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2549B1 - 화재 감지기 - Google Patents

화재 감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2549B1
KR102602549B1 KR1020210080075A KR20210080075A KR102602549B1 KR 102602549 B1 KR102602549 B1 KR 102602549B1 KR 1020210080075 A KR1020210080075 A KR 1020210080075A KR 20210080075 A KR20210080075 A KR 20210080075A KR 102602549 B1 KR102602549 B1 KR 102602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tube
fire
contact terminal
hous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0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9685A (ko
Inventor
강순동
이선호
강석우
Original Assignee
(주) 피케이씨
강순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피케이씨, 강순동 filed Critical (주) 피케이씨
Priority to KR1020210080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2549B1/ko
Publication of KR20220169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9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2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25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화재 감지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발생시 일정한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면 글라스 튜브가 파손되면서 글라스 튜브를 가압하고 있던 스위칭단자가 접점되면서 화재 발생을 감지하도록 함으로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화재 감지기에 관한 것인바, 본 발명은 화재감지기에 있어서, 일정한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면 파괴되는 글라스튜브와; 천정 또는 벽체에 고정되는 몸체 일단에 이동접점단자가 관통되게 설치되는 삽입공을 형성하고 상기 글라스튜브가 설치되는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글라스튜브를 고정하는 조절공을 형성하고 상기 조절공의 반대쪽으로는 요홈을 형성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삽입공의 주연부에 고정 설치된 고정접점단자와; 상기 하우징의 조절공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이동되는 조정볼트와; 하우징에 형성된 삽입공에 입설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탄발되어 설치되는 이동접점단자와; 상기 하우징과 이동접점단자 사이에 탄설되는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의 요홈에 일단이 끼워지고 타측단은 공간부에 설치되는 글라스튜브을 받쳐 글라스튜브를 고정하는 받침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화재 감지기{Fire Detector}
본 발명은 화재 감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발생시 일정한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면 글라스 튜브가 파손되면서 글라스 튜브를 가압하고 있던 스위칭단자가 접속되면서 화재발생을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감지기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화재 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감지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 또는 벽면에 부착 설치되어 화재의 발생을 감지하는 기기이다. 화재 감지기(1)는 설치된 영역에서의 화재발생 여부를 상시 감지하게 되므로, 화재 발생시 초기에 화재를 진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한 종래 화재 감지기(1)는 감지센서(예를 들어 불꽃감지센서, 연기센서, 가스센서, 온도센서)를 구비하여, 감지된 값을 설정값과 비교해 설치된 영역에서의 화재를 감지한다. 감지된 값을 설정값과 비교해 화재발생 상황이라고 감지되면, 관리자 서버로 화재발생 사실을 송신하여 관리자가 신속히 화재 상황을 대비하도록 한다.
그리고, 별도의 화재 발생 알림부를 통해 화재 감지기가 설치된 영역에 있는 사람들에게 신속히 대피할 것을 안내한다. 여기서, 화재 발생 알림부라 함은, 화재 감지기 주변인들에게 화재 발생 사실을 알리기 위한 것으로, 조명등을 통한 표시, 스피커를 통한 경보음 출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종래의 광전식 화재감지기는 건물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레이저 빔의 수광량에 따라 화재여부를 판단한다. 