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2771B1 - 자가발전 이융성 감지부 작동장치 - Google Patents

자가발전 이융성 감지부 작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2771B1
KR100932771B1 KR1020080097515A KR20080097515A KR100932771B1 KR 100932771 B1 KR100932771 B1 KR 100932771B1 KR 1020080097515 A KR1020080097515 A KR 1020080097515A KR 20080097515 A KR20080097515 A KR 20080097515A KR 100932771 B1 KR100932771 B1 KR 100932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ible
electromotive force
rod
self
moving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7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효식
Original Assignee
고려화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화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고려화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7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27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2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2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A62C37/12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with fusible lin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가발전 이융성 감지부 작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 장치는 열에 의해 물리적 또는 기계적 구조의 변형을 가지는 이융성 금속과, 구형의 고정볼, 탄성수단, 무빙코어 및 기전력발생부를 구비하여, 화재 발생시 순간적으로 전류를 자체적으로 생산하여 전기식 자동소화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로써 별도의 상용전원, 비상전원 또는 배터리(축전지)등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종래의 복잡한 화재감지기나 화재수신반을 필요로 하지 않아, 그 구성이 보다 간단하며, 경제적이다.
자동소화장치, 이융성금속, 기전력

Description

자가발전 이융성 감지부 작동장치{Device of self-generating electric power with fusible sensing unit}
본 발명은 자가발전 작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가발전 이융성 감지부 작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기식 자동소화장치가 화재가 발생하여 동작되기까지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화재가 발생되면, 화재 감지기가 열 또는 연기에 의해 화재를 감지하여 이를 화재수신반에 통보하며, 화재수신반은 화재 발생 사실을 경보함과 동시에 전기 신호를 발생하여 전기식 자동소화장치로 송출하고, 전기식 자동소화장치는 상기 전기 신호에 따라 작동하게 된다. 전기식 자동소화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대개 0.1 ~ 1 A 정도의 전류가 필요하므로 상기 전기 신호는 이러한 전류량을 가진다.
한편, 보다 간략한 구성으로서, 화재 수신반대신 작동 장치를 가진 구조를 생각할 수 있다. 이 때에는 화재 감지기가 열 또는 연기에 의해 화재를 감지하여 이를 작동 장치에 통보하면, 작동장치는 전류를 발생하여 전기식 자동소화장치로 송출하고 전기식 자동소화장치는 상기 전류에 의해 작동한다. 화재 감지기 및 작동 장치는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자동소화장치까지 함께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화재 발생시 전기식 자동소화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장치로서 화재 감지기가 필요하며, 화재 감지기로부터 화재 발생 정보를 통보받아 전기식 자동소화장치에 전기 신호를 공급할 수 있는 장치, 예를 들면 상기한 화재 수신반 또는 작동 장치가 필요하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화재 감지기와 작동 장치(또는 화재 수신반)가 필요하다. 그런데, 상기한 화재 감지기 및 작동 장치(또는 화재 수신반)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열 또는 연기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 센서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 센서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회로, 자동소화장치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회로, 상기한 요소들은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등이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화재 감지기 및 작동 장치(또는 화재수신반)가 정상적으로 동작되기 위해서는 전원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상용 전력을 공급하기 어려운 장소에 화재감지기 및 작동 장치(또는 화재 수신반)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다른 전원 공급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배터리(축전지)를 사용해야 하며, 배터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정기적 배터리 교환의 문제가 있게 된다.
