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8710B1 -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소화장비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소화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8710B1
KR101658710B1 KR1020140163645A KR20140163645A KR101658710B1 KR 101658710 B1 KR101658710 B1 KR 101658710B1 KR 1020140163645 A KR1020140163645 A KR 1020140163645A KR 20140163645 A KR20140163645 A KR 20140163645A KR 101658710 B1 KR101658710 B1 KR 101658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ire extinguisher
switch
wireless
safety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3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1544A (ko
Inventor
이권연
문지원
Original Assignee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63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8710B1/ko
Publication of KR20160061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1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2Mechanical actuation of the alarm, e.g. by the breaking of a wi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02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pressure gas produced by chemicals
    • A62C13/04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pressure gas produced by chemicals with separate acid container
    • A62C13/14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pressure gas produced by chemicals with separate acid container with acid container the shell of which is ruptured by pin, screw-pin, or similar devi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ire Alarm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기 소화기를 실제 화재 진압에 이용하기 위해 소화기에서 안전핀을 제거할 때 무신 신호를 주변으로 송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소화장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소화장비는, 소화기와, 무선 신호 발생유닛과, 무선 수신기를 포함한다. 소화기는 소화기 본체와, 사용자 조작을 위한 손잡이를 구비하는 소화기 헤드와, 상기 손잡이의 조작을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소화기 헤드에 분리식으로 결합되는 안전핀을 갖는다. 무선 신호 발생유닛은 안전핀이 연결되는 스위치와, 스위치의 동작에 의해 무선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스위치와 연결되는 무선 송신기를 구비하고, 안전핀이 스위치와 연결되도록 소화기에 설치된다. 무선 수신기는 무선 신호 발생유닛의 무선 송신기가 발생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소화기의 외부에 설치되는 알림 장치에 전달할 수 있도록 알림 장치에 연결된다.

Description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소화장비{Fire-Extinguishing Equipment with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본 발명은 화재 진압을 위한 소화장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화재 진압을 위해 소화기를 사용할 때 무선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화재 발생 상황을 주변에 신속하게 전파할 수 있는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소화장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각종 생활 주거지, 사무실, 공장, 지하철 등 다중 이용시설 등과 같이 사람이 생활하는 공간에서 화재로 인한 인명 피해를 줄이기 위한 화재 진압 및 경보 시스템이 필수적으로 구비되고 있다. 특히 원룸과 같은 1인 주거시설이나 요양 시설, 병원 등에서는 화재 발생시 화재진압 뿐만 아니라 효과적으로 신속하게 화재 발생 상황을 전파할 수 있는 시스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각종 생활 주거지나 다중 이용시설에는 소화기나 비상벨이 구비된 소화전을 구비하여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화재가 발생한 긴급 상황에서 화재를 발견한 사람이 소화기를 이용하여 비상 조치를 취하면서 주변에 화재 발생 상황을 알려 주변 사람들을 대피시키거나, 소화전이 있는 곳까지 이동하여 비상벨을 울리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다. 특히, 주거 공간에 혼자 있을 때 화재가 발생할 경우라면 이러한 조치를 동시에 수행하는 것은 더욱 어려운 일이다.
