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5435B1 - 소화캡슐 및 이를 구비하는 캡슐형 소화장치 - Google Patents

소화캡슐 및 이를 구비하는 캡슐형 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5435B1
KR101945435B1 KR1020170069625A KR20170069625A KR101945435B1 KR 101945435 B1 KR101945435 B1 KR 101945435B1 KR 1020170069625 A KR1020170069625 A KR 1020170069625A KR 20170069625 A KR20170069625 A KR 20170069625A KR 101945435 B1 KR101945435 B1 KR 1019454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inguishing
fire
capsule
extinguishing material
p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9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3105A (ko
Inventor
김병열
Original Assignee
김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열 filed Critical 김병열
Priority to KR1020170069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5435B1/ko
Priority to US16/614,431 priority patent/US11883701B2/en
Priority to PCT/KR2017/008267 priority patent/WO2018225893A1/ko
Priority to EP17751979.0A priority patent/EP3636324A4/en
Publication of KR20180133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435B1/ko
Priority to US18/536,666 priority patent/US20240108928A1/en
Priority to US18/536,655 priority patent/US2024010037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007Solid extinguishing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소화캡슐 내부에 복수의 소화물질을 격리하여 여러 화재의 종류에 대해 진화가 가능하며, 화재 발생시 조기에 화재를 진화할 수 있는 소화캡슐 및 이를 구비하는 캡슐형 소화장치를 개시한다. 소화캡슐은 화재를 진화하는 제1소화물질, 온도가 상승하면 팽창하는 제2소화물질, 제1소화물질 및 제2소화물질을 내부에 수용하는 포켓 및 포켓의 내부에서 제1소화물질과 제2소화물질을 각각 격리하고, 제2소화물질이 팽창하면 제2소화물질을 제1소화물질 쪽으로 통과시키는 분할막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소화캡슐 및 이를 구비하는 캡슐형 소화장치 {Extinguish capsule and Capsule type fire extinguish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소화캡슐 내부에 복수의 소화물질을 격리하여 여러 화재의 종류에 대해 진화가 가능하며, 화재 발생시 조기에 화재를 진화할 수 있는 소화캡슐 및 이를 구비하는 캡슐형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를 구동력으로 사용되는 장치들이 많아지며 전기 콘센트, 스위치박스, 전등기구, 전자제품 들에서 단락으로 인한 화재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화재사고의 피해를 화재 감지기가 화재로 방생하는 연기 및 불꽃을 감지하여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알리고, 소화시설을 이용하여 화재를 진화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화재발생시 소화시설을 검색하고 화재를 진화하여야 하기 때문에 조속한 화재진화가 어려워 화재가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기술 한국등록실용 제0403500호는 특고압케이블 전기화재 시 케이블 접속부 및 단자접속부 아크열에 의한 폭발화재확산을 차단하는 전기화재방지용 발포소화 내부시트와 특고압케이블 접속부의 폭발에 따른 열과 압력를 막아주는 방폭소화 외부시트와 특고압케이블의 열을 자동으로 측정하는 디지털 열 센서 온도테이프와 전기화재 진동, 충격 완화용 지퍼와 전기화재방지용 방폭소화 외부시트에 타이밴드식 부착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재방지용 방폭 소화시트를 제시한 적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전기장치의 