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2910B1 - 건축물용 지중배선의 소화구조물 - Google Patents

건축물용 지중배선의 소화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2910B1
KR100862910B1 KR1020070133978A KR20070133978A KR100862910B1 KR 100862910 B1 KR100862910 B1 KR 100862910B1 KR 1020070133978 A KR1020070133978 A KR 1020070133978A KR 20070133978 A KR20070133978 A KR 20070133978A KR 100862910 B1 KR100862910 B1 KR 100862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ground wiring
fire
lower fixing
digestive
under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3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이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이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이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70133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29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2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2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로 양분되는 반원형상의 링체로 내측에 일정두께의 열가소성 플라스틱인 밀착링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지중배선의 전방측 외주연에 볼트와 너트로 고정되는 상하측고정구와; 상기 상하측고정구의 후방측 지중배선에 위치되어 상하로 양분되는 반원형상으로 전후방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기립된 전후방반원판이 형성되고, 전후방반원판을 동일직선상으로 관통하는 다수 개의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며, 전후방반원판 양측단에는 양측단을 이으면서 외측으로 수평연장되는 좌우측반원관이 형성되어 좌우측반원관 양단에서 볼트와 너트에 의해서 지중배선 외주연에 고정되는 상하측고정관과; 상기 상하측고정관의 전후방반원판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지중배선 외면과 밀착되어 충전되는 수세미와 같은 금속재난연폼과; 상기 상하측고정관의 전후방반원판 사이에서 상기 금속재난연폼 상측에 위치되어 금속재난연폼을 지중배선 외면으로 일정압력으로 밀착시키는 태엽스프링과; 일단은 상기 상하측고정구의 밀착링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상하측고정관의 전방반원판의 관통공을 거쳐 후방반원판의 관통공 후방에 고정결합되는 다수 개의 와이어와; 상기 상하측고정관의 좌우측반원관에 볼트와 너트로 전방선단부가 체결고정되는 관체로 지중배선 방향의 중심부에는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 다수 개의 노즐을 갖는 소화통이 형성되고, 소화통 양단에는 각각 피스톤이 소화통 중심부를 향하도록 스프링에 의한 탄성으로 피스톤이 중심부로 이동되게 설치되어 양단은 밀폐마개로 각각 밀폐고정되며, 소화통 중심부 상단에는 내측으로 소화액을 일정압력으로 투입하여 밀폐되는 소화액주입구가 형성되되 소화액을 투입시키기 전에 소화통의 노즐은 지중배선을 좌우측에서 반원형상으로 감싸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인 반원형지지대 중심측에서 돌출된 지지바 선단의 고무볼에 의해 밀착되어 노즐이 폐쇄됨으로써 소화통 내부에 투입된 소화액은 일정압력으로 노즐을 통해 분사될 상태를 유지하는 좌우측 소화액분사구를 구비하는 건축물용 지중배선의 소화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누전이나 합선에 의해 건축물에 시설되어 있는 지중배선으로부터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 지중배선의 피복부를 통한 화재의 전파를 난연재에 의한 밀착으로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1차적인 방법으로 소화가 이루어지다가 이에 소화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으면 2차로 지중배선의 좌우측에서 소화액을 자동분사시켜 지중배선의 화재를 확실하게 2단계에 걸쳐서 차단할 수 있어 소화기능이 크게 강화되어 지중배선의 화재 염려를 크게 덜게 되는 효과가 있다.