현재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동형이 아닌 고정형 소화기로서 신호 발생 기능을 갖는 화재 방어용 감지수단 소화기나, 탈거시 경보음을 발생할 수 있는 소화기 등이 제안되고 있다. 예컨대, 공개특허공보 제2011-0119885호(2011. 11. 03.)에는 사용자가 소화기 보관함에 보관된 소화기를 들어올리면 즉각적으로 비상벨과 비상등이 작동하는 비상벨과 비상등이 구비된 소화기 보관함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술한 것과 같은 종래 기술은 화재가 발생 시 소화기 주변에 화재 경보음이 울려 소화기로부터 일정 거리에 있는 주변 사람들에게 화재 발생 상황을 전파할 수 있지만, 방송 장비를 구비하고 있는 관리실이나 소방소 등에 즉시 화재발생 상황을 알릴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소화기의 위치 이동이나 소화기에 대한 정기적인 정비, 또는 실수나 장난 등에 의해 화재 발생 상황이 아닌 경우에도 경보음을 발생하여 주변 사람들에게 혼란을 초래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것과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기 소화기를 실제 화재 진압에 이용하기 위해 소화기에서 안전핀을 제거할 때 무신 신호를 주변으로 송신함으로써 화재 발생 상황을 광범위하게 전파할 수 있는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소화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소화장비는, 소화용 물질을 저장하는 소화기 본체와 사용자 조작을 위한 손잡이를 구비하여 상기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상기 소화용 물질을 외부로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소화기 본체에 결합되는 소화기 헤드와 상기 손잡이의 조작을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소화기 헤드에 분리식으로 결합되는 안전핀을 갖는 소화기와, 상기 안전핀이 연결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동작에 의해 무선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와 연결되는 무선 송신기를 구비하고 상기 안전핀이 상기 스위치와 연결되도록 상기 소화기에 설치되는 무선 신호 발생유닛과, 상기 무선 신호 발생유닛의 무선 송신기가 발생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소화기의 외부에 설치되는 알림 장치에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알림 장치에 연결되는 무선 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선 신호 발생유닛은, 상기 스위치와 상기 무선 송신기를 수용하는 보호 케이스와, 상기 스위치와 상기 무선 송신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신호 발생유닛은, 상기 보호 케이스의 외측으로 빛을 낼 수 있도록 상기 보호 케이스에 결합되는 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림 장치는 건물 내에 설치되는 인터폰과, 소화전과, 비상벨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소화장비는 화재 발생시 사용자가 소화기를 사용하기 위해 소화기의 안전핀을 뽑으면 무선 신호 발생유닛이 작동하여 그 주변으로 무신 신호를 송신한다. 그리고 무선 신호 수신 거리에 있는 무선 수신기가 그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인터폰이나 소화전 등의 알림 기능을 작동시킴으로써 주변 사람들이나 건물 관리인에게 비상 상황을 신속하게 전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소화장비는 사용자가 소화기를 실제로 사용하기 위해 소화기에서 안전핀을 제거할 때만 무선 신호 발생유닛이 작동하여 무선 신호를 발생하므로, 소화기의 위치 이동이나 소화기에 대한 정기적인 정비, 또는 실수나 장난 등에 의해 화재 발생 상황이 아닌 경우에 비상 신호가 발생하여 주변 사람들에게 혼란을 주는 상황을 초래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소화장비는 사용자가 소화기에서 안전핀을 뽑으면 무선 송신기가 무선 신호를 주변으로 광범위하게 송신함과 동시에 램프가 작동하여 소화기 주위를 밝혀준다. 따라서, 정전이나 연기로 인해 주변이 어두울 때 사용자가 소화기로 화재를 진압하기 용이하고, 사용자가 대피로를 찾는데 도움을 준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소화장비는 원룸이나 아파트, 사무실이나 작업장 등의 건물 내에 사람이 혼자 있을 때 발생하는 화재 상황에서 사용자가 화재를 진압하는 일과 화재 발생 사실을 알리는 일을 동시에 수월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 발생으로 인한 인명 피해 및 재산 피해를 줄이는데 큰 도움을 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소화장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소화장비의 소화기의 일부 구성 및 무선 신호 발생유닛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소화장비의 무선 신호 발생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소화장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소화장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소화장비의 소화기의 일부 구성 및 무선 신호 발생유닛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소화장비의 무선 신호 발생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소화장비(100)는 소화기(110)와, 무선 신호 발생유닛(120)과, 무선 수신기(13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의한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소화장비(100)는 사용자가 화재 진압을 위해 소화기(110)를 사용할 때 무선 신호 발생유닛(120)의 무선 수신기(130)를 통해 무선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화재 발생 상황을 주변에 신속하게 전파할 수 있다.
