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9843A - 소화장치 및 화재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화장치 및 화재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9843A
KR20110089843A KR1020117006636A KR20117006636A KR20110089843A KR 20110089843 A KR20110089843 A KR 20110089843A KR 1020117006636 A KR1020117006636 A KR 1020117006636A KR 20117006636 A KR20117006636 A KR 20117006636A KR 20110089843 A KR20110089843 A KR 20110089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ing
extinguishing agent
aerosol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6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하네스 디더리쿠스 야코부스 쿠베
반 더 아브라함 지스베르투스 린데르트 엔데
Original Assignee
디에스피에이. 엔엘 비.브이.
보겔장스, 프랑시스쿠스 허벌투스 요세프
종, 데, 딩게만
옥타프 아드비에스그로에프 비.브이.
반 더 아브라함 지스베르투스 린데르트 엔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스피에이. 엔엘 비.브이., 보겔장스, 프랑시스쿠스 허벌투스 요세프, 종, 데, 딩게만, 옥타프 아드비에스그로에프 비.브이., 반 더 아브라함 지스베르투스 린데르트 엔데 filed Critical 디에스피에이. 엔엘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10089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98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5/00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66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extinguishing material and pressure gas being stored in separate containers
    • A62C13/68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extinguishing material and pressure gas being stored in separat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or releasing the extinguish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7/00Hand fire-extinguishers essentially in the form of pistols or rif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5/00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 A62C5/006Extinguishants produced by combustion

Abstract

본 발명은 사람이 소지하고 다룰 수 있기에 적합한 화재 진화 장치 관한 것으로, 상기 화재 진화 장치는:
- 고체 형태로 소화 약제를 위치시키는 무압 컨테이너;
- 진화 동작 동안 에어로졸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소화 약제를 전기 또는 열 점화시키는 점화 부재;
- 직행의 제트 또는 연기기둥으로 에어로졸을 배출시키는 배출 부재;
- 사용자가 장치를 잡을 수 있게 하는 핸들 부재; 및
- 원격으로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화장치 및 화재 관리 시스템{FIRE EXTINGUISHING DEVICE AND FIRE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소화장치(fire extinguishing device), 소화 카트리지(extinguishing cartridge), 상기와 같은 소화장치를 포함하는 화재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화재가 발생될 시에, 화재를 가능한 빨리 진화시키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보통 소방대가 이르기 전에 이미 소중한 많은 순간은 지나갔다. 그러므로, 소화 제품들은 화재를 즉각적으로 진화시킬 수 있기 위해 많은 빌딩에 비치되어 있다. 공지된 예는 탭(tap)을 통해 급수 본관(water main)에 연결된 롤-업 소화 호스(rolled-up fire hose)이다. 제 2 공지된 예는 이 역시 급수 본관에 연결된 스프링클러 설치물들(sprinkler installations)이다. 물은 많은 경우에 있어 우수한 소화기이다. 그러나, 소화기로서 물이 거의 효과가 없거나, 또는 존재하는 화학물과 물이 반응하기 시작하는 경우와 같은 물이 심지어 역효과를 가져다주는 상황이 있다. 물로 인한 손상 역시 발생될 수 있고, 이는 원치않는 결과를 크게 불러낼 수 있다.
이러한 결점들을 제거하기 위해 대안물들이 고안되어 왔다. 제 1 대안물은, 소화 약제(extinguishing agent)가 전기적으로 전도될 수 없는 공간에서 화재를 진화시키는데 특히나 효과적인 소화 가스 설치물들이다. 게다가, 열의 큰 발생으로 일어난 화재 경우에 적용되는 물 박무 제품들(water mist appliances)이 있다. 셋째로 소화 분말 설치물들(extinguishing powder installations)이 사용되고, 이러한 것들은 가연성 가스 및 가연성이 큰 화학물들을 진화시키기 위해 산업계에서 대부분 설치된다. 추가적인 대안물은 폼 소화 설치물들(foam extinguishing installations)이고, 상기 폼 소화 설치물들에서 소화 표면은 폼 층에 의해 덮여지게 된다. 상기 폼은 압력 용기에서 압력하에 저장된다. 또 다른 대안물은 이산화탄소(CO2)를 사용한 소화기들이다. 이러한 소화기들은 호스, 및 호스의 외부 말단에서의 블랙 팽창 호른(black expansion horn) 또는 스노우 호른(snow horn)을 가진다. 팽창 호른과 호스 사이에는 핸들이 있고, 상기 핸들은 소화기를 사용하는 동안 구비되어야 한다. 핸들은, 무방비 호른의 외부 말단이 매우 차갑고(약 -80 ℃) 이러한 극한 냉기가 제 3 도 화상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하다.
이른바 할론 소화기들(halon extinguishers)이라 하는 것들이 더 있다. 환경에 손상을 줄 가능성으로 인해, 네덜란드 및 벨기에서는 소화기들 및 화재 안전 시스템들의 할론의 사용 및 소유가 2004 년 1 월 1일 이래 금지되어 왔다. 민간 항공 및 군사 분야에서의 중요 용도에 있어서는 예외이다. 할론 소화기들은 컴퓨터가 있는 장소에서 거의 사용되는데, 이는 할론이 전자 장비에 손상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 할론은 할로겐화 탄화수소(halogenated hydrocarbons)이다. 압력 하에, 이는 액체로 압축된다. 소화 작용은 연소 처리에 영향을 주는 음의 촉매(negative catalytic)에 의해 실현된다.
