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9324B1 - 자동 폭발식 에어로졸소화기 소화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폭발식 에어로졸소화기 소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9324B1
KR100849324B1 KR1020070036725A KR20070036725A KR100849324B1 KR 100849324 B1 KR100849324 B1 KR 100849324B1 KR 1020070036725 A KR1020070036725 A KR 1020070036725A KR 20070036725 A KR20070036725 A KR 20070036725A KR 100849324 B1 KR100849324 B1 KR 100849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ire extinguisher
solid aerosol
extinguishing
electric i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6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숙행
Original Assignee
염숙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숙행 filed Critical 염숙행
Priority to KR1020070036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93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9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9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08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bursting charg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폭발식 에어로졸소화기 및 소화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히는 대기오염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소화작업에 탁월한 효과를 가진 소화액이 구비되며 화재 시 발생되는 불꽃 및 온도의 상승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되는 소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화학 냉각제와 고형 에어로졸제로 구성되는 소화액이 효과적으로 분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 방향판과, 화재 시 점화원의 열을 흡수하여 냉각소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화학 냉각제와, 화재 시 연소공급원을 차단하여 질식소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고형 에어로졸과, 상기 에어로졸 내부로 자동적으로 소화기가 작동될 수 있도록 선단으로 화재감지도화선이 연결되는 전기점화장치가 순차적으로 내장되는 소화기를 구성하여 에어로졸 발생 화합물과 화학 냉각제를 통해 소화작용 및 흡열 작용을 일으켜 대기오염을 최소화하면서도 상기 소화기의 작동을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구성하여 화재 시 초기진화가 이루어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폭발식 에어로졸소화기 소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화기, 전기점화장치

Description

자동 폭발식 에어로졸소화기 소화방법{The auto explosion type aerosol fire extinguisher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예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3(가)는 본 발명의 화재감시 도화선의 실시의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나)는 본 발명의 방향판으로 소화액이 분사되는 실시의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전기점화장치에 의해 소화액이 분사되는 실시의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0 : 케이싱 20 : 커버
30 : 방향판 40 : 화학냉각제
50 : 그리드 60 : 스페이스 링
70 : 고형 에어로졸 80 : 전기점화장치
90 : 화재감지도화선
본 발명은 대기오염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소화작업에 탁월한 효과를 가진 소화액이 구비되며 화재 시 발생되는 불꽃 및 온도의 변화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되는 소화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소화기의 소화제용 가스는 할론 및 HALOCARBON을 다수 함유되어 있는 가스로서, 할론 소화가스는 소화성능은 뛰어나지만 지구의 오존층 파괴를 유발하는 화학물질로 규명됨에 따라 몬트리올 의정서에 의해 생산이 중지되었고 HALOCARBON용 소화가스는 지구온난화를 일으키는 물질로써 화기와 접하면 유독가스를 발생되는 단점이 있어왔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비활성가스를 압축하여 소화기에 사용되나 이는 부피가 커서 보관장소에 제한적일 수밖에 없으며 분사가 되기까지 오랜시간이 소요되어 그 쓰임새가 실용적이지 않은 등의 기존에 사용되는 소화기는 각각의 단점이 있어왔다.
