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4289A - 네트워크를 이용한 조기 화재 진압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를 이용한 조기 화재 진압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134289A KR20190134289A KR1020180059744A KR20180059744A KR20190134289A KR 20190134289 A KR20190134289 A KR 20190134289A KR 1020180059744 A KR1020180059744 A KR 1020180059744A KR 20180059744 A KR20180059744 A KR 20180059744A KR 20190134289 A KR20190134289 A KR 2019013428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re
- extinguishing
- early
- indoor space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1/00—Predictive 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extrapolation or other computation using updated historic data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이용한 조기 화재 진압 시스템 및 그 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이용한 조기 화재 진압 시스템에 있어서, 실내 공간의 상단부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각각 화재 진압을 위한 소화물질을 적재하는 복수의 소화부, 상기 복수의 소화부에 각각 설치되며, 화재 감지센서를 통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화재 감지부, 복수의 상기 화재 감지부로부터 판단된 화재 발생 여부를 취합하고, 상기 취합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재 여부를 판단하는 화재 판단부, 그리고 상기 화재 판단부가 화재로 판단하면 상기 복수의 소화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람의 조작 없이 화재 초기에 동작하여 화재가 번지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다.
또한, 소화물질의 변경이 가능하여 일반화재(A급화재), 유류화재(B급화재), 전기화재(C급화재) 또는 금속화제(D급화재)가 발생할 경우 조기에 진압하고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이용한 조기 화재 진압 시스템에 있어서, 실내 공간의 상단부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각각 화재 진압을 위한 소화물질을 적재하는 복수의 소화부, 상기 복수의 소화부에 각각 설치되며, 화재 감지센서를 통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화재 감지부, 복수의 상기 화재 감지부로부터 판단된 화재 발생 여부를 취합하고, 상기 취합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재 여부를 판단하는 화재 판단부, 그리고 상기 화재 판단부가 화재로 판단하면 상기 복수의 소화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람의 조작 없이 화재 초기에 동작하여 화재가 번지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다.
또한, 소화물질의 변경이 가능하여 일반화재(A급화재), 유류화재(B급화재), 전기화재(C급화재) 또는 금속화제(D급화재)가 발생할 경우 조기에 진압하고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이용한 조기 화재 진압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 공간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판단한 결과를 활용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조기 화재 진압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화재발생에 대비하여 소화기 등을 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소화기의 경우, 사용자가 별도로 소화기를 구입하여 비치해야 할 뿐 아니라, 사람이 소화기를 조 작해야만 소화제가 분사되므로 화재 발생시 사용자가 위험을 감수해야 하고, 화염으로 인해 소화기에 접근이 어려운 경우도 발생하며, 조작할 사람이 없을 경우에는 무용지물이 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화재가 발생하면 자동으로 소화제를 분사하는 자동 소화장치가 제시되고 있으나, 종래의 자동 소화 장치는 전기적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을 감지하고 소화제의 분사를 위한 작동부 및 제어기 역시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구조였기 때문에, 이를 위한 전원공급수단이 필수적이어서 제조비용 및 유지관리 면에서 불리하며, 화재 발생시 고열이나 화염에 의해 전기적 부품과 배선이 손상되어 기능을 못하게 될 수 있어 작동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프링 쿨러와 같은 소화장치는 소화장치가 아닌 물을 이용하여 화재를 저지하는 것으로 전기화재 또는 유류화재가 발생할 경우에는 활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실내에서 적용이 가능하고 조작하는 사람이 없어도 조기에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화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국내공개특허 10-2016-0131128호(2018.04.19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실내 공간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여부를 판단하고 판단한 결과를 활용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조기 화재 진압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이용한 조기 화재 진압 시스템에 있어서, 실내 공간의 상단부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각각 화재 진압을 위한 소화물질을 적재하는 복수의 소화부, 상기 복수의 소화부에 각각 설치되며, 화재 감지센서를 통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화재 감지부, 복수의 상기 화재 감지부로부터 판단된 화재 발생 여부를 취합하고, 상기 취합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재 여부를 판단하는 화재 판단부, 그리고 상기 화재 판단부가 화재로 판단하면 상기 복수의 소화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화재 감지부는, 상기 화재 감지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 또는 연기의 정도에 대응하여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화재 판단부는, 상기 복수의 화재 감지부 중에서 기준비율 이상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실내 공간에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최종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판단부가 화재로 판단하면 상기 복수의 소화부를 모두 개방하여 각각의 소화부내에 적재된 소화 물질을 바닥으로 투하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온도 또는 연기의 측정값이 큰 화재 감지센서의 소화부부터 순차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공간에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출입문에 가까운 순서대로 소화부를 개방시킬 수 있다.