또한, 상용 전원을 사용할 수 있는 장소라고 하여도, 화재 발생시의 정전을 대비하기 위해서는 비상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시스템을 별도로 갖추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용전원 또는 배터리(축전지)를 필요로 하지 않아, 종래보다 간단한 하드웨어적 구성을 가질 수 있는, 전기식 자동소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 이융성 감지부 작동장치는: 헤드(head), 상기 헤드와 연결되는 로드(rod), 상기 헤드와 상기 로드 사이에서 상기 헤드와 상기 로드를 연결하며 상기 헤드와 상기 로드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가져 오목한 영역을 형성하는 오목부, 및 상기 로드의 단부에 연결되는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무빙코어(moving core); 상기 무빙코어의 헤드가 삽입되는 헤드 삽입부, 및 열을 감지하여 상기 무빙코어를 해방하는 열감지작동수단이 삽입되는 열감지작동공간을 포함하는 감지부 몸통; 상기 무빙코어의 상기 로드가 삽입되며 상기 감지부 몸통 하부에 연결되는 로드삽입부; 상기 로드삽입부 안에 위치하며, 상기 로드가 삽입되고 상기 무빙코어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수단; 및 상기 무빙코어의 상기 영구자석이 삽입되는 영구자석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구자석삽입부를 관통하여 상기 영구자석이 이동할 때 기전력을 발생하는 기전력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열감지작동수단은 상기 열감지작동공간 내에 위치하며 소정의 온도에서 녹는 이융성금속과, 상기 이융성 금속과 상기 오목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오목부에 의해 형성된 오목한 영역에 일부 삽입되어 상기 무빙코어를 지지하는 구형의 고정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부몸통은, 상기 이융성 금속에 열을 전달하는 열전도판; 상기 열전도판이 삽입되며 상기 열감지작동공간과 이어지는 열전도판삽입홈; 및 상기 열전도판삽입홈 상부에서 상기 열전도판을 고정하도록 체결된 열전도판고정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전도판은 가운데에 형성된 이융성금속노출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융성금속은 상기 이융성금속노출구멍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전도판은 알루미늄, 구리, 철, 은, 금, 백금, 크롬, 니켈, 및 텅스텐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또는 그 금속의 합금, 또는 스테인레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기전력발생부는 원통형으로 감긴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가발전 이융성 감지부 작동장치는 상기 기전력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전류 중 일방향의 전류만을 출력하기 위하여 상기 기전력발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이오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가발전 이융성 감지부 작동장치는 상기 기전력 발생부 하부에서 상기 기전력 발생부와 연결되며 상기 기전력 발생부를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다이오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 및 상기 기전력발생부와 상기 영구자석이 삽입되며 상기 베이스와 체결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 이융성 감지부 작동장치에서는, 화재가 발생하면, 이융성 금속이 녹아 열전도판 고정볼트홈을 통해 밖으로 빠져나가던가 또는 로드 삽입부로 흘러내리게 되고, 이로 인해 열감지 작동공간에서 상기 이융성금속이 있던 공간이 비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오목부와 접하던 고정볼이 상기 이융성금속이 있던 공간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무빙코어가 해방되게 되며, 탄성수단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무빙코어가 급속히 탄발하여 기전력발생부의 영구자석삽입부를 지나게 된다. 이때 상기 무빙코어의 영구자석의 이동으로 주변의 자기장의 위치가 변하게 되고, 이로 인해 기전력 발생부의 원형코일에서 순간적으로 전류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전류는 다이오드와 단자를 통해 전기식 자동소화장치에 공급되어 전기식 자동소화장치를 동작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 이융성 감지부 작동장치에서는 초기 화재를 감지하기 위해 열에 의해 물리적 또는 기계적 구조의 변형을 가지는 이융성 금속과, 구형의 고정볼, 탄성수단 및 기전력발생부를 구비하여, 화재 발생시 순간적으로 전류를 자체적으로 생산하여 전기식 자동소화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로써 종래 기술에 따른 별도의 상용전원, 비상전원 또는 배터리(축전지)등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종래의 복잡한 화재감지기나 화재수신반을 필요로 하지 않아, 그 구성이 보다 간단하며, 경제적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 이융성 감지부 작동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자가발전 이융성 감지부 작동장치를 위에서 본 상면도이다. 