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5103B1 - 블리스터형 소화장치 - Google Patents

블리스터형 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5103B1
KR101915103B1 KR1020170146637A KR20170146637A KR101915103B1 KR 101915103 B1 KR101915103 B1 KR 101915103B1 KR 1020170146637 A KR1020170146637 A KR 1020170146637A KR 20170146637 A KR20170146637 A KR 20170146637A KR 101915103 B1 KR101915103 B1 KR 101915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ister
fire
extinguishing
typ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열
Original Assignee
김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열 filed Critical 김병열
Priority to KR1020170146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51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5/00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 A62C5/02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of foam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75/3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or blank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formed of relatively stiff flat sheet material, e.g. blister packages, the recess or recesses being preform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61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 B65D81/3266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separated by a common rupturable seal, a clip or other removable fastening devi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블리스터형 소화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블리스터형 소화장치는 열이 가해지면 팽창되는 소화물질,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에서 돌출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내부에 상기 소화물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블리스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화물질이 팽창되면 파열되어 상기 소화물질이 배출되는 포장체 및 상기 포장체를 대상체에 부착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리스터형 소화장치{BLISTER TYPE FIRE EXTINGUISHER}
이하의 설명은 블리스터형 소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실, 건조실, 세탁소, 대량화기취급소의 일반지역이나 음식점, 다중이용업소, 호텔, 기숙사, 의료시설, 업무시설, 공장 등이 주방과 같은 주방지역이나 변전실, 송전실, 변압기실, 제어반, 분전반과 같은 전기설비지역에서는 항상 화재의 위험성이 도사리고 있으며, 언제든지 화재가 발생될 위험성에 노출되어 있다.
화재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지역에는 통상 스프링클러 등의 자동으로 동작하는 소화시설을 설치하여 둠으로써 화재의 초기진압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자동으로 동작하는 대부분의 소화시설은 천장에 설치되어 전기화재의 발화점인 전자기기와는 상당한 거리가 있어서, 전기 화재를 조기에 감지하지 못하거나 화재 진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소화시설은 설치에 따른 비용부담이 가중되고 있으며, 소화시설의 오작동에 의해 발생된 화재의 초기진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소화시설은 자동차, 비행기 등의 이동수단 또는 협소한 공간에는 소화시설이 설치되기 어려웠다. 따라서, 이러한 이동수 또는 협소한 공간에는 소화시설로 소화기가 사용된다. 소화기는 화재의 초기단계에서 소화제가 갖는 냉각 또는 공기차단 등의 효과를 이용해서 불을 끄는, 운반할 수 있는 기구를 가리킨다. 소화기는 사용하는 약제 또는 그 메커니즘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으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소화기는 포말소화기(泡沫消火器), 분말소화기, 할론소화기, 이산화탄소 소화기 등이다. 하지만 소화기는 사용자가 화재사고를 인지하고, 안전핀을 제거하고 분사손잡이를 조작하여야만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지역에서 화재사고의 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화재감지기가 화재로 발생하는 연기 및 불꽃을 감지하여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알리고, 소화기를 이용하여 화재를 진화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화재발생 시 긴급히 소화기를 검색하고 화재를 진압하여야 하기 때문에 조속한 화재진압이 어려워 화재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실시 예의 목적은, 휴대가 간편하고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장소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블리스터형 소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별다른 센서 없이도 화재발생 시 소화물질이 방출되어 화재를 조기에 진화할 수 있는 블리스터형 소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화재발생 시 초기 대응시간인 골든 타임을 연장시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감소시키는 블리스터형 소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 예들에 따른 블리스터형 소화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블리스터형 소화장치는 열이 가해지면 팽창되는 소화물질,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에서 돌출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내부에 상기 소화물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블리스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화물질이 팽창되면 파열되어 상기 소화물질이 배출되는 포장체 및 상기 포장체를 대상체에 부착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이면에 구비되어 상기 포장체를 상기 대상체에 부착시키는 접착부 및 상기 접착부에 점착되는 이형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양측면을 파지하는 복수의 파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부를 고정하는 고정판, 일단이 상기 고정판의 양 끝단을 힌지형태로 결합되는 결합암 및 상기 결합암의 타단을 대상체에 고정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블리스터부는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복수의 블리스터부 각각이 분리되도록 힘이 가해지면 분할되는 절취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블리스터부는, 일면에 상기 수용공간을 확인하는 확인창이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블리스터부는, 각각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블리스터부는, 각 모서리에 상기 포장체보다 먼저 파열되는 파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블리스터부는, 반구, 타원 또는 원통형의 돔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블리스터부는, 상기 돔형상의 표면에 상기 포장체보다 먼저 파열되는 파열부가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 휴대가 간편하고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장소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별다른 센서 없이도 화재발생 시 소화물질이 방출되어 화재를 조기에 진화할 수 있다.