또한 최근에는 소화기의 작동방식은 화재의 초기진화를 위해 자동으로 소화기가 작동되는 방식이 다수 출원되었으며 그 기술을 살펴보면, 특허등록번호 10-0516543은 소화기 통과, 상기 소화기 통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소화기 통 내로 연장된 로드를 승강시키는 헤드부와, 상기 로드의 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소화기 통 내를 이동하는 피스톤과, 상기 소화기 통에 구성되는 소화액 배출구를 구비한다. 상기 소화기 헤드부에는 로드 승강수단 으로 기능하는 모터와 감속기어와, 로드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로드는 상기 로드기어에 결합되어 승강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로드는 상기 로드기어의 중심 축을 관통하여 나합되고 상기 로드의 상하단부에서는 상기 로드기어와 나합이 일어나지 않도록 설치한다. 상기 로드의 상단부에는 로드기어가 역회전할 때 상기 로드와 상기 로드기어의 재 나합을 원활히 하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화재가 감지되면 내부의 소화액을 피스톤이 밀어내 분사시키는 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그 작동방식이 많은 부품이 서로 연동되는 구조로 얽혀있어 오작동이 염려되며 그 작동신뢰도가 떨어졌으며 재사용 시 다시 조립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소화기에 대기오염과 유독가스를 유발하는 소화가스를 본 발명에 따른 소화액을 대체함으로서 대기오염을 일으키지 않으며 보다 효과적으로 소화가 이루어지는 소화액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화기 내부로 화재감지 도화선(90)이 구비되는 전기점화장치(80)를 구성하여 화재에 대비하여 소화기가 자동으로 작동이 이루어져 갑작스러운 화재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 화재 시 초기진화가 이루어지는 자 동 폭발식 에어로졸 소화기를 이용한 소화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살펴보면,
대기오염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소화작업에 탁월한 효과를 가진 소화액이 구비되며 화재 시 발생되는 불꽃 및 온도의 상승으로 인해 자동으로 작동되는 소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학 냉각제(40)와 고형 에어로졸제(70)로 이루어진 소화액이 효과적으로 분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 방향판(30)과, 화재 시 점화원의 열을 흡수하여 냉각소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화학 냉각제(40)와, 화학 냉각제(40)가 소화기 내부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화학 냉각제(40) 사이로 구성되는 그리드(50)와, 화학 냉각제(40)와 고형 에어로졸제(70)의 순차적인 폭발 및 분출을 위해 구성된 스페이스 링(60)과, 화재 시 연소공급원을 차단하여 질식소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고형 에어로졸제(70)가 순차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구성들이 내부로 구성되는 케이싱(10)과 커버(20)의 밀폐로 하여금 외형이 구성되며 소화기가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기점화장치(80)가 고형의 에어로졸제(70)의 내부로 구성되며 전기점화장치(80) 상측에서 소화기 상부로 관통구성되는 화재감지 도화선(90)이 일정길이로 구성되는 소화기를 구성하여 기존의 대기오염을 일으키는 소화액을 대체하는 고형 에어로졸제(70)와 화학 냉각제(40)를 통해 질식소화 및 냉각소화가 이루어져 대기오염을 최소화하면서도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하고 상기의 소화작동을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폭발식 에어로졸소화기 소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예를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3(가)는 본 발명의 화재감시 도화선의 실시의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나)는 본 발명의 방향판으로 소화액이 분사되는 실시의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전기점화장치에 의해 소화액이 분사되는 실시의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써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방향판(30)은 소화기내의 폭발된 고형 에어로졸제(70)와 화학적 냉각제(40)가 보다 넓은 범위로 분사되기 위해 구성된 것으로 원을 다수 개로 천공시킨 플래이트 원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형 에어로졸제(70)는 플래스틱화한 니트로셀룰로즈 22.4%, 질산칼륨 62.3%, 탄소 9% 및 기타 화합물 6.3%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고형의 형태로 구성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 시 소화작용 시 산소(O), 수소(H), 수산기(OH)등의 연소공급원이 질산칼륨(K)에 의해 화학반응하여 차단되는데 그 화학식은 다음과 같다.
K + OH = KOH
KOH + H = K + H2O
K + O + KO
상기의 고형 에어로졸제(70)의 칼륨성분으로 인해 최종적으로 연소공급원이 수산화칼륨(KOH), 칼륨(K)과 물(H2O), 산화칼륨(KO)으로 화학반응함으로써 화재 시 불의 내부로 O, H, OH의 공급을 차단하며 화재의 질식효과로 하여금 소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고형 에어로졸제(70) 내부로 전기점화장치(80)가 구성되며 상기 전기점화장치(80)의 점등을 통해 소화기가 작동되면 고형 에어로졸(70)의 니트로셀룰로즈 성분으로 인해 폭발이 이루어지고 폭발로 인해 고형 에어로졸제(70)은 고형에서 마이크론 사이즈의 에어로졸 입자(71)로 변형되어 에어로졸 형태로 방향판(30)을 통해 외부에 분사되도록 구성된다.
화학적 냉각제(40)는 다수개의 환형의 입자의 형태로 그리드(50) 사이에 조밀하게 구성되며 전기점화장치(80)로 인해 분해된 고형 에어로졸제(70)의 열을 흡수하면서 알갱이에서 액체로 분해되며 고형 에어로졸제(70) 입자와 함께 방향판(30)을 통해 소화기 외부로 배출되어 발화가 가능한 연소하한계(燃燒下限界) 온도 이하로 낮춰 냉각소화 시키도록 구성된다.
전기점화장치(80)는 고형 에어로졸제(70) 내부에 구성되며 전기점화장치(80) 상측으로 소화기 상부로 화재감지 도화선(90)이 관통 구성되어 화재 시 불꽃 및 외부온도의 상승으로 인해 화재감지 도화선(90)이 연소되고 연소되는 불꽃을 통해 전기점화장치(80)가 점등되어 고형 에어로졸제(70)가 폭발되면서 소화기가 작동된다.