조기 화재 진압 시스템을 이용한 조기 화재 진압 방법에 있어서, 실내 공간의 상단부에 이격되어 설치된 복수의 화재 감지센서를 통하여 온도 또는 연기 발생 정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화재 감지센서로부터 측정된값을 이용하여 각각 해당 영역에 대하여 각각의 화재 감지부가 화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화재 감지부 중에서 기준비율 이상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실내 공간에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최종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최종 판단되면, 복수의 화재 감지센서에 대응하는 복수의 소화부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람의 조작 없이 화재 초기에 동작하여 화재가 번지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다.
또한, 소화물질의 변경이 가능하여 일반화재(A급화재), 유류화재(B급화재), 전기화재(C급화재) 또는 금속화제(D급화재)가 발생할 경우 조기에 진압하고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장치의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시스템의 화재 진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발생시 화재 진압 시스템이 작동하는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장치의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시스템의 화재 진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발생시 화재 진압 시스템이 작동하는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진압 시스템은 복수의 화재 진압 장치(100), 화재 판단부(200) 및 제어부(300)로 구성된다.
여기서, 복수의 화재 진압 장치(100), 화재 판단부(200) 및 제어부(30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먼저, 복수의 화재 진압 장치(100)는 는 실내 공간의 상단부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도 2 와 도 3을 이용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화재 판단부(200)는 실내 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화재 진압 장치(100)로부터 화재 발생여부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내 공간에서 화재의 발생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화재 판단부(200)가 화재라고 판단하는 기준은 실내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전체 화재 진압 장치(100)중 화재를 감지한 비율을 측정하여 활용한다.
이때, 측정되는 비율의 값이 기준비율 이상이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기준비율 미만이면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기준비율 및 기준시간은 화재 진압 시스템을 구성할 때 설정한 값 또는 화재 진압 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설정한 값을 말한다
예를 들어, 기준비율이 60%이고 기준시간이 5분이라고 할 때 측정된 비율이 58%이면 화재 판단부(200)는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지만, 동일한 비율이 기준 시간을 초과하면 화재 판단부(200)는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화재 판단부(200)가 화재로 판단하면 제어부(300)는 실내 공간에 설치된 모든 화재 진압 장치(100)를 동작시켜 화재를 진압한다.
이때, 제어부(300)는 화재 진압 장치(100)에서 측정한 온도 또는 연기의 센싱 값이 가장 큰 화재 진압 장치(100)부터 순차적으로 개방하거나 출입문에 가까운 곳의 화재 진압 장치(100)부터 순차적으로 개방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장치의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화재 진압 장치(100)는 소화부(110) 및 화재 감지부(120)를 포함한다.
먼저, 소화부(110)는 소화물질을 포함하고 있으며, 소화물질은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으면 깨지는 용기에 담겨있으며, 다수의 용기가 화재 진압 장치(100)에 적재된다.
여기서, 소화물질은 화재가 발생한 장소에 적용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물질로 인산이수소암모늄(NH4H2PO4), 이산화탄소(CO2), 염화나트륨(NaCl), 플루오린계열, 일염화일 브롬화메탄 또는 사염화 탄소(CCl4)중에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화재를 진압한다.
또한, 화재의 종류에 따라서 사용되는 소화물질의 종류가 달라질 수 있으며, 화재의 종류에는 일반화재(A급화재), 유류화재(B급화재), 전기화재(C급화재), 금속화제(D급화재)등 4가지 종류로 분류된다.
다음으로, 화재 감지부(120)는 화재 감지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 연기 및 조도 값 등과 같은 정보를 획득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측정한다.
여기서, 화재 감지센서는 열감지기, 연감지기, 복합형 감지기 또는 불꽃 감지기중에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여부를 감지한다.