상하측고정구, 상하측고정관, 금속재난연폼, 태엽스프링, 와이어, 좌우측 소화액분사구

Description

건축물용 지중배선의 소화구조물{fire extinguishing construction of underground wiring for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용 지중배선의 소화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누전이나 합선에 의해 건축물에 시설되어 있는 지중배선으로부터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 지중배선의 피복부를 통한 화재의 전파를 난연재에 의한 밀착으로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1차적인 방법으로 소화가 이루어지다가 이에 소화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으면 2차로 지중배선의 좌우측에서 소화액을 자동분사시켜 지중배선의 화재를 확실하게 2단계에 걸쳐서 차단할 수 있어 소화기능이 크게 강화되어 지중배선의 화재 염려를 크게 덜게 되는 건축물용 지중배선의 소화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 시설되어 있는 지중배선은 심선을 피복부가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누전이나 합선에 의해 지중배선에 화재가 발생되면, 피복부를 통해 화재가 빠르게 전파되어 화재가 확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렇게 지중배선을 통한 화재전파를 차단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전선 피복부에 탄산수소나트륨을 첨가하여 화재 발생시 열에 의해 탄산수소나트륨으로부터 이 산화탄소(CO2)가 발생되면서 화재를 진화하도록 된 것이 제안된바 있으나, 지중배선 자체를 전부 교체하여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피복재의 특성을 약화시켜 피복재로서의 수명이 크게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누전이나 합선에 의해 건축물에 시설되어 있는 지중배선으로부터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 지중배선의 피복부를 통한 화재의 전파를 난연재에 의한 밀착으로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1차적인 방법으로 소화가 이루어지다가 이에 소화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으면 2차로 지중배선의 좌우측에서 소화액을 자동분사시켜 지중배선의 화재를 확실하게 2단계에 걸쳐서 차단할 수 있어 소화기능이 크게 강화되어 지중배선의 화재 염려를 크게 덜게 되는 건축물용 지중배선의 소화구조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하로 양분되는 반원형상의 링체로 내측에 일정두께의 열가소성 플라스틱인 밀착링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지중배선의 전방측 외주연에 볼트와 너트로 고정되는 상하측고정구와;
상기 상하측고정구의 후방측 지중배선에 위치되어 상하로 양분되는 반원형상으로 전후방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기립된 전후방반원판이 형성되고, 전후방반원판을 동일직선상으로 관통하는 다수 개의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며, 전후방반원판 양측단에는 양측단을 이으면서 외측으로 수평연장되는 좌우측반원관이 형성되어 좌우측반원관 양단에서 볼트와 너트에 의해서 지중배선 외주연에 고정되는 상하측고정관과;
상기 상하측고정관의 전후방반원판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지중배선 외면과 밀착되어 충전되는 수세미와 같은 금속재난연폼과;
상기 상하측고정관의 전후방반원판 사이에서 상기 금속재난연폼 상측에 위치되어 금속재난연폼을 지중배선 외면으로 일정압력으로 밀착시키는 태엽스프링과;
일단은 상기 상하측고정구의 밀착링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상하측고정관의 전방반원판의 관통공을 거쳐 후방반원판의 관통공 후방에 고정결합되는 다수 개의 와이어와;