열화진행만 일시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이며, 전기설비의 외부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진화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지기 때문에, 결국, 화재를 진화하기 위해선 화재 현장을 확인 후 소화시설에서 소화장치를 운송 후 화재를 진화해야 하므로, 화재 확산을 방지할 수 없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따라서, 화재 발생 위치에 간단하게 설치가능하며, 화재에 대응하여 소화물질을 자동 방출함으로써, 화재를 조기에 진화할 수 있는 소화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화재발생시 초기 대응시간이 골든 타임을 연장시켜, 인명 및 재산피해를 줄일 수 있는 소화캡슐 및 이를 구비하는 캡슐형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화재의 열에 반응하여 자동으로 소화액을 방출할 수 있는 소화캡슐 및 이를 구비하는 캡슐형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복수의 소화물질을 격리시키고 화재 발생시에만 복수의 소화물질을 혼합하여 여러 화재의 종류에 대해 진화가 가능할 수 있는 소화캡슐 및 이를 구비하는 캡슐형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캡슐 및 이를 구비하는 캡슐형 소화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소화캡슐은 화재를 진화하는 제1소화물질, 온도가 상승하면 팽창하는 제2소화물질, 상기 제1소화물질 및 상기 제2소화물질을 내부에 수용하는 포켓 및 상기 포켓의 내부에서 상기 제1소화물질과 상기 제2소화물질을 각각 격리하고, 상기 제2소화물질이 팽창하면 상기 제2소화물질을 상기 제1소화물질 쪽으로 통과시키는 분할막을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2소화물질은 액상형태로 구비되어 온도가 상승하면 기화되어 팽창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분할막은 상기 액상의 제2소화물질은 통과시키지 않고, 상기 기화된 제2소화물질을 통과시키는 다공성 재질일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분할막은 상기 제2소화물질이 팽창하면 상기 포켓보다 먼저 파열되는 파열선이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포켓은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명창이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포켓은 상기 소화물질이 팽창하면 상기 투명창이 먼저 파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포켓은 내부 면 또는 외부 면에 요철부가 형성될 수 있다.
캡슐형 소화장치는 내부에 화재 진화를 위한 복수의 소화물질이 격리되어 수용되는 소화캡슐 및 상기 소화캡슐을 내부에 수납하고, 상기 소화물질이 배출되도록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소화캡슐은 화재를 진화하는 제1소화물질, 온도가 상승하면 팽창하는 제2소화물질, 상기 제1소화물질 및 상기 제2소화물질을 내부에 수용하는 포켓 및 상기 포켓의 내부에서 상기 제1소화물질과 상기 제2소화물질을 각각 격리하고, 상기 제2소화물질이 팽창하면 상기 제2소화물질을 상기 제1소화물질 쪽으로 통과시키는 분할막을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2소화물질은 액상형태로 구비되어 온도가 상승하면 팽창하여 기화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분할막은 상기 액상의 제2소화물질은 통과시키지 않고, 상기 기화된 제2소화물질을 통과키는 다공성 재질일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분할막은 상기 제2소화물질이 팽창하면 상기 포켓보다 먼저 파열되는 파열선이 형성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은 상기 소화물질이 화재가 발생한 일정부분에 집중되어 배출되도록, 상기 복수의 배출공이 상기 하우징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화재발생시 초기 대응시간이 골든 타임을 연장시켜, 인명 및 재산피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화재의 열에 반응하여 자동으로 소화액을 방출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소화물질을 격리시켜, 화재 발생시에만, 복수의 소화물질을 혼합하여 여러 화재의 종류에 대해 진화가 가능할 수 있다.
