 먼저 파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캡슐형 소화장치는 내부에 화재 진화를 위한 소화물질이 수용되는 발열 소화캡슐, 상기 소화 캡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소화캡슐을 내부에 수용하는 소화부, 화재의 발생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화재의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소화부를 제어하여 상기 연결홀더에 전기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소화캡슐은 열에 의해 팽창하는 소화물질 및 외장재와 내장재 사이에 전기가 인가되면 발열되는 발열체를 구비하고, 상기 소화물질을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소화물질이 열에 의해 팽창되면 파열되어 상기 팽창된 소화물질을 외부로 방출하는 포켓을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온도, 습도, 연기, 불꽃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량에 대응하여 상기 연결홀더에 전기를 인가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소화부는 상기 소화물질이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배출공은 상기 소화물질이 화재가 발생한 일정부분에 집중되어 배출되도록 상기 소화부의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소화장치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여, 화재의 발생가능성이 높은 위치에 간단하게 설치 가능할 뿐만 아니라, 화재 발생시 자동으로 소화물질을 방출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화재발생시 초기 대응시간인 골든 타임을 연장시켜, 인명 및 재산피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화재의 열에도 반응하여 자동으로 소화액을 방출할 수 있다.
도1은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소화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2는 실시예에 따른 소화부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3은 실시예에 따른 소화부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절단도이다.
도4는 실시예에 따른 포켓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절단도이다.
도5는 실시예에 따른 투명창이 구비된 소화캡슐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6은 실시예에 따른 투명창이 구비된 포켓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절단도이다.
도7은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소화장치의 작동의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도1 내지 도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캡슐용 소화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1은 실시예에 따른 캡슐용 소화장치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캡슐용 소화장치(10)는 소화부(100), 소화부(100)에 수용되는 발열 소화캡슐(200), 화재의 발생을 감지하는 감지부(300) 및 화재의 발생이 감지되면, 소화부(100)를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감지부(300)에서 화재의 발생이 감지되면, 제어부(400)는 소화부(100)를 제어하여 발열 소화캡슐(200)에 전기를 인가하고 가열된 발열 소화캡슐(200) 내부의 소화물질(210)이 팽창하여 발열 소화캡슐(200)을 뚫고 외부로 방출된다.
도2는 실시예에 따른 소화부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3은 실시예에 따른 소화부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절단도이다.
도2 내지 도3을 참조하면, 소화부(100)는 연결홀더(110) 및 복수의 배출공(130)을 포함할 수 있다.
소화부(100)는 발열 소화캡슐(200)을 내부에 구비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소화부(100)의 내부 일측에는 발열 소화캡슐(200)과 연결되는 연결홀더(110)를 구비할 수 있다.
연결홀더(110)는 발열 소화캡슐(200)의 일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홀더(110)는 외부전원(미도시) 또는 배터리(미도시)와 연결되어 발열 소화캡슐(200)의 일측에 전기를 인가할 수 있다. 연결홀더(110)의 형상은 제한적이지 않으며, 발열 소화캡슐(200)을 지지 고정할 수 있으며,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형상이면 모두 가능할 수 있다.
배출공(130)은 후술하는 소화물질(210)이 팽창되어 발열 소화캡슐(200)을 뚫고 배출되면, 소화물질(210)을 소화부(100) 외측으로 방출하기 위해 소화부(100)의 내측과 외측을 연통하도록 복수 개로 개구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배출공(130)은 소화물질(210)이 화재가 발생한 일정부분에 집중되어 배출되도록, 소화부의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콘센트, 가스레인지 등 화재발생이 예측되는 부분의 상측에 배치된 캡슐형 소화장치(10)의 길이방향이 상하방향일 경우, 복수의 배출공(130)은 소화부(100)의 외주면을 따라 하부에 집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배출공(130)은 소화물질(210)의 배출을 하측으로 집중시켜 소화부(100)의 하측에 발생하는 화재의 진화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소화부(100)는 진화장소의 배치 시, 복수의 배출공(130)이 소화물질(210)의 배출방향을 화재발생이 예측되는 부분에 집중적으로 방출될 수 있도록 배치하여, 화재를 효과적으로 진화할 수 있다.
