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8507A - 장식기능을 갖는 소화기용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장식기능을 갖는 소화기용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8507A
KR20180068507A KR1020160170259A KR20160170259A KR20180068507A KR 20180068507 A KR20180068507 A KR 20180068507A KR 1020160170259 A KR1020160170259 A KR 1020160170259A KR 20160170259 A KR20160170259 A KR 20160170259A KR 20180068507 A KR20180068507 A KR 20180068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er
fire
control unit
protective devic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0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7914B1 (ko
Inventor
안재영
Original Assignee
(주)두레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두레샘 filed Critical (주)두레샘
Priority to KR1020160170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914B1/ko
Publication of KR20180068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007Solid extinguishing substances
    • A62D1/0014Powders; Granu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3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76Safety features, e.g. colour, prominent part, logo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식기능을 갖는 소화기용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전핀과 레버가 마련되며 화재시 소화분말을 분사하는 소화기가 내장된 소화기용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화기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소화기의 소화분말이 분사되도록 분사구가 마련되고, 상기 레버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관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안전핀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인출구가 형성된 하우징본체와, 상기 분사구에 끼움되고, 상기 소화기의 분출관의 일단이 끼움되는 분사관으로 이루어져, 소화기의 레버와 안전핀이 외부로 돌출되게 하우징본체가 소화기를 감싸면서 체결되어, 외부의 충격에 의해 소화기를 보호함과 아울러 심미감을 갖게 되고, 라벨이 부착되어 미숙한 어린이나 당황한 사용자가 침착하게 라벨의 인쇄문구에 따라 소화기를 작동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장식기능을 갖는 소화기용 보호장치 { Protective device for fire extinguishers with decoration }
본 발명은 장식기능을 갖는 소화기용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화기의 레버와 안전핀이 외부로 돌출되게 하우징본체가 소화기를 감싸면서 체결되어, 외부의 충격에 의해 소화기를 보호함과 아울러 심미감을 갖게 되고, 라벨이 부착되어 미숙한 어린이나 당황한 사용자가 침착하게 라벨의 인쇄문구에 따라 소화기를 작동할 수 있게 되는 장식기능을 갖는 소화기용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화기란 건물 내부나 차량 내의 적당한 곳에 미리 비치하여 놓고 화재가 발생한 즉시 그 불을 끄는데 사용되는 기구를 말하는 것이다. 통상 금속으로 만든 원통으로 압착공기를 이용하는 분수 소화기, 화학적으로 발생시킨 탄산가스를 분출시키는 탄산가스 소화기, 중탄산소다 가루를 분출시키는 분말 소화기, 탄산가스의 기포를 분출하는 포말 소화기 등이 있다. 이들 소화기는 통로의 적당 장소나 입구에 미리 설치하고, 많은 사람이 그 설치장소를 알 수 있도록 하여 화재발생이라고 하는 긴급 상황 하에서 신속하게 소화기를 이용하여 진화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그 작동방식은 수동과 자동으로 나누어지고 있다.
상기 수동식 소화기는, 소화기를 사용하고자 할 때는 소화기의 일 부품인 안전핀을 뽑고 레버를 잡아당김으로써 내부의 뇌관장치가 파열되어 충전된 소화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자동식 소화기의 경우에는 소화약제 탱크에 결합 구성되는 노즐 헤드에 분사 작동구를 결합시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분사 작동구의 열감지 유리관이 화재 열을 감지하여 파손되면서 로킹 되어있던 타격봉의 구속을 해제하면서 타격봉이 격발 전진되도록 하여 노즐 헤드를 개방시키도록 하는 구조가 알려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발전소나 변전소 및 공장이나 건물 등에 있어서의 전기실에 설치된 배전반이나 각종 장비의 전기용 패널 등에는 소화장치가 직접 설치되지 못하고, 대신 하론 CO2 소화용기를 별도 구비하여 놓거나 건물 자체의 천장 부에 화재 발생 시 작동되는 하론 소화설비, CO2 소화설비 또는 청정 소화설비를 설치하여 진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최근에는 대한민국 출원번호 제 10-2012-0051581 호에서와 같이 소화기에 안전캡이 설치되어 외부의 충격에 의해 소화기가 작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소화기는 실내의 일정한 위치에 배치시키게 되는데, 외형이 작고 미려하지 않아 구석이나 별도의 가구내부에 배치시키게 되므로, 위급상황시 소화기를 찾지못해 화재를 초기에 진화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외면이 빨간색으로 도색되어 있어 불안감을 조성하게 되고, 실내에 배치하여도 청도 등에 의해 그 위치가 수시로 변경되어 위급시 찾기 어려운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또한, 화재시 소화기를 다루지 않은 사용자가 당황하여 안전핀을 뽑고 레버를 누르는 것을 인지하지 못해, 레버를 먼저 눌러 당황하여 화재의 진화가 늦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소화기의 레버와 안전핀이 외부로 돌출되게 하우징본체가 소화기를 감싸면서 체결되어, 외부의 충격에 의해 소화기를 보호함과 아울러 심미감을 갖게 되고, 라벨이 부착되어 미숙한 어린이나 당황한 사용자가 침착하게 라벨의 인쇄문구에 따라 소화기를 작동할 수 있게 되는 장식기능을 갖는 소화기용 보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안전핀과 