열감지기가 화재를 감지하는 방법은 차동식, 정온식, 보상식 스포트형 및 아날로그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감지한다.
차동식 열 감지기는 스폿형과 분포형으로 나뉘며, 차동식 스폿형은 감지기 주변의 온도가 일절 상승율 이상 되는 경우에 작동하는 것으로 일정 국소부분에 열 효과에 의해 작동되는 감지기 이며 주로 일반사무실 및 가정에서 설치되어 운용된다.
그리고, 차동식 분포형은 공기관이 설치된 영역이 화재로 인하여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면 공기관내에 주입되어 있던 공기가 팽창되어 다이아후렘을 팽창시켜 접점이 동작하게 하는 감지기이며, 공장에서 설비가 많거나 부식성 가스가 많은 장소에 설치되어 운용된다.
정온식 스포트형 열감지기는 주위온도가 평상시 최고온도 보다 20C°이상 높을 경우 동작하는 감지기로써, 65C°, 70C° 및 90C°의 3종류가 있으며, 주로 주방 또는 보일러실에 설치되어 운용된다.
정온식 감지선형 열감지기는 화재로 온도가 상승하면 감지기 내에 있는 특수물질이 녹아 관내의 전선이 단락 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재사용이 불가능하며, 주로 플랜트 설비의 기름탱크, 공동구역의 케이블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운용된다.
보상식 스포트형 열감지기는 차동식과 정온식의 기능을 동시에 보유한 감지기 이며 한가지 기능이 작동하면 신호를 보내는 특징이 있다.
아날로그식 열감지기는 주위 온도를 상시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토대로 단계적인 경보를 발생시키며, 비화제보를 극소화하는 장점이 있다.
광전식 연기 감지기는 연기에 의해 광전소자의 저항이 변화하는 특징을 가지는 감지기 이지만 검은 연기에서는 반사를 하지 못해 동작이 안될 수 있다.
이온화식 연기 감지기는 연기에 의한 이온 전류의 변화를 검출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내부 와 외부 이온실의 전압비가 변화되는 특성을 이용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감지기이다.
마지막으로, 불꽃 감지기는 불꽃에서 발생하는 적외선과 자외선을 검출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존의 열, 연기감지기를 이용하여 감지할 수 없는 장소, 비행기 격납고, 아트리움 또는 천장이 높은 빌딩에 설치되어 운용된다.
다음으로, 도 3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실내에 설치된 복수의 화재 진압 장치(100)는 각각 소화부(110a, 110b, 110c, 110d), 화재 감지부(120a, 120b, 120c, 120d)를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화재 진압 장치(100)는 일정 간격으로 천장이나 상단부에 설치되며, 화재를 감지하면 소화부(110a, 110b, 110c, 110d)내에 포함된 소화물질을 바닥으로 투하시킨다.
이하에서는 도 4 및 도 5를 이용하여 화재 진압 시스템의 화재 진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시스템의 화재 진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발생시 화재 진압 시스템이 작동하는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에서 나타낸 것처럼, 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화재 감지부(120)의 화재 감지센서가 온도 또는 연기의 발생 정도를 측정한다(S410).
이때, 화재 감지센서는 설정된 시간마다 온도 또는 연기의 발생정보를 측정하고, 측정된 센싱 데이터를 화재 감지부(120)로 전달한다.
또한, 측정되는 센싱 데이터는 화재 감지센서의 종류에 의해 온도 값, 연기 값뿐만 아니라 조도 값 및 적외선 값 등 다양한 값으로 측정되며, 이는 화재 감지 시스템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실내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화재 감지부(120)는 화재 감지센서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여부를 감지한다(S420).
화재 감지부(120)는 화재 감지센서 별로 설정되어 있는 기준값보다 큰 값을 가지는 센싱 데이터가 측정되면 화재로 감지하고, 기준값보다 이하의 값을 가지는 데이터가 측정되면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한다.
예를 들어, 화재감지 센서가 온도를 이용하여 화재를 감지한다고 할 때, 기준 온도가 65C°로 설정되어 있다고 하면, 측정되는 지점의 온도가 40C°이면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감지하고, 측정되는 지점의 온도가 70C°이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한다.