도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소화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캡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캡슐의 포켓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캡슐의 투명창의 모습으로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캡슐의 투명창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할막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7은 실시예들에 따른 캡슐형 소화장치의 작동모습의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소화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캡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1내지 도2를 참조하면, 캡슐형 소화장치(10)는 하우징(100) 및 제1소화물질(210) 및 제2소화물질(220)을 수용하는 소화캡슐(2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소화캡슐(200)을 내부에 수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0)은 소화캡슐(200)을 내부에 구비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형태는 제한되지 않으며, 제1소화물질(210) 및 제2소화물질(220)이 배출되도록 복수의 배출공(110)이 형성되어 제1소화물질(210) 및 제2소화물질(220)이 배출되어 화재를 효과적으로 진화할 수 있는 형상이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0)은 복수의 배출공(110)에서 배출되는 제1소화물질(210) 및 제2소화물질(220)이 화재발생이 예측되는 부분에 집중되도록, 하부의 단면이 점차적으로 줄어드는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00)의 구조는 배출공(110)이 하향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는 형상으로 배치되어, 배출되는 제1소화물질(210) 및 제2소화물질(220)이 하향방향으로 집중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공(110)은 제1소화물질(210) 및 제2소화물질(220)이 팽창되어 소화캡슐(200)을 뚫고 배출되면, 제1소화물질(210) 및 제2소화물질(220)을 하우징(100) 외부로 방출하기 위해 하우징(10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도록 복수 개로 개구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배출공(110)은 제1소화물질(210) 및 제2소화물질(220)이 화재가 발생한 일정부분에 집중되어 배출되도록, 하우징(100)의 일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콘센트, 가스레인지 등 화재발생이 예측되는 부분의 상측에 배치된 캡슐형 소화장치(10)의 길이방향이 상하방향일 경우, 복수의 배출공(110)은 하우징(100)의 외주면을 따라 하부에 집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배출공(110)은 제1소화물질(210) 및 제2소화물질(220)의 배출을 하측으로 집중시켜 하우징(100)의 하측에 발생하는 화재의 진화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하우징(100)의 내부 수용공간에는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 소화캡슐(20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가 끼워지는 고정부(120)가 형성되어, 소화캡슐(200)의 유동을 최소화하고, 내부에 소화캡슐(200)을 내부 면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일면에 벽, 배관 등의 임의의 장소에 결합되어 탈착 및 부착이 용이하도록 탈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탈착부는 양면 테이프, 접착필름 및 브라켓과 나사 등 다양한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액체 또는 반액체 상태에서 고체화되며 두 개의 대상을 서로 접합하는 다양한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소화캡슐(200)은 제1소화물질(210), 제2소화물질(220), 포켓(230) 및 분할막(2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소화물질(210)은 화재를 진화하는 약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소화물질(210)은 다양한 화학 약재로 된 미세 분말일 수 있다. 이러한, 제1소화물질(210)은 드라이 케미칼 분말일 수 있다. 드라이 케미칼 분말로 구성된 제1소화물질(210)은 대부분의 화재에 모두 사용 가능하며, 가격이 저렴하여 가장 널리 사용될 수 있다.
제2소화물질(220)은 온도가 상승하면 팽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소화물질(220)은 가열 시 기화되는 다양한 물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제2소화물질(220)은 플루오르화 케톤액 노백 1230일 수 있다. 이러한, 제2소화물질(220)은 최초에 액상상태로 구비되어 온도가 상승하면 기화되어 팽창될 수 있다.
포켓(230)은 알루미늄으로 UV(자외선 차단)코팅되어,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고, 소화캡슐(200)을 열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소화캡슐(200)의 응축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포켓(230)은 제1소화물질(210) 및 제2소화물질(220)로 자외선이 입사되어 소화물질의 화학적 변형을 방지하고, 제1소화물질(210) 및 제2소화물질(220)이 자외선에 의해 가열되어 팽창하는 정도가 원하는 상황에서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포켓(230)에 알루미늄을 코팅하는 방법은 한정하지 않는다.
포켓(230)은 외면의 일부 또는 전체에 열이 가해지면 자연 발화되는 천연 방화성 물질이 코팅될 수 있다. 포켓(230)은 화재 발생으로 인해, 포켓(230)의 외면에 열이 가해지면 천연 방화성 물질이 발화되며 포켓(230)의 내부에 열을 더 가하여 제2소화물질(220)의 팽창속도를 향상시켜, 제1소화물질(210) 및 제2소화물질(220)의 배출이 더 빨라질 있어 소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캡슐의 포켓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포켓(230)은 복수의 요철부(231)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철부(231)는 포켓(230) 내부 전체에 복수로 형성되어 소화물질(210, 220)의 팽창 시, 포켓(230)의 파열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즉, 소화물질(210, 220)이 팽창되면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내구성이 가장 약한 포켓(230)의 요(凹)부를 뚫고 외부로 방출 될 수 있다.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캡슐의 투명창의 모습으로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캡슐의 투명창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4 내지 도5를 참조하면, 투명창(232)은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형성된다. 투명창(232)의 형상은 내부의 제1소화물질(210) 및 제2소화물질(220)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형태면 될 수 있으며, 그 형태는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제1소화물질(210)의 특성상 제품의 사용기간이 경과되면 분말이 하나로 뭉쳐져 고체화될 수 있다. 또한, 제2소화물질(220)의 특성상 제품의 사용기간이 경과되면 액상의 소화물질이 자연기화 되기 때문에 포켓(230)의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투명창(232)은 제1소화물질(210) 및 제2소화물질(220)을 확인할 수 있어서, 소화캡슐의 교체시기를 파악할 수 있다.
