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5029B1 - 시각장애인용 소화기 - Google Patents

시각장애인용 소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5029B1
KR102135029B1 KR1020180123335A KR20180123335A KR102135029B1 KR 102135029 B1 KR102135029 B1 KR 102135029B1 KR 1020180123335 A KR1020180123335 A KR 1020180123335A KR 20180123335 A KR20180123335 A KR 20180123335A KR 102135029 B1 KR102135029 B1 KR 102135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lame
detection sensor
extinguishing agent
visually impai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3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2758A (ko
Inventor
이경서
Original Assignee
이경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서 filed Critical 이경서
Priority to KR1020180123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5029B1/ko
Publication of KR20200042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2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62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a single permanently pressurised container
    • A62C13/64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a single permanently pressurised container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released by means of a valv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29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applied to measurement of ultraviolet l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014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for sensing the radiation from gases, flam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발생 시 시각장애인이 지정된 장소에 비치된 소화기를 이용해 화재 지점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소화약제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한 시각장애인용 소화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소화약제가 본체용기 내부에 설정된 압력으로 채워지고, 안전핀을 탈거시킨 상태로 손잡이 측으로 레버를 가압하면 분사호스를 통해 소화약제 외부로 분사되도록 이루어진 시각장애인용 소화기에 있어서,
상기 분사호스에서 소화약제가 분사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바라보도록 상기 분사호스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화재가 일어난 곳의 불꽃을 감지하도록 형성된 불꽃감지센서와, 상기 불꽃감지센서가 화재를 감지하면 그 감지된 정보를 전달받아 일측에 구비된 음향부를 통해 시각장애인에게 음향정보를 제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본체용기에 분리 결합 가능하게 설치된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음향정보가 제공되어 상기 레버를 가압하면 분사호스에서 분사된 소화약제가 화재 지점으로 정확히 분사되도록 상기 불꽃감지센서가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만 불꽃을 감지할 수 있게 설치되고, 상기 분사호스의 끝단부에 고정수단으로 고정되는 감지영역제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각장애인용 소화기{Fire extinguisher for a blind person}
본 발명은 선천적이거나 후천적인 요인으로 시각에 이상이 생겨 눈이 보이지 않거나 시력이 몹시 약한 시각장애인용 소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시 시각장애인이 지정된 장소에 비치된 소화기를 이용해 화재 지점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소화약제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한 시각장애인용 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화기는 연소물질을 냉각시키고 화염으로부터 산소를 차단하거나, 화염을 일으키는 화학반응을 방해하는 물질을 사용하여 화재를 조기에 진압하기 위한 휴대용 또는 이동식 기구를 말한다.
이러한 소화기는 목재나 섬유 등으로 인한 일반화재, 가솔린 등의 유류나 화학약품으로 인한 화재, 전기로 인한 화재 등에 따라 크게 포말 소화기, 분말 소화기, 이산화탄소 소화기, 할론 소화기로 구분된다.
상기의 소화기들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포말 소화기는 소화기를 거꾸로 흔들면 내부에 수용된 탄산수소나트륨 용액과 황산알루미늄 용액이 화학 반응을 일으켜 이산화탄소와 수산화알루미늄이 생겨나도록 함으로써 이산화탄소의 거품과 수산화알루미늄의 거품이 공기의 공급을 차단해 불을 끄도록 된 것이며, 일반화재, 유류/화학약품 화재에는 적합하나 전기화재는 감전 위험이 있어 부적합하다.
분말 소화기는 질소나 이산화탄소 등과 같은 불연성 고압 기체를 이용하여 소화 약품인 탄산수소나트륨 분말이나 제1인산암모늄 분말을 뿌려 불을 끄도록 된 것이며, 유류/화학약품 화재와 전기화재에 적합하다.