또한, 화재 감지센서가 기준 온도보다 높은 온도가 측정된 경우, 일정 시간 동안 기준 온도보다 높은 온도가 유지되는지를 판단하여 화재 감지센서의 오동작을 방지한다.
즉, 앞서 설명한 예와 같은 조건에서 추가적으로 측정하는 시간이 10초라고 할 때, 측정시점의 온도가 70C°로 측정되면, 화재 감지센서는 기 설정된 10초 동안 측정지점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오동작을 방지한다.
그리고, 화재 감지부(120)는 화재 발생여부를 화재 판단부(200)로 전송한다.
그러면, 화재 판단부(200)는 전체 화재 감지부(120)중에서 설정된 기준비율을 초과하는지 판단한다(S430).
이때, 기준비율은 화재 진압 시스템(100)을 실내 공간에 설치할 때 설정된 비율이거나 화재 진압 시스템(100)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입력한 비율일 수 있다.
이때 기준비율은 화재 진압 시스템(100)의 오류와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설정하는 값이다.
화재 판단부(200)에서 판단한 화재 비율이 기준비율을 초과하지 않으면, 화재 판단부(200)는 화재가 발생 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S440).
예를 들어 실내에 10개의 화재 감지부(120)가 설치되었으며, 기준비율이 50%로 설정되었다고 가정할 때, 전체 화재 감지부(120)중에서 3개의 화재 감지부(120)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면, 화재 판단부(200)는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나 전체 화재 감지부(120)중에서 8개의 화재 감지부(120)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면, 화재 판단부(200)는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화재 판단부(200)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300)는 모든 소화부(110)를 개방하여 소화물질을 바닥으로 투하한다(S450).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발생시 화재 진압 시스템이 작동하는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에서 나타낸 것처럼, 화재 진압 장치(100)는 화재 판단부(200)에서 화재로 판단하면 제어부(300)는 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모든 소화부(110)를 동작시켜 화재를 진압한다.
이때, 화재 판단부(200)는 실내공간에서 밖으로 나가는 문에 가장 인접해 설치된 소화부(110)를 먼저 동작시키거나 화재 감지부(120)에서 측정된 데이터 값이 가장 큰 소화부(110)를 먼저 동작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람의 조작 없이 화재 초기에 동작하여 화재가 번지는 것을 지연시킬 수 있다.
또한, 소화물질의 변경이 가능하여 일반화재(A급화재), 유류화재(B급화재), 전기화재(C급화재) 또는 금속화제(D급화재)가 발생할 경우 조기에 진압하고 화재가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 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화재 진압 장치,
110: 소화부,
120: 화재 감지부, 200: 화재 판단부,
300: 제어부
120: 화재 감지부, 200: 화재 판단부,
300: 제어부
Claims (9)
- 네트워크를 이용한 조기 화재진압 시스템에 있어서,
실내 공간의 상단부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각각 화재진압을 위한 소화물질을 적재하는 복수의 소화부,
상기 복수의 소화부에 각각 설치되며, 화재 감지센서를 통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화재 감지부,
복수의 상기 화재 감지부로부터 판단된 화개 발생 여부를 취합하고, 상기 취합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재 여부를 판단하는 화재 판단부, 그리고
상기 화재 판단부가 화재로 판단하면 상기 복수의 소화부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기 화재진압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감지부는,
상기 화재 감지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 또는 연기의 정도에 대응하여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화재 판단부는,
상기 복수의 화재 감지부 중에서 기준비율 이상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실내 공간에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최종 판단하는 조기 화재진압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판단부가 화재로 판단하면 상기 복수의 소화부를 모두 개방하여 각각의 소화부내에 적재된 소화 물질을 바닥으로 투하시키도록 제어하는 조기 화재진압 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된 온도 또는 연기의 측정값이 큰 화재 감지센서의 소화부부터 순차적으로 개방하는 조기 화재진압 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실내공간에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출입문에 가까운 순서대로 소화부를 개방시키는 조기 화재진압 시스템. - 조기 화재진압 시스템을 이용한 조기 화재 진압 방법에 있어서,