보호필름(233)은 투명창(232)이 형성되는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얇게 형성되어 포켓(230)의 파열되는 시점보다 먼저 파열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도록 투명창(232)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호필름(233)은 투명창(232)의 두께를 보완하여, 제1소화물질(210) 및 제2소화물질(220)의 팽창으로 인한 포켓(230)의 파열이 전체에 균일하게 일어날 수 있다. 즉, 보호필름(233)은 투명창(232)에 부착되어 포켓(230)의 파단강도와 동일한 파단강도를 형성함으로써, 포켓(230)의 파열이 전체에 균일하게 일어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필름(233)은 투명창(232)의 크기와 동일하게 부착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호필름(233)이 투명창(232)보다 크게 형성되어 포켓(230)에 부착되는 형태도 가능할 수 있다.
다시 도2로 돌아와서, 설명하면, 포켓(230)의 양측 단부는 고정부(12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시밍(seaming)하여 강성을 향상시켜 고정부(120)에 고정될 수 있다. 포켓(230)의 양측 단부는 하우징(100)과 고정됨으로써, 소화캡슐(200)이 하우징에 대한 변위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제2소화물질(220)의 기화 시, 제1소화물질(210) 및 제2소화물질(220)이 지정된 방향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고정부(120)에 끼워진 소화캡슐(20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화캡슐(200)은 내부에 제1소화물질(210) 및 제2소화물질(220)이 구비되어 소화캡슐(2000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움직임이 발생될 경우 제1소화물질(210) 및 제2소화물질(220)이 이에 대응하여 팽창하여 사용자에게 불안감을 조성할 수 있고, 소화캡슐(200)이 파손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소화캡슐(200)의 움직임을 최소화 하였으며, 소화캡슐(200)이 하우징(100) 내부에 구비될 경우, 소화캡슐(200)이 지정된 위치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하우징(100) 내부 면과 이격 배치되지 않으면 제1소화물질(210) 및 제2소화물질(220)의 팽창 시, 팽창하는 소화캡슐(200)의 팽창부위가 하우징(100)의 내부 면에 압박되어 지정된 시점에 지정된 방향으로 제1소화물질(210) 및 제2소화물질(220)을 방출시킬 수 없으므로, 고정부(120)에 소화캡슐(20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를 끼워 소화캡슐(200)을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포켓(230)은 제1소화물질(210) 및 제2소화물질(220)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수용공간을 분할할 수 있는 분할막(240)이 배치된다.
분할막(240)은 포켓(230) 내부에서 제1소화물질(210) 및 제2소화물질(220)을 각각 격리하고, 제2소화물질(220)이 팽창하면 제2소화물질(220)을 제1소화물질(210) 쪽으로 통과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분할막(240)은 액체는 통과시키지 않고 기체만을 통과시키는 다공성 재질일 수 있다. 이러한, 분할막(240)은 멜라민 스폰지 재질일 수 있다. 멜라민 스폰지는 기체를 통과 시킬 수 있으며 화재로 인한 2차피해 즉 발화로 인한 유독가스의 배출이 없을 수 있다. 또한, 멜라민 스폰지는 수축 우려가 없을 수 있다.