소화기(110)는 통상적인 소화기와 같은 것으로, 소화 분말이나 소화 가스 등 소화용 물질을 저장하는 소화기 본체(111)와, 소화기 본체(111)에 결합되는 소화기 헤드(112)와, 소화용 물질을 분사하기 위해 소화기 헤드(112)에 연결되는 분사 호스(113)를 포함한다. 소화기 헤드(112)에는 사용자 조작을 위한 손잡이(114)가 구비된다. 또한 소화기 헤드(112)에는 손잡이(114)의 조작을 제한하기 위한 안전핀(115)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통상의 소화기와 같이 안전핀(115)은 실수로 손잡이(114)가 조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안전핀(115)이 제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손잡이(114)가 조작되지 않고 안전핀(115)이 제거된 상태에서 손잡이(114)가 조작됨으로써 소화용 물질이 분사될 수 있다.
무선 신호 발생유닛(120)은 소화기(110)에 결합되는 보호 케이스(121)와, 스위치(122)와, 무선 송신기(123)와, 컨트롤러(124)와, 배터리(125)와, 램프(126)를 포함한다. 배터리(125)는 무선 수신기(130)와 컨트롤러(124) 및 램프(126)에 전원을 공급한다. 배터리(125)로는 교체형이나 충전형이 사용될 수 있다.
보호 케이스(121)는 스위치(122)와, 무선 송신기(123)와, 컨트롤러(124)와, 배터리(125)를 수용하여 보호한다. 도면에는 보호 케이스(121)가 사각 박스 형태로 소화기 헤드(112)에 결합된 것으로 나타냈으나, 보호 케이스(121)의 형상이나 소화기(110)에서의 결합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스위치(122)는 안전핀(115)과 연결되며, 온-오프 상태가 안전핀(115)의 연결 유무에 따라 바뀌게 된다. 즉, 안전핀(115)이 소화기 헤드(112)에 결합되어 스위치(122)에 연결되어 있을 때 스위치(122)는 오프 상태가 된다. 반면, 안전핀(115)이 소화기 헤드(112)로부터 분리되어 스위치(122)에서 벗어나면 스위치(122)는 온 상태가 된다. 스위치(122)로는 안전핀(115)의 연결 상태에 따라 온-오프 상태가 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의 것이 이용될 수 있다.
무선 송신기(123)는 안전핀(115)이 스위치(122)에서 분리되어 스위치(122)가 온 상태가 될 때 무선 신호를 발생하여 외부로 송신한다. 무선 송신기(123)의 동작은 컨트롤러(124)에 의해 제어된다. 즉, 스위치(122)가 온 상태가 되면 컨트롤러(124)가 무선 송신기(123)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무선 송신기(123)를 작동시킬 수 있다. 물론, 스위치(122)는 무선 수신기(130)와 배터리(125) 사이에 설치되어 무선 수신기(130)와 배터리(125)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직접 단속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컨트롤러(124)는 생략될 수 있다.
램프(126)는 보호 케이스(121)의 외측으로 빛을 낼 수 있도록 보호 케이스(121)에 결합된다. 램프(126)는 스위치(122)가 온 상태가 되면 작동하여 빛을 낸다. 램프(126)의 동작은 컨트롤러(124)에 의해 제어되거나, 스위치(122)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화재 발생 시 정전 또는 연기 때문에 주위의 시야가 어두워질 수 있는데, 종래에는 사용자가 손전등을 찾아 손으로 잡고 소화 작업을 수행하거나 대피로를 찾아야했다. 그러나 화재가 발생한 응급 상황에서 사용자가 손전등이 설치된 위치를 찾거나, 손전등을 잡은 상태로 소화기를 사용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에 반해, 본 실시예에 의한 소화장비(100)는 소화기 사용시 자동으로 작동하는 램프(126)가 소화기(110)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손전등 설치 위치를 찾아가거나, 손전등을 손으로 잡은 상태로 소화기를 사용해야하는 불편함이 없다.
또한 램프(126)는 화재 발생 주변을 밝혀서 사용자가 효과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소화기(110) 사용자가 어두운 화재 발생지에서 대피로를 찾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램프(126)는 소방관이나 화재 진압 및 구조를 돕기 위해 화재 발생지로 온 사람들에게 소화기(110) 사용자의 위치를 알릴 수 있다. 램프(126)로는 LED 등 빛을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것이 이용될 수 있다.