또한, 화재발생 시 초기 대응시간인 골든 타임을 연장시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리스터형 소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별로 분리된 블리스터형 소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별로 분리된 블리스터형 소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별로 분리된 블리스터형 소화장치의 설치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블리스터형 소화장치의 설치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개별로 분리된 블리스터형 소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블리스터형 소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별로 분리된 블리스터형 소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별로 분리된 블리스터형 소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블리스터형 소화장치(1)는 소화물질(10), 포장체(20) 및 고정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소화물질(10)은 열이 가해지면 팽창한다. 다시 말하면, 소화물질(10)은 가열 시 기화되는 다양한 물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소화물질(10)은 가열되어 팽창되면, 포장체(20)를 뚫고 방출되어 화재를 진화할 수 있다. 이러한, 소화물질(10)은 플루오르화 케톤을 포함할 수 있다.
플루오르화 케톤은 무색 무취에다 점성이 물과 거의 비슷하고, 무게가 물보다 1.7배 무겁다. 플루오르화 케톤은 전자제품을 담갔을 때 이물질을 구성하는 불소가 안정된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전기가 통하지 않고, 접촉한 물질과 산화 등의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다. 또한, 플루오르화 케톤을 화재현장에 분사 했을 때, 불과 연기와 접촉함과 동시에 빠르게 증발하기 때문에 열기는 빼앗으면서도 사물에 남지는 않기 때문에 전자제품의 화재 진화에 효과적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소화물질(10)은 액상의 플루오르화 케톤과 고체상태의 소화물질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고체의 소화물질은 드라이 케미칼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드라이 케미칼 분말은 대부분의 화재에 모두 사용 가능하며, 가격이 저렴하여 널리 사용된다.
포장체(20)는 베이스부(21), 블리스터부(22)를 포함한다.
포장체(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형상의 베이스부(21)에 블리스터부(22)가 복수개가 직렬 또는 병렬로 형성된다. 베이스부(21)는 복수의 블리스터부(22) 각각이 분리되도록 힘이 가해지면 분할되는 절취부(211)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절취부(211)는 베이스부(21)의 두께보다 적은 두께로 형성되는 선형의 홈일 수 있다. 절취부(211)는 각각의 블리스터부(22) 사이에 직렬 또는 병렬로 형성된다. 포장체(20)는 절취부(211)를 따라 절단되어 각각의 블리스터부(22)로 분리된다. 일 실시 예에서는 절취부(211)가 선형의 홈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점선형태 등의 절취부(211)를 따라 절취가 용이한 모든 형상이 가능할 수 있다
블리스터형 소화장치(1)는 복수의 블리스터부(22)가 포함된 베이스부(21)로 구성되어, 보관이 간편하며 운반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블리스터형 소화장치(1)는 절취부(211)를 따라 블리스터부(22)가 개별로 분리되어 개별로 분리된 블리스터형 소화장치(1)가 부피가 작기 때문에 대상체(H) 및 대상체(H) 주변에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취부(211)를 따라 절취된 개별 포장체(20)는 베이스부(21)에 개별적인 블리스터부(22)를 포함한다.