이산화탄소 소화기는 액화 상태로 수용된 이산화탄소가 방출되면 고체 상태인 드라이아이스로 변하면서 화재가 난 곳을 이산화탄소 가스로 덮어 공기의 공급을 차단해 불을 끄도록 된 것으로써, 물이나 분말 가루를 남기지 않기 때문에 전기 화재를 끄는데 유용하게 사용되나, 드라이아이스 상태의 온도가 -78.5℃까지 급격히 낮아지므로 동상(凍傷)을 입지 않기 위해서는 이산화탄소를 방출시키기 위한 노즐을 잡을 때 반드시 손잡이를 잡아야 한다.
할론 소화기는 할론가스를 채워 무색투명한 방사성이 있는 증발성 액체로 방사된 소화 분말이 기화하여 질식 및 억제작용을 함에 따라 불을 끄도록 된 것으로, 일반화재, 유류/화학약품 화재 및 전기화재에 유류화재에 적합하나, 할론가스가 지구 오존층을 파괴하는 원인이 되어 할론 소화기를 청정 소화기로 대체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상기의 소화기들은 가압 방식에 따라서 가압식과 축압식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 중에서도 축압식 소화기는 본체용기 내에 소화약제와 질소 등의 압축가스를 봉입시켜 두었다가 안전핀을 제거하고 손잡이를 누르면 압축가스에 의해 소화약제가 본체용기 밖으로 방출되도록 된 것으로써, 조작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일반화재나 유류/화학약품 화재 또는 전기화재에 두루 사용이 가능하여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소화기이다.
그러나 상기의 축압식 소화기는 육안으로 화재가 난 지점에 직접 분사해야 화재 진압 효율이 상승하기 때문에 일반인들은 쉽게 사용이 가능하나, 앞을 볼 수 없는 시각장애인들은 소화기가 구비되어 있다 하더라도 화재 발생 지점을 제대로 찾지 못해 화재를 진압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고, 이러한 문제는 결국 화재로 인한 가스질식 등에 의해 사망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소화기와 관련된 발명은 음성안내를 통해 소화기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거나 분사면적을 넓게 하여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대부분 일반인들을 위한 것이어서, 시각장애인들이 타인에게 의지하지 않고 자신이 직접 화재가 발생한 지점을 찾아 불을 끌 수 있는 소화기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9-0129000호(2009.12.16.공개, 화재 진압용 소화기)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757760호(2017.07.07.등록, 화재감지수단을 갖는 소화기)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85981호(2005.05.27.등록, 소화기 사용안내 알림장치를 구비한 소화기)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재 발생 시 시각장애인이 직접 실내에 비치된 소화기를 이용해 화재 지점에 소화약제를 정확히 분사해, 신속히 화재를 진압함과 동시에 화재의 확산을 방지함으로써 화재로 인한 시각장애인의 인명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시각장애인용 소화기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일반인이 사용하도록 제조된 소화기를 시각장애인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와 분해가 간편해 사용 및 설치 편의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시각장애인용 소화기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소화약제가 본체용기(10) 내부에 설정된 압력으로 채워지고, 안전핀(20)을 탈거시킨 상태로 손잡이(30) 측으로 레버(40)를 가압하면 소화약제가 분사호스(50)를 통해 상기 본체용기(10)의 외부로 분사되도록 이루어진 시각장애인용 소화기(1)에 있어서, 상기 분사호스(50)에서 소화약제가 분사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바라보도록 상기 분사호스(50)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화재가 일어난 곳의 불꽃을 감지하도록 형성된 불꽃감지센서(100)와, 상기 불꽃감지센서(100)가 화재를 감지하면 그 감지된 정보를 전달받아 일측에 구비된 음향부(210)를 통해 시각장애인에게 음향정보를 제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본체용기(10)에 분리 결합 가능하게 설치된 제어수단(200)과, 상기 제어수단(200)에 의해 음향정보가 제공되어 상기 레버(40)를 가압하면 분사호스(50)에서 분사된 소화약제가 화재 지점으로 정확히 분사되도록 상기 불꽃감지센서(100)가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만 불꽃을 감지할 수 있게 설치되고, 상기 분사호스(50)의 끝단부에 고정수단(400)으로 고정되는 감지영역제한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감지영역제한부재(300)는 상기 불꽃감지센서(100)가 끼워질 수 있는 원형 또는 타원형상의 불투명 관으로 이루어지고, 불꽃감지센서(100)에 의해 불꽃이 감지되는 각도가 10°~30°범위를 이루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불꽃감지센서(100)에서 감지된 정보가 유선으로 제어수단(200)에 전달되게 설치된 경우, 상기 불꽃감지센서(100)와 제어수단(200)은 상호 전선(230)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전선(230)은 일정 간격으로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된 클램핑수단(235)에 의해 상기 분사호스(50)에 고정되게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200)의 일 표면에는 자성(磁性)을 띤 자력부재(250)가 설치되어 상기 본체용기(10)의 외면에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시각장애인용 소화기는,