또한, 소화부(100)는 복수의 배출공(130)에서 방출되는 소화물질(210)이 화재발생이 예측되는 부분에 집중되도록, 하부의 단면이 점차적으로 줄어드는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소화부(100)의 구조는 배출공(130)이 하향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는 형상으로 배치되어, 배출되는 소화물질(210)이 하향방향으로 집중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소화부(100)는 외주면의 일측에 벽, 배관등의 임의의 장소에 결합되어 탈착 및 부착이 용이하도록 탈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탈착부는 양면 테이프, 접착필름 및 브라켓과 나사 등 다양한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액체 또는 반액체 상태에서 고체화되며 두 개의 대상을 서로 접합하는 다양한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소화부(100) 내부에 수용되는 소화캡슐(200)은 소화물질(210) 및 포켓(220)을 포함할 수 있다.
소화물질(210)은 열에 의해 팽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화물질(210)은 가열 시 기화되는 다양한 물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소화물질(210)은 플루오르화 케톤액 노백 1230일 수 있다. 소화물질(210)이 가열되어 팽창하면, 포켓(220)을 뚫고 방출되어, 소화부(100)의 배출공(130)을 통해 화재를 진화한다.
도4는 실시예에 따른 포켓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절단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포켓(220)은 외장재(221), 내장재(222), 및 발열체(223)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재(221)는 내장재(222)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외부 충격 및 오염으로부터 소화물질(210)을 보호할 수 있다. 외장재(221)는 PP(polypropylene), OPP(oriented polypropylene), PVC(polyvinyl chlorid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등 일 수 있다. 외장재(221)의 일면에는 소화물질의 정보와 상품의 디자인 및 회사 정보 등이 인쇄될 수 있다.
외장재(221)는 파열 안내선(221a)이 형성될 수 있다. 파열 안내선(221a)은 외장재(221)의 외주면 전체에 소화물질(210)이 팽창되면 외장재(221)가 파열되는 것을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열 안내선(221a)은 점선 형태의 미세한 홈일 수 있다. 이러한, 파열 안내선(221a)은 외주면 전체에 균일하게 형성되어 소화물질(210)의 팽창 시, 포켓(220)의 파열이 전체에 균일하게 생기도록 안내하여 소화물질의 방출이 포켓 전체에서 균일하게 일어날 수 있다.
내장재(222)는 열로부터 소화물질(210)을 보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장재(222)는 열로부터 소화물질(210)을 보호할 수 있는 알루미늄 재질일 수 있다. 이러한, 알루미늄 재질의 내장재(222)는 자외선을 차단하고, 소화물질(210)을 열로부터 보호하며, 포켓(220)의 응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내장재(222)에는 복수의 요철부(222a)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철부(222a)는 내장재(222) 전체에 복수로 형성되어 소화물질(210)의 팽창 시, 포켓(220)의 파열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즉, 소화물질(210)이 팽창되면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내구성이 가장 약한 포켓(220)의 요(凹)부를 뚫고 외부로 방출 될 수 있다.
따라서, 외장재(221)의 파열 안내선(221a) 및 내장재(222)의 요철부(222a) 중 두께가 얇은 요부는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파열 안내선(221a) 및 요철부(222a)는 포켓의 두께를 변화시켜 포켓의 파열되는 반응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내장재(222a)의 요부에서 발열체(223)의 가열에 의한 반응성이 높아져 소화물질(210)의 팽창이 더 빨라져 조기에 화재를 진압하는데 용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서는, 파열 안내선(221a) 및 요철부(222a)가 외장재(221)와 내장재(222) 전체에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화재 진화가 될 부분을 향하도록 일부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소화물질(210)이 팽창되며 파열되는 포켓(220)의 부위에 대응하여 소화물질(210)의 방출방향과 방출 범위가 제어될 수 있다.
발열체(223)는 소화물질(210)에 열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발열체(223)는 외장재(221)와 내장재(222) 사이에 구비된다. 예를 들어, 발열체(223)는 외장재(221)와 내장재(222) 사이에 일부 또는 전체에 구비되어 소화물질(210) 전체에 균일하게 열을 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발열체(223)의 일부는 연결홀더(110)와 연결되는 부분에 외장재 상으로 형성되어 전기인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발열체(223)는 전기에 의해 발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열체(223)는 전기가 인가되면 발열되는 니켈, 구리, 니크롬 탄소섬유 및 카본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발열 소화캡슐(200)은 발열체(223)가 포켓(220)에 구비되기 때문에, 캡슐형 소화장치(10)가 발열 소화캡슐(200)에 전기를 인가할 수 있는 단순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어, 자중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캡슐형 소화장치(10)가 제어부(400)를 통해 화재 발생 시점에 발열체(223)에 전기를 인가하여 소화물질(210)을 팽창시킬 수 있어, 조기에 화재를 진화할 수 있어 효과적일 수 있다.
