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119Y1 - 압력센서를 이용한 소화기 받침대 - Google Patents

압력센서를 이용한 소화기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119Y1
KR200270119Y1 KR2020010039138U KR20010039138U KR200270119Y1 KR 200270119 Y1 KR200270119 Y1 KR 200270119Y1 KR 2020010039138 U KR2020010039138 U KR 2020010039138U KR 20010039138 U KR20010039138 U KR 20010039138U KR 200270119 Y1 KR200270119 Y1 KR 2002701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inguishing agent
pressure
fire extinguisher
pressure sensor
filling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91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센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센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센서
Priority to KR20200100391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1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1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119Y1/ko

Links

Landscapes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화기의 중량을 감지하여 소화약제의 충진압력상태를 자동표시하도록 하는 압력센서를 이용한 소화기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기 위한 소화기에 있어서, 최초 소화약제를 충진할 시는 적정 압력으로 압축 충진되지만 완전밀봉이 사실상 어렵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소화약제(특히 이산화탄소의 경우)의 누설이 진행되어 기간이 지난 후에는 충진압력이 감소되어 소화약제의 방출력을 잃게 되고, 소화기로서의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므로 소화약제를 재충진시켜야 한다.
종래 기술에서는 소화약제의 충진압력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방법이 번거로울뿐만 아니라 관리자가 일부러 점검을 실시하기 전까지는 충진미달을 발견할 수 없음으로 대단히 위험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부에 거치되는 소화기의 하중압을 감지하여 소화약제의 충진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센서와, 상기 압력센서의 감지결과를 신호로 추출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신호를 외부에 자동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하는 소화약제 충진압력감지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표시부는 색상이 다른 다수의 발광다이오드(LED)로 이루어지고 소화약제의 충진압력상태를 각각 발광 표시하는 것임.