레버가 마련되며 화재시 소화분말을 분사하는 소화기가 내장된 소화기용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화기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소화기의 소화분말이 분사되도록 분사구가 마련되고, 상기 레버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관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안전핀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인출구가 형성된 하우징본체와, 상기 분사구에 끼움되고, 상기 소화기의 분출관의 일단이 끼움되는 분사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본체에는 라벨부재의 일단이 부착되며, 상기 라벨부재의 상단부는 상기 안전핀과 연결되고, 상가 라벨부재에는 상기 소화기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는 문구가 인쇄된 인쇄부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본체에는 양측에 손잡이가 돌출되게 더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본체를 파지한 손가락이 걸림되도록 상기 하우징본체의 상부에는 걸림돌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사관에는 감지센서가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본체에는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가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본체에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램프가 더 마련되어, 상기 분사관을 통해 상기 소화분말이 분사되면 상기 램프에서 빛이 조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본체에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열감지센서와 가스감지센서가 더 마련되어,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여 램프가 발광되도록 하고, 상기 하우징본체에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게 알람부가 더 마련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램프와 함께 상기 알람부가 구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장식기능을 갖는 소화기용 보호장치는 소화기의 레버와 안전핀이 외부로 돌출되게 하우징본체가 소화기를 감싸면서 체결되어, 외부의 충격에 의해 소화기를 보호함과 아울러 심미감을 갖게 되고, 라벨이 부착되어 미숙한 어린이나 당황한 사용자가 침착하게 라벨의 인쇄문구에 따라 소화기를 작동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기능을 갖는 소화기용 보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기능을 갖는 소화기용 보호장치를 나타낸 배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기능을 갖는 소화기용 보호장치에 소화기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기능을 갖는 소화기용 보호장치에 소화기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기능을 갖는 소화기용 보호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기능을 갖는 소화기용 보호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기능을 갖는 소화기용 보호장치의 또 다른 실시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식기능을 갖는 소화기용 보호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기능을 갖는 소화기용 보호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기능을 갖는 소화기용 보호장치를 나타낸 배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기능을 갖는 소화기용 보호장치에 소화기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기능을 갖는 소화기용 보호장치에 소화기가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기능을 갖는 소화기용 보호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기능을 갖는 소화기용 보호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식기능을 갖는 소화기용 보호장치의 또 다른 실시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라 명명함)는 안전핀(200)과 레버(300)가 마련되며 화재시 소화분말을 분사하는 소화기(100)가 내장된 소화기(100)용 보호장치(10)로서, 이에 이와같은 보호장치(10)는 하우징본체(20)와 분사관(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본체(20)는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소화기(100)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소화기(100)의 소화분말이 분사되도록 분사구(21)가 마련되고, 상기 레버(300)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관통구(22)가 형성되며, 상기 안전핀(200)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인출구(23)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본체(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상 좌,우에 배치되는 한쌍의 케이스를 결합하여 형성시킨 것으로서, 상기 케이스들은 상기 소화기(100)를 감싸면서 상호 접착 또는 융착고정된다.
다르게는, 상기 하우징본체(20)는 상기 소화기(100)가 인서트되게 사출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하우징본체(20)에는 양측에 손잡이(24)가 돌출되게 더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본체(20)를 파지한 손가락이 걸림되도록 상기 하우징본체(20)의 상부에 곡선의 걸림돌부(25)가 더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24)들에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일면에 도어가 더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에는 화재시 사용자가 작용하도록 마스크가 더 배치된다.
상기 분사관(30)은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분사구(21)에 끼움되고 상기 소화기(100)의 분출관의 일단이 끼움되어 고정된다.
