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3352B1 - 휴대용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 분사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 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3352B1
KR101273352B1 KR1020100068213A KR20100068213A KR101273352B1 KR 101273352 B1 KR101273352 B1 KR 101273352B1 KR 1020100068213 A KR1020100068213 A KR 1020100068213A KR 20100068213 A KR20100068213 A KR 20100068213A KR 101273352 B1 KR101273352 B1 KR 101273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xtinguisher
cover
aerosol
moving plate
pri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8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7594A (ko
Inventor
형성훈
형성민
이상균
김기철
Original Assignee
동양하이테크산업주식회사
(주)동양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하이테크산업주식회사, (주)동양화학 filed Critical 동양하이테크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8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3352B1/ko
Publication of KR20120007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3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3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02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pressure gas produced by chemical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휴대용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 분사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휴대용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 분사장치는, 커버 내측에 고정 설치되며 일측에 뇌관이 구비되는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 커버 내측에 마련되어 뇌관을 타격시키는 동작 수행을 통해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 내부에 충진된 에어로졸을 분사시키는 에어로졸 분사작동유닛; 커버 내측에 마련되어 에어로졸 분사작동유닛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에어로졸 분사제한유닛; 및 커버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휴대가 불가능한 단점을 보완하여 소형으로 휴대가 간편하고 초기 화재 시 신속한 대응을 할 수 있으며, 감지센서 등을 통해 안전거리 유지 및 안전거리 내의 사람 등의 유무를 감지하여 소화기 분사장치를 작동하기 전에 충분한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장치 사용에 따른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 분사장치{PORTABLE INJECTION DEVICE FOR SOLID AIROSOL TYPE FIRE EXTINGUISHER}
본 발명은, 휴대용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휴대가 불가능한 단점을 보완하여 소형으로 휴대가 간편하고 초기 화재 시 신속한 대응을 할 수 있으며, 감지센서 등을 통해 안전거리 유지 및 안전거리 내의 사람 등의 유무를 감지하여 소화기 분사장치를 작동하기 전에 충분한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장치 사용에 따른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용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로졸 소화기는 물을 사용할 수 없는 화재인 유류 및 전기화재에 대해 효과가 매우 우수하여, 예컨대 공장의 각종 전기패널, 미술관, 도서실, 전산실, 이동통신설비, 고가 전자장비, 선박, 전자장비 조립 공장 등 넓은 범위에 걸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전기패널, 이동통신 중계소, 선박엔진 등 밀폐된 장소에서 발생한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는데 효과적이다. 에어로졸 소화기는 진압 후 소화약제에 의한 부품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에어로졸 소화기는 일반적으로 칼륨산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소화제, 냉각제, 점화장치를 케이스 또는 소화장치 내에 포함하는 소화기로서, 소화장치 내에서 소화제가 연소하면서 소화성분이 생성된다. 이때 소화성분과 같이 생성된 가스 압력으로 소화성분이 소화기의 냉각층을 통과하고 노즐을 통해 분사된다. 분사되는 소화성분은 소화가 요구되는 곳에 적용되면 소화성분 중 칼륨 이온이 화재에 공급되는 산소 라디칼을 차단하고 따라서 화재를 진압한다.
