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2100B1 - 자가발전 유리벌브 감지부 작동장치 - Google Patents

자가발전 유리벌브 감지부 작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2100B1
KR100932100B1 KR1020080102385A KR20080102385A KR100932100B1 KR 100932100 B1 KR100932100 B1 KR 100932100B1 KR 1020080102385 A KR1020080102385 A KR 1020080102385A KR 20080102385 A KR20080102385 A KR 20080102385A KR 100932100 B1 KR100932100 B1 KR 100932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core
electromotive force
glass bulb
rod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2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효식
Original Assignee
고려화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화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고려화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2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21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2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2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8Actuation involving the use of explosiv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A62C37/14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with frangible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20Resetting after use; Tools therefor
    • A62C37/21Resetting after use; Tools therefor automatic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벌브를 포함하는 자가발전 작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장치는 열에 의해 파괴되는 유리벌브와, 구형의 고정볼, 무빙코어 탄성수단 및 기전력발생부를 구비하여, 화재 발생시 순간적으로 전류를 자체적으로 생산하여 전기식 자동소화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로써 종래 기술에 따른 별도의 상용전원, 비상전원 또는 배터리(축전지)등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종래의 복잡한 화재감지기나 화재수신반을 필요로 하지 않아, 그 구성이 보다 간단하며, 경제적이다.
자동소화장치, 유리벌브, 기전력

Description

자가발전 유리벌브 감지부 작동장치{Device of self-generating electric power with glass bulb sensing unit}
본 발명은 자가발전 작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리벌브를 포함하는 자가발전 작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기식 자동소화장치가 화재가 발생하여 동작되기까지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화재가 발생되면, 화재 감지기가 열 또는 연기에 의해 화재를 감지하여 이를 화재수신반에 통보하며, 화재수신반은 화재 발생 사실을 경보함과 동시에 전기 신호를 발생하여 전기식 자동소화장치로 송출하고, 전기식 자동소화장치는 상기 전기 신호에 따라 작동하게 된다. 전기식 자동소화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대개 0.1 ~ 1 A 정도의 전류가 필요하므로 상기 전기 신호는 이러한 전류량을 가진다.
한편, 보다 간략한 구성으로서, 화재 수신반대신 작동 장치를 가진 구조를 생각할 수 있다. 이 때에는 화재 감지기가 열 또는 연기에 의해 화재를 감지하여 이를 작동 장치에 통보하면, 작동장치는 전류를 발생하여 전기식 자동소화장치로 송출하고 전기식 자동소화장치는 상기 전류에 의해 작동한다. 화재 감지기 및 작동 장치는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자동소화장치까지 함께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화재 발생시 전기식 자동소화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장치로서 화재 감지기가 필요하며, 화재 감지기로부터 화재 발생 정보를 통보받아 전기식 자동소화장치에 전기 신호를 공급할 수 있는 장치, 예를 들면 상기한 화재 수신반 또는 작동 장치가 필요하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화재 감지기와 작동 장치(또는 화재 수신반)가 필요하다. 그런데, 상기한 화재 감지기 및 작동 장치(또는 화재 수신반)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열 또는 연기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센서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 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회로, 자동소화장치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회로, 상기한 요소들은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등이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화재 감지기 및 작동 장치(또는 화재수신반)가 정상적으로 동작되기 위해서는 전원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상용 전력을 공급하기 어려운 장소에 화재감지기 및 작동 장치(또는 화재 수신반)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다른 전원 공급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배터리(축전지)를 사용해야 하며, 배터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정기적 배터리 교환의 문제가 있게 된다.