즉, 화재로 인하여 공기 내에 연기입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조사된 레이저 빔이 산란되어 수광량이 감소되기 때문에 화재를 쉽게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광전식 화재감지기는 최근까지 개발된 화재감지기 중 가장 빠르고 능동적인 설비로서 이상적인 화재감지기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광전식 화재감지기는 레이저 빔과 같은 빛을 사용하기 때문에 연기를 감지하는 공간을 모두 커버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즉,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발광부는 수광부와 한쌍을 이루어야 하기 때문에 다수의 발광부와 수광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고, 하나의 발광부와 수광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오작동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연기 감지 방식의 화재감지기는 센서위치까지 연기가 도달하였을 경우 검출하는 방식이고, 온도검출센서는 직접적인 열이 가해져 바이메탈형 온도센서에 설정온도까지 상승하여야 검출되는 방식이며, 불꽃 감지센서는 화재가 발생하여 불꽃이 발생한 후 검출되는 방식인 것으로, 상기의 불꽃 감지센서는 연기감지센서나 열감지센서에 비해 화재 감지능력은 좋으나, 이러한 방식의 화재감지센서들은 화재가 이미 어느 정도 진행된 후에 감지되는 방식이며, 초기 화재감지의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의 규모를 쉽게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에,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2800호(2012.06.21 공개) "화재 감지 시스템"에서는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센서와, 연기를 감지하는 연감지센서와, 불꽃을 감지하기 위한 자외선 및 적외선 감지센서를 가지는 감지부와, 감지부의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회로와, 증폭회로의 신호가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마이컴과, 마이컴의 출력단과 연결되어 화재발생을 표시하는 화재표시부와, 마이컴의 출력단과 연결되어 RS485를 이용한 유선통신과 RF를 이용한 무선통신으로 화재발송신호를 방재센터 및 이동 통신단말기에 전송하는 통신인터페이스부와, 마이컴의 출력단과 연결되며 마이컴의 제어신호에 따라 소방용 수신반을 조작하는 릴레이구동부를 구비함으로써 화재의 발생을 정확히 감지하여 오작동 및 미작동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화재 감지 시스템”은 정해진 위치에 설치된 센서들을 통해 이미 발생된 화재로부터 단순히 열과 연기 및 불꽃을 감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화재 감지기의 작동율을 높일 수 있지만, 초기 화재진압을 위한 적절한 대비책이 마련되어 있지 못한 것이고,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실내에서 사람에 의해 인위적으로 발생된 연기나 화염 등을 인식하여 오작동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가 있는 것이며, 화재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들의 작동범위도 설치 장소에 한정적이므로 종래의 일반적인 화재감지기에 비해 화재감지를 위한 작동 성능 또한 크게 개선되어 있지 못한 단점을 갖는 것이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2800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87431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화재발생시에 스위칭단자가 접속되지 않아 화재감지의 경보가 발생되지 않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재감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위칭단자의 접속이 오작동 되지 않아 화재경보 발생의 안정성이 확보된 화재감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위칭단자를 접속하기 위한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설치가 용이한 화재감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감지기에 있어서, 일정한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면 파괴되는 글라스튜브와; 천정 또는 벽체에 고정되는 몸체 일단에 이동접점단자가 관통되게 설치되는 삽입공을 형성하고 상기 글라스튜브가 설치되는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글라스튜브를 고정하는 조절공을 형성하고 상기 조절공의 반대쪽으로는 요홈을 형성한 하우징과;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삽입공의 주연부에 고정 설치된 고정접점단자와; 상기 하우징의 조절공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이동되는 조정볼트와; 하우징에 형성된 삽입공에 입설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탄발되어 설치되는 이동접점단자와; 상기 하우징과 이동접점단자 사이에 탄설되는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의 요홈에 일단이 끼워지고 타측단은 공간부에 설치되는 글라스튜브을 받쳐 글라스튜브를 고정하는 받침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이동접점단자는 스프링에 의해 탄설되는 단턱을 구비한 머리부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삽입공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로드부에는 나선이 형성된 결합공이 형성된 이동몸체부와; 상기 이동몸체부의 결합공에 나사 결합되는 나선을 형성한 결합봉에는 고정접점단자와 단락 또는 접점을 하여 화재발생시호를 전달하는 스위칭단자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화재감지기는 화재 발생시 화재감지의 경보가 발생되지 않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경보 발생의 안정성이 확보된 화재간지기를 제공하는 효과와 화재감지기의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하며 설치가 용이한 이점 