이러한 에어로졸 소화기는 설치 방법에 따라 고정식과 이동식으로 구분되는데, 고정식 에어로졸 소화기의 경우, 특정 장소에 고정 설치되어 보편적으로 열 감지를 이용하여 작동하는 원리를 이용하며, 반면에, 이동식 에어로졸 소화기의 경우 호스를 화재가 발생한 곳으로 향하게 하고 손잡이를 눌러서 소화액을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이동식 에어로졸 소화기는 휴대가 불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특정 위치에 비치되어 있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화재 발생 위치로 운반하는 것이 불편하며 장치 사용 방법이 복잡하여 적기, 적시에 사용하지 못함에 따라 초기 화재 진압을 수행하지 못하여 인명 및 재산상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종래의 소화기는 장치사용에 있어서 안전성이 부족하여, 안전거리를 충분히 유지하지 못한 경우나 전방에 사람 등이 있는 경우에도 소화기 장치가 작동이 되어, 화재에 의한 피해와는 별도로 소화기 장치 사용에 따른 추가적인 피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휴대가 불가능한 단점을 보완하여 소형으로 휴대가 간편하고 초기 화재 시 신속한 대응을 할 수 있으며, 감지센서 등을 통해 안전거리 유지 및 안전거리 내의 사람 등의 유무를 감지하여 소화기 분사장치를 작동하기 전에 충분한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장치 사용에 따른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용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 분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커버 내측에 고정 설치되며 일측에 뇌관이 구비되는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 상기 커버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뇌관을 타격시키는 동작 수행을 통해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 내부에 충진된 에어로졸을 분사시키는 에어로졸 분사작동유닛; 상기 커버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에어로졸 분사작동유닛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에어로졸 분사제한유닛; 및 상기 커버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 분사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에 장착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 신호를 전달받으며,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 범위 내에서 상기 감지센서가 대상체를 감지하는 여부에 따라 상기 에어로졸 분사제한유닛으로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상기 에어로졸 분사제한유닛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한시키는 컨트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로졸 분사제한유닛은, 상기 커버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코일; 및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에 형성되는 자기장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에어로졸 분사작동유닛의 동작을 제한하는 솔레노이드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에 마련되어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값에 따라 발광하는 표시등; 및 상기 커버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감지센서, 상기 컨트롤부, 상기 에어로졸 분사제한유닛 및 상기 표시등으로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밧데리는 외부로부터 충전이 가능한 축전지이며, 상기 커버에는 상기 밧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밧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접속콘센트가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부는 과충전 방지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로졸 분사작동유닛은, 상기 커버의 내벽에 지지되어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이동판; 상기 슬라이드 이동판이 이동한 경우 상기 뇌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뇌관을 타격시키는 격침; 상기 슬라이드 이동판과 이격되게 마련되어 상기 격침을 탄성적으로 접촉 지지하는 탄성부재는 고정부의 내측에서 압축된 상태로 상기 격침의 일단을 지지하며, 상기 슬라이드 이동판이 이동한 경우, 상기 격침은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뇌관을 타격시킬 수 있다.
상기 에어로졸 분사제한유닛은, 상기 커버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코일; 및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에 형성되는 자기장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슬라이드 이동판에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 이동판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하는 솔레노이드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휴대가 불가능한 단점을 보완하여 소형으로 휴대가 간편하고 초기 화재 시 신속한 대응을 할 수 있으며, 감지센서 등을 통해 안전거리 유지 및 안전거리 내의 사람 등의 유무를 감지하여 소화기 분사장치를 작동하기 전에 충분한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장치 사용에 따른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 분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작동 전 및 작동 후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일부 구성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 분사장치는 종래의 휴대가 불가능한 소화장치의 단점을 보완하여 소형으로 휴대가 간편하고 초기 화재 대응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소화기 분사장치를 작동하기 전에 미리 안전거리를 확보함으로써 장치 사용에 따른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 분사장치에 대해 다양한 실시예들을 참조로 설명하기로 하는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 분사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작동 전 및 작동 후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일부 구성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 분사장치는, 커버(100) 내측에 고정 설치되며 일측에 뇌관(111)이 구비되는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110)와, 커버(100) 내측에 마련되어 뇌관(111)을 타격시키는 동작 수행을 통해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110) 내부에 충진된 에어로졸을 분사시키는 에어로졸 분사작동유닛(120)과, 커버(100) 내측에 마련되어 에어로졸 분사작동유닛(120)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에어로졸 분사제한유닛(140)을 포함한다.
커버(100)는, 내측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110), 에어로졸 분사작동유닛(120) 및 에어로졸 분사제한유닛(140) 등과 후술하는 기타 다른 구성들이 내장 설치되는 메인 커버(101)와, 메인 커버(101)의 일측에 연결되는 확장 커버(102)를 포함한다.