또한, 상용 전원을 사용할 수 있는 장소라고 하여도, 화재 발생시의 정전을 대비하기 위해서는 비상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을 별도로 갖추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용전원 또는 배터리(축전지)를 필요로 하지 않아, 종래보다 간단한 하드웨어적 구성을 가질 수 있는, 전기식 자동소화장치용 자가발전 작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 작동장치는: 헤드(head), 상기 헤드와 연결되는 로드(rod), 상기 헤드와 상기 로드 사이에서 상기 헤드와 상기 로드를 연결하며 상기 헤드와 상기 로드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가져 오목한 영역을 형성하는 오목부, 및 상기 로드의 단부에 연결되는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무빙코어(moving core); 상기 무빙코어가 안쪽으로 삽입되며, 상기 무빙코어의 오목부에 의해 형성된 오목한 영역에 일부 삽입되어 상기 무빙코어를 고정시키는 고정볼이 위치하는 고정볼 삽입구멍이 형성된 무빙코어삽입관; 상기 무빙코어삽입관의 상부 외곽에 끼워지며 상기 무빙코어삽입관의 외경(outer diameter) 보다 넓은 내경(inner diameter)를 가지는 상부 마개; 상기 고정볼 삽입 구멍과 동일한 위치에서 상기 무빙코어 삽입관 외곽에 끼워지는 동시에 상기 상부 마개 하부에 맞물리는 고정판; 상기 무빙코어 삽입관 외곽에 끼워지며 상기 상부마개와 상기 무빙코어 삽입관 사이 그리고 상기 상부마개와 상기 고정판 사이에 위치하는 고정판 탄성수단; 상기 고정판 하부에서 상기 고정판과 이격되며, 상기 무빙코어 삽입관 외벽 에 고정 및 결합되는 유리벌브(Glass bulb) 지지대; 상기 고정판과 상기 유리벌브지지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판 하부와 상기 유리벌브 지지대의 상부에 각각 형성된 유리벌브삽입홈들에 상부와 하부가 끼워져 상기 고정판을 지지하되, 소정의 열에 의해 파괴되는 유리벌브(Glass bulb); 상기 무빙코어삽입관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로드가 삽입되고 상기 무빙코어에 탄성력을 가하는 무빙코어탄성수단; 및 상기 무빙코어의 상기 영구자석이 삽입되는 영구자석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구자석삽입부를 관통하여 상기 영구자석이 이동할 때 기전력을 발생하는 기전력발생부를 포함한다.
상기 유리벌브는 밀폐된 유리관과 상기 밀폐된 유리관 안에 든 열팽창유체(thermally-expanded flui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팽창유체는 알콜(alcohol), 글리세린(glycerin), 톨루엔(toluene), 크실렌(xylene), 트리클로로에틸렌(trichloroethylene), 및 테트라클로로에틸렌(tetrachloroethylene)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리벌브는 50~270℃의 온도에서 파괴될 수 있다.
상기 자가발전 작동장치는 상기 기전력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전류 중 일방향의 전류만을 출력하기 위하여 상기 기전력발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이오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가발전 작동장치는, 상기 기전력 발생부 하부에서 상기 기전력 발생부와 연결되며 상기 기전력 발생부를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다이오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 및 상기 기전력발생부와 상기 영구자석이 삽입되며 상기 베이스 와 체결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전력발생부는 원통형으로 감긴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벌브를 포함하는 자가발전 작동장치는, 화재가 발생하면, 유리벌브 내부에 열팽창유체가 열에 의해 팽창하여 상기 유리벌브의 유리관이 파괴된다. 이로써 상기 유리벌브에 의해 고정 및 지지되던 고정판은 고정판 탄성수단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아래로 밀려나게 되고, 상기 고정판이 아래로 밀려나면서 상기 고정판에 의해 고정되던 고정볼이 해방되어 고정볼삽입구멍 안에서 옆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고정볼에 의해 고정되던 무빙코어가 해방되게 되며, 무빙코어 탄성수단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무빙코어가 급속히 탄발하여 기전력발생부의 영구자석삽입부를 지나게 된다. 