도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할막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6을 참조하면, 분할막(250)은 제2소화물질(220)이 팽창하면 포켓(230)보다 먼저 파열되는 파열선(251)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할막(250)은 플라스틱 수지 재질일 수 있다. 분할막(250)은 포켓(230) 내부를 격리하는 형상일 수 있으며, 파열선(251)을 형성할 수 있다. 파열선(251)은 분할막(250)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제2소화물질(220)이 팽창하면 파열되어 제1소화물질(210)과 혼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파열선(251)은 분할막(25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 선형의 홈일 수 있다. 파열선(251)의 파단강도는 포켓(230)의 파단강도보다 낮게 형성되어 제2소화물질(220)이 팽창하면 포켓(230)보다 먼저 파열되어 제1소화물질(210)과 혼합되어, 포켓(230)이 파열되면 제1소화물질(210)과 제2소화물질(220)을 배출될 수 있다.
제1소화물질(210)은 고체 분말 형태이기 때문에 혼합되어 포켓(230)에 수용되는 경우 가라앉아 배출 시 덩어리져서 배출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소화물질(210)과 제2소화물질(220)이 배출직전에 혼합되어 배출되어 상기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소화물질(210)은 제2소화물질(220)과 혼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2소화물질(220)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도7은 실시예들에 따른 캡슐형 소화장치의 작동모습의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7을 참조하면, 캡슐형 소화장치(10)는 화재 발생시, 열이 발생하여 제2소화물질(220)이 팽창될 수 있다. 또한, 포켓(230) 외부에 도포된 천연 방화성 물질이 발화되며 포켓(230)의 내부에 열을 가해 제2소화물질(220)의 팽창이 가속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소화물질(220)은 기화되어 멜라닌 스펀지 재질의 분할막(240)을 통과하며 제1소화물질(210)과 혼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분할막(250)은 제2소화물질(220)의 팽창으로 파열선(251)을 따라 파열되며 제2소화물질과 제1소화물질이 혼합될 수 있다.
혼합된 제1소화물질(210) 및 제2소화물질(220)은 포켓(230)을 뚫고 방출될 수 있다. 포켓(230)을 뚫고 방출된 제1소화물질(210) 및 제2소화물질(220)은 배출공의 방향에 따라 일정 방향으로 배출되며 화재를 진화한다.
이러한, 분할막(240, 250)을 포함하는 소화캡슐(200) 및 이를 구비하는 캡슐형 소화장치(10)의 경우, 소화캡슐(200)이 복수의 소화물질(210, 220)을 포함할 수 있어, 일반화재(A급), 유류화재(B급) 및 전기 화재(C급) 등의 다양한 화재에 대해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르면 화재발생시 초기 대응시간이 골든 타임을 연장시켜, 인명 및 재산피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화재의 열에 반응하여 자동으로 소화액을 방출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소화물질을 격리시켜, 화재 발생시에만, 복수의 소화물질을 혼합하여 여러 화재의 종류에 대해 진화가 가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캡슐형 소화장치 100 : 하우징
110 : 배출공 120 : 고정부
200 : 포켓 210 : 제1소화물질
220 : 제2소화물질 230 : 포켓
231 : 요철부 232 : 투명창
23 : 보호필름 240, 250 : 분할막
251 : 파열선

Claims (13)

  1. 분말 형태이고, 화재를 진화하는 제1소화물질;
    온도가 상승하면 기화되어 팽창하는 플루오르화 케톤액을 포함하는 액상의 제2소화물질;
    상기 제1소화물질 및 상기 제2소화물질을 내부에 수용하는 포켓; 및
    상기 포켓의 내부에서 상기 제1소화물질과 상기 제2소화물질을 각각 격리하고, 상기 액상의 제2소화물질은 통과시키지 않고 상기 제2소화물질이 기화되어 팽창하면 기화된 제2소화물질만 상기 제1소화물질 쪽으로 통과시키며, 다공성 멜라닌 스폰지 재질로 형성되는 분할막;
    을 포함하고,
    제1소화물질은 제2소화물질의 상부에 위치되는 소화캡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은,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투명창이 형성되는 소화캡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은,
    상기 제2소화물질이 팽창하면 상기 투명창이 먼저 파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필름;
    을 더 포함하는 소화캡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은,
    내부 면 또는 외부 면에 요철부가 형성되는 소화캡슐.