첫째, 시각장애인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화재 지점을 찾아 소화약제를 분사함으로써 화재를 신속히 진압함과 동시에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둘째, 소화약제를 화재 지점에 분사하고 난 후에는 불꽃감지센서를 이용해 불이 제대로 꺼졌는지 확인하거나 화재 대피용품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셋째, 기존의 소화기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 및 설치의 편의성은 증대되는데 비해 제조비용은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소화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소화기의 불꽃감지센서가 감지영역제한부재에 설치된 상태를 발췌하여 나타낸 부분절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소화기의 사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소화기의 제어수단이 본체용기에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소화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일반적인 소화기는 방염(防炎) 성능이 있는 소화약제가 본체용기(10) 내부에 설정된 압력으로 채워지고, 안전핀(20)을 탈거시킨 상태로 손잡이(30) 측으로 레버(40)를 가압하면 소화약제가 분사호스(50)를 통해 본체용기(10)의 외부로 분사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소화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의 일반적인 소화기에 불꽃감지센서(100)와, 제어수단(200) 및 감지영역제한부재(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불꽃감지센서(100)는 화재가 일어난 곳의 불꽃을 감지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분사호스(50)의 끝단부가 향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바라보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불꽃감지센서(100)의 설치위치는 분사호스(50)와 동일한 방향에서 화재를 감지할 수 있으면서도 분사호스(50)에서 소화약제가 분사되었을 때 이 소화약제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는 위치 즉, 분사호스(50)의 끝단부에 설치하되 그 끝단부보다 돌출되지 않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불꽃감지센서(100)는 적외선 LED를 통해 화재시 연소 반응에 의해 불꽃에서 파생되는 근적외선 파장을 감지하여 아날로그 혹은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도록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불꽃감지센서(100)를 통해 감지할 수 있는 최대 거리는 3m 이내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소화기의 작동범위가 3m인 것을 감안해 불꽃감지센서(100)가 화재 지점의 불꽃을 감지하여 레버(40)를 가압하였을 때 분사호스(50)에서 분사된 소화약제가 화재 지점까지 충분히 도달하여 화재를 신속히 진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의 제어수단(200)은 불꽃감지센서(100)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전달받아 일측에 구비된 음향부(210)를 통해 사용자인 시각장애인에게 음향정보를 제공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이러한 제어수단(200)은 상기 본체용기(10)의 일측 외면에 분리 결합 가능하게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음향부(210)를 통해 제공되는 음향정보는 비프음이나 경고음 또는 음성메세지와 같은 안내멘트를 통해 화재를 감지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
이때 제어수단(200)은 불꽃감지센서(100)에서 감지된 정보를 수신받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내부 일측에는 불꽃감지센서(100)에서 전달된 정보의 수신 및 음향부(210)의 작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20)가 수용되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전원공급부(220)는 일반 건전지 또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 모두 사용 가능하다.