도 3은 도 1을 I-I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자가발전 이융성 감지부 작동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참고로, 도 1은 도 2에서 화살표 B 방향으로 보여지는 정면도이며, 도 4은 도 2에서 화살표 A 방향으로 보여진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 이융성 감지부 작동장치(100)는 기전력을 유도하는 무빙코어(80)와, 상기 무빙코어(80)의 이동에 따라 기전력이 발생하는 기전력발생부(44)를 포함한다. 상기 무빙코어(80)는 헤드(head, 82), 상기 헤드(82)와 연결되는 로드(rod, 86), 상기 헤드(82)와 상기 로드(86) 사이에서 상기 헤드(82)와 상기 로드(86)를 연결하며 상기 헤드(82)와 상기 로드(86)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가져 오목한 영역을 형성하는 오목부(84), 및 상기 로드(86)의 단부에 연결되는 영구자석(88)을 포함한다. 상기 무빙코어(80)의 상기 헤드(82)와 상기 오목부(84)는 감지부몸통(10)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무빙코어(80)의 상기 로드(86)은 상기 감지부몸통(10) 하단에 결합된 로드삽입부(12) 내부에 삽입된다. 상기 로드 삽입부(12) 하단에는 하우징(14)이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14) 내부에 상기 무빙코어(80)의 상기 영구자석(88)과 상기 기전력발생부(44)가 위치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감지부 몸통(10)은 상기 헤드(82)가 삽입되는 구멍인 헤드삽 입부(30)와, 열을 감지하여 상기 무빙코어(80)을 해방시키는 열감지작동수단(25)이 삽입되는 열감지작동공간(23)을 포함한다. 상기 열감지작동수단(25)은 구형의 고정볼(23), 이융성금속(24)을 포함한다. 상기 구형의 고정볼(23)은 상기 오목부(84)에 의해 형성된 오목한 영역에 일부 삽입되어 상기 무빙코어(8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이융성금속(24)은 상기 열감지작동공간(23) 내부에 위치하며,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을 때는 상기 고정볼(23)이 구르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감지부몸통(10)에는 상기 열감지작동공간(23)에 연결된 열전도판 삽입홈(18)이 형성되며, 상기 열전도판 삽입홈(18)에는 상기 이융성금속(24)과 접하며 상기 이융성금속(24)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열전도판(42)이 삽입된다. 상기 열전도판(42)에는 이융성금속노출구멍(22)이 형성되며, 상기 이융성금속(24)은 상기 이융성금속노출구멍(22)에 삽입되는 돌출부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이융성 금속(24)의 일 측면은 상기 고정볼(25)의 표면에 맞물리도록 움푹해지며, 상기 이융성 금속(24)의 다른 측면은 상기 이융성금속노출구멍(22)에 끼워지는 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감지부몸통(10)에는 상기 열전도판(42)을 노출시키는 열전도판노출구멍(20)이 더 형성되며, 상기 열전도판 노출구멍(20)의 상부에서 상기 열전도판삽입홈(18)과 직교하며 상기 열전도판(42)을 고정시키도록 열전도판 고정볼트(28)가 체결된다. 상기 열전도판 고정볼트(28)는 열전도판 고정볼트홈(27) 안에 위치한다. 상기 열전도판(42)은 알루미늄, 구리, 철, 은, 금, 백금, 크롬, 니켈, 및 텅스텐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또는 그 금속의 합금, 또는 스테인레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융성 금속(24)은 납 또는 납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70~130℃의 온도에서 녹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이융성 금속(24)은 72℃, 93℃, 105℃, 또는 124℃에서 녹을 수 있다. 상기 이융성금속(24)이 녹으면, 상기 열전도판(42)의 상기 이융성금속노출구멍(22)을 통해 밖으로 흘러나오거나, 또는 상기 로드 삽입부(12) 내부로 흘러내릴 수 있다. 상기 이융성금속(24)이 녹으면 상기 고정볼(26)은 상기 이융성금속(24)이 있던 공간으로 구르게(이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상기 무빙코어(80)를 해방하게 된다.
상기 로드삽입부(12) 안에는 상기 로드(86)이 삽입되는 탄성수단(40)이 위치한다. 상기 탄성수단(40)은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기전력발생부(44)는 원통형으로 감긴 코일, 유도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전력발생부(44)는 상기 영구자석(86)이 삽입되는 영구자석삽입부(62)가 형성된다. 상기 기전력발생부(44) 하부에는 상기 기전력발생부(44)에서 발생되는 전류 중 일방향의 전류만을 출력하기 위하여 상기 기전력발생부(4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이오드(46)가 위치하며, 상기 다이오드 하부(46)에는 상기 다이오드(4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48, 49)가 위치한다. 상기 단자(48, 49)는 각각 + 단자, - 단자일 수 있다. 상기 기전력발생부(44)는 베이스(7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베이스(70)에는 베이스연결부(60)가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14)의 양측 하단에는 하우징연결부(58)가 위치하며, 상기 하우징연결부(58)와 상기 베이스연결부(60)는 포개지며, 이 둘(58, 60)을 관통하는 고정볼트(16)에 의해 상기 하우징(14)과 상기 베이스(70)는 결합된다.