베이스부(21)는 평판형상일 수 있다. 베이스 부는PP(polypropylene), OPP(oriented polypropylene), PVC(polyvinyl chlorid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의 재질일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21)는 자외선을 차단하고, 소화물질(10)을 외부의 열로부터 보호하는 알루미늄이 코팅될 수 있다.
블리스터부(22)는 베이스부(21)의 일면에서 돌출되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블리스터부(22)는 돌출되는 형상의 내부에 소화물질(10)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블리스터부(22)는 저면에 평판형상의 림(RIM)(221)이 형성된다. 림(221)의 둘레는 분리된 베이스부(21)와 동일한 둘레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림(221)은 베이스부(21)와 접합되어 블리스터부(22)를 베이스부(21)에 결합시킨다.
블리스터부(22)는 베이스부(21)와 동일한 재질일 수 있다. 블리스터부(22)는 소화물질(10)이 팽창되면 파열되어 소화물질(10)이 블리스터부(22)의 수용공간을 뚫고 배출된다. 이러한, 블리스터부(22)의 파단강도는 블리스터부(22)와 베이스부(21)의 접착강도보다 약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블리스터부(22)는 블리스터부(22)와 베이스부(21)의 접합이 떨어지기 전에 파열되어 소화물질(10)을 배출할 수 있다.
블리스터부(22)는 일면에 수용공간을 확인하는 확인창(222)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2를 기준으로 블리스터부(22)의 상면에는 수용공간을 확인하는 확인창(222)이 형성된다.
확인창(222)은 블리스터부(22)에 수용되는 소화물질(10)을 상태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창(222)은 내부가 확인되는 투명한 모든 재질이 가능할 수 있다.확인창(222)은 블리스터부(22)의 다른 부분보다 얇게 형성되어 블리스터부(22)의 파열보다 먼저 파열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도록 확인창(222)의 일면에 보호필름(223)이 배치될 수 있다.
보호필름(223)은 확인창(222)에 부착되어 보호필름(223)과 확인창(222)의 파단강도가 블리스터부(22)의 파단강도와 동일한 강도 또는 더 강한 강도를 형성함으로써, 블리스터부(22)의 파열 시, 확인창(222)이 같이 파열되거나 블리스터부(22)가 먼저 파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블리스터부(22)는 각 모서리에 블리스터부(22)보다 먼저 파열되는 파열부(224)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블리스터부(22)는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블리스터부(22)는 소화물질(10)이 열에 의해 팽창되면 블리스터부(22)의 파열을 앞당기고 배출되는 방향성을 가지게 하기 위해 각 모서리의 파열부(224)가 형성될 수 있다.
파열부(224)는 블리스터부(22)의 각 모서리가 라운드가 된 경우에는 라운드와 면이 만나는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파열부(224)는 라운드와 접하여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파열부(224)는 블리스터부(22)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파열부(224)는 블리스터부(22)의 모서리에 선형의 홈형태로 형성되어, 블리스터부(22)의 두께를 감소시킴으로써, 파열부(224)가 형성된 지점의 파단강도를 약하게 형성한다. 파열부(224)는 선형일 수 있으며, 점선형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파열부(224)는 블리스터부(22)의 내부 또는 외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 및 외부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파열부(224)는 열원과 가까운 지점에서 먼저 파열이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열부(224)는 화기에 의해 파단강도가 약해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파열부(224)는 화염과 가까운 부분이 먼저 파열되어 소화물질(10)의 분사방향이 화재 발생지점으로 방향성을 가지게 된다.
고정부(30)는 접착부(31) 및 이형지(32)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부(31)는 베이스부(21)의 이면에 구비되어 포장체(20)를 대상체(H)에 부착시킨다. 접착부(31)는 양면테이프 등의 부착형태 일 수 있으며, 또한, 접착부(31)는 접착제가 베이스부(21)에 도포되는 형태도 가능할 수 있다.