확장 커버(102)는, 중앙부가 관통된 형상으로 메인 커버(101)의 일측에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확장되게 형성된다. 아래에서 설명하겠지만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110)로부터 분사된 에어로졸은 확장 커버(102)를 통해 분사 면적이 보다 확장된 상태로 화재 발생 공간을 향해 분사 또는 배출된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커버(101)에는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103)가 구비되는데, 이하 설명의 편의상 도면에서 메인 커버(101)의 후방단부에 결합되는 손잡이를 제1 손잡이(104)라 하고 메인 커버(101)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손잡이를 제2 손잡이(105)라 한다.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110)는 시중에서 구입 가능한 것으로서,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내에 점화제, 에어로졸 발생제 및 냉각제가 구비되어 있으며, 케이스 외측에는 외부에서 타격되어 화염을 생성시키고 이러한 화염을 통해 점화제를 작동시키도록 뇌관(111)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110)는 후술하는 고정부(121)의 소화기 체결판(125)에 나사 결합된 상태로 메인 커버(101) 내측에 고정되는데, 구체적으로 뇌관(111)을 커버하는 뇌관 커버와 소화기 체결판(125)의 소화기 체결부(126)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한편, 메인 커버(101) 내측에 고정된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110)의 상하 또는 좌우방향 흔들림을 방지하여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110)가 보다 견고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 커버(101) 내측에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110)가 관통하도록 관통홀(107)이 형성되며 메인 커버(101)의 내벽에 둘레면이 지지되어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110)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흔들림 방지판(106)이 더 구비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로졸 분사작동유닛(120)은, 메인 커버(101)의 내벽에 지지되어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11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121)와, 고정부(121)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이동판(128)과, 슬라이드 이동판(128)이 예를 들면 도면상 하측 방향으로 설정된 거리 이상 이동한 경우 뇌관(111) 방향으로 이동하여 뇌관(111)을 타격시키는 격침(134)과, 슬라이드 이동판(128)과 이격되게 마련되어 격침(134)을 탄성적으로 접촉 지지하는 탄성부재(138)를 포함한다.
고정부(121)는, 메인 커버(101)의 내벽에 볼트 결합 등을 통해 고정되며 중앙부에 제1 유도홀(123)이 관통 형성되는 고정판(122)과, 고정판(122)에 볼트 체결되어 고정되며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110)가 체결되도록 일측에 소화기 체결부(126)가 마련되며 중앙부에 제1 유도홀(123)과 연통하도록 제2 유도홀(127)이 관통 형성되는 소화기 체결판(125)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유도홀(123)은 제2 유도홀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단면적을 가지며, 후술하는 격침(134)의 리어부(136)의 단면적보다도 더 큰 단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후술하는 푸쉬 스위치(150)의 가압력을 통해 슬라이드 이동판(128)이 도면상 하측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격침(134)은 탄성부재(138)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1 유도홀(123) 및 제2 유도홀(127)을 따라 이동하여 뇌관(111)을 타격시키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격침(134)은, 뇌관(111) 측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뇌관(111)을 직접적으로 타격하는 헤드부(135)와, 탄성부재(138)에 직접적으로 접촉 지지되며 헤드부(135)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단면적을 갖는 리어부(136)와, 헤드부(135)와 리어부(136)를 연결하는 연결부(137)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푸쉬 스위치(150)의 OFF 상태 즉, 슬라이드 이동판(128)이 도면상 하측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헤드부(135)는 제2 유도홀(127) 내측에 위치하며 연결부(137)는 제1 유도홀(123)에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리어부(136)의 일측면은 탄성부재(138)에 가압되는 상태를 가지며 리어부(136)의 타측면은 슬라이드 이동판(128)에 접촉된 상태를 갖는다.
푸쉬 스위치(150)의 ON 상태 즉, 슬라이드 이동판(128)이 푸쉬 스위치(150)에 의해 가압되어 도면상 하측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리어부(136)는 탄성부재(138)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판(128)에 형성된 안내홀(129)을 경유한 후 제1 유도홀(123) 내측으로 진입하여 소화기 체결판(125)의 일측면에 걸리는 상태가 된다. 이때 헤드부(135)의 돌출부는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110)의 내관을 타격할 수 있다.
슬라이드 이동판(128)은 고정부(121) 즉, 고정판(122)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며, 푸쉬 스위치(150)를 통해 가압되어 도면상 하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지면 무방한데,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ㄱ'자로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슬라이드 이동판(128)의 상부 영역인 절곡부(130)는 푸쉬 스위치(150)의 단부에 일체로 연결되며, 절곡부(130)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인 수직부(131)는 직접적으로 고정판(122)에 접촉하거나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고정판(12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판(122)에 그 표면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핀(124)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슬라이드 이동판(128)의 수직부(131)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핀(124)이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판(128)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홀(132)이 형성된다.