최근에 개발된 에어로졸 소화기들(aerosol extinguishers)이 있다. 에어로졸은 가스 물질의 콜로이드 혼합물이다. 콜로이드는 미세하게 액체 또는 가스로 분배된 방식으로 존재하는 물질 상태이고, 입자는 분자보다 크고 부유 입자보다는 작다. 이 상태에서, 에어로졸은 제 1 예로 와류 백색 연기(turbulent white smoke)로서 나타나는 건조된 부유 물질이다. 이 물질은 공간 내에서 온도 차가 커져 있는 한 부유 상태로 남아 있게 된다. 소화 기계장치는 다음과 같고; 건조된 고체 소화 약제가 활성된 후에 건조된 에어로졸로서 배출된다. 건조된 에어로졸은 자유 라디칼(free radicals)의 결합에 의해 연소 처리의 체인 반응(chain reaction)에 개재됨으로써 화학적으로 진화한다. 자유 라디칼의 결합은 다른 물질과 반응할 수 있는 물질의 외부 표면층의 자유 전자를 방해함으로써, 연소 처리를 정지시킬 수 있다. 쌍방 작용은 대부분 건조된 에어로졸의 마이크로 크기의 입자의 표면 상에서 발생된다. 입자가 작을수록, 기계장치의 작용은 더 효과적이다. 에어로졸 소화기들은 고체 형태로 소화 약제를 포함한 무압 컨테이너들(pressureless containers)로 구성된다. 이 물질은 전기 또는 열 점화 이후에 연속하기 시작한다. 현미경으로 봐야 하는 미세한 소화 분말은 여기에서 박무 형태로 고속으로 배출된다. 이 박무는 가스처럼 퍼지고, 소화 약제에 매우 효과적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러한 소화기들의 적용 분야는 보다 작은 둘러싼 공간들에 제한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원하는 집중 분야가 달성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임의의 위치에서 화재를 진화시키도록 사용자가 손쉽게 다룰 수 있는 소화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목적은 사람이 소지하고 다룰 수 있기에 적합한 화재 진화 장치를 이루는 것에 있고, 상기 화재 진화 장치는:
- 고체 형태로 소화 약제를 위치시키는 무압 컨테이너;
- 진화 동작 동안 에어로졸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소화 약제를 전기 또는 열 점화시키는 점화 부재;
- 직행의 제트 또는 연기기둥(directed jet or plume)으로 에어로졸을 배출시키는 배출 부재;
- 사용자가 장치를 잡을 수 있게 하는 핸들 부재; 및
- 원격으로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부재를 포함한다.
통신 수단에 의해, 휴대용 장치의 사용자가 도움을 제공하거나 호출을 할 수 있고 나아가 진화할 수 있는 사람과 접촉하는 것도 가능하다. 조언도 구할 수도 있고, 주변 영역에 대한 경고가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물리적으로 가능하지 않는 사람은 상기와 같은 장치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는데, 이는 에어로졸에 기반한 진화의 적용이 오랫동안 공지된 진화 장치들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중량이 가벼운데에 이용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의해, 예를 들면, 공지된 소화기들에 필요한 압력 용기없이, 약 30-90 초의 분사 구간 및 약 50-500 그램의 중량의 활성 진화 물질을 가진 장치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전체적으로, 상기와 같은 소화기는 킬로그램 미만의 중량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소화 약제로서 에어로졸 및 적합한 배출 부재의 사용을 통하여, 직행의 제트/연기기둥을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화재 발생지로부터 적어도 2 내지 6 미터의 거리에서, 이 연기기둥은 손으로 동작되는 소화기를 이용하여 직행 방식으로 상기 발생지에 여전히 이를 수 있는 것을 가능케 한다. 이는 폼 및 분말 소화기들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멀리 나가는 것이다. 에어로졸의 사용으로, 분말 및 폼 소화기들의 경우처럼 적용되는 압력 용기는 필요 없다. 이로써, 장치는 상대적으로 중량이 가볍다. 최종 선택들 중 하나는 소화기 전체가 소지되고 한 손으로 동작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예를 들면 휠체어에 탄 장애인이 소화기를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도록 했다.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자동 방식으로 상기 장치의 기하학적인 위치를 판별하는 위치 판별 수단을 포함한다. 이로써, 이 정보는 통신 수단에의해, 추가적인 접촉 또는 행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비상 서비스 또는 제 3 기관에 전송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제공된 다양한 위치 판별 수단은 이동 통신 표준에 기반한 GPS, AGPS 및/또는 위치 판별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추가적인 실시예들에서, 상기 통신 수단은 음성 통신 수단을 포함한다. 이로써, 상황과 관련하여 인간이 인식할 수 있는 정보는 전송된다. 이로써, 화재 상황에서 사람이 구두로 보고를 전달할 수도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점화 부재가 활성화되자마자 화재 관리 시스템에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구성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로써, 언급된 이점은 화재 상황에 있는 사람이 통신할 수 있는 순간을 실현하지 못하고 이를 사용하지 못하거나 잊을 수 있는 경우에 달성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 부재는 쌍방향 통신(two-way communication)에 적합하다. 이는 제어실 관계자가 사용자와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을 가능케 한다. 이로써, 관계자는 그 장소에 있는 사용자를 통해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에, 관계자는 사용자에게 지시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동작 모드에서 상지 장치를 유지시키기 위해, 커넥터(connector)는 상기 장치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해 도킹 스테이션에 위치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상기 장치는 이 목적에 대해 행동을 취하는 최종 사용자 없이, 그의 저장 위치에서 항상 대기시에 이용가능할 수 있다.