상기 상하측고정관의 좌우측반원관에 볼트와 너트로 전방선단부가 체결고정되는 관체로 지중배선 방향의 중심부에는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 다수 개의 노즐을 갖는 소화통이 형성되고, 소화통 양단에는 각각 피스톤이 소화통 중심부를 향하도록 스프링에 의한 탄성으로 피스톤이 중심부로 이동되게 설치되어 양단은 밀폐마개로 각각 밀폐고정되며, 소화통 중심부 상단에는 내측으로 소화액을 일정압력으로 투입하여 밀폐되는 소화액주입구가 형성되되 소화액을 투입시키기 전에 소화통의 노즐은 지중배선을 좌우측에서 반원형상으로 감싸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인 반원형지지대 중심측에서 돌출된 지지바 선단의 고무볼에 의해 밀착되어 노즐이 폐쇄됨으로써 소화통 내부에 투입된 소화액은 일정압력으로 노즐을 통해 분사될 상태를 유지하는 좌우측 소화액분사구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누전이나 합선에 의해 건축물에 시설되어 있는 지중배선으로부터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 지중배선의 피복부를 통한 화재의 전파를 난연재에 의한 밀착으로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하는 1차적인 방법으로 소화가 이루어지 다가 이에 소화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으면 2차로 지중배선의 좌우측에서 소화액을 자동분사시켜 지중배선의 화재를 확실하게 2단계에 걸쳐서 차단할 수 있어 소화기능이 크게 강화되어 지중배선의 화재 염려를 크게 덜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건축물용 지중배선의 소화구조물의 시공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건축물용 지중배선의 소화구조물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건축물용 지중배선의 소화구조물의 시공모습을 보인 평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건축물용 지중배선의 소화구조물의 시공모습을 보인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건축물용 지중배선의 소화구조물의 사용상태를 보인 평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건축물용 지중배선의 소화구조물은, 지중배선(70)의 전방측에 고정되어 와이어(50) 일측단이 고정되는 상하측고정구(10,10a)와, 상하측고정구(10,10a) 후방측의 지중배선(70)에 위치되고 와이어(50) 타단이 고정되어 상하측고정구(10,10a) 측으로의 화재발생시 금속재난연폼(30)을 태엽스프링(40)의 탄성으로 지중배선(70) 외면을 밀착시키는 상하측고정관(20,20a)과, 태엽스프링(40)의 탄성으로 지중배선(70) 외면과 밀착되어 화재를 소화시키는 금속재난연폼(30)과, 금속재난연폼(30)을 지중배선(70) 외면으로 밀착시키는 태엽스프링(40)과, 지중배선(70) 전방측으로 화재가 발생한 것을 인지하여 태엽스프링(40)을 작동시키는 와이어(50)와, 지중배선(70) 좌우측에 각각 위치되어 상하측고정관(20,20a) 후방측으로 화재가 번지면 이를 감지하여 지중배선(70)으로 소화액(61a)을 분사하는 좌우측 소화액분사구(60,60a)로 구성된다.
상기 상하측고정구(10,10a)는 지중배선(70)의 전방측에 고정되어 와이어(50) 일측단이 고정되는 상하로 양분되는 반원형상의 링체로, 내측에 일정두께의 열가소성 플라스틱인 반원형상의 밀착링(11,11a)을 각각 개재시킨 상태에서 양단이 지중배선(70)의 전방측 외주연에 볼트(12)와 너트(13)로 고정된다.
상기 상하측고정관(20,20a)은 상하측고정구(10,10a) 후방측의 지중배선(70)에 위치되고 와이어(50) 타단이 고정되어 상하측고정구(10,10a) 측으로의 화재발생시 금속재난연폼(30)을 태엽스프링(40)의 탄성으로 지중배선(70) 외면을 밀착시키 는 상하로 양분되는 반원형상으로, 전후방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기립된 전후방반원판(21,22)이 형성되고, 전후방반원판(21,22)을 동일직선상으로 관통하는 다수 개의 관통공(21a,22a)이 각각 형성되며, 전후방반원판(21,22) 양측단에는 양측단을 이으면서 외측으로 수평연장되는 좌우측반원관(23,24)이 형성되어 좌우측반원관(23,24) 양단에서 볼트(25)와 너트(26)에 의해서 좌우측 소화액분사구(60,60a)를 고정시킨 상태로 지중배선 (70) 외주연에 고정된다.
상기 금속재난연폼(30)은 태엽스프링(40)의 탄성으로 지중배선(70) 외면과 밀착되어 화재를 소화시키는 수세미와 같은 금속재질의 폼으로, 상기 상하측고정관(20,20a)의 전후방반원판(21,22)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지중배선(70) 외면과 밀착되어 충전된다.
상기 태엽스프링(40)은 상기 상하측고정관(20,20a)의 전후방반원판(21,22) 사이에서 상기 금속재난연폼(30) 상측에 위치되어 금속재난연폼(30)을 지중배선(70) 외면으로 일정압력으로 밀착시킨다.
상기 와이어(50)는 지중배선(70) 전방측으로 화재가 발생한 것을 인지하여 끊어짐으로써 태엽스프링(40)을 작동시키는 다수 개의 줄로, 일단은 상기 상하측고정구(10,10a)의 밀착링(11,11a)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상하측고정관(20,20a)의 전방반원판(21)의 관통공(21a)을 거쳐 후방반원판(22)의 관통공(22a) 후방에 고정결합된다.