이형지(32)는 접착부(31)에 점착된다. 이형지(32)는 블리스터형 소화장치(1)의 설치 전에 접착부(31)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보호한다. 이형지(32)는 블리스터형 소화장치(1)의 설치 시 제거되고 노출된 접착부(31)를 대상체(H)에 부착함으로써 간단하게 블리스터형 소화장치(1)의 설치가 가능하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개별로 분리된 블리스터형 소화장치의 설치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블리스터형 소화장치(1)는 콘센트 등의 대상체(H)에 부착된다. 블리스터형 소화장치(1)는 접착부(31)가 대상체(H) 또는 대상체(H) 주변의 벽에 부착되는 간단한 구조일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블리스터부(22)가 형성된 블리스터형 소화장치(1)를 절취부(211)를 통해 나누고 개별로 분리된 블리스터형 소화장치(1)를 간단하게 대상체(H)의 주변에 부착할 수 있다.
개별로 분리되어 대상체(H)에 설치된 블리스터형 소화장치(1)는 화재발생 시 소화물질(10)이 팽창하게 된다. 이 경우, 개별 블리스터형 소화장치(1)는 파열부(224)가 화재와 가까운 부분부터 파열되어 소화물질(10)을 화재방향으로 배출한다.
따라서, 개별로 분리된 블리스터형 소화장치(1)는 간단하게 배치되어 화재의 초기 진압을 할 수 있다. 또한, 화재의 완벽한 진압이 이루어 지지 않는다 하더라도, 화재 진압의 골든타임을 확보하여 인명 및 재산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블리스터형 소화장치(2)는 소화물질(10), 포장체(20) 및 고정부(40)를 포함한다.
소화물질(10) 및 포장체(20)는 일실시예와 비교하여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고정부(40)는 브라켓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40)는 고정판(41), 결합암(42) 및 결합부재(43)를 포함한다.
고정판(41)은 판몸체(411), 파지부(412) 및 힌지핀(413)을 포함한다.
고정판(41)은 베이스부(21)를 고정한다. 예를 들어, 고정판(41)은 베이스부(21)의 상면 또는 저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평판 형상의 판몸체(411)를 구비한다. 이다. 판몸체(411)는 베이스부(21)의 이면 즉 저면을 지지하여 베이스부(21)를 보호한다. 또한, 판몸체(411)는 베이스부(21)의 일면에 접착부(31)가 형성되는 경우 판몸체(411)에 베이스부(21)가 접착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파지부(412)는 판몸체(411)의 양측면에서 베이스부(21)의 양측면을 파지하기 위해 복수 개가 구비된다. 파지부(412)는 바형상으로 일부가 절곡된 형상일 수 있다. 파지부(412)는 절곡된 부분으로 베이스부(21)의 상면을 고정하여 베이스부(21)가 고정판(41)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힌지핀(413)은 판몸체(411)의 파지부(412)가 형성된 양측면과 수직한 양측면에 형성된다. 힌지핀(413)은 원기둥 형상으로 후술하는 결합암(42)과 힌지형태로 연결된다.
결합암(42)은 결함암 몸체(421), 힌지(422) 및 결합홀(423)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함암 몸체(421)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바형상이다. 결합암 몸체(421)는 일부가 절곡된 형상일 수 있다. 결합암 몸체(421)의 일단은 원통형상의 힌지(422)가 형성된다.
힌지(422)는 힌지핀(413)을 연결하여 고정판(41)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힌지(422)는 고정판(41)이 회전 가능하되 회전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힌지(422)는 힌지핀(413)을 억지 끼워 맞춤형태로 결합하여 회전된 고정판(41)이 각도를 유지하며 고정될 수 있다.
결합암 몸체(421)의 타단은 절곡되어 대상체(H)에 고정된다. 결합암 몸체(421)의 타단은 결합부재(43)가 결합되는 결합홀(423)이 형성된다. 결합암 몸체(421)의 타단은 결합홀(423)에 결합되는 결합부재(43)에 의해 대상체(H)에 고정된다. 여기서, 결합부재(43)는 나사 못 등일 수 있다.
