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061B1 - 라인형 소화용구 - Google Patents

라인형 소화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061B1
KR102153061B1 KR1020190136514A KR20190136514A KR102153061B1 KR 102153061 B1 KR102153061 B1 KR 102153061B1 KR 1020190136514 A KR1020190136514 A KR 1020190136514A KR 20190136514 A KR20190136514 A KR 20190136514A KR 102153061 B1 KR102153061 B1 KR 102153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fire extinguishing
type fire
outer skin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6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석
최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펙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펙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펙스테크
Priority to KR1020190136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0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0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flames or hea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007Solid extinguishing substances
    • A62D1/0014Powders; Granul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라인형 소화용구는,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유연성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수용공간이 형성된 라인형 바디 및 상기 수용공간에 충진되는 소화약제를 포함하여 대상 설비에 소정 경로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외피는 상기 대상 설비에 화재가 발생함에 따라 파열되어, 상기 소화약제가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화재를 진압하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라인형 소화용구{Line Type Fire Extinguishing Implement}
본 발명은 화재 발생 시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성을 가지는 라인 형태로 형성되어, 다양한 설비에 제한 없이 자유자재로 설치가 가능한 라인형 소화용구에 관한 것이다.
소화는 이미 진행된 연소 현상을 인위적으로 중단하는 것으로, 냉매를 이용하여 연소 온도를 낮추는 방법, 산소의 공급을 차단하는 방법, 연소의 연쇄 반응을 차단하는 부촉매 방법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화재가 발생되면 화재 감지 설비 또는 인력에 의한 알림 등을 통해 경보가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소방 인력이 현장에 출동하여 소화기, 급수 시설로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하지만, 인력을 통해 직접 소화기, 급수 시설 등으로 화재를 진압하는 방식은 사람이 없는 장소에서 화재가 발생될 경우 화재를 진압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소방 인력이 현장에 출동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 동안 화재가 급속하게 확산될 가능성이 높아 화재에 의한 손실이 커지며, 화재 진압이 더욱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건축 자재, 배전반 등 화재가 발생될 수 있는 곳에 스프링클러를 설치하거나, 화재 발생 시 내부의 소화약제를 외부로 방출할 수 있는 발포성 소화 캡슐을 포함하는 건축 판넬, 단열재, 폼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소화 캡슐을 포함하는 건축 판넬, 단열재, 폼 등이 적용된 곳의 경우, 사람이 없는 장소 등에서 화재 발생 시 소화 캡슐이 발포되어 내부의 소화약제가 외부로 방출되면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다만, 소화 캡슐을 포함하는 발포폼, 단열재, 판넬 등은 유연성이 거의 없어 제한된 장소 및 부위에만 적용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소화 캡슐을 포함하는 발포폼, 단열재, 판넬 등은 주로 건물의 천장, 외벽, 바닥 등에 적용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화재가 일어난 위치에 소화약제가 충분히 도달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소화캡슐과 화재 위치가 일정 거리 이상 떨어져 있어 소화캡슐이 가열되지 않을 경우, 소화캡슐이 발포되지 못하여 소화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외에도 제한된 장소 또는 전기기구 등에 적용되도록 개발된 연소방지 도료, 난연테이프, 차화커버 등과 같은 제품이 존재하고 있기는 하나, 연소방지 도료의 경우 일정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효과가 크게 저하되는 것은 물론 시공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난연테이프는 전선, 케이블 등이 밀집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적용이 매우 곤란하고, 차화커버는 단순히 화재의 확산만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초기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능력이 없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소화용구들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11442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다양한 환경 및 설비의 형태에 구애되지 않고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하며, 화재 발생 시 신속하게 진압이 가능한 소화용구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라인형 소화용구는,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유연성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수용공간이 형성된 라인형 바디 및 상기 수용공간에 충진되는 소화약제를 포함하여 대상 설비에 소정 경로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외피는 상기 대상 설비에 화재가 발생함에 따라 파열되어, 상기 소화약제가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화재를 진압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라인형 바디는 기 설정된 온도 이상에서 파열되는 외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피부는 유리섬유(Glass Fiber)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인형 바디는 상기 외피부에 소정 패턴으로 배열되며, 파열 시작 온도가 상기 외피부보다 낮게 형성되는 선행파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행파열부는 고분자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행파열부는 면, 실크 및 모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천연섬유 및 폴리에스터, 나일론, 레이온, 아크릴 및 폴리우레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합성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선행파열부는 상기 외피부에 나선 형태의 패턴으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인형 바디는, 상기 외피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외부의 수분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에 충진된 소화약제를 보호하는 내피부를 더 포함하여, 2중 레이어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피부는 비닐 화합물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화약제는 Perfluoro(2-methyl-3-pentanone) 및 질산칼륨(KNO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그래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화약제는 부촉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라인형 바디의 적어도 양단에 구비되는 마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라인형 소화용구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동시에 유연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므로, 어떠한 설비에도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하며, 좁은 공간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라인형 소화용구는 화재가 발생하는 즉시 반응하여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으므로, 화재에 의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라인형 소화용구는 오작동 가능성이 없으며, 화재 진압 후 주변 설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은 물론, 운영/유지보수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인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라인형 소화용구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라인형 소화용구에 있어서, 라인형 바디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라인형 소화용구에 있어서, 화재 발생 시 외피가 파열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라인형 소화용구가 대상 설비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형 소화용구에 대한 소화시험성적서;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라인형 소화용구에 있어서, 라인형 바디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라인형 소화용구에 있어서, 라인형 바디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라인형 소화용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라인형 소화용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라인형 소화용구(100)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라인형 소화용구(100)에 있어서, 라인형 바디(11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라인형 소화용구(100)에 있어서, 화재 발생 시 외피(112)가 파열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라인형 소화용구(100)는 라인형 바디(110)와, 소화약제(G)를 포함한다.