  8. 내부에 화재 진화를 위한 복수의 소화물질이 격리되어 수용되는 소화캡슐; 및
    상기 소화캡슐을 내부에 수납하고, 상기 소화물질이 배출되도록 복수의 배출공이 형성되는 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소화캡슐은,
    분말 형태이고, 화재를 진화하는 제1소화물질;
    온도가 상승하면 기화되어 팽창하는 플루오르화 케톤액을 포함하는 액상의 제2소화물질;
    상기 제1소화물질 및 상기 제2소화물질을 내부에 수용하는 포켓; 및
    상기 포켓의 내부에서 상기 제1소화물질과 상기 제2소화물질을 각각 격리하고, 상기 액상의 제2소화물질은 통과시키지 않고 상기 제2소화물질이 기화되어 팽창하면 기화된 제2소화물질만 상기 제1소화물질 쪽으로 통과시키며, 다공성 멜라닌 스폰지 재질로 형성되는 분할막;
    을 포함하고,
    제1소화물질은 제2소화물질의 상부에 위치되는 캡슐형 소화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소화물질이 화재가 발생한 일정부분에 집중되어 배출되도록, 상기 복수의 배출공이 상기 하우징의 일부에 형성되는 캡슐형 소화장치.
KR1020170069625A 2017-06-05 2017-06-05 소화캡슐 및 이를 구비하는 캡슐형 소화장치 KR101945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625A KR101945435B1 (ko) 2017-06-05 2017-06-05 소화캡슐 및 이를 구비하는 캡슐형 소화장치
US16/614,431 US11883701B2 (en) 2017-06-05 2017-08-01 Fire extinguishing capsule and capsule-type fire extinguishing device including same
PCT/KR2017/008267 WO2018225893A1 (ko) 2017-06-05 2017-08-01 소화캡슐 및 이를 구비하는 캡슐형 소화장치
EP17751979.0A EP3636324A4 (en) 2017-06-05 2017-08-01 FIRE EXTINGUISHING CAPSULE AND CAPSULE TYPE FIRE EXTINGUISHING DEVICE INCLUDING IT
US18/536,666 US20240108928A1 (en) 2017-06-05 2023-12-12 Fire extinguishing capsule and capsule-type fire extinguishing device including same
US18/536,655 US20240100378A1 (en) 2017-06-05 2023-12-12 Fire extinguishing capsule and capsule-type fire extinguishing device includ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625A KR101945435B1 (ko) 2017-06-05 2017-06-05 소화캡슐 및 이를 구비하는 캡슐형 소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105A KR20180133105A (ko) 2018-12-13
KR101945435B1 true KR101945435B1 (ko) 2019-02-08

Family

ID=64671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9625A KR101945435B1 (ko) 2017-06-05 2017-06-05 소화캡슐 및 이를 구비하는 캡슐형 소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54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7132A (ko) 2020-03-18 2021-09-28 주식회사 크로스카이 풍선타입 소화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0190B1 (ko) * 2019-04-23 2020-03-02 주식회사 지에프아이 소화용 마이크로캡슐을 포함하는 소형 소화기 모듈
KR102011627B1 (ko) * 2019-05-28 2019-10-14 정인섭 소화캡슐을 포함하는 소화 도료 조성물
CN110223475A (zh) * 2019-05-30 2019-09-10 吴俊� 一种用于无人值守场所的消防设备网络远程联动授权装置
KR102237294B1 (ko) * 2019-06-26 2021-04-07 (주)수 캡슐형 소화약제를 이용한 2액형 초기화재진압용 에폭시계 도료 조성물 및 에어로졸형 에폭시계 도료 조성물
KR20210023207A (ko) * 2019-08-22 2021-03-04 (주)수 캡슐형 소화약제를 이용한 초기화재진압용 1액형 수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형 수성 도료 조성물
KR20210145037A (ko) 2020-05-22 2021-12-01 (주)컨셉션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화재진압시스템
KR20220036470A (ko) * 2020-09-16 2022-03-23 김병열 소화 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소화 장치