5-10 년의 최소 수명을 바람직하게 가진 배터리가 장치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장치에는, 배터리가 거의 소모되었을 때에 경보 신호를 주는 설비물(provision)이 선택적으로 구비된다.
상기 장치는 소화 약제로서 탄산칼륨(potassium carbonate), 탄산 수소 암모늄(ammonium hydrogen carbonate) 및/또는 질산칼륨(potassium nitrate)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소화 약제들은 효과적으로 진화시킬 수 있고, 예를 들면 인간에게 해롭지도 않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는 보호 케이스(2), 배출 부재로서 기능을 하고 선택적인 착탈 방식으로 무압 컨테이너가 배치되는 일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배치의 이점은 간단하고 기능적인 설계에 있다. 하우징(housing)은 배럴(barrel)로서 부분적으로 기능을 하여 부분들을 절약할 수 있다.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보호 케이스는 중량이 가벼운 이점도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상기 핸들에 또는 상기 핸들 상에 배치되고, 적어도 사용하는 동안에 상기 점화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작동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점화 부재는 상기 작동 스위치를 스위칭시킴으로써 활성화될 수 있다. 본원에서 활성화는 핸들이 유지되면서 자동으로 또는 자연스런 손 동작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무압 컨테이너는 하나 이상의 소화 약제 카트리지들을 위치시키기 위해 구성된 카트리지 홀더(cartridge holder)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상기 수는 1 내지 6 개, 바람직하게는 3 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치는 상기 무압 컨테이너로부터 에어로졸을 수용하는 챔버(chamber)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상기 챔버는 상기 에어로졸의 통과를 위한 방출구 벽의 복수의 개구부들을 포함한다.
상기 핸들은 상기 배출 부재의 주요 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이는 피스톨로서 간단한 방식으로 다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는 사람이 소지하고 다룰 수 있기에 적합한 화재 진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화재 진화 장치는:
- 고체 형태로 소화 약제를 위치시키는 무압 컨테이너;
- 진화 동작 동안 에어로졸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소화 약제를 전기 또는 열 점화시키는 점화 부재;
- 직행의 제트 또는 연기기둥으로 에어로졸을 배출시키는 배출 부재;
- 사용자가 장치를 잡을 수 있게 하는 핸들 부재; 및
- 진화 동작 동안 암을 지지하는 암 지지 부재(arm support member)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암 지지 부재는 실질적으로 상기 소화 약체가 배출되는 방향과 일직선으로 연장된다. 상기와 같은 장치의 이점은, 다루기 용이하다는 점이고, 심지어 사람들에게 있어 암 강도가 상대적으로 거의 없다는 점이다. 상기 암 지지 부재에 의한 방향을 판별하는 자연적인 방법은 본 실시예가 사용면에서 매우 안전하고 효과적이게 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는 본 발명에 다른 장치를 위한 카트리지에 관한 것으로, 상기 카트리지는 에어로졸을 형성하는 소화 약제를 포함한다.
상기 카트리지는 원통형 형태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실질적으로 패키징(packaging)에 의해 둘러싸인다.
상기 카트리지는 관통 구멍(through-hole)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상기 카트리지는 전류를 사용하여 소정의 온도를 발생시켜서 상기 소화 약체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구성된 열 활성 모듈(thermal activating module)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태는 화재를 기록하는 화재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화재 관리 시스템은:
- 본 발명에 따른 장치;
- 상기 장치와 통신을 하는 중앙 통신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화재 관리 시스템은 화재 및/또는 연기를 검출하기 위해 구성된 다수의 검출기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이점, 특징 및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 여러 실시예들의 설명에 기반하여 더 명료하게 설명될 것이며, 상기 도면에서: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의 3 차원 도면;
- 도 2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의 개략적인 단면도;
- 도 3은 도 2의 보호 케이스를 더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
- 도 4는 카트리지 홀더 및 연소 챔버의 개략적인 3 차원 도면;
- 도 5는 카트리지 홀더의 개략적인 정면도;
- 도 6은 개구부들이 보일 수 있는 연소 챔버의 개략적인 정면도;
- 도 7은 소화기에 사용될 수 있는 소화 카트리지의 도면;
-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일부의 도면;
- 도 9는 더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
- 도 10은 추가적인 실시예의 절단된 측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장치(1)의 3 차원 도면이다. 이하에서 소화기(1)로 일컬어지는 소화장치(1)는 보호 케이스(2) 및 핸들(3)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핸들(3)은 원통형 연결 부분(cylindrical coupling piece)(4)을 통해 보호 케이스(2)에 연결된다. 도 1은 핸들(3) 상의 작동 스위치(5)도 도시한다. 보호 케이스(2)는 개구부(6)를 가지며, 소화 약제 카트리지들을 구비하는 카트리지 홀더(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는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사용자가 화재를 보게 된다면, 사용자는 화재를 진화하기 위해 소화기(1)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핸들(3)로 소화기(1)를 잡을 수 있고, 화재가 일어난 곳을 향해 소화기(1)를 겨누게 된다. 작동 스위치(5)를 누를 시에, 소화기(1)는 작동될 수 있고, 소화 약제는 보호 케이스(2)의 개구부(6)에서 나가게 된다.