이외에도 고정부는 다양한 브라켓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블리스터형 소화장치의 설치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개별적으로 분리된 블리스터형 소화장치(2)는 대상체(H) 또는 대상체(H)의 주변에 설치된다. 고정부(40)가 브라켓 형태로 구비된 블리스터형 소화장치(2)는 블리스터부(22)의 돌출방향이 대상체(H)를 향하도록 설치가 가능하다. 이러한 블리스터형 소화장치(2)는 대상체(H)에 화재가 발생하면 블리스터부(22)가 대상체(H)를 향하고 있어서 파열부(424)의 파열이 균일하게 일어날 수 있고, 소화물질(10)이 대상체(H) 방향으로 분사되어 화재 진압에 효과적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리스터형 소화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개별로 분리된 블리스터형 소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7을 참조하면, 블리스터형 소화장치(3)는 소화물질(10), 포장체(50) 및 고정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소화물질(10) 및 고정부(30)는 일 실시 예 및 다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포장체(50)는 베이스부(21), 블리스터부(51)를 포함한다.
베이스부(21)는 일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블리스터부(51)의 림(511), 확인창(512) 및 보호필름(513)은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블리스터부(51)는 반구형의 돔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블리스터부(51)가 반구형의 돔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파열부(514)는 돔형상의 표면에 복수 개가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파열부(514)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으며 소화물질(10)의 배출방향에 따라 달라진다. 블리스터부(51)의 반구형의 돔형상인 경우에는 모서리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복수의 파열부(514)를 방사상으로 형성하여 소화물질(10)의 배출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블리스터부(51)의 형상은 일 실시예 및 또 다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타원 또는 원통형 돔형상, 사면체 등의 소화물질(10)을 포장하기 위한 모든 형태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파열부(514)는 각 형상에 따라 방사상 또는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 휴대가 간편하고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장소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별다른 센서 없이도 화재발생 시 소화물질이 방출되어 화재를 조기에 진화할 수 있다.
또한, 화재발생 시 초기 대응시간인 골든 타임을 연장시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 2, 3: 블리스터형 소화장치 10: 소화물질
20, 50: 포장체 21: 베이스부
211: 절취부 22, 51: 블리스터부
221: 림 222: 확인창
223: 보호필름 224, 514: 파열부
30, 40: 고정부 31: 접착부
32: 이형지 41: 고정판
411: 판몸체 412: 파지부
413: 힌지핀 42: 결합암
421: 결합암 몸체 422: 힌지
423: 결합홀 43: 결합부재

Claims (10)

  1. 열이 가해지면 팽창되는 소화물질;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일면에서 돌출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내부에 상기 소화물질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블리스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화물질이 팽창되면 파열되어 상기 소화물질이 배출되는 포장체; 및
    상기 베이스부의 양측면을 파지하는 복수의 파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부를 고정하는 고정판과, 일단이 상기 고정판의 양 끝단에 힌지형태로 결합되는 결합암 및 상기 결합암의 타단을 대상체 또는 상기 대상체 주변에 고정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브라켓 형태로 구비되는 고정부;
    를 포함하는 블리스터형 소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이면에 구비되는 접착부;
    를 포함하는 블리스터형 소화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리스터부는 복수개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복수의 블리스터부 각각이 분리되도록 힘이 가해지면 분할되는 절취부가 형성되는 블리스터형 소화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리스터부는,
    일면에 상기 수용공간을 확인하는 확인창이 형성되는 블리스터형 소화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리스터부는,
    각각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블리스터형 소화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블리스터부는,
    각 모서리에 상기 포장체보다 먼저 파열되는 파열부가 형성되는 블리스터형 소화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리스터부는,
    반구, 타원 또는 원통형의 돔형상으로 형성되는 블리스터형 소화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블리스터부는,
    상기 돔형상의 표면에 상기 포장체보다 먼저 파열되는 파열부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블리스터형 소화장치.