여기서, 가이드핀(124)은 고정판(122)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체결되는 바 또는 봉 형상의 다양한 가이드부재로 적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판(122)에 체결되는 볼트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홀(132)은 슬라이드 이동판(128)의 이동 방향 예를 들면, 도면상 하측 방향을 따라 길게 장공 형상으로 마련된다.
또한 슬라이드 이동판(128)에는 안내홀(129)이 형성되어 있으며, 슬라이드 이동판(128)이 슬라이드 이동한 후 탄성부재(138)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리어부(136)는 안내홀(129)을 경유한 후 제1 유도홀(123) 내측으로 이동하며 헤드부(135)는 뇌관(111)을 타격하게 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슬라이드 이동판(128)이 절곡된 구조를 갖지 않고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된다면, 안내홀(129)은 생략될 수 있으며 대신에 평상시에 리어부(136)를 지지할 수 있는 정도의 단면 크기를 갖는 절개홀로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절개홀은 후술하는 다른 일부 실시예 들에서 적용될 수 있다,
탄성부재(138)는, 슬라이드 이동판(128)과 이격되게 마련되어 격침(134)을 탄성적으로 접촉 지지함과 더불어 충분한 자체 탄성 복원력을 갖는 부재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코일 스프링으로 적용된다.
이러한 탄성부재(138)는 슬라이드 이동판(128)에 이격되게 메인 커버(101)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탄성부재 고정부(139)의 내측에 배치된다. 덧붙여 탄성부재(138)의 일단은 탄성부재 고정부(139)의 내벽에 지지되고 타단은 격침(134)의 리어부(136)에 접촉한다.
평상시 즉, 슬라이드 이동판(128)이 이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탄성부재(138)는 탄성부재 고정부(139) 내측에서 압축된 상태를 가지며, 화재 발생 등과 같은 비상시 슬라이드 이동판(128)이 도면상 하측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 탄성부재(138)는 탄성 복원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확장되며 이때 격침(134)의 리어부(136)를 가압하여 뇌관(111) 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메인 커버(101) 내측의 슬라이드 이동판(128)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일단은 메인 커버(101)의 외측에 마련되고 타단은 슬라이드 이동판(128)에 결합되는 푸쉬 스위치(150)를 더 포함한다.
덧붙여, 본 실시예에는 메인 커버(101)의 외측에서 푸쉬 스위치(150)에 관통 삽입되는 안전핀(151)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 분사장치를 작동할 경우, 사용자는 안전핀(151)을 제거한 후 푸쉬 스위치(150)를 가압하여 슬라이드 이동판(128)을 이동시킴으로써 격침(134)의 뇌관(111) 타격에 의한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110)의 에어로졸 분사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로졸 분사제한유닛(140)은, 에어로졸 분사작동유닛(120)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도록 메인 커버(101) 내측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메인 커버(101)의 내측에 별도의 브래킷(미도시)을 통해 고정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코일(141)과,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솔레노이드 코일(141)에 형성되는 자기장에 따라 솔레노이드 코일(141) 외측으로 돌출되어 에어로졸 분사작동유닛(120)의 동작을 제한하는 솔레노이드 핀(142)을 포함한다. 여기서 솔레노이드 코일(141)로의 전원 인가는 후술하는 컨트롤부(160)에 의해 제어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에어로졸 분사제한유닛(140)은, 모터와 캠 구조, 모터와 링크 바 구조 등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 왕복운동력으로 변환할 수 있는 다른 구성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슬라이드 이동판(128)에는 삽입홀(133)이 형성되어 있으며, 솔레노이드 코일(141)로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 솔레노이드 핀(142)은 삽입홀(133)에 삽입된 상태를 가지게 되며, 솔레노이드 코일(141)에 전원인 인가된 상태에서 솔레노이드 핀(142)은 삽입홀(133)로부터 이탈된 상태를 갖게 된다. 