상기의 구성을 통해 작동되는 소화기의 소화방법은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고형 에어로졸제(70)의 포함되는 칼륨으로 인해 불의 내부의 연소공급원과 화학반응하여 화재 시 연소공급원를 차단시킴으로써 질식소화가 이루어지게 하고 화학 냉각제(40)로 하여금 발화원에 연소하한계 온도 이하로 낮춰 냉각소화시킴으로써 불의 세가지 요소인 발화원, 연소공급원, 연소물질에 있어 발화원의 냉각소화 및 연소공급원의 질식소화가 이루어져 효과적인 소화가 이루어지면서도 종래의 할론 소화가스 및 HALOCARBON용 소화가스의 대기오염이나 유독가스를 일으키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소화기를 사용함에 있어 이러한 효과들을 증명하기 위해 기존의 소화기의 상호비교한 데이터를 살펴보면,
Figure 112007028595572-pat00001
ODP는 오존층을 파괴하는 물질을 대상으로 단위중량당 오존의 소모능력을 나타낼 때 CFC-11을 1.0으로 기준하여 표시한 지수이며, GWP는 유사한 량의 탄소이산화물에 의해 발생되는 온난화와 비교한 특정물질에 의해 발생되는 지구온난화 지수로써,
상기 표를 통해 살펴본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인 자동 폭발식 에어로졸 소화기를 사 용할 때 오존소모지수와 지구온난화지수가 거의 없으며 대기에 잔존하는 기간이 없어 대기오염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화재진압의 최소 소요량 또한 비교적 소량으로 이루어져 소화능력이 뛰어나며 종래의 소화기보다 부피를 작게 구성할 수 있어 보관장소가 제한적이지 않으며 설치가 용이하도록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구성에 따른 작동되는 실시의 예를 살펴보면 전기점화장치(80) 상측에서 소화기 상부로 관통구성된 화재감지 도화선(90)을 통해 점화되는 방법으로 이는 화재 시 발생되는 불꽃이나 온도의 상승으로 인한 고열로 소화기 외부로 일정길이로 구성된 화재감지 도화선(90)이 연소되고 연소되는 화재감지 도화선(90)의 불꽃이 전기점화장치(80)까지 점화되어 불꽃으로 하여금 스파크가 일어나서 전기점화장치(80)가 점등되어 전기점화장치의 작동으로 인해 외부의 고형 에어로졸제(70)이 폭발하고 폭발된 고형 에어로졸은 마이크론 입자(71)로 변형되어 방향판(30)을 통해 소화기 외부로 분사되어 질식소화작업이 이루어지며 화학 냉각제(40) 또한 전기점화장치(80)의 점등으로 인해 방향판(30)을 통하여 외부로 분사되어 불의 열을 흡수하면서 분해작용하여 냉각소화작업이 이루어지게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 폭발식 에어로졸소화기 소화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존에 소화기에 대기오염과 유독가스를 유발하는 소화가스를 고형 에어로졸제(70)로 대체함으로써 대기오염을 최소화하면서도 화재진압의 최소 소요량이 비교적 소량으로 이루어져 종래의 소화기보다 부피를 작게 구성할 수 있어 보관장소가 제한적이지 않으며 설치가 용이하며 또한 소화기 내부로 화재감지 도화선(90)이 구비되는 전기점화장치(80)를 구성하여 소화기가 자동으로 작동되어 갑작스러운 화재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초기진화가 이루어지는 그 효과가 큰 발명이라 하겠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자동 폭발식 에어로졸소화기를 이용한 소화방법에 있어서,
    화재 시 발생되는 불꽃이나 온도의 상승으로 인한 고열로 소화기 외부로 일정길이로 구성된 화재감지 도화선(90)이 연소되고,
    연소되는 화재감지 도화선(90)의 불꽃이 전기점화장치(80)까지 점화되어 불꽃으로 하여금 전기점화장치(80)가 점등되고,
    전기점화장치(80)의 점등으로 인해 고형 에어로졸제(70)가 폭발되고 폭발된 고형 에어로졸제(70)는 마이크론 입자(71)로 변형되어 방향판(30)을 통해 소화기 외부로 분사되고,
    화학 냉각제(40)는 전기점화장치(80)의 점등으로 인해 분해된 고형 에어로졸제(70)의 열을 흡수하면서 입자에서 액체로 분해되며 방향판(30)을 통하여 외부로 분사되는 것을 포함하는 자동 폭발식 에어로졸소화기를 이용한 소화방법
KR1020070036725A 2007-04-16 2007-04-16 자동 폭발식 에어로졸소화기 소화방법 KR100849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6725A KR100849324B1 (ko) 2007-04-16 2007-04-16 자동 폭발식 에어로졸소화기 소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6725A KR100849324B1 (ko) 2007-04-16 2007-04-16 자동 폭발식 에어로졸소화기 소화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9324B1 true KR100849324B1 (ko) 2008-07-29

Family

ID=39825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6725A KR100849324B1 (ko) 2007-04-16 2007-04-16 자동 폭발식 에어로졸소화기 소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932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9725B1 (ko) * 2010-01-26 2010-09-02 에프피지코리아(주) 이융성 금속형 소화기 작동장치
WO2010142222A1 (zh) * 2009-06-08 2010-12-16 陕西坚瑞消防股份有限公司 一种微型自动热气溶胶灭火装置