등이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화재감지기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화재감지기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화재감지기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화재감지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화재감지기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발명인 화재감지기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화재감지기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화재감지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써 이에 따른 본 발명의 화재감지기(1)는 일정한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면 파괴되는 글라스튜브(10)와 천정 또는 벽체에 고정하도록 고정편(21a)이 일체로 구비된 몸체(21) 일단에 이동접점단자(30)가 관통되게 설치되는 삽입공(22)을 형성하고 상기 글라스튜브(10)가 설치되는 공간부(23)를 형성하며 상기 글라스튜브(10)를 고정하는 조절공(24)을 형성하고 상기 조절공(24)의 반대쪽으로는 받침대(70)의 일 끝단이 끼워지는 요홈(25)을 형성한 하우징(200과 상기 하우징(20)에 형성된 삽입공(22)의 주연부에 고정 설치된 고정접점단자(40)와 상기 하우징(10)의 조절공(24)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이동되는 조정볼트(50)와 상기 하우징(20)에 형성된 삽입공(22)에 입설된 스프링(60)의 탄성력에 의해 탄발되어 설치되는 이동접점단자(30)와 상기 하우징(20)과 이동접점단자 사이에 탄설되는 스프링(60)과 상기 하우징(20)의 요홈(25)에 일단이 끼워지고 타측단은 공간부(23)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글라스튜브(10)을 받쳐 글라스튜브(10)를 고정하는 받침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글라스 튜브(10)는 외부에서 일정한 온도 이상의 열을 받게 되면 바로 파괴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고 둘레와 상,하부가 유리판이나 유리막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접점단자(30)는 이동단자부(30a), 스프링(60) 및 스위칭단자부(30b)로 이루어져 있다. 이동단자부(30a)는 스프링(60)에 의해 탄설되는 단턱을 구비한 머리부(31)와 상기 머리부(31)와 일체로 형성되고 하우징(20)에 형성된 삽입공(22)을 관통하는 로드부(32)로 이루어져 있으며, 로드부(32)에는 내측으로 나선이 형성된 결합공(33)이 형성되어 있다. 스위칭단자부(30b)는 이동단자부(30a)의 결합공(33)에 나사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선을 형성한 결합봉(35)과 하우징(20)에 구비된 고정접점단자(40)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화재발생신호를 전달하는 판형의 이동단자(36)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스위칭단자부(30b)와 고정접점단자(40)는 전기가 흐를 수 있는 금속재이며 하우징(20)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대(70)는 이동접점단자(30)의 머리부(31)가 직접 글라스튜브(10)를 가압하는 것을 방지하며, 화재가 발생되면 글라스튜브(10)에 크랙 등이 발생되어 쉽게 파손되도록 이동접점단자(30)의 스프링(60)에 의한 탄발력을 전달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화재감지기의 작동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글라스튜브(10)를 하우징(20)의 공간부(23)에 설치하기 전에 하우징(20)에 형성된 삽입공(22)을 관통하여 공간부(23)에 위치하는 머리부(31)를 눌러 스프링(60)을 가압하면서 후퇴시켜 공간부를 넓게 확보한다.
상기 공간부(23)가 확보되면 하우징(20)의 조절공(24)에 나합된 조정볼트(50)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하우징(20) 외측으로 조절볼트(50)가 이동되면 요홈(25)에 받침대(70)의 일측을 끼워 미끄러지지 아니하도록 고정하고 상기 받침대(70)의 타측이 글라스튜브(10)을 받치도록 한 후 글라스튜브(10) 쪽으로 조정볼트(50)를 회전시켜 이동시키면 조정볼트(50)가 글라스튜브(10)를 가압하게 되면서 상기 글라스튜브(10)가 받침대(70)와 조정볼트(50) 사이에 끼워 고정되게 된다.
이때 후퇴되어 있던 이동접점단자(30)를 서서히 놓으면 머리부(31)와 받침대가 접지되면서 스프링(60)의 탄성력을 받고 있던 이동접점단자(30)의 머리부(31)가 받침대(70)를 가압하게 되면서 이동접점단자가 멈추게 된다.
상기와 같이 글라스튜브(10)가 설치되면 이동접점단자(30)는 스프링(60)을 가압하면서 일정한 거리로 후퇴되면서 스프링(60)을 가압하게 되며 이때 금속재로 이루어진 스위칭단자부(30b)와 고정접점단자(40)는 일정 거리로 이격되게 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스위칭단자부(30b)와 고정접점단자부(40) 중 어느 하나에는 화재를 감지하는 경보장치 등에 감지선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화재감지기에 클라스튜브(10)의 설치가 완료되면 고정편(21a) 이용하여 화재감지기(1)를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 또느 squraus에 설치한다.
화재가 발생하면 고온의 열이 발생되고 상기 고온의 열에 의해 글라스튜브(10)가 파괴되면 파괴와 동시에 스프링(60)에 탄발되어 후퇴되어 있던 스위칭단자부(30b)가 이동단자부(30a)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동시에 하우징(20) 쪽으로 이동하여 스위칭단자부(30b)의 이동단자(36)와 고정접점단자(40)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도통(道通)된다.