KR1020170146637A 2017-11-06 2017-11-06 블리스터형 소화장치 KR101915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637A KR101915103B1 (ko) 2017-11-06 2017-11-06 블리스터형 소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637A KR101915103B1 (ko) 2017-11-06 2017-11-06 블리스터형 소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5103B1 true KR101915103B1 (ko) 2018-11-05

Family

ID=64328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637A KR101915103B1 (ko) 2017-11-06 2017-11-06 블리스터형 소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51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491B1 (ko) * 2018-11-27 2019-08-09 조연규 차량용 화재 진압장치
RU2810999C1 (ru) * 2023-02-14 2024-01-09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ПАКГРАД" Пищевая емкость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7016A (ja) * 2001-10-12 2003-04-22 Grand Forum:Kk 消火用具
KR200316817Y1 (ko) * 2003-03-11 2003-06-18 김성훈 1회용 소화기
KR200378425Y1 (ko) * 2004-12-30 2005-03-16 심상옥 확인창이 마련된 소화기
JP2009161188A (ja) * 2007-12-28 2009-07-23 News Chef株式会社 電子レンジ用調理液封入袋体
KR101628708B1 (ko) * 2015-10-26 2016-06-09 김병열 캡슐 소화 장치
JP2017001679A (ja) * 2015-06-05 2017-01-05 凸版印刷株式会社 平パウチ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7016A (ja) * 2001-10-12 2003-04-22 Grand Forum:Kk 消火用具
KR200316817Y1 (ko) * 2003-03-11 2003-06-18 김성훈 1회용 소화기
KR200378425Y1 (ko) * 2004-12-30 2005-03-16 심상옥 확인창이 마련된 소화기
JP2009161188A (ja) * 2007-12-28 2009-07-23 News Chef株式会社 電子レンジ用調理液封入袋体
JP2017001679A (ja) * 2015-06-05 2017-01-05 凸版印刷株式会社 平パウチ
KR101628708B1 (ko) * 2015-10-26 2016-06-09 김병열 캡슐 소화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491B1 (ko) * 2018-11-27 2019-08-09 조연규 차량용 화재 진압장치
RU2810999C1 (ru) * 2023-02-14 2024-01-09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ПАКГРАД" Пищевая емкост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5076B1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캡슐형 소화장치
KR101945435B1 (ko) 소화캡슐 및 이를 구비하는 캡슐형 소화장치
KR101628708B1 (ko) 캡슐 소화 장치
US20080190627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tecting an Object Against Fire
KR101170083B1 (ko) 분배전반 자동 소화 장치
JP5813119B2 (ja) ガス発生器
US10518119B2 (en) Compact miniature fire-extinguishing and/or fire-protection device
US3713491A (en) Fire protection apparatus
JP6499197B2 (ja) 火気抑制剤を供給する方法
KR102157992B1 (ko) 소화물질의 상태변화 센싱이 가능한 소화 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소화 장치
KR101945476B1 (ko) 발열 소화캡슐 및 이를 구비하는 캡슐형 소화장치
KR101915103B1 (ko) 블리스터형 소화장치
KR20110089843A (ko) 소화장치 및 화재 관리 시스템
US20190344109A1 (en) Fire suppression system
KR101915298B1 (ko) 파우치형 소화장치
US20220016459A1 (en) Aerosol fire suppression materials, systems and methods of implementation
KR101719492B1 (ko) 열감응 자동 소화 장치
WO2008053254A1 (en) Automatic emerging fire extinguisher
US20080289832A1 (en) Automatic Directional Fire Suppression Device
US6136423A (en) Fire fighting apparatus
KR101926062B1 (ko) 초기 화재진압이 가능한 수배전반
JP5864593B2 (ja) 危険制御およびシグナリング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RU2283149C1 (ru) Модуль двухпорогового режима работы и автомат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RU2671122C1 (ru) Способ противопожарной защиты складов со стеллажным хранением и устройство сигнально-пусковое автономное автоматическое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пособа
US20130065082A1 (en) Container fire suppress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