KR102120381B1 (ko) * 2019-11-25 2020-06-08 주식회사 에코스 라인형 자동소화용구 및 소화절연테이프가 구비된 전력변환장치
KR102153061B1 (ko) * 2019-10-30 2020-09-08 주식회사 스펙스테크 라인형 소화용구
CN114129937A (zh) * 2021-12-10 2022-03-04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自动灭火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1830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엔진 룸 소화장치
KR20000057253A (ko) * 1996-11-26 2000-09-15 존슨 윌리엄 엠. 분자체 함유 질산암모늄 추진제
KR20000065990A (ko) * 1999-04-12 2000-11-15 박경혜 화재진화용 소화탄
US6189623B1 (en) 1997-07-02 2001-02-20 Federalny Tsentr Dvoinykh Tekhnology “Sojuz” Method of extinguishing a fire, system for its realization and fire extinguishing generator used, in particular, in said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7253A (ko) * 1996-11-26 2000-09-15 존슨 윌리엄 엠. 분자체 함유 질산암모늄 추진제
KR19980051830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엔진 룸 소화장치
US6189623B1 (en) 1997-07-02 2001-02-20 Federalny Tsentr Dvoinykh Tekhnology “Sojuz” Method of extinguishing a fire, system for its realization and fire extinguishing generator used, in particular, in said system
KR20000065990A (ko) * 1999-04-12 2000-11-15 박경혜 화재진화용 소화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2222A1 (zh) * 2009-06-08 2010-12-16 陕西坚瑞消防股份有限公司 一种微型自动热气溶胶灭火装置
KR100979725B1 (ko) * 2010-01-26 2010-09-02 에프피지코리아(주) 이융성 금속형 소화기 작동장치
KR102153061B1 (ko) * 2019-10-30 2020-09-08 주식회사 스펙스테크 라인형 소화용구
KR102120381B1 (ko) * 2019-11-25 2020-06-08 주식회사 에코스 라인형 자동소화용구 및 소화절연테이프가 구비된 전력변환장치
CN114129937A (zh) * 2021-12-10 2022-03-04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自动灭火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66685B2 (ja) 消火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0849324B1 (ko) 자동 폭발식 에어로졸소화기 소화방법
CA2545245C (en) Man-rated fire suppression system
CA2812278C (en) New method for extinguishing fire
JP5350951B2 (ja) エアロゾル消火装置
RU2008045C1 (ru) Способ тушения пожар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20070163787A1 (en) Fire suppression device
ES2206698T3 (es) Procedimiento de extincion de incendios y sistema de anti-incendios.
US20070079972A1 (en) Manually activated, portable fire-extinguishing aerosol generator
US8967284B2 (en) Liquid-augmented, generated-gas fire suppression systems and related methods
CN203647922U (zh) 爆式灭火器
JP5399941B2 (ja) 発炎筒兼用消火装置
JP2011062341A (ja) エアロゾル消火装置
RU74461U1 (ru) Генератор аэрозоля и дымовая шашка для него
JP2010273925A (ja) 消火システム
KR200452293Y1 (ko) 고체 에어로졸 자동 소화장치
KR101214303B1 (ko) 멀티작동 타입의 고체에어로졸 소화기
KR20120103216A (ko) 차량용 소화시스템
CN111617408A (zh) 灭火容器及装置
JP5956585B2 (ja) ガス発生器及びガス発生方法
KR20140046591A (ko) 폭발의 위험성을 제거한 고체에어로졸 소화기
RU2465937C1 (ru) Устройство газовог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CN212548052U (zh) 灭火容器及装置
RU2108824C1 (ru) Генератор аэрозоля
RU208324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ъемного тушения пожар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1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