Description

압력센서를 이용한 소화기 받침대{A Stillage for Fire extinguisher Using Pressure Sensor}
본 고안은 소화기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화기의 중량에 따른 압력을 감지하여 소화약제의 충진압력상태를 자동표시하도록 하는 압력센서를 이용한 소화기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소화기는 화재를 초기에 소화 진압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기구로서 물, 분말, 할론, 이산화타소 등 용기 내부에 충진되는 소화약제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소화기 용기 내부에 소화약제와 압축공기 또는 불연성가스(질소, 이산화탄소)를 압축시켜두었다가 그 압력에 의하여 약제를 방출시키게 된다.
이러한 소화기에 있어서, 최초 소화약제를 충진할 시는 적정 압력으로 압축 충진되지만 완전밀봉이 사실상 어렵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소화약제(특히 이산화탄소의 경우)의 누설이 진행되어 기간이 지난 후에는 압력이 감소되어 소화약제의 방출력을 잃게 되고, 소화기로서의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므로 관리자는 항상 소화약제의 충진압력상태를 점검, 소화약제의 충진압력이 적정압력 이하로 떨어졌을 경우 소화약제를 재충진하는 등으로 소화기가 제 기능을 잃지 않도록 하여 화재에 대비하여야 한다.
그러나 용기 내에 압축 충진된 소화약제의 충진압력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음으로 어려움이 있었다.
종래 기술에서는 소화약제의 충진압력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소화기를 흔들어 별도의 저울을 이용, 중량을 측정해보거나 우선 실험적으로 소화약제를 방출시켜 보고 다시 충진하는 등의 번거롭고 비생산적인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번거로울뿐만 아니라 관리자가 일부러 점검을 실시하기 전까지는 소화약제의 충진압력상태를 알 수 없음으로 충진압력 미달상태를 발견하지 못한 상황에서 화재 발생시 대단히 위험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소화약제의 충진압력상태에 따라 가감되는 소화기의 중량에 따른 하중압을 감지하여 외부에 자동으로 신호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점검작업 없이 소화약제의 충진압력상태를 알게하여 소화기의 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이에 따라 화재사고 조기 진압의 때를 놓치지 않도록 하는 압력센서를 이용한 소화기 받침대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의 구성도로서,
a도는 회로도,
b도는 일부 절개도,
c도는 전류 유통 경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1: 본 고안의 소화기 받침대 2: 소화기
10: 소화약제 충진압력감지수단 11: 압력센서
12: 제어부 13: 표시부
15: 배터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에 따른 압력센서를 이용한 소화기 받침대는,
상부에 거치되는 소화기의 하중압을 감지하여 소화약제의 충진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센서와, 상기 압력센서의 감지결과를 신호로 추출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신호를 외부에 자동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하는 소화약제 압력감지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부의 신호를 외부에 표시하기 위한표시부는 색상이 다른 다수의 발광다이오드(LED)로 이루어지고, 소화약제의 충진압력상태에 따라 발광 표시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압력센서를 이용한 소화기 받침대에 대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를 이용한 소화기 받침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압력센서를 이용한 소화기 받침대(1)는 소화약제가 누출된만큼 감소하는 소화기의 중량압을 감지하여 외부에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압력센서를 이용한 소화기 받침대(1)는 상부에 거치되는 소화기(2)의 하중압을 감지하여 용기 내부에 압축충진된 소화약제의 충진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센서(11)와, 상기 압력센서(11)의 감지결과를 신호로 추출 제어하는 제어부(12)와, 상기 제어부(12)의 신호를 외부에 자동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3)를 포함하는 소화약제 충진압력감지수단(10)을 구비하였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압력센서(11)는 감압저항 가변형 센서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센서인 상기 감압저항 가변형 센서의 구조도로서, a도는 회로도, b도는 일부 절개도, c도는 전류 유통 경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압저항 가변형 센서의 구성은 두장의고분자 막을 겹친 형태로서, 한쪽 막의 내면은 금속으로 빗살무늬전극(11a)을 형성 도포하고, 다른 막의 내면은 반도전성 또는 도전성 미분(11b)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도포한 후, 이 두장의 막을 도포된 물질들이 서로 맞닿게 하여 적층시킨 구조로서,
외부압력이 가해졌을 때 은 전극에서 제일 가까운 도전성 입자들을 통하여 전류의 유통 경로를 표시한 것이다.
상기 제어부(12)는 기판으로 구성하였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12)의 신호를 외부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3)는 색상이 다른 다수의 발광다이오드(LED)로 이루어지고, 소화약제의 충진압력상태를 각각 발광 표시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부(13)의 일 실시예로서 발광다이오드를 빨강, 노랑, 녹색으로 구성하고, 이들이 각각 경고, 주의, 적정의 압력상태를 표시하거나, 빨강과 녹색으로만 구비하고 각각 경고와 적정상태를 표시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표시부(13)는 소화약제의 재충진 요구상태가 경고음 또는 문자로 표시되어도 무방하다.
미설명 부호 (15)는 배터리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본 고안에 따른 압력센서를 이용한 소화기 받침대(1)는 소화약제가 누출된만큼 감소하는 소화기의 중량을 압력센서(11)가 감지하여 외부의 표시부(13)에 자동 표시하게 됨으로써 별도의 점검작업 없이 소화기의 충진압력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표시부(13)는 발광다이오드로 하여 소화약제의 충진압력이 적정상태 또는 재충진이 요구되는 상태를 다른 색상으로 발광표시함으로 관리자의 시선을 유도한다.
따라서 화재의 초기진압을 위해서 평상시 철저한 관리가 요구되는 소화기에 있어서 자칫 방심하기 쉬운 소화약제 충진압력상태의 점검 및 관리가 현저히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압력센서를 이용한 소화기 받침대는
내부 용기에 압축충진된 소화약제가 누출된 만큼 감소하는 소화기의 중량압을 외부에 자동적으로 표시하게 됨으로써 별도의 점검작업 없이 소화기의 충진압력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한다.
그리하여 관리자는 경고신호가 표시될 때까지는 안심하고 지내다가 경고신호가 표시될 경우 소화약재를 재충진하도록 하여 철저한 관리가 요구되는 소화기의 소화약제 충진압력상태의 점검 및 관리가 현저히 용이하도록 하는 잇점을 갖는 대단히 유용한 기술이다.