상기 분사관(30)은 중공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분출관에 끼움된 후 접착고정되거나, 억지끼움상태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하우징본체(20)로 상기 소화기(100)를 감싸도록 함으로서, 외부의 충격에 의해 소화기(100)를 보호할 수 있게 되고, 심미감을 갖도록 함으로서 미적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본체(20)에는 프레임틀(50)이 더 체결되며, 상기 하우징본체(20)에는 외면에 한쌍의 축공이 형성되고, 상기 축공에는 상기 프레임틀(50)의 상부에 형성되는 힌지축이 끼움되어, 상기 프레임틀(50)에서 소화기(100)가 내장된 상기 하우징본체(20)를 일정기간마다 180˚ 회전시켜 배치시킴으로서, 내부에 충진된 소화분말(소화약제)를 이동시켜 소화분말이 굳거나 가라앉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틀(50)의 기둥(51)에는 회전된 하우징본체(20)가 고정되도록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본체(20)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탄성스토퍼(52)가 더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틀(50)의 상부에는 바이브레이터인 진동기(53)가 더 형성되어, 일정기간마다 진동되도록 함으로서, 상기 진동기(53)의 진동이 상기 하우징본체(20)와 상기 소화기(100)에 전달되어, 충진된 소화분말이 굳거나 가라앉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탄성스토퍼(52)는 내측면에 안착홈을 더 형성시켜, 상기 하우징본체(20)의 외면과 접촉면적을 넓히도록 하는 바람직하며, 상기 탄성스토퍼(52)의 내부에 상기 진동기(53)를 삽입시켜, 진동이 상기 탄성스토퍼(52)를 통해 상기 소화기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서, 진동에 따른 소음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충격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본체(20)에는 라벨(40)부재의 일단이 부착되며, 상기 라벨(40)부재의 상단부는 상기 안전핀(200)과 연결되고, 상가 라벨(40)부재에는 상기 소화기(100)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는 문구가 인쇄된 인쇄부(41)가 더 마련된다.
상기 인쇄부(41)는 잡아 당기라는 문구로서, 상기 라벨(40)부재에 인쇄되어, 안전핀(200)을 뽑는 것을 모르는 어린이나 당황하여 안전핀(200)을 뽑는 것을 잊는 사용자가 잡아 당기라는 문구를 인지한 후 라벨(40)부재를 잡아 당겨 안전핀(200)을 뽑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인쇄부(41)는 잡아 당기라는 문구와 함께 상기 레버(300)를 가압하라는 문구가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라벨(40)부재는 섬유재로 형성시키게 되며, 하측 일부가 상기 손잡이(24)에 접착 또는 융착되어, 사용자가 라벨(40)부재를 잡아당기면 상기 손잡이(24)에서 탈거되도록 한다.
상기 인쇄부에는 반사분말이 도포된 접착제가 도포되어 코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사관(30)에는 분사망(32)을 더 형성하고, 망진동기(33)를 상기 분사망(32)에 고정시켜, 분사망(32)이 진동되도록 함으로서, 분사되는 소화분말이 상기 분사망에 의해 진동되면서 분사되어 확산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분사관(30)에는 감지센서(31)가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본체(20)에는 상기 감지센서(31)의 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26)가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본체(20)에는 상기 제어부(26)에 의해 제어되는 램프(27)가 더 마련되어, 상기 분사관(30)을 통해 상기 소화분말이 분사되면 상기 램프(27)에서 빛이 조사되도록 함으로서, 야간에 불빛이 없는 상태에서도 화재를 진압할 수 있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본체(20)에는 상기 제어부(2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열감지센서(28)와 가스감지센서(31)가 더 마련되어,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26)에 전달하여 램프(27)가 발광되도록 하고, 상기 하우징본체(20)에는 상기 제어부(26)와 연결되게 알람부(29)가 더 마련되어 상기 제어부(26)에 의해 상기 램프(27)와 함께 상기 알람부(29)가 구동되도록 함으로서, 사용자가 수면중이거나 일과중에 상기 알람부(29)의 소리를 인지하여 화재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램프(27)의 발광에 의해 청각장애를 갖는 사용자도 화재상황을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보호장치 20 : 하우징본체
30 : 분사관 40 : 라벨
50 : 프레임틀
21 : 분사구 22 : 관통구
23 : 인출구 24 : 손잡이
25 : 걸림돌부 26 : 제어부
27 : 램프 28 : 열감지센서
29 : 알람부
31 : 감지센서 32 : 분사망
33 : 망진동기
41 : 인쇄부
51 : 기둥 52 : 탄성스토퍼
53 : 진동기
100 : 소화기 200 : 안전핀
300 : 레버

Claims (5)

  1. 안전핀과 레버가 마련되며 화재시 소화분말을 분사하는 소화기가 내장된 소화기용 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화기가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소화기의 소화분말이 분사되도록 분사구가 마련되고, 상기 레버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관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안전핀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인출구가 형성된 하우징본체와,
    상기 분사구에 끼움되고, 상기 소화기의 분출관의 일단이 끼움되는 분사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기능을 갖는 소화기용 보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본체에는 라벨부재의 일단이 부착되며,
    상기 라벨부재의 상단부는 상기 안전핀과 연결되고,
    상가 라벨부재에는 상기 소화기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는 문구가 인쇄된 인쇄부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기능을 갖는 소화기용 보호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본체에는 양측에 손잡이가 돌출되게 더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본체를 파지한 손가락이 걸림되도록 상기 하우징본체의 상부에는 걸림돌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기능을 갖는 소화기용 보호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관에는 감지센서가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본체에는 상기 감지센서의 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가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본체에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램프가 더 마련되어, 상기 분사관을 통해 상기 소화분말이 분사되면 상기 램프에서 빛이 조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기능을 갖는 소화기용 보호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본체에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열감지센서와 가스감지센서가 더 마련되어,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여 램프가 발광되도록 하고, 상기 하우징본체에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게 알람부가 더 마련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램프와 함께 상기 알람부가 구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기능을 갖는 소화기용 보호장치.