도 2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1)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이때 핸들(3)은 소화기(1)의 주요 축에 대해 수직으로 실질적으로 배향된다. 이로 인해, 소화기는 피스톨(pistol)로서 다루어질 수 있고, 사용자는 손목을 돌릴 필요가 없다. 연결 부분(4)은 본 실시예에 나타나 있지 않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케이스(2)에는 2 개의 칸막이들이 있다. 칸막이들 중 하나는, 하나 이상의 소화 약제 카트리지들(보이지 않음)을 구비하기 위해 구성된 카트리지 홀더(9)이다. 다른 칸막이는 연소 챔버(10)이다. 상기 2 개의 칸막이들은 보호 케이스(2)의 부분만을 채운다. 잔류 부분은 소화기(1)의 배럴로서 기능을 한다. 배럴의 개구부는 보호 케이스(2)의 개구부(6)에 의해 정의된다. 소화기(1)의 구성요소들의 치수에 대한 통상적인 값들은 도 2에서 나타난다.
도 2는 작동 스위치(5) 및 배터리(16)도 도시한다. 이 스위치(5)는 점화 부재(17)를 활성화시키는 회로(15)에 연결된다. 스위치를 안으로 누르면, 전류는 회로(15)를 사용하여 배터리(16)에서 점화 부재(17)로 전도된다. 배터리(16) 대신에, 외부 연결부를 통해 충전될 수 있는 축전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배터리/축전지(16)가 아직 남아있다는 표시를 하기 위해, LED 램프와 같은 인디케이터(indicator)(14)가 구비되고, 이때 상기 인디케이터는 배터리가 대체될 시에, 또는 축전지가 재충전되어야 할 시를 표시한다. LED 램프 대신에, 소형 스크린이 구비될 수도 있고, 이때 상기 소형 스크린 상에는 배터리(16)의 상태가 표시된다. 점화 부재(17)는 예를 들면, 회로(15)로부터 수신된 전류에 의해 가열되는 파이러서말 소자(pyrothermal element)일 수 있다.
점화 부재(17)는 카트리지 홀더(9) 안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열로 활성화될 수 있는 소화 약제를 포함한 소화 약제 카트리지들은 카트리지 홀더(9)에 삽입된다. 이 소화 약제는 탄산칼륨, 탄산 수소 암모늄 및/또는 질산칼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트리지 홀더(9)는 삽입된 카트리지들이 점화 부재와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소화 약제의 활성화는 연소 챔버(10)에서 에어로졸을 생성시킨다. 연소 챔버(10)는 배럴(11)의 방향으로 다수의 개구부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개구부들은 너무 작아서 압력이 연소 챔버(10)에서 만들어진다. 이로써, 에어로졸은 증가된 압력 하에 연소 챔버(10)에서 나가게 되는데, 이는 도 2의 화살표(12)로 나타나 있다. 그 후, 에어로졸은 배럴(11)을 통해 소화기(1)에서 나가게 된다. 배럴(11)은 에어로졸의 직행 연기기둥을 제공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화재의 발생지를 향해 적당하게 겨냥할 수 있다. 적합한 카트리지들을 사용함으로써, 소화기를 이용하여 90 초 동안 2 내지 5 미터 크기를 가진 에어로졸 연기기둥을 생성할 수 있다. 발견된 바와 같이, 본원에서의 연기기둥은 정해진 시구간 내에서 화재의 발생지를 진화시키는데 충분한 밀도를 가진다.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있어 모든 화재가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로 진화될 수 없다는 것은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 또한 아니기도 하다. 본 소화기의 목적은, 상대적으로 가벼워서 다루는데 용이한 소화기로 화재 발생시 효과적으로 진화시키는 것에 있다.
도 3은 도 2의 보호 케이스(2)를 더 상세하게 도시한다. 보호 케이스(2)는 다수의 벽으로 둘러싸인 형태(multi-walled form)로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어서, 케이스(2)의 외벽은 소화 약제가 점화되는 동안에 너무 뜨거워지지 않도록 한다. 보호 벽(2)은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 등의 경량 물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주지하고 있는 다른 물질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케이스(2)의 외부 말단들 중 하나에서, 케이스는 디스크(20)를 사용하여 닫히게 된다. 디스크(20)는 핸들을 케이스(2)에 부착시키기 위한, 또는 카트리지 홀더(9)를 케이스(2)에 장착시키기 위한 구멍(21)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크(20)는 케이스(2) 상에 용접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다른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2 개의 칸막이들은 보호 케이스(2)에 위치된다. 이들은 도 4에서 3 차원 도면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홀더(9) 및 연소 챔버(10)이다. 이 실시예에서, 카트리지 홀더(9)는, 캐비티들(cavities)(25)을 형성하는 3 개의 개구부들(22, 23, 24)을 포함한다. 소화 약제 카트리지들은 캐비티들(25)에 위치될 수 있다. 캐비티들(25)은 본원에서 원통형으로 되어 있지만, 그러나 상이한 형태도 취할 수 있다. 캐비티들(25)은 단일 개구부만을 가지지만, 카트리지가 인피드 측(infeed side) 상에 삽입될 수 있도록, 양 측들 상에서 개구부를 가지는 캐비티들도 생각해 볼 수 있다. 그 후, 인피드 측은, 예를 들면 커버에 의해 닫히게 된다. 캐비티들(25)은 이하에서 더 상세하게 논의되는 소화 약제 카트리지들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 부재(17), 예를 들면 파이러서말 소자(17)는 개구부들(22, 23, 24) 사이에서 배치된다. 파이러서말 소자(17)는, 소자(17)가 가열될 시에 열이 카트리지로 전달되도록 카트리지들과 접촉하게 된다.