무선 수신기(130)는 무선 신호 발생유닛(120)의 무선 송신기(123)가 발생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소화기(110)의 외부에 설치되는 각종 알림 장치에 설치된다. 예컨대, 도시된 것과 같이 무선 수신기(130)는 송수화 기능을 갖는 인터폰(140)이나 소화 호스가 구비된 소화전(150) 등의 알림 장치에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화재가 발생하여 소화기(110)가 사용될 때 무선 수신기(130)는 무선 신호 발생유닛(120)의 무선 송신기(123)가 송신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인터폰(140)이나 소화전(150) 등의 알림 장치에 전달한다. 이때, 인터폰(140)은 경고음을 발생하여 거주자나 관리자에게 비상 상황을 알릴 수 있고, 소화전(150)은 이에 구비된 비상벨을 작동하여 주위 사람들에게 비상 상황을 알릴 수 있다. 무선 수신기(130)는 건물에 통상적으로 설치되는 인터폰(140)이나 소화전(150) 등 기존 장비에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별도의 알림 장치와 세트로 조립되어 건물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소화장비(100)는 화재 발생시 사용자가 소화기(110)를 사용하기 위해 소화기(110)의 안전핀(115)을 뽑으면 무선 신호 발생유닛(120)이 작동하여 그 주변으로 무신 신호를 송신한다. 그리고 무선 신호 수신 거리에 있는 무선 수신기(130)가 그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인터폰(140)이나 소화전(150) 등의 알림 기능을 작동시킴으로써 주변 사람들이나 건물 관리인에게 비상 상황을 신속하게 전파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소화장비(100)는 사용자가 소화기(110)를 실제로 사용하기 위해 소화기(110)에서 안전핀(115)을 제거할 때만 무선 신호 발생유닛(120)이 무선 신호를 발생하므로, 소화기의 위치 이동이나 소화기에 대한 정기적인 정비, 또는 실수나 장난 등에 의해 화재 발생 상황이 아닌 경우에 비상 신호가 발생하여 주변 사람들에게 혼란을 주는 상황을 초래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소화장비(100)는 사용자가 소화기(110)에서 안전핀(115)을 뽑으면 무선 송신기(123)가 무선 신호를 주변으로 광범위하게 송신함과 동시에 램프(126)가 작동하여 소화기(110) 주위를 밝힌다. 따라서, 정전이나 연기로 인해 주변이 어두울 때 사용자가 소화기(110)로 화재를 진압하기 용이하고, 사용자가 대피로를 찾는데 도움을 준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소화장비는 원룸이나 아파트, 사무실이나 작업장 등의 건물 내에 사람이 혼자 있을 때 발생하는 화재 상황에서 사용자가 화재를 진압하는 일과 화재 발생 사실을 알리는 일을 동시에 수월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재 발생으로 인한 인명 피해 및 재산 피해를 줄이는데 큰 도움을 준다.
한편, 도면에는 무선 신호 발생유닛(120) 내부에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125)가 내장된 것으로 나타냈으나, 무선 신호 발생유닛(120)은 외부 전원으로 작동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및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 소화장비 110 : 소화기
111 : 소화기 본체 112 : 소화기 헤드
113 : 분사 호스 114 : 손잡이
115 : 안전핀 120 : 무선 신호 발생유닛
121 : 보호 케이스 122 : 스위치
123 : 무선 송신기 124 : 컨트롤러
125 : 배터리 130 : 무선 수신기
140 : 인터폰 150 : 소화전

Claims (4)

  1. 소화용 물질을 저장하는 소화기 본체와, 사용자 조작을 위한 손잡이를 구비하여 상기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상기 소화용 물질을 외부로 분사할 수 있도록 상기 소화기 본체에 결합되는 소화기 헤드와, 상기 손잡이의 조작을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소화기 헤드에 분리식으로 결합되는 안전핀을 갖는 소화기;
    상기 안전핀이 연결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동작에 의해 무선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와 연결되는 무선 송신기를 구비하고, 상기 안전핀이 상기 스위치와 연결되도록 상기 소화기에 설치되는 무선 신호 발생유닛; 및
    상기 무선 신호 발생유닛의 무선 송신기가 발생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소화기의 외부에 설치되는 알림 장치에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알림 장치에 연결되는 무선 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신호 발생유닛은, 보호 케이스의 외측으로 빛을 낼 수 있도록 보호 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안전핀의 연결유무에 따라 온 또는 오프 상태로 변하는 상기 스위치에 의해 작동하거나 작동하지 않는 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소화장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호 발생유닛은, 상기 스위치와 상기 무선 송신기를 수용하는 보호 케이스와, 상기 스위치와 상기 무선 송신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소화장비.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장치는 건물 내에 설치되는 인터폰과, 소화전과, 비상벨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소화장비.