상기 좌우측 소화액분사구(60,60a)는 지중배선(70) 좌우측에 각각 위치되어 상하측고정관(20,20a) 후방측으로 화재가 번지면 이를 감지하여 지중배선(70)으로 소화액(61a)을 분사하는 기구로, 상기 상하측고정관(20,20a)의 좌우측반원관(23,24)에 볼트(25)와 너트(26)로 전방선단부가 체결고정되는 관체인바, 지중배선(70) 방향의 중심부에는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 다수 개의 노즐(62)을 갖는 소화통(61)이 형성되고, 소화통(61) 양단에는 각각 피스톤(64,64a)이 소화통(61) 중심부를 향하도록 스프링(65,65a)에 의한 각각 탄성으로 피스톤(64,64a)이 중심부로 이동되게 설치되어 양단은 밀폐마개(66,66a)로 각각 밀폐고정되며, 소화통(61) 중심부 상단에는 내측으로 소화액(61a)을 일정압력으로 투입하여 밀폐되는 소화액주입구(63)가 형성되되 소화액(61a)을 투입시키기 전에, 소화통(61)의 다수 개 노즐(62)은 지중배선(70)을 좌우측에서 반원형상으로 감싸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인 반원형지지대(67) 중심측에서 돌출된 지지바(68) 선단에 고정된 고무볼(69)에 의해 밀착되어 노즐(62)이 폐쇄됨으로써 소화통(61) 내부에 투입된 소화액(61a)은 일정압력으로 노즐(62)을 통해 분사될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지중배선(70)의 전방측에 누전 등에 의해 화재가 발생되면, 화재는 지중배선(70) 전방측에 고정된 상하측고정구(10,10a) 내측의 열가소성 플라스틱인 밀착링(11,11a)을 녹이면, 밀착링(11,11a)에 의해 잡아당겨지던 와이어(50)는 풀려지거나, 타서 끊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와이어(50)의 타단이 고정된 상하측고정관(20,20a)에서 와이어(50)의 탄성이 제거되면, 와이어(50) 상측에 개재된 태엽스프링(40)은 탄성으로 하측의 금속재난연폼(30)을 지중배선(70) 외면으로 밀착시켜 지중배선(70) 외면에 타들어가는 화재를 소화시키게 된다.
이 상태에서도 지중배선(70)을 따라 상하측고정관(20,20a) 후방측으로 화재가 더 진행되면, 지중배선(70) 좌우측에 위치된 열가소성 플라스틱인 다수 개의 반원형지지대(67)가 지중배선(70)의 화재로 인해 녹게 되고, 이에 따라, 좌우측 소화액분사구(60,60a)의 노즐(62)을 막고있던 고무볼(69)은 그 힘이 약화되어 노즐(62)을 개방하게 되고, 이에 소화통(61) 내부의 스프링(65,65a) 압력에 의한 피스톤(64,64a)의 미는 힘으로 소화통(61) 내부의 소화액(61a)은 녹은 반원형지지대(67)의 고무볼(69)에 의해 막혔던 노즐(62)을 통해서 지중배선(70)을 향해 일정압력으로 분사되어 지중배선(70)의 화재를 확실하게 소화시키게 된다.
그 다음에는 고무볼(69)을 갖는 반원형지지대(67)만을 교체한 다음, 좌우측 소화액분사구(60) 소화통(61)의 내부에 소화액(61a)을 충전시키면 재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건축물용 지중배선의 소화구조물의 시공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건축물용 지중배선의 소화구조물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건축물용 지중배선의 소화구조물의 시공모습을 보인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건축물용 지중배선의 소화구조물의 시공모습을 보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인 건축물용 지중배선의 소화구조물의 사용상태를 보인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a : 상하측고정구 11,11a : 밀착링
12 : 볼트 13 : 너트
20,20a : 상하측고정관 21 : 전방반원판
21a : 관통공 22 : 후방반원판
22a : 관통공 23 : 좌측반원관
24 : 우측반원관 25 : 볼트
26 : 너트
30 : 금속재난연재
40 : 태엽스프링
50 : 와이어
60,60a : 좌우측 소화약분사구
61 : 소화통 61a : 소화액
62 : 노즐 63 : 소화액주입구
64 ,64a: 피스톤 65,65a : 스프링
66,66a : 밀폐마개 67 : 반원형지지대
68 : 지지바 69 : 고무볼
70 : 지중배선

Claims (1)

  1. 상하로 양분되는 반원형상의 링체로 내측에 일정두께의 열가소성 플라스틱인 밀착링을 개재시킨 상태에서 지중배선의 전방측 외주연에 볼트와 너트로 고정되는 상하측고정구와; 상기 상하측고정구의 후방측 지중배선에 위치되어 상하로 양분되는 반원형상으로 전후방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기립된 전후방반원판이 형성되고, 전후방반원판을 동일직선상으로 관통하는 다수 개의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며, 전후방반원판 양측단에는 양측단을 이으면서 외측으로 수평연장되는 좌우측반원관이 형성되어 좌우측반원관 양단에서 볼트와 너트에 의해서 지중배선 외주연에 고정되는 상하측고정관과; 상기 상하측고정관의 전후방반원판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지중배선 