연소 챔버(10)는 카트리지 컨테이너(9)를 향한 측면 상에서 완전하게 열려져 있고, 다른 측 상에서는 다수의 개구부들(28, 29, 30, 31)을 가진다. 이 실시예에서, 중앙 개구부(31)는 개구부들(20, 29, 30)보다 크게 구비된다.
카트리지 홀더(9) 및 연소 챔버(10)는 나사 연결로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이는 두꺼운 화살표로 나타나 있다. 다른 유형의 연결도 생각해 볼 수 있다.
도 5는 개구부들(22, 23, 24)이 보일 수 있는 카트리지 홀더(9)의 개략적인 정면도를 도시한다. 개구부들(22, 23, 24)은 파이러서말 점화 소자(17) 주위에 배치됨으로써, 소화 약제 카트리지들이 개구부들을 통해 위치될 시에 상기 소화 약제 카트리지들은 점화 소자에 접촉하게 된다. 점화 소자(17)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전기적 연결부를 통해 회로(15)에 연결된다.
도 6은 개구부들(28, 29, 30)이 보일 수 있는 연소 챔버(10)의 개략적인 정면도를 도시한다. 개구부들(28, 29, 30)은 중앙 개구부(31) 주위에 배치된다. 개구부들의 수는 발생되어야 하는 필요 압력에 따라 달라진다. 물론 압력도 개구부들의 크기에 의해 판별된다. 개구부들(28, 29, 30)의 크기에 대한 통상적인 값들은 도 6에 나타나 있다. 개구부(28, 29, 30)는 각각의 카트리지에 대해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서, 소화기(1)는 연장 배럴로 구현된다. 본원에서 사용자는 소화기를 사용할 시에는 배럴을 연장시키고, 소화기(1)가 필요 없을 시에는 소화기를 다시 짧게 할 수 있다. 짧아진 소화기는 제한된 길이를 가지고, 쉬운 이동 및/또는 저장이 가능하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핸들(4)은 보호 케이스(2)에 착탈식으로 부착된다. 이로써, 사용자의 요건을 충족시키는, 개별적으로 얻을 수 있는 핸들은 소화기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휠체어를 탄 사람은 걸을 수 있는 일반인과는 다른 핸들이 필요할 수 있다.
도 7은 소화기(1)에서 사용될 수 있는 소화 카트리지(40)를 도시한다. 이 특별한 실시예에서, 카트리지 그 자체는 전기적 연결부(42)를 통해 전기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는 열 활성 모듈(41)을 포함한다. 전기적 연결부(42)는 접촉면(43)에 연결된다. 카트리지(40)가 소화기(1)의 카트리지 홀더에 삽입될 시에, 접촉면(43)은, 이 목적에 특히나 맞게 구성되고 회로(15)에 연결되는 소화기(1)의 활성점에 접촉하게 될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 그러므로, 카트리지 홀더 그 자체는 점화 소자(17)를 필요치 아니하며, 카트리지 홀더의 활성점은 활성 부재로서 기능을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일부를 도시한다. 화재 관리 시스템은 화재를 진화시키는 장치, 소화기(1) 및 데이터를 처리하는 중앙 프로세싱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80)을 포함한다. 프로세싱 유닛(80)은, 예를 들면 비상 센터(81)에 위치된 컴퓨터이다. 화재 관리 시스템은 화재 및/또는 연기를 검출하기 위해 구성된 다수의 검출기들(82)을 더 포함한다. 도킹 스테이션(docking station)(83)은 그 안에 소화기(1)를 위치시키기 위해 더 구비된다. 도킹 스테이션(83)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방식으로 소화기를 충전하도록 구성된다. 소화기(1)가 충전되면, 인디케이터(14)는 발광하고/발광하거나, 색상을 변화시킨다. 도킹 스테이션(83)은, 예를 들면 필요시에 화재 경보를 취소하기 위해 사용자가 누를 수 있는 버튼(84)을 더 포함한다. 도킹 스테이션(83)은 선택적으로 무선으로 비상 센터(81)와 통신을 하기 위해 구성된다.
도 8에 제시된 실시예에서, 소화기(1)는 보호 케이스(2)를 둘러싼 핸들(3)을 가진다. 핸들(3)은 보호 케이스(2)를 수용하기 위해 구성됨으로써, 이때 카트리지 홀더를 가진 보호 케이스(2)는 대체될 수 있다. 작동 스위치(5)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3)의 상부에 구비된다.