첨부한 도면에서는 불꽃감지센서(100)와 제어수단(200)이 전선(230)에 의해 유선으로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였는데, 이와 같이 전선(230)에 의해 연결된 경우에는 상기의 전선(230)이 화재로 인한 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열성을 지닌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선(230)은 분사호스(50)를 상,하,좌,우로 움직하는데 방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전선(2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 클램핑수단(235)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되며, 이때의 클램핑수단(235)은 분사호스(50)에 용이하게 설치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분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전선(230)과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수단(200)에는 전원공급부(220)에 의한 제어수단(200)으로의 전원 공급을 선택적으로 On/Off 시켜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원스위치(24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전원스위치(240)가 구비된 경우에는 전원이 켜지거나 꺼진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의 음향부(210)를 통해 안내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제어수단(200)은 길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된 밴드나 클램프, 또는 자석을 매개로 하여 본체용기(10)에 직접 고정되거나, 제어수단(200)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가 마련된 별도의 케이스가 제어수단(200)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이 케이스 내에 수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의 감지영역제한부재(3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불꽃감지센서(100)의 전방 외측부분을 가려 불꽃감지센서(100)가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만 불꽃을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감지영역제한부재(300)를 설치하는 이유는 상기 제어수단(200)에 의해 음향정보가 제공되어 레버(40)를 가압하였을 시 분사호스(50)에서 분사된 소화약제가 화재 지점으로 정확히 분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의 감지영역제한부재(300)는 불꽃감지센서(100)에 접착제나 접착테이프 또는 클램프 등을 이용해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고, 이와 같이 불꽃감지센서(100)에 설치된 감지영역제한부재(300)는 클램프, 절연테이프, 케이블타이 등과 같은 고정수단(400)에 의해 분사호스(50)의 끝단부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수단(400)은 별도로 구비되어 분사호스(50) 및 감지영역제한부재(300)에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된 것이거나 또는 상기의 전선(230)을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클램핑수단(235)과 같이 감지영역제한부재(300)와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시각장애인용 소화기에 대한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소화기를 사용하기에 앞서 기본적으로 시각장애인으로 하여금 소화기가 비치된 위치와 사용방법을 사전에 숙지시키는 것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시각장애인용 소화기의 사용법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화재 발생 인지, 소화기 확보, 안전핀 분리, 화재 지점 파악, 소화약제 분사, 화재 진압 확인 순서로 이루어진다.
시각장애인이 생활하고 있는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화재경보기가 작동하면, 시각장애인은 정해진 위치에 있는 소화기를 찾아 안전핀을 뽑은 상태에서 분사호스(50)가 자신의 전방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며 화재 지점을 찾는다.
이때 본체용기(10)에 부착된 제어수단(200)에 전원스위치(240)이 구비된 경우에는 안전핀을 뽑기 전 전원스위치(240)를 켜 불꽃감지센서(100) 및 제어수단(200)이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화재 지점을 찾기 위해 분사호스(50)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불꽃감지센서(100)가 불꽃을 감지하게 되면, 음향부(210)에서는 정해진 음향정보를 통해 시각장애인에게 알리게 된다.
시각장애인은 음향부(210)에서 지속적인 음향정보가 제공되는 곳으로 분사호스(50)의 방향을 고정시키고, 이후 레버(40)를 손잡이(30) 측으로 가압하여 소화약제를 분사하면 되는데, 소화약제가 분사될 때에는 빗자루를 쓸듯이 분사호스(50)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소화약제를 충분히 분사하고 난 후에는 레버(40)의 가압 상태를 해제하고, 소화약제를 분사한 주변에서 음향부(210)를 통해 음향정보가 제공되는지 확인하며, 더이상 음향정보가 제공되지 않으면 소화약제를 분사한 지점에서의 화재가 진압되었다고 판단한다.
소화약제를 분사한 지점에서 화재가 진압되었다고 판단한 이후에는 다른 곳으로 이동하며 분사호스(50)의 방향을 전환해, 불꽃감지센서(100)가 여분의 불씨 또는 다른 곳으로 번진 불씨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와 같은 동작을 충분히 반복하였음에도 음향부(210)에서 불씨를 감지하였을 때의 음향정보가 제공되지 않으면 시각장애인은 화재가 모두 진압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와 같이 화재가 발생한 경우 시각장애인이 소화기를 이용해 화재 지점을 신속히 찾고, 화재 지점에 정확히 소화약제를 분사시켜 화재를 진압하는 것이 가능함에 따라, 시각장애인으로 인해 발생한 화재를 신속히 진압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타인에 의해 발생한 화재의 경우에는 화재로부터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데, 이때의 경우에는 안전핀(20)을 제거한 후 불꽃감지센서(100)가 시각장애인의 전방에 위치한 불꽃을 감지할 수 있게 분사호스(50)를 전방으로 향하도록 하고, 출구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음향부(210)에서 알람이 울릴 때마다 소화약제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면서 대피가 가능하다.