도5는 실시예에 따른 투명창이 구비된 소화캡슐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6은 실시예에 따른 투명창이 구비된 포켓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절단도이다.
도5 내지 도6을 참조하면, 포켓(220)은 투명창(224) 및 보호필름(2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투명창(224)은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형성된다. 투명창(224)이 형성되는 부분에는 발열체(223)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투명창(224)의 형상은 내부의 소화물질(210)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형태면 될 수 있으며, 그 형태는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소화물질(210)의 특성상 제품의 사용기간이 경과되면 액상의 소화물질이 자연기화 되기 때문에 포켓(220)의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투명창(224)은 소화물질(210)을 확인할 수 있어서, 소화캡슐(200)의 교체시기를 파악할 수 있다.
보호필름(225)은 투명창(224)이 형성되는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얇게 형성되어 포켓(220)의 파열보다 먼저 파열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도록 투명창(224)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필름(225)은 투명창(224)의 두께를 보완하여, 소화물질(210)의 팽창으로 인한 포켓(220)의 파열이 전체에 균일하게 일어날 수 있다. 즉, 보호필름(225)은 투명창(224)에 부착되어 포켓(220)의 파단강도와 동일한 파단강도를 형성함으로써, 포켓(220)의 파열이 전체에 균일하게 일어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필름(225)은 투명창(224)의 크기와 동일하게 부착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호필름(225)이 투명창(224)보다 크게 형성되어 포켓(220)에 부착되는 형태도 가능할 수 있다.
다시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감지부(300)는 온도, 습도, 연기 및 불꽃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300)는 온도, 습도, 연기 및 불꽃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300)는 소화부(10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되, 그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400)는 감지부(300)에서 감지되는 온도, 습도, 연기 및 불꽃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감지량에 대응하여 소화부(100)를 제어하여 연결홀더(110)에 전기를 인가 할 수 있다. 즉, 제어부(400)는, 감지부(300)에서 감지되는 온도, 습도, 연기 및 불꽃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량 중 화재로 판단되는 일정 감지량을 설정하여 설정된 일정 감지량 이상의 감지량이 감지부(300)에서 감지되면, 화재로 판단하여 연결홀더(110)에 전기를 인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400)에서 일정 감지량으로 설정된 온도가 70℃일 경우, 감지부(300)에서 70℃이상의 온도가 감지되면 연결홀더(110)에 전기를 인가하여 발열체(223)를 가열하여 소화물질(210)을 팽창시켜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400)는 감지부(300)에서 화재의 발생이 감지되면, 소화부(100)를 제어하여 소화캡슐(200)을 가열하여 소화물질(210)을 소화부(100) 외부로 방출시켜 조기 화재를 진화할 수 있다.
도7은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소화장치의 작동의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7을 참조하면, 캡슐형 소화장치(10)는 화재 발생예상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캡슐형 소화장치(10)는 화재 발생시, 감지부(300)에서 온도, 습도, 연기 및 불꽃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한다. 제어부(400)는 감지부(300)에서 감지되는 감지량 중 화재로 판단되는 일정 감지량을 설정하고 그 이상이 감지되면, 연결홀더(110)에 전기를 인가할 수 있다. 전기가 인가된 연결홀더(110)는 발열 소화캡슐(200)의 발열체(223)에 전기를 인가하여 발열체(223)를 가열할 수 있다. 따라서, 발열 소화캡슐(200)의 소화물질(210)이 열에 의해 팽창할 수 있다. 소화물질(210)은 포켓(220) 내부에서 팽창하여 포켓(220)의 파단강도를 초과하는 압력까지 팽창하여 포켓(220)을 뚫고 소화부(100) 내부로 방출된다. 소화부(100) 내부로 방출된 소화물질(210)은 소화부(100)에 복수로 형성된 배출공(1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특히, 배출공(130)이 소화물질(210)이 화재가 발생한 일정부분에 집중되어 배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소화물질(210)은 화재가 발생한 일정부분에 집중적으로 배출된다.