KR1020140163645A 2014-11-21 2014-11-21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소화장비 KR101658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645A KR101658710B1 (ko) 2014-11-21 2014-11-21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소화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3645A KR101658710B1 (ko) 2014-11-21 2014-11-21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소화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1544A KR20160061544A (ko) 2016-06-01
KR101658710B1 true KR101658710B1 (ko) 2016-09-22

Family

ID=56138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3645A KR101658710B1 (ko) 2014-11-21 2014-11-21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소화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87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0986B1 (ko) * 2017-06-14 2019-04-22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화기 작동 감지 시스템
KR101868366B1 (ko) * 2017-06-28 2018-06-18 (주)한성기술단 소화기 시스템
KR102396888B1 (ko) * 2020-04-16 2022-05-11 양우태 실시간 스마트 소방 화재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3496A (ja) 2002-09-26 2004-04-15 Fuji Photo Film Co Ltd 消火器
JP2004275575A (ja) 2003-03-18 2004-10-07 Nittan Co Ltd 通報装置および火災通報システム
JP2004351047A (ja) * 2003-05-30 2004-12-16 Takeshi Taniguchi 消火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8961B2 (ja) * 1996-11-11 1998-11-25 株式会社パイレイ 消火機器設置場所報知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3496A (ja) 2002-09-26 2004-04-15 Fuji Photo Film Co Ltd 消火器
JP2004275575A (ja) 2003-03-18 2004-10-07 Nittan Co Ltd 通報装置および火災通報システム
JP2004351047A (ja) * 2003-05-30 2004-12-16 Takeshi Taniguchi 消火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1544A (ko) 201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5774B1 (ko) 스마트 소방 대피 시스템
KR101841761B1 (ko) 건설현장 임시소방시설용 화재감지 및 대피유도 시스템
TWM483806U (zh) 智慧安全防護整合系統載具
KR101753062B1 (ko) 위치 알림 소화기
KR101658710B1 (ko)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소화장비
KR102103631B1 (ko) 안전 기구함
KR101082533B1 (ko) 소방관 헬멧 및 그 제어방법
KR101585969B1 (ko) 다목적 소방안전시스템
KR20110002622A (ko) 다기능 휴대용 소화기 시스템
KR101233463B1 (ko) 소화기 받침대
KR200484889Y1 (ko) 휴대형 간이 소방시설 장치
KR101765330B1 (ko) 임시소방장치가 수용된 이동카트 및 이를 이용한 화재관리시스템
JP2010233849A (ja) 消火ガス噴射器および地震警報器並びに災害警報システム
KR20070085192A (ko) 이산화탄소(또는 청정소화약제) 소화설비 원격제어 시스템
KR101213673B1 (ko) 근접 위치식별 시스템
KR20170140649A (ko) 경광등이 구비된 소화기
KR200473033Y1 (ko) 소방용 수관 라이트라인
KR102032333B1 (ko) 건설현장용 비상유도 경보장치
KR200314946Y1 (ko) 공기호흡기용 개인안전 경보시스템
KR20180002453A (ko) 파동화재 진압기
JP2007193683A (ja) 火災告知具、および、それを備えた火災報知システム
KR200466854Y1 (ko) 화재 발생 표시 및 진압 박스
KR102409440B1 (ko) 화재 감지와 화재 경보 및 위치 알림 기능을 갖는 멀티 기능 소화 장치
KR20170093765A (ko)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위치 알림 소화기
JP2016097151A (ja) 消火器及び火災通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