외면과 밀착되어 충전되는 수세미와 같은 금속재난연폼과; 상기 상하측고정관의 전후방반원판 사이에서 상기 금속재난연폼 상측에 위치되어 금속재난연폼을 지중배선 외면으로 일정압력으로 밀착시키는 태엽스프링과; 일단은 상기 상하측고정구의 밀착링 내측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상하측고정관의 전방반원판의 관통공을 거쳐 후방반원판의 관통공 후방에 고정결합되는 다수 개의 와이어와; 상기 상하측고정관의 좌우측반원관에 볼트와 너트로 전방선단부가 체결고정되는 관체로 내부에 소화액이 투입된 좌우측 소화액분사구를 구비하는 건축물용 지중배선의 소화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소화액분사구는 지중배선 방향의 중심부에는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 다수 개의 노즐을 갖는 소화통이 형성되고, 소화통 양단에는 각각 피스톤이 소화통 중심부를 향하도록 스프링에 의한 탄성으로 피스톤이 중심부로 이동되게 설치되어 양단은 밀폐마개로 각각 밀폐고정되며, 소화통 중심부 상단에는 내측으로 소화액을 일정압력으로 투입하여 밀폐되는 소화액주입구가 형성되되 소화액을 투입시키기 전에 소화통의 노즐은 지중배선을 좌우측에서 반원형상으로 감싸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인 반원형지지대 중심측에서 돌출된 지지바 선단의 고무볼에 의해 밀착되어 노즐이 폐쇄됨으로써 소화통 내부에 투입된 소화액은 일정압력으로 노즐을 통해 분사될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용 지중배선의 소화구조물.
KR1020070133978A 2007-12-20 2007-12-20 건축물용 지중배선의 소화구조물 KR100862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978A KR100862910B1 (ko) 2007-12-20 2007-12-20 건축물용 지중배선의 소화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978A KR100862910B1 (ko) 2007-12-20 2007-12-20 건축물용 지중배선의 소화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2910B1 true KR100862910B1 (ko) 2008-10-13

Family

ID=40153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3978A KR100862910B1 (ko) 2007-12-20 2007-12-20 건축물용 지중배선의 소화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291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05584A (zh) * 2015-11-30 2016-03-16 宁国市睿普磁电科技有限公司 一种高火灾安全性变压器
CN110354421A (zh) * 2019-07-25 2019-10-22 国网江西省电力有限公司鹰潭供电分公司 一种电力施工电力防火保护装置
CN114069502A (zh) * 2021-10-13 2022-02-18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平阳县供电公司 一种电缆防护套管封堵装置
CN115970195A (zh) * 2022-12-01 2023-04-18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明光市供电公司 一种多功能电力施工用防火保护装置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7771A (ja) 1986-11-05 1988-05-21 三菱電機株式会社 グル−プケ−ブルの延焼防止法
JPH0321268A (ja) * 1989-06-16 1991-01-30 Hitachi Cable Ltd 防火・防鼠措置構造
JPH05236628A (ja) * 1992-02-18 1993-09-10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上蓋浮上型防災トラフ
JPH0568556U (ja) * 1992-02-25 1993-09-1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防火区画体の長尺物貫通部の防火措置構造
JPH0568555U (ja) * 1992-02-25 1993-09-1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防火区画体の長尺物貫通部の防火措置用補助具
JPH06463U (ja) * 1992-06-12 1994-01-1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長尺体の防火区画体貫通部の防火構造
JPH0798080A (ja) * 1993-07-15 1995-04-1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防火区画体における長尺物貫通部の防火措置構造とこれに用いる防火措置具
KR100597661B1 (ko) 2006-04-04 2006-07-10 주식회사 한성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지중배선의 방연실구조