물론, 솔레노이드 코일(141)로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경우 솔레노이드 핀(142)은 삽입홀(133)로부터 이탈된 상태를 갖게 하며, 솔레노이드 코일(141)에 전원인 인가된 상태에서 솔레노이드 핀(142)은 삽입홀(133)에 삽입된 상태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 분사장치는, 도 1 및 도 2a,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장 커버(102)에 장착되는 감지센서(161)와, 감지센서(161)의 감지 신호를 전달받으며 감지센서(161)의 감지 범위 내에서 감지센서(161)가 대상체를 감지하는 여부에 따라 에어로졸 분사제한유닛(140) 즉, 솔레노이드 코일(141)로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솔레노이드 핀(142)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한시키는 컨트롤부(16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컨트롤부(160)는 일련의 전장품(미도시)과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을 포함하며 메인 커버(101)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감지센서(161)는 확장 커버(102) 전방의 사람 등과 같은 대상체 존재 유무를 감지할 수 있는 적외선 센서 또는 레이저 센서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감지센서(161)는 본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분사장치의 작동 전에 충분한 안전거리를 유지 및 안전거리 내에 존재하는 사람 등의 유무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컨트롤부(160)는 감지센서(161)의 감지값에 따라 솔레노이드 코일(141)로 선택적으로 전원을 인가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 분사장치는, 도 1, 도 2a 및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장 커버(102)에 장착되는 전원 스위치(162)를 더 포함하며 이러한 전원 스위치(162)는 PUSH-PULL 타입의 리미트 스위치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리미트 스위치는, 평상시 전원 스위치(162)의 돌출부재가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가지며 반대로 외측으로부터 일정 압력이 가해질 경우에는 상기 돌출부재가 내측으로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 스위치이다. 이러한 리미트 스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돌출부재가 돌출되는 가의 여부에 따라 전원 공급을 위한 대상체로의 전원 인가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컨트롤부(160)는 전원 스위치(162)의 ON/OFF 상태(상기 돌출부재의 돌출 여부)에 따라 에어로졸 분사제한유닛(140) 즉, 솔레노이드 코일(141)로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솔레노이드 핀(142)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한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본 실시예에 따른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 분사장치의 보관시, 구체적으로 대기 상태 또는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확장 커버(102)가 보관 장소의 바닥면에 접촉되도록 세워서 보관할 수 있으며, 이때 전원 스위치(162)의 상기 돌출부재는 바닥면에 의해 가압되어 내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를 전원 스위치(162)의 OFF상태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컨트롤부(160)는 전원 스위치(162)의 OFF 신호를 전달받아 솔레노이드 코일(141) 뿐만 아니라 감지센서(161)로의 전원 인가를 차단하게 된다.
본 실시예는, 메인 커버(101) 또는 확장 커버(102)에 마련되어 감지센서(161)의 감지값에 따라 발광하는 표시등(미도시)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등(미도시)은 적색 및 녹색 LED를 포함한다.
또한, 메인 커버(101) 내측에 마련되어 감지센서(161), 컨트롤부(160), 에어로졸 분사제한유닛(140) 및 표시등(미도시) 등으로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1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밧데리(163)는 외부로부터 충전이 가능한 축전지인 것이 바람직하며, 메인 커버(101)에는 밧데리(16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밧데리(163)를 충전하기 위한 접속콘센트(164)가 구비된다. 이러한 접속콘센트(164)는 통상의 원형 잭으로 적용될 수 있다.
정리하자면, 컨트롤부(160)는 감지센서(161)의 감지값 및 전원 스위치(162)의 ON/OFF 상태를 입력받아서 확장 커버(102) 전방에 사람 등이 존재하지 않으며(충분한 안전 거리가 확보된 상태) 전원 스위치(162)가 ON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솔레노이드 코일(141)로 전원을 인가시켜 안정 장치의 의미로서 마련되는 에어로졸 분사제한유닛(140)와 에어로졸 분사작동유닛(120)의 결합 관계를 해제시키게 된다.