이처럼, 화재가 발생한 경우 시각장애인이 직접 화재를 진압하거나 또는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용도로 사용이 가능함에 따라, 화재로 인한 시각장애인의 인명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의 감지영역제한부재(300)는 불꽃감지센서(100)가 끼워질 수 있는 원형 또는 타원형상의 불투명 관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한데, 이처럼 감지영역제한부재(300)를 불투명 재질의 관으로 형성시킨 이유는 불꽃감지센서(100)가 사방(四方)으로 균일한 범위 내에서 정확하게 불꽃을 감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감지영역제한부재(300)는 불꽃감지센서(100)에 의해 불꽃이 감지되는 각도가 10°~30°범위를 이루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은 각도 범위 내에서 불꽃을 감지하도록 감지영역제한부재(300)를 설치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먼저 불꽃감지센서(100)에 의해 불꽃을 감지할 수 있는 각도를 10°미만이 되도록 한 경우에는 불꽃을 감지하는 범위가 40㎝ 이내로 좁아져 불꽃을 찾는 시간이 오래걸리게 되고, 반대로 30°를 초과하도록 한 경우 불꽃을 감지하는 범위가 1.5m 이상이 되어 빠른 시간 내에 불꽃을 감지할 수는 있으나 화재 지점을 정확하게 찾기 어려워 자칫 엉뚱한 곳에 소화약제를 분사함으로써 신속히 화재를 진압하지 못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에 더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수단(200)의 일 표면에는 자성(磁性)을 띤 자력부재(250)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금속재질의 본체용기(10) 외면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제어수단(200)을 설치 및 분리할 수 있어 기존의 소화기는 물론 소화약제를 분사하고 난 소화기에서 분리시킨 후 새로운 소화기에도 용이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소화기는 시각장애인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화재 지점을 찾아 소화약제를 분사함으로써 화재를 신속히 진압함과 동시에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고, 소화약제를 화재 지점에 분사하고 난 후에는 불꽃감지센서를 이용해 불이 제대로 꺼졌는지 확인하거나 화재 대피용품으로 사용할 수 있어 화재로 인한 시각장애인의 인명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소화기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 및 설치의 편의성은 증대되는데 비해 제조비용은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1 : 소화기
10 : 본체용기 20 : 안전핀
30 : 손잡이 40 : 레버
50 : 분사호스
100 : 불꽃감지센서
200 : 제어수단 210 : 음향부
220 : 전원공급부 230 : 전선
235 : 클램핑수단 240 : 전원스위치
250 : 자력부재
300 : 감지영역제한부재
400 : 고정수단

Claims (4)

  1. 방염(防炎) 성능이 있는 소화약제가 본체용기(10) 내부에 설정된 압력으로 채워지고, 안전핀(20)을 탈거시킨 상태로 손잡이(30) 측으로 레버(40)를 가압하면 소화약제가 분사호스(50)를 통해 상기 본체용기(10)의 외부로 분사되도록 이루어진 시각장애인용 소화기(1)에 있어서,
    상기 분사호스(50)의 끝단부에 소화약제가 분사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바라보도록 설치되고, 적외선 LED를 이용해 소화기(1)의 작동범위와 대응되는 범위 내에서 화재가 일어난 곳의 불꽃을 감지하도록 형성된 불꽃감지센서(100)와,
    상기 불꽃감지센서(100)와 전선(230)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본체용기(10)의 외면에 설치되고, 상기 불꽃감지센서(100)에서 감지된 화재정보를 전달받아 일측에 구비된 음향부(210)를 통해 시각장애인에게 음향정보를 제공하도록 형성된 제어수단(200)과,
    상기 제어수단(200)에 의해 음향정보가 제공되어 상기 레버(40)를 가압하면 분사호스(50)에서 분사된 소화약제가 화재 지점으로 정확히 분사되도록 상기 불꽃감지센서(100)가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만 불꽃을 감지할 수 있게 설치되고, 상기 분사호스(50)의 끝단부에 고정수단(400)으로 고정되는 감지영역제한부재(300)를 포함하되,