이때 상기 무빙코어의 영구자석의 이동으로 주변의 자기장의 위치가 변하게 되고, 이로 인해 기전력 발생부의 원형코일에서 순간적으로 전류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전류는 다이오드와 단자를 통해 전기식 자동소화장치에 공급되어 전기식 자동소화장치를 동작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리벌브를 포함하는 자가발전 작동장치에서는 초기 화재를 감지하기 위해 열에 의해 파괴되는 유리벌브와, 구형의 고정볼, 무빙코어 탄성수단 및 기전력발생부를 구비하여, 화재 발생시 순간적으로 전류를 자체적으로 생산하여 전기식 자동소화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로써 종래 기술에 따른 별도의 상용전원, 비상전원 또는 배터리(축전지)등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종래의 복잡한 화재감지기나 화재수신반을 필요로 하지 않아, 그 구성이 보다 간단하며, 경제 적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유리벌브를 포함하는 자가발전 작동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자가발전 작동장치의 분해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 작동장치(100)는 기전력을 유도하는 무빙코어(80)와, 상기 무빙코어(80)의 이동에 따라 기전력이 발생하는 기전력발생부(44)를 포함한다. 상기 무빙코어(80)는 헤드(head, 82), 상기 헤드(82)와 연결되는 로드(rod, 86), 상기 헤드(82)와 상기 로드(86) 사이에서 상기 헤드(82)와 상기 로드(86)를 연결하며 상기 헤드(82)와 상기 로드(86)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가져 오목한 영역을 형성하는 오목부(84), 및 상기 로드(86)의 단부에 연결되는 영구자석(88)을 포함한다.
상기 무빙코어(80)의 상기 헤드(82)와 상기 오목부(84) 및 상기 로드(86)는 무빙코어삽입관(12) 내부에 삽입된다. 상기 무빙코어 삽입관(12)에는 고정볼(26)이 삽입되는 고정볼삽입구멍(2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무빙코어 삽입관(12)은 제 1 내경을 가지는 상부와 상기 제 1 내경 보다 넓은 제 2 내경을 가지는 하부를 가지며, 상기 무빙코어 삽입관(12)의 내부는 상기 서로 다른 내경을 가지는 상부와 하부에 의해 중간에 턱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볼삽입구멍(23)은 상기 무빙코어 삽입관(12)의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고정볼삽입구멍(23)의 하부의 안쪽에는 상기 무빙코어(80)의 로드(86)가 위치하며, 상기 로드(86)의 외측으로 스프링과 같은 무빙코어 탄성수단(40)이 끼워져 있다. 상기 무빙코어 삽입관(12)의 하부의 외측의 소정 위치에는 유리벌브지지대(glassbulb supporter, 112)가 고정 및 결합되어져 있다.
상기 무빙코어삽입관(12)의 상단의 외측에는 상부마개(100)가 끼워져 있다. 상기 상부마개(100)의 상부면은 상기 무빙코어삽입관(12)의 상부면과 만나며, 상기 상부 마개(100)의 내경은 상기 무빙코어 삽입관(12)의 상부의 외경보다 넓다. 상기 상부마개(100)의 안쪽 측면은 상기 무빙코어 삽입관(12)의 상부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상기 상부마개(100) 안쪽에서 상기 무빙코어 삽입관(12)의 상부의 외측에는 스프링과 같은 고정판탄성수단(104)이 끼워져 있다. 상기 무빙코어삽입관(12)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고정볼 삽입 구멍과 동일한 위치에서 상기 무빙코어 삽입관(12) 외곽에 고정판(102)이 끼워지는 동시에 상기 상부 마개(100) 하부에 맞물리게 된다. 상기 고정볼(26)은 상기 고정볼 삽입구멍(23) 내부에서 상기 고정판(102)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며, 상기 무빙코어(80)의 상기 오목부(84)에 의해 형성된 오목한 영역에 일부 삽입되어 상기 무빙코어(80)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고정판(102)의 하부면의 소정 영역에는 제 1 유리벌브 삽입홈(103)이 형성되며, 상기 유리벌브지지대(112)의 상부면에서 상기 제 1 유리벌브 삽입 홈(103)과 중첩되는 위치에는 제 2 유리벌브 삽입홈(1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리벌브 삽입홈들(103, 113)에는 유리벌브(110)의 상부면과 하부면이 각각 끼워져 상기 고정판(102)을 지지한다.