실내 공간의 상단부에 이격되어 설치된 복수의 화재 감지센서를 통하여 온도 또는 연기 발생 정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화재 감지센서로부터 측정된 센싱 값을 이용하여 각각 해당 영역에 대하여 각각의 화재 감지부가 화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화재 감지부 중에서 기준비율 이상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실내 공간에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최종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최종 판단되면, 복수의 화재 감지센서에 대응하는 복수의 소화부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기 화재 진압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소화부를 작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실내 공간의 상단부에 이격되어 설치된 복수의 소화부를 모두 개방하여 각각의 소화부내에 적재된 소화 물질을 바닥으로 투하시키는 조기 화재 진압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소화부를 작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온도 또는 연기의 측정값이 큰 화재 감지센서의 소화부부터 순차적으로 개방하는 조기 화재 진압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소화부를 작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실내공간에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출입문에 가까운 순서대로 소화부를 개방시키는 조기 화재 진압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9744A KR102071139B1 (ko) | 2018-05-25 | 2018-05-25 | 네트워크를 이용한 조기 화재 진압 시스템 및 그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59744A KR102071139B1 (ko) | 2018-05-25 | 2018-05-25 | 네트워크를 이용한 조기 화재 진압 시스템 및 그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34289A true KR20190134289A (ko) | 2019-12-04 |
KR102071139B1 KR102071139B1 (ko) | 2020-01-29 |
Family
ID=69004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59744A KR102071139B1 (ko) | 2018-05-25 | 2018-05-25 | 네트워크를 이용한 조기 화재 진압 시스템 및 그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7113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40226629A9 (en) * | 2021-05-10 | 2024-07-11 | Tyco Fire Products Lp | Electronically activated sprinkler interlock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55927A (ja) * | 1996-11-29 | 1998-06-16 | Bunka Shutter Co Ltd | 防火装置 |
KR20160136856A (ko) * | 2015-05-21 | 2016-11-30 | 최낙훈 | 화재 경보 장치 |
-
2018
- 2018-05-25 KR KR1020180059744A patent/KR10207113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55927A (ja) * | 1996-11-29 | 1998-06-16 | Bunka Shutter Co Ltd | 防火装置 |
KR20160136856A (ko) * | 2015-05-21 | 2016-11-30 | 최낙훈 | 화재 경보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71139B1 (ko) | 2020-01-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1918084B (zh) | 用于具有吊扇的建筑物的防火系统 | |
KR101175202B1 (ko) | 실시간 화재 감지 및 모니터링 시스템 | |
US6788208B2 (en) | Method for controlling stationary fire-extinguishing systems | |
KR20170034762A (ko) | 나쁜 공기질과 화재 예방뿐만 아니라 위험한 상태의 알람을 제공하기 위한 감시 및 제어 방법 | |
KR101640152B1 (ko) | 복합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 |
KR101563417B1 (ko) | 고장검출 기능을 갖는 실시간 화재 보호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 |
KR101696753B1 (ko) | 원격 소방 모니터링 시스템 | |
KR101615933B1 (ko) | 자가 진단 시스템을 갖는 화염 감지 설비 | |
US11694532B2 (en) | Fire alarm equipment | |
KR101817940B1 (ko) | 듀얼 영상 카메라를 이용한 이상징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 |
KR20170065217A (ko) | 복합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 감시 시스템 | |
KR20220076374A (ko) | 화재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 |
KR102071139B1 (ko) | 네트워크를 이용한 조기 화재 진압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102072985B1 (ko) | 재난감지 및 재난방재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 | |
KR101145414B1 (ko) | 전력감시장치 연동형 화재수신시스템 | |
KR101775486B1 (ko) | 건축공간내 설치되는 자동 화재감지 소방장치 | |
CN207115677U (zh) | 基于plc的火灾报警系统 | |
JP3924114B2 (ja) | 滞在限界状態検出方法 | |
JP2018136977A (ja) | 火災検知システム及び火災検知方法 | |
JP6321403B2 (ja) | 火災検知システム及び火災検知方法 | |
JP2022510741A (ja) | 照明灯に連動したリセット機能付きの火災感知器及びこれを用いた火災警報方法 | |
JP2826192B2 (ja) | 二重床の防災監視装置 | |
KR20200082353A (ko) | 화재 감지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
KR102286478B1 (ko) | 복합형 화재감지기 | |
KR102062302B1 (ko) | 소방선로에 사용되는 교차 회로 감지기 및 그 작동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