    상기 감지영역제한부재(300)는 불꽃감지센서(100)에 의해 불꽃이 감지되는 각도가 10°~30°범위를 이루도록 상기 불꽃감지센서(100)가 끼워질 수 있는 원형 또는 타원형상의 불투명 관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선(230)은 일정 간격으로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된 클램핑수단(235)에 의해 상기 분사호스(50)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어수단(200)은 일 표면에는 자성(磁性)을 띤 자력부재(250)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용기(10)의 외면에 분리 결합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소화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80123335A 2018-10-16 2018-10-16 시각장애인용 소화기 KR102135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335A KR102135029B1 (ko) 2018-10-16 2018-10-16 시각장애인용 소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335A KR102135029B1 (ko) 2018-10-16 2018-10-16 시각장애인용 소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758A KR20200042758A (ko) 2020-04-24
KR102135029B1 true KR102135029B1 (ko) 2020-07-17

Family

ID=70466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3335A KR102135029B1 (ko) 2018-10-16 2018-10-16 시각장애인용 소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502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959Y1 (ko) * 2005-11-28 2006-02-15 송길봉 소방 호스 보호 외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981B1 (ko) 2001-01-03 2003-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카세트 자동 인식 기능을 갖는 프린팅 장치 및 그의카세트 자동 인식 방법
KR100456920B1 (ko) * 2002-02-26 2004-11-10 신라파이어 주식회사 자외선 감지기의 교체가 간편한 소방노즐
KR101003795B1 (ko) 2008-06-12 2010-12-23 이강민 화재 진압용 소화기
KR20170140649A (ko) * 2016-06-13 2017-12-2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경광등이 구비된 소화기
KR101757760B1 (ko) 2016-08-29 2017-07-14 박종두 화재감지수단을 갖는 소화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959Y1 (ko) * 2005-11-28 2006-02-15 송길봉 소방 호스 보호 외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758A (ko) 2020-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72247B1 (en) Fire Extinguising Gas Spray Device and Disaster Warning System
JP5230476B2 (ja) 消火ガス噴射器および災害警報システム
WO2009145661A1 (ru) Спринклерный ороситель с управляемым пуском
US8651195B2 (en) Jetting apparatus for fire extinguishing gas and disaster warning system
JP5073296B2 (ja) 消火ガス噴射器
KR101003795B1 (ko) 화재 진압용 소화기
KR102135029B1 (ko) 시각장애인용 소화기
KR101676813B1 (ko) 개인인명구조용 경보기
KR20180027734A (ko) 화재 경보 전파 기능이 구비된 소화기
KR200408961Y1 (ko) 소방용 조명통신보조기구
KR101212648B1 (ko) 다기능 소화기
JPH09225056A (ja) 消火器
KR101658710B1 (ko)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소화장비
KR20200099289A (ko) 안전핀 파지(把持) 없는 소화기 m
KR101887914B1 (ko) 장식기능을 갖는 소화기용 보호장치
KR102409440B1 (ko) 화재 감지와 화재 경보 및 위치 알림 기능을 갖는 멀티 기능 소화 장치
LU103120B1 (en) Portable fire extinguisher
KR200366060Y1 (ko) 음이온이 발생하는 가정용소화장치
CN219896873U (zh) 一种带有防护罩的灭火器
CN217489608U (zh) 一种智慧消防用隔热盾牌式的灭火器
KR102621155B1 (ko) 건축물 소방용 옥내소화전
CN211188876U (zh) 一种便携式的多功能的干粉灭火器
CN212235742U (zh) 一种全氟己酮灭火柜
KR20200102681A (ko) 시각장애인이 사용 가능한 가정용 소화기 장치
CZ35999U1 (cs) Přenosný hasicí přístroj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