다음은 상기 자가발전 이융성 감지부 작동장치(100)의 동작을 도 3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3의 자가발전 작동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화재가 발생하기 전에는 도 3과 같이, 상기 무빙코어(80)가 상기 고정볼(26)과 상기 이융성금속(24)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탄성수단(40)은 상기 로드삽입부(12) 내부에서 압축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러나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도 5와 같이, 상기 감지부 몸통(10)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열전도판노출구멍(20)에 의해 노출된 상기 열전도판(42)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고, 상기 열전도판(42)에 의해 열이 전도되어 일정온도, 즉, 예를 들면, 72℃, 93℃, 105℃, 또는 124℃에서 상기 이융성금속(24)이 녹는다. 상기 이융성금속(24)이 녹아 상기 이융성금속노출구멍(22) 밖으로 흘러나오거나 또는 상기 로드삽입부(12) 내부로 흘러내리게 된다. 이로써, 상기 이융성금속(24)이 있던 공간으로 상기 고정볼(26)이 구르게(이동하게) 되고, 이로써 상기 무빙코어(80)가 해방되게 된다. 해방된 무빙코어(80)는 상기 탄성수단(40)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무빙코어(80)가 급속히 탄발하여 상기 기전력발생부(44)의 영구자석삽입부(62)를 지나게 된다. 이때 상기 무빙코어(80)의 상기 영구자석(88)의 이동으로 주변의 자기장의 위치가 시간에 따라 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기전력 발생부(44)의 원형코일에서 순간적으로 전류가 발생하게 된다. 이는 패러데이의 전자기 유도 법칙을 응용한 것으로, 이 법칙에 따르면, 코일을 관통하는 자속(자기력선속)에 시간적 변화가 있으면, 상기 코일에는 기전력이 발생한다. 상기 기전력 발생부(44)에서 발생한 전류는 상기 다이오드(80)를 통해 단자(48, 49)로 흐른다.
후속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예를 들면, 상기 단자(48, 49)로 이동된 전류는, 상기 단자(48, 49)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식 자동소화장치의 전기점화장치로 흘러가 전기스파크(또는 순간적 불꽃)를 일으킬 수 있으며, 이러한 전기스파크에 의해, 상기 전기식 자동소화장치에 내재되며, 예를 들면 화약일 수 있는, 발화제가 발화하게 된다. 이렇게 발화제가 발화하여 연소하면, 이 연소열에 의해, 상기 전기식 자동소화장치에 내재될 수 있는 고체 소화약제가 연소하게 될 수 있다. 상기 고체 소화약제는 예를 들면, KNO3, KClO4 및 탄소를 포함하는 고체 혼합물일 수 있으며, 상기 고체소화약제가 연소하게 되면, 칼륨(K)을 많이 포함하는 고체 소화 에어로졸 성분이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에어로졸이란 고체나 액체 상태의 입자가 기체에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며, 따라서 고체 소화 에어로졸은 고체의 소화 성분 입자가 기체에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렇게 발생된 고체 소화에어로졸 성분이 상기 자동소화장치 외부로 분출(또는 분사)되므로써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자가발전 이융성 감지부 작동장치(100)는 상기 이융성 금속(24)과, 구형의 상기 고정볼(26), 상기 탄성수단(40) 및 상기 기전력발생부(44)를 구비하여, 화재 발생시 순간적으로 전류를 자체적으로 생산하여 전기식 자동소화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로써 종래 기술에 따른 별도의 상용전원, 비상전원 또는 배터리(축전지)등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종래의 복잡한 화재감지기나 화재수신반을 필요로 하지 않아, 그 구성이 보다 간단하며, 경제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자가발전 이융성 감지부 작동장치(100)는 열을 감지하여 자체적으로 전류를 생산하는 장치로써, 바람직하게는 전기식 자동소화장치에 장착될 수 있지만, 이외에, 반응기에 장착되어 반응기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무인용 군사 무기등 다양한 장치에 장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발전 이융성 감지부 작동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자가발전 이융성 감지부 작동장치를 위에서 본 상면도이다.