상기 유리벌브(Glassbulb, 110)는 밀폐된 유리관과 상기 밀폐된 유리관 안에 든 열팽창유체(thermally-expanded flui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팽창유체는 열을 받으면 온도에 의해 부피가 급격히 팽창하는 유체를 말한다. 상기 열팽창유체는 알콜(alcohol), 글리세린(glycerin), 톨루엔(toluene), 크실렌(xylene), 트리클로로에틸렌(trichloroethylene), 및 테트라클로로에틸렌(tetrachloroethylene)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리벌브(110)는 50~270℃의 온도에서 파괴될 수 있다. 상기 유리벌브(110)는 상기 열팽창유체의 유체 조성비에 따라 파괴 온도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유리벌브(110)는 예를 들면, 57℃, 68℃, 74℃, 79℃, 93℃, 100℃, 141℃, 185℃, 232℃, 또는 260℃에서 파괴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무빙코어삽입관(12) 하단에는 하우징(14)이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14) 내부에 상기 무빙코어(80)의 상기 영구자석(88)과 상기 기전력발생부(44)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기전력발생부(44)는 원통형으로 감긴 코일, 유도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전력발생부(44)는 상기 영구자석(86)이 삽입되는 영구자석삽입부(62)가 형성된다. 상기 기전력발생부(44) 하부에는 상기 기전력발생부(44)에서 발생되는 전류 중 일방향의 전류만을 출력하기 위하여 상기 기전력발생부(4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이오드(46)가 위치하며, 상기 다이오드 하부(46)에는 상기 다이오 드(4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48, 49)가 위치한다. 상기 단자(48, 49)는 각각 + 단자, - 단자일 수 있다. 상기 기전력발생부(44)는 베이스(7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베이스(70)에는 베이스연결부(60)가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14)의 양측 하단에는 하우징연결부(58)가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연결부(58)와 상기 베이스연결부(60)는 포개지며, 이 둘(58, 60)을 관통하는 고정볼트(16)에 의해 상기 하우징(14)과 상기 베이스(70)는 결합된다.
다음은 상기 자가발전 작동장치(200)의 동작을 도 2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2의 자가발전 작동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화재가 발생하기 전에는 도 2와 같이, 상기 유리벌브(110)가 상기 유리벌브지지대(112)와 상기 고정판(102)에 형성된 유리벌브삽입홈(113, 103)에 끼워져 상기 고정판(102)의 위치를 고정시키므로 상기 고정볼(26)이 상기 무빙코어(80)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로써 상기 무빙코어 탄성수단(40)과 고정판 탄성수단(104)은 압축된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그러나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도 4와 같이, 상기 유리벌브(110) 내부에 열팽창유체가 열에 의해 기설정 온도에서 팽창하여 상기 유리벌브(110)의 유리관 내부 압력이 급격히 증가하여 상기 유리벌브(110)가 파괴된다. 이로써 상기 유리벌브(110)에 의해 고정 및 지지되던 상기 고정판(102)은 상기 압축되있던 고정판 탄성수단(10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아래로 밀려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102)이 아래로 밀려나면서 상기 고정판(102)에 의해 고정되던 상기 고정볼(26)이 해방되어 상기 고정볼삽입구멍(23) 안에서 옆으로 이동하게 된 다. 이로써 상기 고정볼(26)에 의해 고정되던 상기 무빙코어(80)가 해방되게 되고, 상기 무빙코어 탄성수단(40)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무빙코어(80)가 급속히 탄발하여 상기 기전력발생부(44)의 상기 영구자석삽입부(62)를 지나게 된다. 이때 상기 무빙코어(80)의 상기 영구자석(88)의 이동으로 주변의 자기장의 위치가 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기전력 발생부(44)의 원형코일에서 순간적으로 전류가 발생하게 된다. 이는 패러데이의 전자기 유도 법칙을 응용한 것으로, 이 법칙에 따르면, 코일을 관통하는 자속(자기력선속)에 시간적 변화가 있으면, 상기 코일에는 기전력이 발생한다. 상기 기전력 발생부(44)에서 발생한 전류는 상기 다이오드(80)를 통해 단자(48, 49)로 흐른다.