또한, 컨트롤부(160)는 이외에도 접속콘센트(164)에 소정의 충전기가 접속되면, 이를 감지하여 감지센서(161)와 솔레노이드 코일(141) 등으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컨트롤부(160)는 밧데리(163)에 충전이 완료되면 과충전을 방지하는 기능도 갖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 분사장치의 작동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상기 소화기 분사장치를 보관해야 하는 상황 등과 같은 평상시 같은 경우, 확장 커버(102)는 보관 장소의 바닥면에 접촉하게 되므로 전원 스위치(162)는 OFF 상태가 된다. 이때 컨트롤부(160)를 통해 솔레노이드 코일(141)로의 전원 인가는 차단된 상태를 갖는다.
다음, 화재가 발생하여 소화시켜야 할 경우, 사용자는 소화기 분사장치를 세운 후 화재 발생 지점을 향해 조준하게 되며, 이때 감지센서(161)를 통해 전방 일정 거리상에 방해 물체(사람 등)가 감지되지 않으면, 컨트롤부(160)는 이러한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충분한 안전거리가 확보된 것으로 판단하며 솔레노이드 코일(141)로 전원을 인가시켜 에어로졸 분사작동유닛(120)과 에어로졸 분사제한유닛(140)의 상호 결합을 해제시킨다.
이어서, 사용자는 안전핀(151)을 제거한 후 푸쉬 스위치(150)를 누름으로써 탄성부재(138)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격침(134)이 뇌관(111)을 타격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110) 내의 에어로졸 입자는 확장 커버(102)를 통해 확장된 상태로 분사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 분사장치를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종래의 휴대가 불가능한 장치의 단점을 보완하여 소형으로 휴대가 간편하고 초기 화재 시 신속한 대응을 할 수 있으며, 감지센서 등을 통해 안전거리 유지 및 안전거리 내의 사람 등의 유무를 감지하여 안전장치(본 실시예에서의 에어로졸 분사제한유닛)를 작동 및 구속함으로써 소화기 분사장치를 작동하기 전에 충분한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장치 사용에 따른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06: 흔들림 방지판 110: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
120: 에어로졸 분사작동유닛 128: 슬라이드 이동판
134: 격침 138: 탄성부재
140: 에어로졸 분사제한유닛 150: 푸쉬 스위치
160: 컨트롤부 161: 감지센서
162: 전원 스위치 164: 접속 콘센트

Claims (7)

  1. 커버 내측에 고정 설치되며 일측에 뇌관이 구비되는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
    상기 커버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뇌관을 타격시키는 동작 수행을 통해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 내부에 충진된 에어로졸을 분사시키는 에어로졸 분사작동유닛;
    상기 커버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에어로졸 분사작동유닛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에어로졸 분사제한유닛; 및
    상기 커버에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에 장착되는 감지센서; 및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 신호를 전달받으며,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 범위 내에서 상기 감지센서가 대상체를 감지하는 여부에 따라 상기 에어로졸 분사제한유닛으로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상기 에어로졸 분사제한유닛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한시키는 컨트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로졸 분사작동유닛은 상기 커버의 내벽에 지지되어 상기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이동판;
    상기 슬라이드 이동판이 이동한 경우 상기 뇌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뇌관을 타격시키는 격침;
    상기 슬라이드 이동판과 이격되게 마련되어 상기 격침을 탄성적으로 접촉 지지하는 탄성부재는 고정부의 내측에서 압축된 상태로 상기 격침의 일단을 지지하며, 상기 슬라이드 이동판이 이동한 경우, 상기 격침은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뇌관을 타격시키고,
    상기 고정부는, 메인 커버의 내벽에 볼트 결합을 통해 고정되며 중앙부에 제1 유도홀이 관통 형성되는 고정판과, 고정판에 볼트 체결되어 고정되며 고체 에어로졸 소화가 체결되도록 일측에 소화기 체결부가 마련되며 중앙부에 제1 유도홀과 연통하도록 제2 유도홀이 관통 형성되는 소화기 체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 분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분사제한유닛은,
    상기 커버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코일; 및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에 형성되는 자기장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에어로졸 분사작동유닛의 동작을 제한하는 솔레노이드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 분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 마련되어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값에 따라 발광하는 표시등; 및
    상기 커버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감지센서, 상기 컨트롤부, 상기 에어로졸 분사제한유닛 및 상기 표시등으로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 분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밧데리는 외부로부터 충전이 가능한 축전지이며,
    상기 커버에는 상기 밧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밧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접속콘센트가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부는 과충전 방지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 분사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분사제한유닛은,
    상기 커버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는 솔레노이드 코일; 및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에 형성되는 자기장에 따라 상기 솔레노이드 코일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슬라이드 이동판에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드 이동판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하는 솔레노이드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 분사장치.