도 3은 도 1을 I-I선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자가발전 이융성 감지부 작동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자가발전 이융성 감지부 작동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감지부 몸통 12: 로드삽입부
14: 하우징 16: 고정볼트
18: 열전도판삽입홈 20: 열전도판노출구멍
22: 이융성금속노출구멍 23: 열감지작동공간
24: 이융성금속 25: 열감지작동수단
26: 고정볼 27: 열전도판고정볼트홈
28: 열전도판고정볼트 30: 헤드삽입부
40: 탄성수단 42: 열전도판
44: 기전력발생부 46: 다이오드
48, 49: 단자 58: 하우징연결부
60: 베이스연결부 62: 영구자석삽입부
70: 베이스 80: 무빙코어부
82: 헤드 84: 오목부
86: 로드 88: 영구자석

Claims (9)

  1. 헤드(head), 상기 헤드와 연결되는 로드(rod), 상기 헤드와 상기 로드 사이에서 상기 헤드와 상기 로드를 연결하며 상기 헤드와 상기 로드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가져 오목한 영역을 형성하는 오목부, 및 상기 로드의 단부에 연결되는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무빙코어(moving core);
    상기 무빙코어의 헤드가 삽입되는 헤드 삽입부, 및 열을 감지하여 상기 무빙코어를 해방하는 열감지작동수단이 삽입되는 열감지작동공간을 포함하는 감지부 몸통;
    상기 무빙코어의 상기 로드가 삽입되며 상기 감지부 몸통 하부에 연결되는 로드삽입부;
    상기 로드삽입부 안에 위치하며, 상기 로드가 삽입되고 상기 무빙코어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수단; 및
    상기 무빙코어의 상기 영구자석이 삽입되는 영구자석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영구자석삽입부를 관통하여 상기 영구자석이 이동할 때 기전력을 발생하는 기전력발생부를 포함하는 자가발전 이융성 감지부 작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감지작동수단은 상기 열감지작동공간 내에 위치하며 소정의 온도에서 녹는 이융성금속과, 상기 이융성 금속과 상기 오목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오목부에 의해 형성된 오목한 영역에 일부 삽입되어 상기 무빙코어를 지지하는 구형의 고정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 이융성 감지부 작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몸통은,
    상기 이융성 금속에 열을 전달하는 열전도판;
    상기 열전도판이 삽입되며 상기 열감지작동공간과 이어지는 열전도판삽입홈; 및
    상기 열전도판삽입홈 상부에서 상기 열전도판을 고정하도록 체결된 열전도판고정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 이융성 감지부 작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판은 가운데에 형성된 이융성금속노출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이융성금속은 상기 이융성금속노출구멍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 이융성 감지부 작동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판은 알루미늄, 구리, 철, 은, 금, 백금, 크롬, 니켈, 및 텅스텐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또는 그 금속의 합금, 또는 스테인레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 이융성 감지부 작동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전력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전류 중 일방향의 전류만을 출력하기 위하여 상기 기전력발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 이융성 감지부 작동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전력 발생부 하부에서 상기 기전력 발생부와 연결되며 상기 기전력 발생부를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다이오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 및
    상기 기전력발생부와 상기 영구자석이 삽입되며 상기 베이스와 체결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 이융성 감지부 작동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융성금속은 납 또는 납의 합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 이융성 감지부 작동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융성금속은 70~130℃의 온도에서 녹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 이융성 감지부 작동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전력발생부는 원통형으로 감긴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 이융성 감지부 작동장치.