따라서 상기 스위칭단자부(30b)와 고정접점단자(40)가 단락됨으로써, 감지선에 연결되어 화재발생을 알려주는 경보장치 등이 작동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기(1)는 화재 발생시 화재감지가 되지 않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화재경보의 안정성이 확보되는 화재감지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재감지기는 그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가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Claims (2)

  1. 일정한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면 파괴되는 글라스튜브와;
    천정 또는 벽체에 고정되는 몸체 일단에 설치되는 이동접점단자가 관통되는 삽입공과 상기 글라스튜브가 설치되는 공간부를 형성한 하우징과;
    스위칭단자부를 구비하고, 스프링의 탄성력을 받도록 설치되는 상기 이동접점단자와;
    상기 삽입공의 주연부에 고정 설치된 고정접점단자와;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접점단자를 받치며 화재가 발생되면 글라스튜브에 크랙이 발생되어 쉽게 파손되도록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저지하고 있는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글라스튜브가 파손될 때에 상기 이동접점단자에 설치된 스위칭단자부가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고정접점단자와 접촉함으로써,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접점단자는
    상기 스프링을 받쳐주는 단턱을 구비한 머리부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삽입공을 관통하는 로드부에는 상기 스위칭단자부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이 형성된 이동단자부와;
    상기 이동단자부의 결합공에 결합되는 결합봉을 구비하고, 고정접점단자와 접촉하여 화재발생신호를 전달하는 스위칭단자부;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감지기.
KR1020210080075A 2021-06-21 2021-06-21 화재 감지기 KR102602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075A KR102602549B1 (ko) 2021-06-21 2021-06-21 화재 감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075A KR102602549B1 (ko) 2021-06-21 2021-06-21 화재 감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9685A KR20220169685A (ko) 2022-12-28
KR102602549B1 true KR102602549B1 (ko) 2023-11-15

Family

ID=84538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0075A KR102602549B1 (ko) 2021-06-21 2021-06-21 화재 감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254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100B1 (ko) * 2008-10-20 2009-12-16 고려화공 주식회사 자가발전 유리벌브 감지부 작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9966B1 (ko) * 1998-07-16 2001-12-12 김승제 가스레인지용 자동 소화장치
KR20090082800A (ko) 2008-01-28 2009-07-31 신진석 화재 감지 시스템
KR101312376B1 (ko) * 2011-09-08 2013-09-27 (주)카이센 광섬유를 이용한 화재 및 누수 감지 장치
KR101874310B1 (ko) 2017-12-08 2018-07-05 (주)태산전자 화재 감지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100B1 (ko) * 2008-10-20 2009-12-16 고려화공 주식회사 자가발전 유리벌브 감지부 작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9685A (ko) 2022-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44133A1 (en) Alarm triggered shut off appliance system (ATSAS)
US3882477A (en) Smoke and heat detector incorporating an improved smoke chamber
US20180073982A1 (en) System for determining abnormality in a monitored area
US20100073172A1 (en) Dual condition fire/smoke detector with adjustable led cannon
US20130201022A1 (en) Optical smoke detector
WO2007146460A2 (en) Smoke detection and laser escape indication system utilizing base and satellite stations
WO1997027571A1 (en) Method for dynamically adjusting fire detection criteria
US20090212959A1 (en) Home safety detector with communication system
CN103026393A (zh) 光学危险报警器中的散射光信号的分析以及灰尘/蒸汽警告或火灾报警的输出
US6208252B1 (en) Low intensity flame detection system
KR102602549B1 (ko) 화재 감지기
KR20160032526A (ko) 화재감지기
KR20190098811A (ko) 화재 조기감지와 화재 유형파악이 가능한 종합 화재감지시스템 및 화재감지방법
US6628396B1 (en) Photo expansion gas detector
JPS59173898A (ja) 家庭用などの火災報知機
EP3452998A1 (en) Automatic cover detection system and method
TWI668673B (zh) Smoke detector structure
CN212724272U (zh) 烟雾检测装置
US20210256827A1 (en) Fire detector having reset function linked with lamp and fire warning method using same
AU2018226504B2 (en) Chamberless smoke detector
KR200324124Y1 (ko) 확장형 불꽃감지기
TWM560100U (zh) 偵煙探測器之結構
JP4518702B2 (ja) ドアホン
KR20190134289A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조기 화재 진압 시스템 및 그 방법
AU2020101243A4 (en) Warning and guidanc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