상기 라인형 바디(110)는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형태를 가지며, 유연성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라인형 바디(110)는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수용공간(S)이 형성되며, 이와 같은 수용공간(S)에는 그래뉼(Granule) 형태의 소화약제(G)가 충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라인형 바디(110)는 기 설정된 온도 이상에서 파열되는 외피부(112)를 포함하며, 상기 외피부(112)는 적어도 유리섬유(Glass Fiber) 성분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재질의 외피부(112)는 약 350°의 온도에서 반응하여 파열될 수 있다.
상기 라인형 바디(110)의 수용공간(S)에 충진되는 상기 소화약제(G)는 그래뉼(Granule) 형태, 즉 분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3과 같이 화재에 의해 상기 라인형 바디(110)의 외피부(112)가 기 설정된 온도 이상에서 파열될 경우 외부로 기화되면서 배출되어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소화약제(G)는 Perfluoro(2-methyl-3-pentanone) 및 질산칼륨(KNO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부촉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라인형 소화용구(100)는 화재가 발생하여 상기 라인형 바디(110) 내부에 충진된 소화약제(G)가 배출될 경우, 질산칼륨(KNO3) 연소 시 발생하는 에어로졸화합물(K2CO3, KHCO3, N2)에 의해 산소 농도를 급격히 낮춤으로서 화재를 초기에 자동적으로 완벽하게 소화함으로서 질식에 의한 화재 진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라인형 소화용구(100)는 소화약제(G)에 포함된 부촉매에 의해 발화 시 발생하는 활성 라디칼(산소와 수산화라디칼)에 대한 농도를 줄이고, 연쇄반응을 정지시킴과 함께 차르(Char)를 형성하여 산소 및 잠열을 차단함에 따라 열분해 반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의 라인형 소화용구(100)는 소화약제(G)에 포함된 Perfluoro(2-methyl-3-pentanone)이 발화원을 직접적으로 냉각시킴에 따라 소화 진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라인형 소화용구(100)는 질식, 부촉매 및 냉각 효과를 동시에 발생시킬 수 있으며, 화재를 초기에 효과적으로 진압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라인형 소화용구(100)는 상기 라인형 바디(110)의 적어도 양단에 구비되는 마감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감부(120)는 상기 라인형 바디(110)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S)의 양단을 폐쇄하여 마감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며, 금속, 플라스틱 재질 등과 같은 일정 경도를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라인형 소화용구(100)가 대상 설비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라인형 소화용구(100)가 배전반(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인형 소화용구(100)의 라인형 바디(110)는 유연성을 가지도록 형성되므로 배전반(10) 내에 구비되는 스위치, 계기 또는 릴레이 등과 같은 기구(12)들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라인형 바디(110)가 배전반(10)의 상부에서 하부로 가로 방향의 경로 및 세로 방향의 경로를 따라 기구(12)의 사이사이를 통과하도록 설치되며, 배전반(20)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고정부재(20)에 의해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라인형 소화용구(100)는 배전반(10)의 어느 부분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에도 신속하게 반응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라인형 소화용구(100)가 배전반에 설치된 것을 대표적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라인형 소화용구(100)는 어떠한 설비에도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라인형 소화용구에 대한 소화시험성적서이다.