후속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예를 들면, 상기 단자(48, 49)로 이동된 전류는, 상기 단자(48, 49)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식 자동소화장치의 전기점화장치로 흘러가 전기스파크(또는 순간적 불꽃)를 일으킬 수 있으며, 이러한 전기스파크에 의해, 상기 전기식 자동소화장치에 내재되며, 예를 들면 화약일 수 있는, 발화제가 발화하게 된다. 이렇게 발화제가 발화하여 연소하면, 이 연소열에 의해, 상기 전기식 자동소화장치에 내재될 수 있는 고체 소화약제가 연소하게 될 수 있다.
상기 고체 소화약제는 예를 들면, KNO3, KClO4 및 탄소를 포함하는 고체 혼합물일 수 있으며, 상기 고체소화약제가 연소하게 되면, 칼륨(K)을 많이 포함하는 고체 소화 에어로졸 성분이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에어로졸이란 고체나 액체 상태의 입자가 기체에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고체 소화 에어로졸은 고체의 소화 성분 입자가 기체에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렇게 발생된 고체 소화에어로졸 성분이 상기 자동소화장치 외부로 분출(또는 분사)되므로써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자가발전 작동장치(200)는 초기 화재를 감지하기 위해 열에 의해 파괴되는 유리벌브(110)와, 구형의 고정볼(26), 무빙코어(80) 및 기전력발생부(44)를 구비하여, 화재 발생시 순간적으로 전류를 자체적으로 생산하여 전기식 자동소화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로써 종래 기술에 따른 별도의 상용전원, 비상전원 또는 배터리(축전지)등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종래의 복잡한 화재감지기나 화재수신반을 필요로 하지 않아, 그 구성이 보다 간단하며, 경제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자가발전 작동장치(200)는 열을 감지하여 자체적으로 전류를 생산하는 장치로써, 바람직하게는 전기식 자동소화장치에 장착될 수 있지만, 이외에, 반응기에 장착되어 반응기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무인용 군사 무기등 다양한 장치에 장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유리벌브를 포함하는 자가발전 작동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자가발전 작동장치의 분해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자가발전 작동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무빙코어삽입관 14: 하우징
16: 고정볼트 23: 고정볼삽입구멍
26: 고정볼 40: 무빙코어 탄성수단
44: 기전력발생부 46: 다이오드
48, 49: 단자 58: 하우징연결부
60: 베이스연결부 62: 영구자석삽입부
70: 베이스 80: 무빙코어
82: 헤드 84: 오목부
86: 로드 88: 영구자석
100: 상부마개 102: 고정판
103, 113: 유리벌브삽입홈 104: 고정판 탄성수단
110: 유리벌브 112: 유리벌브지지대

Claims (7)

  1. 헤드(head), 상기 헤드와 연결되는 로드(rod), 상기 헤드와 상기 로드 사이에서 상기 헤드와 상기 로드를 연결하며 상기 헤드와 상기 로드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가져 오목한 영역을 형성하는 오목부, 및 상기 로드의 단부에 연결되는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무빙코어(moving core);
    상기 무빙코어가 안쪽으로 삽입되며, 상기 무빙코어의 오목부에 의해 형성된 오목한 영역에 일부 삽입되어 상기 무빙코어를 고정시키는 고정볼이 위치하는 고정볼 삽입구멍이 형성된 무빙코어삽입관;
    상기 무빙코어삽입관의 상부 외곽에 끼워지며 상기 무빙코어삽입관의 외경(outer diameter) 보다 넓은 내경(inner diameter)를 가지는 상부 마개;
    상기 고정볼 삽입 구멍과 동일한 위치에서 상기 무빙코어 삽입관 외곽에 끼워지는 동시에 상기 상부 마개 하부에 맞물리는 고정판;
    상기 무빙코어 삽입관 외곽에 끼워지며 상기 상부마개와 상기 무빙코어 삽입관 사이 그리고 상기 상부마개와 상기 고정판 사이에 위치하는 고정판 탄성수단;
    상기 고정판 하부에서 상기 고정판과 이격되며, 상기 무빙코어 삽입관 외벽에 고정 및 결합되는 유리벌브(glassbulb) 지지대;
    상기 고정판과 상기 유리벌브지지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고정판 하부와 상기 유리벌브 지지대의 상부에 각각 형성된 유리벌브삽입홈들에 상부와 하부가 끼워져 상기 고정판을 지지하되, 소정의 열에 의해 파괴되는 유리벌브(glassbulb) ;
    상기 무빙코어삽입관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로드가 삽입되고 상기 무빙코어에 탄성력을 가하는 무빙코어탄성수단; 및