KR1020080097515A 2008-10-06 2008-10-06 자가발전 이융성 감지부 작동장치 KR100932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515A KR100932771B1 (ko) 2008-10-06 2008-10-06 자가발전 이융성 감지부 작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515A KR100932771B1 (ko) 2008-10-06 2008-10-06 자가발전 이융성 감지부 작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2771B1 true KR100932771B1 (ko) 2009-12-21

Family

ID=41684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7515A KR100932771B1 (ko) 2008-10-06 2008-10-06 자가발전 이융성 감지부 작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277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134B1 (ko) 2011-07-22 2013-01-02 (주)서한에프앤씨 유도전류 발생장치를 이용한 소화기 작동장치
CN104399218A (zh) * 2014-12-03 2015-03-11 重庆图安消防设备有限公司 灭火器自动启动装置
KR101907626B1 (ko) * 2017-07-28 2018-10-12 윤철구 전동식 소화기 구동용 자가발전장치
CN109238482A (zh) * 2018-09-28 2019-01-18 佛山市川东磁电股份有限公司 一种大电流空锅检测及防干烧传感器
KR102470427B1 (ko) * 2021-08-25 2022-11-25 권영규 퓨즈블링크형 고체 에어로졸 자동 소화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6061A (ko) * 2004-01-19 2005-07-26 (주)동양테크 소화용 스프링쿨러 설치구조
KR20070006377A (ko) * 2005-07-08 2007-01-11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전기 배전반 및 패널용 자동소화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6061A (ko) * 2004-01-19 2005-07-26 (주)동양테크 소화용 스프링쿨러 설치구조
KR20070006377A (ko) * 2005-07-08 2007-01-11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전기 배전반 및 패널용 자동소화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134B1 (ko) 2011-07-22 2013-01-02 (주)서한에프앤씨 유도전류 발생장치를 이용한 소화기 작동장치
CN104399218A (zh) * 2014-12-03 2015-03-11 重庆图安消防设备有限公司 灭火器自动启动装置
KR101907626B1 (ko) * 2017-07-28 2018-10-12 윤철구 전동식 소화기 구동용 자가발전장치
CN109238482A (zh) * 2018-09-28 2019-01-18 佛山市川东磁电股份有限公司 一种大电流空锅检测及防干烧传感器
KR102470427B1 (ko) * 2021-08-25 2022-11-25 권영규 퓨즈블링크형 고체 에어로졸 자동 소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2100B1 (ko) 자가발전 유리벌브 감지부 작동장치
KR100932771B1 (ko) 자가발전 이융성 감지부 작동장치
JP4281846B1 (ja) 切断装置、ブレーカ、接触器、および電気回路遮断器
KR100514212B1 (ko) 전류·온도복합휴즈
JP4915473B1 (ja) 切断装置
TNSN00197A1 (fr) Contacteur-disjoncteur
MXPA02011361A (es) Interruptor de circuito que emplea un mecanismo para abrir un circuito de energia en respuesta a un cuerpo de resistor que abre al quemarse.
JP2017084613A (ja) 電磁継電器
KR100932714B1 (ko) 전기식 자동소화장치용 작동 장치
KR20120076219A (ko) 이중화된 점화 유니트를 갖는 고체 에어로졸 소화기 및 그에 사용되는 점화유니트
JP2000011990A (ja) 温度ヒューズ機能付き導電接触ピン
KR101146529B1 (ko) 압전소자를 이용한 전기발생장치가 구비된 전기 작동식 소화기
EP3770939B1 (en) Circuit interrupter
KR101216135B1 (ko) 전지를 이용한 소화기 작동장치
KR100932099B1 (ko) 측면 방출구를 포함하는 전기식 고체 에어로졸 자동소화장치
CN110867350A (zh) 用于包含烟火特征的切换装置的无源触发机构
RU2355037C2 (ru) Автономная сигнально-пусковая систем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WO2022209250A1 (ja) 電気回路遮断装置
US20240062976A1 (en) Electric circuit breaker device
KR101216134B1 (ko) 유도전류 발생장치를 이용한 소화기 작동장치
CN209848183U (zh) 一种感温自启动气溶胶灭火装置
KR101169959B1 (ko) 전기 작동식 소화기의 자가발전 작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 작동식 소화기의 접속 방법
CN213347592U (zh) 一种自动灭火装置用感温磁发电装置
CN216597477U (zh) 一种可以回流焊接的温度保险丝
WO2023152907A1 (ja) 電気回路切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