캡슐형 소화장치(10)는 소화물질(210)이 열에 의해 팽창하기 때문에, 화재로 인한 열의 발생으로 소화물질(210)이 가열되어 팽창되어 배출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설정된 일정 감지량을 초과하는 경우, 소화물질(210)을 가열하여 소화물질(320)이 배출되는 반응시간을 단축할 수 있기 때문에 화재의 발생 시, 화재 진화를 조기에 실시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소화장치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여, 화재의 발생가능성이 높은 위치에 간단하게 설치 가능할 뿐만 아니라, 화재 발생시 자동으로 소화물질을 방출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화재발생 시 초기 대응시간인 골든 타임을 연장시켜, 인명 및 재산피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화재의 열에도 반응하여 자동으로 소화액을 방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캡슐형 소화장치 100 : 소화부
110 : 연결홀더 130 : 배출공
200 : 발열 소화캡슐 210 : 소화물질
220 : 포켓 221 : 외장재
221a : 파열 안내선 222 : 내장재
222a : 요철부 223 : 발열체
224 : 투명창 225 : 보호필름
300 : 감지부 400 : 제어부

Claims (13)

  1. 열에 의해 팽창하는 플루오르화 케톤액을 포함하는 소화물질; 및
    상기 소화물질을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소화물질을 팽창되면 파열되어 상기 팽창된 소화물질을 외부로 방출하는 포켓;
    을 포함하고,
    상기 포켓은,
    상기 소화물질을 내부에 수용하여 외부 열로부터 상기 소화물질을 보호하는 알루미늄 재질의 내장재;
    전기가 인가되면 발열하여 상기 소화물질에 열을 가하는 발열체; 및
    외부 충격 및 오염으로부터 상기 소화물질을 보호하는 외장재;
    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형태를 가지는 발열 소화캡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상기 내장재와 상기 외장재 사이에 일부 또는 전체에 구비되는 발열 소화캡슐.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재는,
    내주면 전체에 복수의 요철부가 형성되는 발열 소화캡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재는,
    외주면 전체에 상기 소화물질이 팽창되면 상기 외장재가 파열되는 것을 안내하는 파열 안내선이 형성되는 발열 소화캡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은,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명창이 형성되는 발열 소화캡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은,
    상기 소화물질이 팽창될 때 상기 포켓보다 상기 투명창이 먼저 파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필름;
    을 더 포함하는 발열 소화캡슐.
  8. 화재 진화를 위한 발열 소화캡슐;
    상기 발열 소화캡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 소화캡슐을 내부에 수용하는 소화부;
    화재의 발생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화재의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소화부를 제어하여 상기 연결홀더에 전기를 인가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 소화캡슐은
    열에 의해 팽창하는 플루오르화 케톤액을 포함하는 소화물질; 및
    상기 발열 소화캡슐은 상기 소화물질을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소화물질을 팽창되면 파열되어 상기 팽창된 소화물질을 외부로 방출하는 포켓;
    을 포함하고,
    상기 포켓은,
    상기 소화물질을 내부에 수용하여 외부 열로부터 상기 소화물질을 보호하는 알루미늄 재질의 내장재;
    전기가 인가되면 발열하여 상기 소화물질에 열을 가하는 발열체; 및
    외부 충격 및 오염으로부터 상기 소화물질을 보호하는 외장재;
    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형태를 가지는 캡슐형 소화장치.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온도, 습도, 연기, 불꽃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량에 대응하여 상기 연결홀더에 상기 전기를 인가하는 캡슐형 소화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량 중 화재로 판단되는 일정 감지량을 설정하고 상기 감지부에서 상기 설정된 일정 감지량 이상의 감지량이 감지되면 상기 연결홀더에 상기 전기를 인가하는 캡슐형 소화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부는,
    상기 소화물질이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되는 캡슐형 소화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출공은,
    상기 소화물질이 화재가 발생한 일정부분에 집중되어 배출되도록 상기 소화부의 일부분에 형성되는 캡슐형 소화장치.