    상기 무빙코어의 상기 영구자석이 삽입되는 영구자석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구자석삽입부를 관통하여 상기 영구자석이 이동할 때 기전력을 발생하는 기전력발생부를 포함하는 자가발전 작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벌브는 밀폐된 유리관과 상기 밀폐된 유리관 안에 든 열팽창유체(thermally-expanded flui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 작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팽창유체는 알콜(alcohol), 글리세린(glycerin), 톨루엔(toluene), 크실렌(xylene), 트리클로로에틸렌(trichloroethylene), 및 테트라클로로에틸렌(tetrachloroethylene)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 작동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벌브는 50~270℃의 온도에서 파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 작동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전력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전류 중 일방향의 전류만을 출력하기 위하여 상기 기전력발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 작동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전력 발생부 하부에서 상기 기전력 발생부와 연결되며 상기 기전력 발생부를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다이오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 및
    상기 기전력발생부와 상기 영구자석이 삽입되며 상기 베이스와 체결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 작동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전력발생부는 원통형으로 감긴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 작동장치.
KR1020080102385A 2008-10-20 2008-10-20 자가발전 유리벌브 감지부 작동장치 KR100932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385A KR100932100B1 (ko) 2008-10-20 2008-10-20 자가발전 유리벌브 감지부 작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385A KR100932100B1 (ko) 2008-10-20 2008-10-20 자가발전 유리벌브 감지부 작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2100B1 true KR100932100B1 (ko) 2009-12-16

Family

ID=41684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2385A KR100932100B1 (ko) 2008-10-20 2008-10-20 자가발전 유리벌브 감지부 작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210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6229B1 (ko) * 2014-04-30 2015-12-10 (주)강운파인엑스 자가발전형 전원공급장치
KR101666037B1 (ko) 2015-06-23 2016-10-13 고려화공 주식회사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유리벌브를 이용한 자가발전 작동장치
KR20170010700A (ko) 2015-07-20 2017-02-01 (주)폴리텍 고체 에어로졸 자동소화기의 열 감지 작동장치
KR20200053236A (ko) * 2018-11-08 2020-05-1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전자식 드론 배터리 결합 장치
KR102137282B1 (ko) * 2019-07-19 2020-07-24 (주)파이터코리아 자동 소화기의 작동장치
KR102203287B1 (ko) * 2020-06-24 2021-01-14 엠피아주식회사 자가발전 유리벌브형 무선 정온식 감지기
KR20210098770A (ko) * 2020-02-03 2021-08-11 주식회사 재원인더스트리 화재 경보기
KR20220169685A (ko) * 2021-06-21 2022-12-28 (주) 피케이씨 화재 감지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7142A (ja) 1998-06-04 1999-12-21 Kunihiro Chikara 空気温度感知作動方式自動拡散消火器
KR20040098747A (ko) * 2003-05-15 2004-11-26 (주) 에프에스티 소화기의 자동 소화 시스템
KR20070016590A (ko) * 2005-08-04 2007-02-08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소화약재 방출헤드 자동개방장치