KR1020100068213A 2010-07-15 2010-07-15 휴대용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 분사장치 KR101273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213A KR101273352B1 (ko) 2010-07-15 2010-07-15 휴대용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 분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213A KR101273352B1 (ko) 2010-07-15 2010-07-15 휴대용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 분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594A KR20120007594A (ko) 2012-01-25
KR101273352B1 true KR101273352B1 (ko) 2013-06-12

Family

ID=45612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8213A KR101273352B1 (ko) 2010-07-15 2010-07-15 휴대용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 분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33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1808B1 (ko) * 2014-01-16 2015-02-11 주식회사 한국슈퍼맥스 화염 및 열 방출 차단을 위한 고체 에어로졸 소화장치
CN109260629A (zh) * 2018-09-04 2019-01-25 西安尚泰安全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即时产气的新型灭火方法
CN111558188A (zh) * 2020-06-17 2020-08-21 安徽中科中涣防务装备技术有限公司 一种多点喷射热气溶胶灭火装置
CN111569337A (zh) * 2020-06-17 2020-08-25 安徽中科中涣防务装备技术有限公司 一种多点喷射降温型热气溶胶灭火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278A (ko) * 1995-06-21 1997-01-21 한승준 자동차 기관실의 자동소화장치
KR200447030Y1 (ko) * 2008-11-17 2009-12-21 고려화공 주식회사 이융성 금속을 포함하는 열 감지 작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고체 에어로졸 자동 소화장치
WO2010024672A2 (en) * 2008-08-25 2010-03-04 Dspa.Nl B.V. Fire extinguishing device and fire management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278A (ko) * 1995-06-21 1997-01-21 한승준 자동차 기관실의 자동소화장치
WO2010024672A2 (en) * 2008-08-25 2010-03-04 Dspa.Nl B.V. Fire extinguishing device and fire management system
KR200447030Y1 (ko) * 2008-11-17 2009-12-21 고려화공 주식회사 이융성 금속을 포함하는 열 감지 작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고체 에어로졸 자동 소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594A (ko) 201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3352B1 (ko) 휴대용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 분사장치
JP3170412U (ja) 火災消火装置
KR101506575B1 (ko) 보존형 발전유닛이 구비된 고체 에어로졸 소화장치
KR102092037B1 (ko) 안전한 화재진압이 가능한 분전반
KR101625388B1 (ko) 수배전반의 화재 제어 장치
CN217366956U (zh) 换电柜的消防系统及换电柜
KR100932100B1 (ko) 자가발전 유리벌브 감지부 작동장치
KR20210060160A (ko) 자동 소화 장치를 갖는 배터리 충전 시스템
KR20130134167A (ko) 스탠드 타입 충전기
CN110170127B (zh) 一种可充电电池组的微小型灭火装置及其灭火方法
KR200469923Y1 (ko) 휴대용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 분사장치
KR20120118110A (ko) 소화기를 구비하는 비상손전등
KR20040015847A (ko) 질소가스에 의해 포말액이 방출되는 이동 가능한 긴급화재진압용 소화장치
JP2017080023A (ja) エアロゾル消火装置
KR101216135B1 (ko) 전지를 이용한 소화기 작동장치
CN214130038U (zh) 分体式灭火装置
KR102420358B1 (ko) 휴대용 스프링클러
US20220219028A1 (en) Container for storing a mobile device while recharging
CN110585626B (zh) 阻燃式变压器消防系统
KR100932099B1 (ko) 측면 방출구를 포함하는 전기식 고체 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
KR101506573B1 (ko) 압전소자를 이용한 자가발전수단를 갖는 고체 에어로졸 소화장치
CN202096643U (zh) 自动灭火装置
CN113418559A (zh) 一种电力负荷监测装置
CN211068860U (zh) 一种灭火装置、储电设备及运输工具
KR101216134B1 (ko) 유도전류 발생장치를 이용한 소화기 작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