화재가 발생할 시에, 연기 검출기(82)는 연기 및/또는 증가된 온도를 검출할 수 있고, 연기 검출기(82)는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게다가, 이 실시예에서, 연기 검출기는 도킹 스테이션(83)과 통신을 할 수 있어서,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 신호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소화기(1)를 손쉽게 추적할 수 있다. 도킹 스테이션(83)의 통신 기능을 가지는 소화기(1) 그 자체를 생각해 볼 수도 있어서, 도킹 스테이션(83)은 필요 없게 된다.
도킹 스테이션이 연기 검출기(82)로부터 경보를 수신한 후에, 도킹 스테이션(83)은 예를 들면 SIM 카드(85)를 사용하여, 메시지를 비상 센터(81)에 전송한다. 언급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버튼(84)를 눌러서 경보를 취소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소화기(1)를 위치시키고, 진화 동작을 취하기 시작한다. 소화기(1)를 사용하여 비상 센터(81)와 통신할 수 있다. 이 목적에 대해, 소화기(1)는 미도시되고 선택 용도용인 SIM 카드(87)를 가진 라우드스피커(loudspeaker) 및 통신 수단을 포함한다. SIM 카드에 의해, 접촉은 사용자와 비상 센터(81) 제어실 사이에서 유지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어하에서 화재 발생을 나타내는 경우, 제어실은 소방대에게 경보를 발할 필요가 없다. 이로써, 이는 소방대가 불필요하게 출발하게 되는 횟수를 줄인다.
화재 관리 시스템의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빌딩 거주자의 자족 정도(degree of self-sufficiency)에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해 구성되어 구비된다. 이로써, 제어실은, 화재 발생 동안에 노출된 사람들에게 도움이 필요한 추가적인 위험을 신속하게 알릴 수 있다. 이로써, 제어실과 소화기의 사용자 사이에서 연결이 이루어지기 전에, 제어실 관계자는 이들이 말할 수 있는 자족을 인식하게 된다. 이로써, 제어실 관계자가 집중적인 질문에 응할 수 있기 때문에, 값진 시간은 절약된다.
실시예에서, 소화기(1)는 소화기(1)의 위치를 판별하기 위해 GPS 시스템과 같게 구성된 위치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 위치는 비상 센터(81) 및/또는 소방대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 그 자신이 비상 센터(81)와 통신을 하지 않아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센터는 화재의 정확한 위치를 인식하거나, 또는 소화기(1)의 정확한 위치를 적어도 인식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100)의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인체 공학적에 가까운 형태의 소화기(100)는 앞서 말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기술적인 동작을 가진다. 소화기(100)는 화살표(A)의 방향으로 소화 약제 방출구 방향을 가진다. 이 화살표(A)의 방향은 실질적으로 장치를 보유한 사용자의 목표물과 일직선에 있게 된다.
소화기(100)는 소화기에 대해 전례에 없었던 광 장치(light device)이고, 간단한 방식으로 사용자에 의해 다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는 핸들(104)에 의해 장치를 잡을 수 있고, 집게 손가락은 작동 버튼(105)을 동작할 수 있다. 엄지 손가락은 안전 버튼(106)을 동작시킬 수도 있다. 소화기는, 이러한 2 개의 버튼들이 동시에 동작할 시에 활성화될 수 있다. 본원에서 통신 수단도 활성화될 수 있고, 위치 판별은 실행될 수 있다. 전원에 따라서, 위치 판별은 연속적으로 또는 사용하기에 앞선 설정 시간에서 실행될 수도 있다.
장치의 핸들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암 지지부(101)는 핸들(104)의 일 측을 따라 배치된다. 이 암 지지부(101)는 베이스(102) 및 상기 베이스(102)로부터 이격되어 양 측에서 만곡된 지지 소자들(103)을 가진 곡선형 벽을 가진다. 암 지지부는 암이 안정되게 '위치'되도록 암이 암의 만곡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암 지지부는, 사용자가 소화기(100)로부터 소화 약제를 분사하는 동안 분사 방향을 판별하거나 유지하는 것을 보다 쉽게 해준다.
실시예에서, 도 10을 참조하면, 암 지지부는 상승부(elevation)(100)를 포함하고, 이로 인해, 암 지지부의 지지면은 사용자의 손목의 형상을 따른다. 이로써, 암 지지부, 또는 손목 지지부는 손목 상에 밀착되게 맞고, 손목에 최적의 접촉을 제공한다. 이는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높이고 사용자의 제어를 높인다.
본 발명은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기반하여 앞서 기술되었다. 서로 다른 실시예들의 상이한 양태들은 이들의 조합으로 기술된 것이 간주되고, 이 문헌에 기반하여 당업자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모든 조합은 포함되어야 한다. 이러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본문 보호의 권리 범위에 대해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에 대한 권리는 첨부된 청구항에 정의되어야 한다.