도 5의 성적서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라인형 소화용구(100)를 소정 길이로 재단하여 소화시험실에 투입하고, 제시된 조건에서 소화 시험을 수행한 결과 극히 짧은 시간 내에 소화가 이루어진 것은 물론, 재발화가 발생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라인형 소화용구(100)에 있어서, 라인형 바디(11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 상기 라인형 바디(110)는 상기 외피부(112)에 소정 패턴으로 배열되되, 파열 시작 온도가 상기 외피부보다 낮게 형성되는 선행파열부(113)를 더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선행파열부(113)는 외피부(112)의 파열 시작 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파열될 수 있도록 하여 화재 초기 저온에서도 반응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특히 에어로졸화합물 분출 시 고온 반응에 의한 폭발성을 감소시켜 주변기기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선행파열부(113)는 면, 실크 및 모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천연섬유와, 폴리에스터, 나일론, 레이온, 아크릴 및 폴리우레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합성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고분자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라인형 바디(110)의 파열 시작 온도를 150°~260°로 낮출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선행파열부(113)는 상기 외피부(112)에 나선 형태의 패턴으로 배열되어 상기 라인형 바디(110)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다.
다만, 상기 선행파열부(113)는 본 실시예 외의 다양한 패턴으로 제한없이 배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라인형 소화용구(100)에 있어서, 라인형 바디(11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경우, 상기 라인형 바디(110)는 상기 외피부(112)의 내측에 구비되어, 외부의 수분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에 충진된 소화약재를 보호하는 내피부(114)를 더 포함하여, 2중 레이어를 형성하는 특징을 가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소화약제(G)는 질산칼륨(KNO3) 등의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소화약제(G)가 수분과 반응할 경우 흡습에 의해 온도 반응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내피부(114)를 추가 구성하여 수분으로부터 내부의 소화약제(G)를 보호하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내피부(114)는 비닐 화합물 성분을 포함하여 외부의 수분을 효과적을 차단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라인형 소화용구(1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경우, 마감부(120)가 라인형 바디(110)의 양단 외에도, 복수 개가 소정 위치마다 더 구비되는 특징을 가진다.
이와 같이 할 경우, 복수의 마감부(120)를 통해 상기 라인형 바디(110) 내부의 수용공간(S)을 복수 개로 구획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는 상기 라인형 바디(110)의 소정 구간에서 파열이 발생하여 화재가 진압된 이후, 도 9와 같이 해당 구간을 잘라내어 나머지 부분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마감부(120)의 개수 및 간격 등은 제한 없이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라인형 소화용구(1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경우, 상기 마감부(120)가 자석으로 형성된다는 특징을 가진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는 복수 개의 라인형 소화용구(100)의 각 마감부(120)를 서로 부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게 되므로, 라인형 소화용구(100)의 길이를 다양하게 조절함에 따라 대상 설비에 적합한 길이로 맞추어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라인형 소화용구
110: 라인형 바디
112: 외피부
113: 선행파열부
114: 내피부
120: 마감부
G: 소화약제
S: 수용공간

Claims (12)

  1.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유연성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수용공간이 형성된 라인형 바디; 및
    상기 수용공간에 충진되는 소화약제;
    를 포함하여 대상 설비에 소정 경로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라인형 바디는,
    기 설정된 온도 이상에서 파열되며, 유리섬유 성분을 포함하는 외피부; 및
    상기 외피부에 소정 패턴으로 배열되며, 고분자 소재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외피부보다 파열 시작 온도가 낮게 형성되는 선행파열부;
    를 포함하여,
    상기 외피부는 상기 대상 설비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상기 선행파열부가 상기 외피부보다 우선 파열되어, 상기 소화약제가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화재를 진압하도록 형성된 라인형 소화용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행파열부는,
    면, 실크 및 모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천연섬유; 및
    폴리에스터, 나일론, 레이온, 아크릴 및 폴리우레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합성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라인형 소화용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행파열부는 상기 외피부에 나선 형태의 패턴으로 배열되는 라인형 소화용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형 바디는,
    상기 외피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외부의 수분으로부터 상기 수용공간에 충진된 소화약제를 보호하는 내피부를 더 포함하여, 2중 레이어를 형성하는 라인형 소화용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부는 비닐 화합물 성분을 포함하는 라인형 소화용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약제는 Perfluoro(2-methyl-3-pentanone) 및 질산칼륨(KNO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그래뉼 형태로 형성된 라인형 소화용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약제는 부촉매를 더 포함하는 라인형 소화용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형 바디의 적어도 양단에 구비되는 마감부를 더 포함하는 라인형 소화용구.