KR1020170069624A 2017-06-05 2017-06-05 발열 소화캡슐 및 이를 구비하는 캡슐형 소화장치 KR101945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624A KR101945476B1 (ko) 2017-06-05 2017-06-05 발열 소화캡슐 및 이를 구비하는 캡슐형 소화장치
PCT/KR2017/008267 WO2018225893A1 (ko) 2017-06-05 2017-08-01 소화캡슐 및 이를 구비하는 캡슐형 소화장치
EP17751979.0A EP3636324A4 (en) 2017-06-05 2017-08-01 FIRE EXTINGUISHING CAPSULE AND CAPSULE TYPE FIRE EXTINGUISHING DEVICE INCLUDING IT
US16/614,431 US11883701B2 (en) 2017-06-05 2017-08-01 Fire extinguishing capsule and capsule-type fire extinguishing device including same
US18/536,655 US20240100378A1 (en) 2017-06-05 2023-12-12 Fire extinguishing capsule and capsule-type fire extinguishing device including same
US18/536,666 US20240108928A1 (en) 2017-06-05 2023-12-12 Fire extinguishing capsule and capsule-type fire extinguishing device includ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624A KR101945476B1 (ko) 2017-06-05 2017-06-05 발열 소화캡슐 및 이를 구비하는 캡슐형 소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104A KR20180133104A (ko) 2018-12-13
KR101945476B1 true KR101945476B1 (ko) 2019-02-08

Family

ID=64671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9624A KR101945476B1 (ko) 2017-06-05 2017-06-05 발열 소화캡슐 및 이를 구비하는 캡슐형 소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54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823B1 (ko) 2020-01-28 2020-09-07 주식회사 지에프아이 소화용 마이크로캡슐을 활용한 소화제품 기반 소화 제어 시스템
KR20210117132A (ko) 2020-03-18 2021-09-28 주식회사 크로스카이 풍선타입 소화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061B1 (ko) * 2019-10-30 2020-09-08 주식회사 스펙스테크 라인형 소화용구
KR102393292B1 (ko) * 2021-10-27 2022-05-03 (주)대성 화재 진화수단을 구비한 안전 콘센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708B1 (ko) 2015-10-26 2016-06-09 김병열 캡슐 소화 장치
KR101643211B1 (ko) * 2016-02-12 2016-07-27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고체에어로졸 기폭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화 장치
US20170113081A1 (en) * 2012-02-24 2017-04-27 Job Lizenz Gmbh & Co. Kg Fire protection device for small electrical devic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13081A1 (en) * 2012-02-24 2017-04-27 Job Lizenz Gmbh & Co. Kg Fire protection device for small electrical devices
KR101628708B1 (ko) 2015-10-26 2016-06-09 김병열 캡슐 소화 장치
KR101643211B1 (ko) * 2016-02-12 2016-07-27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고체에어로졸 기폭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화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823B1 (ko) 2020-01-28 2020-09-07 주식회사 지에프아이 소화용 마이크로캡슐을 활용한 소화제품 기반 소화 제어 시스템
KR20210117132A (ko) 2020-03-18 2021-09-28 주식회사 크로스카이 풍선타입 소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104A (ko) 2018-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5435B1 (ko) 소화캡슐 및 이를 구비하는 캡슐형 소화장치
KR101945476B1 (ko) 발열 소화캡슐 및 이를 구비하는 캡슐형 소화장치
KR101985076B1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캡슐형 소화장치
JP2019061958A (ja) 熱暴走遅延バッテリハウジング
KR101628708B1 (ko) 캡슐 소화 장치
WO2017074026A1 (ko) 캡슐형 소화 장치
KR20210057278A (ko) 전기 차량용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소화방법 및 그 장치
WO2018225893A1 (ko) 소화캡슐 및 이를 구비하는 캡슐형 소화장치
KR102152823B1 (ko) 소화용 마이크로캡슐을 활용한 소화제품 기반 소화 제어 시스템
CN112448071A (zh) 用于防止电池爆炸的胶囊式灭火装置及具有其的电池
KR101915298B1 (ko) 파우치형 소화장치
KR102009032B1 (ko) 투척식 소화기가 구비된 수배전 설비
KR20170132457A (ko) 온도센서를 이용한 캡슐형 소화장치
PL243169B1 (pl) Automatyczny system chłodzenia i gaszenia ognia
KR20190134235A (ko) 소화물질의 상태변화 센싱이 가능한 소화 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소화 장치
US10105563B2 (en) Fire extinguish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US20220023688A1 (en) Extinguishing device for fitting on the housing of an electrical unit, on a monument in the cabin of an aircraft or in a cavity in the structure of an aircraft
JP2022551372A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用のエネルギー貯蔵アセンブリ装置
JP6732191B2 (ja) 電気機器の局所過熱の結果として生じる火災前状態を警告するためのデバイス
KR101915103B1 (ko) 블리스터형 소화장치
CN113134194A (zh) 灭火贴
KR101126543B1 (ko) 공기의 팽창압력에 의한 분말 소화장치
CN108028002B (zh) 检测由电路故障引起的火灾前情况的方法
KR102136262B1 (ko) 자동 확산형 소화장치
JP2014183736A (ja) 少なくとも1つの故障状態を検出するための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