Claims (27)

  1. 사람이 소지하고 다룰 수 있기에 적합한 화재 진화 장치(1)에 있어서,
    - 고체 형태로 소화 약제를 위치시키는 무압 컨테이너(9);
    - 진화 동작 동안 에어로졸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소화 약제를 전기 또는 열 점화시키는 점화 부재(17);
    - 직행의 제트 또는 연기기둥으로 에어로졸을 배출시키는 배출 부재(11);
    - 사용자가 장치를 잡을 수 있게 하는 핸들 부재(3); 및
    - 원격으로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진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자동 방식으로 상기 장치의 기하학적인 위치를 판별하는 위치 판별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진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판별 수단은 이동 통신 표준에 기반한 GPS, AGPS 및/또는 위치 판별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진화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부재는 음성 통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진화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부재는 쌍방향 통신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진화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점화 부재가 활성화되자마자 화재 관리 시스템에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진화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장치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해 도킹 스테이션에 위치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진화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 약제는 탄산칼륨, 탄산 수소 암모늄 및/또는 질산칼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진화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보호 케이스(2), 배출 부재로서 기능을 하고 선택적인 착탈 방식으로 무압 컨테이너가 배치되는 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진화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케이스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진화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에 또는 상기 핸들 상에 배치되고, 적어도 사용하는 동안에 상기 점화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작동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점화 부재는 상기 작동 스위치를 스위칭시킴으로써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진화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압 컨테이너는 하나 이상의 소화 약제 카트리지들을 위치시키기 위해 구성된 카트리지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수는 1 내지 6 개, 바람직하게는 3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진화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무압 컨테이너로부터 에어로졸을 수용하는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챔버는 상기 에어로졸의 통과를 위한 방출구 벽의 복수의 개구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진화 장치.
  14. 사람이 소지하고 다룰 수 있기에 적합한 화재 진화 장치(1)에 있어서,
    - 고체 형태로 소화 약제를 위치시키는 무압 컨테이너(9);
    - 진화 동작 동안 에어로졸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소화 약제를 전기 또는 열 점화시키는 점화 부재(17);
    - 직행의 제트 또는 연기기둥으로 에어로졸을 배출시키는 배출 부재(11);
    - 사용자가 장치를 잡을 수 있게 하는 핸들 부재(3); 및
    - 진화 동작 동안 암을 지지하는 암 지지 부재
    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암 지지 부재는 실질적으로 상기 소화 약제가 배출되는 방향과 일직선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진화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암 지지부는 사용자의 손목의 형상을 실질적으로 따르는 지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진화 장치.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따른 장치를 위한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에어로졸을 형성하는 소화 약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원통형 형태를 하고, 실질적으로 패키징에 의해 둘러싸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관통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19. 제 16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전류를 사용하여 소정의 온도를 발생시켜서 상기 소화 약체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구성된 열 활성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20. 화재를 기록하는 화재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
    - 상기 장치와 통신을 하는 중앙 통신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관리 시스템.
  21. 제 20 항에 있어서,
    화재 및/또는 연기를 검출하기 위해 구성된 다수의 검출기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관리 시스템.
  22. 제 20 항 또는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를 위치시키는 도킹 스테이션을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관리 시스템.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선택적으로 무선으로 비상 센터와 통신을 하기 위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관리 시스템.
  24. 제 20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신호, 예를 들면 사운드 신호 또는 전자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구성된 연기 검출기를 적어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관리 시스템.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기 검출기는 선택적으로 무선으로 메시지를 상기 장치 및/또는 상기 도킹 스테이션에 전송하기 위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관리 시스템.
  26. 제 20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빌딩 거주자의 자족 정도에 관련된 신원 및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해 구성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관리 시스템.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큰 재난의 경우에 취해지는 행동을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관리 시스템.
KR1020117006636A 2008-08-25 2009-08-25 소화장치 및 화재 관리 시스템 KR201100898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2001917A NL2001917C (nl) 2008-08-25 2008-08-25 Brandblusinrichting en brandmanagementsysteem.