KR1020190136514A 2019-10-30 2019-10-30 라인형 소화용구 KR102153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514A KR102153061B1 (ko) 2019-10-30 2019-10-30 라인형 소화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514A KR102153061B1 (ko) 2019-10-30 2019-10-30 라인형 소화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3061B1 true KR102153061B1 (ko) 2020-09-08

Family

ID=72451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6514A KR102153061B1 (ko) 2019-10-30 2019-10-30 라인형 소화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0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9055A (ko) * 2021-01-28 2022-08-04 주식회사 스펙스테크 약제유동방지부를 포함하는 라인형 소화용구
WO2024063426A1 (ko) * 2022-09-23 2024-03-28 (주)수 화재 진압을 위한 소화로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9808A (ko) * 2002-12-03 2005-09-08 파이어 트레이스 유에스에이 엘엘씨 위험 물질 및/또는 인화성 물질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849324B1 (ko) * 2007-04-16 2008-07-29 염숙행 자동 폭발식 에어로졸소화기 소화방법
KR20150058138A (ko) * 2013-09-27 2015-05-28 가부시키가이샤 니치보우 자동 소화구
WO2016033423A1 (en) * 2014-08-28 2016-03-03 Firetrace Usa,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fire suppressant panel
KR20170011442A (ko) 2015-07-23 2017-02-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소화약제 캡슐이 내장된 단열재 패널 제조방법
KR20180133104A (ko) * 2017-06-05 2018-12-13 김병열 발열 소화캡슐 및 이를 구비하는 캡슐형 소화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9808A (ko) * 2002-12-03 2005-09-08 파이어 트레이스 유에스에이 엘엘씨 위험 물질 및/또는 인화성 물질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849324B1 (ko) * 2007-04-16 2008-07-29 염숙행 자동 폭발식 에어로졸소화기 소화방법
KR20150058138A (ko) * 2013-09-27 2015-05-28 가부시키가이샤 니치보우 자동 소화구
WO2016033423A1 (en) * 2014-08-28 2016-03-03 Firetrace Usa,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fire suppressant panel
KR20170011442A (ko) 2015-07-23 2017-02-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소화약제 캡슐이 내장된 단열재 패널 제조방법
KR20180133104A (ko) * 2017-06-05 2018-12-13 김병열 발열 소화캡슐 및 이를 구비하는 캡슐형 소화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9055A (ko) * 2021-01-28 2022-08-04 주식회사 스펙스테크 약제유동방지부를 포함하는 라인형 소화용구
KR102644263B1 (ko) * 2021-01-28 2024-03-07 주식회사 스펙스테크 약제유동방지부를 포함하는 라인형 소화용구
WO2024063426A1 (ko) * 2022-09-23 2024-03-28 (주)수 화재 진압을 위한 소화로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3061B1 (ko) 라인형 소화용구
KR101851319B1 (ko) 공동주택의 전기 및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경보 장치
KR101836117B1 (ko) 공동주택 화재 안전관리 시스템
US5573068A (en) Apparatus for extinguishing fires in oil storage tanks
JP2024096851A (ja) 水素ステーション及び水素ステーションの防災方法
KR102644263B1 (ko) 약제유동방지부를 포함하는 라인형 소화용구
KR101765036B1 (ko) 건축공간 화재 진압용 자동 소방 장치
JP7496456B2 (ja) 防災設備のシート展開装置
JP4776410B2 (ja) 消火システム
JP2023068011A (ja) 消火設備
Lim et al. Evaluating the fire risk of pipe insulation depending on installation conditions
RU53920U1 (ru) Огне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RU53921U1 (ru) Огне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220142729A (ko) 원자력발전소 터널형 공간의 화재 방호 시스템
RU2592189C1 (ru) Способ селективного пуска водяных завес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JP2020139376A (ja) 防災設備
JP2002224232A (ja) 防火区画形成システム
Avelar Mitigating Fire Risks in Mission Critical Facilities
Donohue et al. Fire protection and life safety design in data centers
KR20240105950A (ko) 소화물질이 포함된 코팅액 조성물
KR102181572B1 (ko) 원자력 발전소의 주제어실의 바닥 공간의 화재 진압 장치
Tursunovich METHODS OF FIRE PROTECTION IN A PARTICULAR FIRE ZONE
Isu et al. Fire Safety Design Options In Residential Buildings
Wilson et al. Fire-Induced Charring of Common Residential Siding Types
Tanklevskiy et al. The Problem of Fire Control by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