KR1020160170259A 2016-12-14 2016-12-14 장식기능을 갖는 소화기용 보호장치 KR101887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259A KR101887914B1 (ko) 2016-12-14 2016-12-14 장식기능을 갖는 소화기용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259A KR101887914B1 (ko) 2016-12-14 2016-12-14 장식기능을 갖는 소화기용 보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507A true KR20180068507A (ko) 2018-06-22
KR101887914B1 KR101887914B1 (ko) 2018-08-13

Family

ID=62768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0259A KR101887914B1 (ko) 2016-12-14 2016-12-14 장식기능을 갖는 소화기용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79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2342B1 (ko) * 2018-10-15 2020-02-27 하재민 수동식 소화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5261A (ko) 2020-01-22 2021-08-02 하재민 IoT 기반 다기능 스마트 소화기 및 이를 거치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소화기 어셈블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8112A (ja) * 1999-04-02 2000-10-17 Maruyama Mfg Co Ltd 消火器
KR100576807B1 (ko) * 2003-10-17 2006-05-10 이레텍전자 주식회사 다기능 비상수단을 포함하는 무인 자동 소화장치
JP2007215965A (ja) * 2006-02-14 2007-08-30 Takakazu Kojima 操作順序早解かり消火器
JP2010233849A (ja) * 2009-03-31 2010-10-21 Hideo Yoshida 消火ガス噴射器および地震警報器並びに災害警報システム
KR200467851Y1 (ko) * 2011-09-23 2013-07-05 김효상 보조 손잡이 및 호스 안치부가 구비되는 소화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8112A (ja) * 1999-04-02 2000-10-17 Maruyama Mfg Co Ltd 消火器
KR100576807B1 (ko) * 2003-10-17 2006-05-10 이레텍전자 주식회사 다기능 비상수단을 포함하는 무인 자동 소화장치
JP2007215965A (ja) * 2006-02-14 2007-08-30 Takakazu Kojima 操作順序早解かり消火器
JP2010233849A (ja) * 2009-03-31 2010-10-21 Hideo Yoshida 消火ガス噴射器および地震警報器並びに災害警報システム
KR200467851Y1 (ko) * 2011-09-23 2013-07-05 김효상 보조 손잡이 및 호스 안치부가 구비되는 소화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2342B1 (ko) * 2018-10-15 2020-02-27 하재민 수동식 소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7914B1 (ko) 2018-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69300B2 (ja) 消火ガス噴射器
JP5230476B2 (ja) 消火ガス噴射器および災害警報システム
KR101887914B1 (ko) 장식기능을 갖는 소화기용 보호장치
KR101161952B1 (ko) 주방 화재진압용 자동 및 수동식 소화장치
KR101786001B1 (ko) 터널용 소화전
KR101685522B1 (ko) 건축물의 스프링클러 연결형 소방방재장치
KR100951394B1 (ko) 공기통용 안전경보시스템
KR20180027734A (ko) 화재 경보 전파 기능이 구비된 소화기
JP2007330765A (ja) 消火ガス噴射器
JP2010233849A (ja) 消火ガス噴射器および地震警報器並びに災害警報システム
JP5161664B2 (ja) 閉鎖型泡消火ヘッド
KR101993606B1 (ko) 소화가스 및 스프링클러 겸용 분사헤드 및 이를 이용한 소화시스템
JP2007100991A (ja) 防護盾および防護システム
KR101662020B1 (ko) 벽면거치구조를 갖는 소화기장치
KR100862910B1 (ko) 건축물용 지중배선의 소화구조물
KR200316817Y1 (ko) 1회용 소화기
KR102135029B1 (ko) 시각장애인용 소화기
KR101226447B1 (ko) 안전캡이 부착된 소화기
KR101050596B1 (ko) 비상구 유도표시부가 구비된 스프링쿨러
KR101564062B1 (ko) 터널에 구비된 소화전
KR200358354Y1 (ko) 소화기 지지대 음성 전달 장치
KR20200102681A (ko) 시각장애인이 사용 가능한 가정용 소화기 장치
KR101564061B1 (ko) 터널에 구비된 소화전
KR100476311B1 (ko) 시계겸용 소화기
KR200192920Y1 (ko) 벽걸이형 소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