NL2001917 2008-08-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9843A true KR20110089843A (ko) 2011-08-09

Family

ID=40512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6636A KR20110089843A (ko) 2008-08-25 2009-08-25 소화장치 및 화재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110284251A1 (ko)
EP (1) EP2328658A2 (ko)
JP (1) JP2012500709A (ko)
KR (1) KR20110089843A (ko)
CN (1) CN102333571A (ko)
AU (1) AU2009286243A1 (ko)
CA (1) CA2735423A1 (ko)
MX (1) MX2011002150A (ko)
NL (1) NL2001917C (ko)
RU (1) RU2011109948A (ko)
WO (1) WO2010024672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885A (ko) * 2014-06-27 2016-01-07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소화기
KR101999285B1 (ko) * 2018-07-16 2019-10-01 주식회사 허그쿠미 휴대용 소화기
KR20210092537A (ko) * 2020-01-16 2021-07-26 주식회사 티피바이오테크 스마트 휴대용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01718B1 (en) 2006-08-16 2014-04-22 Rescue Air Systems, Inc. Emergency air system and method of a marine vessel
KR101273352B1 (ko) * 2010-07-15 2013-06-12 동양하이테크산업주식회사 휴대용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 분사장치
KR200469923Y1 (ko) * 2010-07-15 2013-11-13 동양하이테크산업주식회사 휴대용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 분사장치
CN103018275B (zh) * 2013-01-21 2014-08-13 公安部天津消防研究所 一种需要洒水密度性能测试装置
JP6125911B2 (ja) * 2013-05-31 2017-05-10 能美防災株式会社 消火装置および消火方法
GB2540418A (en) * 2015-07-17 2017-01-18 Graviner Ltd Kidde Aircraft fire suppression system with addressable bottle valve
US10058882B1 (en) 2017-10-20 2018-08-28 Kevin J. Quinn High pressure water/foam nozzle assembly
CN112201862A (zh) * 2019-07-08 2021-01-08 北京德意新能科技有限公司 一种锂电池储能系统的安全防护装置
CN113509670A (zh) * 2020-04-10 2021-10-19 广州长科消防器材有限公司 灭火装置
CN112684099B (zh) * 2020-12-18 2022-09-09 郑州大学 一种组装式湍流火焰熄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66B2 (ja) * 1985-03-11 1994-01-12 横浜市 エアゾ−ル式消火具
GB2205493B (en) * 1987-06-05 1990-12-12 John Gavin Beaumont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afety apparatus
JP3766685B2 (ja) * 1993-02-16 2006-04-12 スペクトロニックス・リミテッド 消火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652358B2 (ja) * 1995-03-01 1997-09-10 勝俊 松本 ガン方式の消火ガス噴射器具
DE4419099A1 (de) * 1994-06-01 1995-12-14 Dynamit Nobel Ag Feuerlöscheinrichtung mit einem aerosolerzeugenden Feuerlöschgenerator
US7188679B2 (en) * 1996-01-23 2007-03-13 Mija Industries, Inc. Remote fire extinguisher station inspection
US6585055B2 (en) * 1996-01-23 2003-07-01 Mija Industries, Inc. Remote fire extinguisher station inspection
JP2828961B2 (ja) * 1996-11-11 1998-11-25 株式会社パイレイ 消火機器設置場所報知システム
JP4672110B2 (ja) * 2000-06-08 2011-04-20 株式会社コーアツ 消火設備
JP2004113496A (ja) * 2002-09-26 2004-04-15 Fuji Photo Film Co Ltd 消火器
US20050115721A1 (en) * 2003-12-02 2005-06-02 Blau Reed J. Man-rated fire suppression system
NL1026216C2 (nl) * 2004-05-18 2005-11-21 Fernandus Cornelis Koelewijn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tegen brand beveiligen van een object.
US20060175067A1 (en) * 2005-02-04 2006-08-10 Cover James N Fire extinguisher sleeve
JP2009533146A (ja) * 2006-04-10 2009-09-17 ファイアアウェイ エルエルシー エアロゾル防火剤供給装置
JP2008245998A (ja) * 2007-03-30 2008-10-16 Nec Corp 通報装置付き消火器、消火器を用いた通報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NL1034095C2 (nl) * 2007-07-05 2009-01-06 Prefire Holding B V Koffer voorzien van een bluselemen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885A (ko) * 2014-06-27 2016-01-07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소화기
KR101999285B1 (ko) * 2018-07-16 2019-10-01 주식회사 허그쿠미 휴대용 소화기
WO2020017837A1 (en) * 2018-07-16 2020-01-23 Fighter Korea Co.,Ltd Portable fire extinguisher
KR20210092537A (ko) * 2020-01-16 2021-07-26 주식회사 티피바이오테크 스마트 휴대용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35423A1 (en) 2010-03-04
MX2011002150A (es) 2011-09-26
CN102333571A (zh) 2012-01-25
WO2010024672A3 (en) 2010-07-15
AU2009286243A1 (en) 2010-03-04
NL2001917C (nl) 2010-03-10
EP2328658A2 (en) 2011-06-08
JP2012500709A (ja) 2012-01-12
US20110284251A1 (en) 2011-11-24
RU2011109948A (ru) 2012-09-27
WO2010024672A2 (en) 201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89843A (ko) 소화장치 및 화재 관리 시스템
US8496067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otecting an object against fire
AU719689B2 (en) Hazard detection, warning, and response system
CA2915447C (en) Throwable fire extinguisher
EP1140292B1 (en) Portable aerosol-type fire-fighting protection device
TW200808401A (en) Jetting apparatus of fire extinguishing gas
KR20180133103A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캡슐형 소화장치
CN102271765B (zh) 多功能便携式灭火器系统
US20060289175A1 (en) Portable wireless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on and automatic suppression of fires
WO2008053254A1 (en) Automatic emerging fire extinguisher
KR101999285B1 (ko) 휴대용 소화기
US7121354B2 (en) Fire extinguishing device and method
KR102409440B1 (ko) 화재 감지와 화재 경보 및 위치 알림 기능을 갖는 멀티 기능 소화 장치
CN213100556U (zh) 灭火装置
CN113509669A (zh) 灭火装置
LU103120B1 (en) Portable fire extinguisher
JPH1057515A (ja) 消火器スタンド
US20170368394A1 (en) Utility and appliance fire suppression system, compositions, and methods
CN113509671B (zh) 灭火装置
KR102246200B1 (ko) 선박화재 진압을 위한 소화시스템
KR102135029B1 (ko) 시각장애인용 소화기
CN113509670A (zh) 灭火装置
WO2019165080A1 (en) Utility and appliance fire suppression system, compositions, and methods
RU88972U1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