WO2009017281A1 (en) 2007-07-30 2009-02-05 Korea Fire Disaster Leaders Co., Ltd Operation start apparatus for fire extinguish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7142A (ja) 1998-06-04 1999-12-21 Kunihiro Chikara 空気温度感知作動方式自動拡散消火器
KR20040098747A (ko) * 2003-05-15 2004-11-26 (주) 에프에스티 소화기의 자동 소화 시스템
KR20070016590A (ko) * 2005-08-04 2007-02-08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소화약재 방출헤드 자동개방장치
WO2009017281A1 (en) 2007-07-30 2009-02-05 Korea Fire Disaster Leaders Co., Ltd Operation start apparatus for fire extinguisher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6229B1 (ko) * 2014-04-30 2015-12-10 (주)강운파인엑스 자가발전형 전원공급장치
KR101666037B1 (ko) 2015-06-23 2016-10-13 고려화공 주식회사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유리벌브를 이용한 자가발전 작동장치
KR20170010700A (ko) 2015-07-20 2017-02-01 (주)폴리텍 고체 에어로졸 자동소화기의 열 감지 작동장치
KR20200053236A (ko) * 2018-11-08 2020-05-1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전자식 드론 배터리 결합 장치
KR102153651B1 (ko) 2018-11-08 2020-09-0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전자식 드론 배터리 결합 장치
KR102137282B1 (ko) * 2019-07-19 2020-07-24 (주)파이터코리아 자동 소화기의 작동장치
WO2021015358A1 (ko) * 2019-07-19 2021-01-28 (주)파이터코리아 자동 소화기의 작동장치
KR20210098770A (ko) * 2020-02-03 2021-08-11 주식회사 재원인더스트리 화재 경보기
KR102363821B1 (ko) * 2020-02-03 2022-02-16 주식회사 재원인더스트리 화재 경보기
KR102203287B1 (ko) * 2020-06-24 2021-01-14 엠피아주식회사 자가발전 유리벌브형 무선 정온식 감지기
KR20220169685A (ko) * 2021-06-21 2022-12-28 (주) 피케이씨 화재 감지기
KR102602549B1 (ko) * 2021-06-21 2023-11-15 (주) 피케이씨 화재 감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2100B1 (ko) 자가발전 유리벌브 감지부 작동장치
JP4281846B1 (ja) 切断装置、ブレーカ、接触器、および電気回路遮断器
KR101274406B1 (ko) 이중화된 점화 유니트를 갖는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 및 그에 사용되는 점화유니트
KR100932771B1 (ko) 자가발전 이융성 감지부 작동장치
KR100920900B1 (ko) 측면 방출구를 포함하는 고체 에어로졸 자동 소화 장치
US11875959B2 (en) Switching device for fast disconnection of short-circuit currents
KR100932714B1 (ko) 전기식 자동소화장치용 작동 장치
KR101666037B1 (ko) 고체에어로졸 소화기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유리벌브를 이용한 자가발전 작동장치
KR101273352B1 (ko) 휴대용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 분사장치
JP2020064847A (ja) 火工品特徴部を組み込むスイッチング装置と共に使用するための受動トリガー機構
KR101146529B1 (ko) 압전소자를 이용한 전기발생장치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소화기
CN216902708U (zh) 具有烟火式激发装置的开关电器
WO2022209250A1 (ja) 電気回路遮断装置
CN209848183U (zh) 一种感温自启动气溶胶灭火装置
KR101216135B1 (ko) 전지를 이용한 소화기 작동장치
EP3770939B1 (en) Circuit interrupter
KR101158342B1 (ko) 고체에어로졸 소화장치
KR100932099B1 (ko) 측면 방출구를 포함하는 전기식 고체 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
KR101216134B1 (ko) 유도전류 발생장치를 이용한 소화기 작동장치
JP2022104281A (ja) 電気回路遮断装置
RU2101059C1 (ru) Автономный тепловой пускатель
WO2023153013A1 (ja) 電気回路遮断装置
WO2022209324A1 (ja) 電気回路遮断装置
WO2023063393A1 (ja) 電気回路遮断装置
WO2023162179A1 (ja) 電気回路切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