KR100676472B1 (ko) 2006-11-15 2007-01-30 (주)삼진탑테크엔지니어링 건축물내에 설치되는 케이블 지지트레이의 화재진화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7771A (ja) 1986-11-05 1988-05-21 三菱電機株式会社 グル−プケ−ブルの延焼防止法
JPH0321268A (ja) * 1989-06-16 1991-01-30 Hitachi Cable Ltd 防火・防鼠措置構造
JPH05236628A (ja) * 1992-02-18 1993-09-10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上蓋浮上型防災トラフ
JPH0568556U (ja) * 1992-02-25 1993-09-1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防火区画体の長尺物貫通部の防火措置構造
JPH0568555U (ja) * 1992-02-25 1993-09-1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防火区画体の長尺物貫通部の防火措置用補助具
JPH06463U (ja) * 1992-06-12 1994-01-1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長尺体の防火区画体貫通部の防火構造
JPH0798080A (ja) * 1993-07-15 1995-04-1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防火区画体における長尺物貫通部の防火措置構造とこれに用いる防火措置具
KR100597661B1 (ko) 2006-04-04 2006-07-10 주식회사 한성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지중배선의 방연실구조
KR100676472B1 (ko) 2006-11-15 2007-01-30 (주)삼진탑테크엔지니어링 건축물내에 설치되는 케이블 지지트레이의 화재진화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05584A (zh) * 2015-11-30 2016-03-16 宁国市睿普磁电科技有限公司 一种高火灾安全性变压器
CN110354421A (zh) * 2019-07-25 2019-10-22 国网江西省电力有限公司鹰潭供电分公司 一种电力施工电力防火保护装置
CN114069502A (zh) * 2021-10-13 2022-02-18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平阳县供电公司 一种电缆防护套管封堵装置
CN115970195A (zh) * 2022-12-01 2023-04-18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明光市供电公司 一种多功能电力施工用防火保护装置
CN115970195B (zh) * 2022-12-01 2024-05-14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明光市供电公司 一种多功能电力施工用防火保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2910B1 (ko) 건축물용 지중배선의 소화구조물
ATE464934T1 (de) Vorrichtung zum sprühen von feuerlöschgas
JP5810216B2 (ja) 電気自動車の自動消火装置
BR112013009689A2 (pt) sistemas fixos e métodos para extinguir incêndios de tanque industrial, com e sem teto fixo, incluindo esguichos de proteção de espuma aerada e esguichos dirigidos para o centro
US7841420B2 (en) Self-activated fire extinguisher
CN206152141U (zh) 灭火器
DE502008002956D1 (de) Löschsystem und verfahren zur lokalen brandbekämpfung
KR200344303Y1 (ko) 소화기용 분사노즐
RU2474449C1 (ru) Установка газовог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KR101356016B1 (ko) 판넬 화재 진압용 살수대
RU75579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тушения емкостей с легковоспламеняющимися и горючими жидкостями
CN104941098A (zh) 侧喷式自动细水雾灭火装置
CN202569254U (zh) 一种新型投掷式灭火器
CN104958848A (zh) 一种集中喷射式自动细水雾灭火装置
CN211285843U (zh) 一种基于智能消防系统的恒压给水设备
KR101226447B1 (ko) 안전캡이 부착된 소화기
CN216319667U (zh) 一种旋转式消防灭火喷头
KR20170138828A (ko) 배전함용 co2 카트리지 자동 소화기
CN2899850Y (zh) 投掷式灭火瓶
WO2012108574A1 (ko) 화재진압용 미분무수 노즐
KR102651264B1 (ko) 화재시 소화약제 분사가 원활하도록 하는 자동소화장치
EP3530325A1 (en) Fire extinguisher
CN2868339Y (zh) 简易投掷式灭火瓶
JP5306113B2 (ja) 消火用具
KR200312628Y1 (ko) 천정부착형 소화기의 약제 확산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