EP4008411B1 (en) 2020-12-04 2024-02-28 Marioff Corporation OY Sprinkler bulb
KR102612294B1 (ko) * 2020-12-29 2023-12-12 파이어킴에너지솔루션 주식회사 소화 캡슐 및 소화 장치
KR102642172B1 (ko) 2023-08-01 2024-02-29 주식회사 송학환경개발 산불 진화용 소화 성형체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소화 성형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708B1 (ko) 2015-10-26 2016-06-09 김병열 캡슐 소화 장치
KR101643211B1 (ko) * 2016-02-12 2016-07-27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고체에어로졸 기폭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화 장치
US20170113081A1 (en) * 2012-02-24 2017-04-27 Job Lizenz Gmbh & Co. Kg Fire protection device for small electrical devic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13081A1 (en) * 2012-02-24 2017-04-27 Job Lizenz Gmbh & Co. Kg Fire protection device for small electrical devices
KR101628708B1 (ko) 2015-10-26 2016-06-09 김병열 캡슐 소화 장치
KR101643211B1 (ko) * 2016-02-12 2016-07-27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고체에어로졸 기폭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화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7132A (ko) 2020-03-18 2021-09-28 주식회사 크로스카이 풍선타입 소화장치
KR102370402B1 (ko) * 2020-03-18 2022-03-04 주식회사 크로스카이 풍선타입 소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105A (ko) 2018-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5435B1 (ko) 소화캡슐 및 이를 구비하는 캡슐형 소화장치
KR101857775B1 (ko) 소화캡슐, 소화캡슐을 이용한 캡슐형 소화장치
KR101945476B1 (ko) 발열 소화캡슐 및 이를 구비하는 캡슐형 소화장치
US3833063A (en) Nonfragmenting pyrotechnic fire extinguisher
KR101628708B1 (ko) 캡슐 소화 장치
KR20180133103A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캡슐형 소화장치
JP5911497B2 (ja) インフレータに基づく消火
KR101170083B1 (ko) 분배전반 자동 소화 장치
JP5813119B2 (ja) ガス発生器
US20070158085A1 (en)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and method with gas generator and extinguishing agent
CN111346321B (zh) 一种隧道柔性阻燃抑爆系统
WO2017074026A1 (ko) 캡슐형 소화 장치
ES2676796T3 (es) Sistema de supresión y aislamiento
WO2018225893A1 (ko) 소화캡슐 및 이를 구비하는 캡슐형 소화장치
KR102152823B1 (ko) 소화용 마이크로캡슐을 활용한 소화제품 기반 소화 제어 시스템
US10105563B2 (en) Fire extinguish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US20220016459A1 (en) Aerosol fire suppression materials, systems and methods of implementation
KR101926062B1 (ko) 초기 화재진압이 가능한 수배전반
KR20170132462A (ko) 캡슐형 소화장치
KR20190134235A (ko) 소화물질의 상태변화 센싱이 가능한 소화 캡슐 및 이를 포함하는 소화 장치
US3764035A (en) Safety storage structure
KR20170132457A (ko) 온도센서를 이용한 캡슐형 소화장치
KR970067974A (ko) 유기 전해액 전지용 안전장치
KR102123584B1 (ko) 소화용 마이크로캡슐을 사용한 코팅 타입 소화액 조성물 및 이의 코팅 방법
EP0669144A1 (en) Device for the suppression of industrial explos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