Claims (2)

  1. 상부에 거치되는 소화기의 하중압을 감지하여 소화약제의 충진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센서와, 상기 압력센서의 감지결과를 신호로 추출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신호를 외부에 자동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하는 소화약제 충진압력감지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센서를 이용한 소화기 받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신호를 외부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는 색상이 다른 다수의 발광다이오드(LED)로 이루어지고, 소화약제의 충진압력상태를 각각 발광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센서를 이용한 소화기 받침대.
KR2020010039138U 2001-12-18 2001-12-18 압력센서를 이용한 소화기 받침대 KR2002701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138U KR200270119Y1 (ko) 2001-12-18 2001-12-18 압력센서를 이용한 소화기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9138U KR200270119Y1 (ko) 2001-12-18 2001-12-18 압력센서를 이용한 소화기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119Y1 true KR200270119Y1 (ko) 2002-03-28

Family

ID=73114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9138U KR200270119Y1 (ko) 2001-12-18 2001-12-18 압력센서를 이용한 소화기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119Y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3840B1 (ko) * 2005-04-04 2007-02-22 정윤성 경보장치가 내장된 소화기 보관함
KR100773517B1 (ko) * 2005-06-28 2007-11-06 주식회사 건국이엔아이 소화용기내 소화약제의 모니터링 자동 감지장치
KR100786143B1 (ko) 2006-12-11 2007-12-18 전영환 충전기간이 표시되는 공기 호흡기 용기
KR101078195B1 (ko) * 2009-06-24 2011-11-0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접촉힘 세기 또는 압력 세기를 감지하는 촉각센서가 구비된 조도 조절 가능한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 이를 포함하는 평판표시장치, 이를 포함하는 휴대기기 키패드 장치, 이를 포함하는 로봇 눈, 로봇 코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
KR200477013Y1 (ko) * 2015-02-10 2015-05-04 김진영 소화기의 소화약제 감소 경보장치
KR20160104157A (ko) * 2015-02-25 2016-09-05 대전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화기 받침대
KR101738608B1 (ko) * 2015-10-13 2017-05-22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소화약제 누출 감시장치
KR101768542B1 (ko) * 2015-12-11 2017-08-16 진동용 소화기 받침대
KR101926131B1 (ko) * 2017-11-06 2018-12-06 김병열 소화물질의 상태변화 측정이 용이한 소화장치
KR20190074034A (ko) * 2017-12-19 2019-06-27 주식회사 포스코 소화약제 방출제어장치 및 이를 갖춘 자동소화설비
KR20210085445A (ko) * 2019-12-30 2021-07-08 순천제일대학산학협력단 분말 소화기의 점검 알림장치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3840B1 (ko) * 2005-04-04 2007-02-22 정윤성 경보장치가 내장된 소화기 보관함
KR100773517B1 (ko) * 2005-06-28 2007-11-06 주식회사 건국이엔아이 소화용기내 소화약제의 모니터링 자동 감지장치
KR100786143B1 (ko) 2006-12-11 2007-12-18 전영환 충전기간이 표시되는 공기 호흡기 용기
KR101078195B1 (ko) * 2009-06-24 2011-11-0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접촉힘 세기 또는 압력 세기를 감지하는 촉각센서가 구비된 조도 조절 가능한 발광다이오드 조명장치, 이를 포함하는 평판표시장치, 이를 포함하는 휴대기기 키패드 장치, 이를 포함하는 로봇 눈, 로봇 코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
KR200477013Y1 (ko) * 2015-02-10 2015-05-04 김진영 소화기의 소화약제 감소 경보장치
KR20160104157A (ko) * 2015-02-25 2016-09-05 대전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화기 받침대
KR101707300B1 (ko) * 2015-02-25 2017-02-16 대전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화기 받침대
KR101738608B1 (ko) * 2015-10-13 2017-05-22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소화약제 누출 감시장치
KR101768542B1 (ko) * 2015-12-11 2017-08-16 진동용 소화기 받침대
KR101926131B1 (ko) * 2017-11-06 2018-12-06 김병열 소화물질의 상태변화 측정이 용이한 소화장치
KR20190074034A (ko) * 2017-12-19 2019-06-27 주식회사 포스코 소화약제 방출제어장치 및 이를 갖춘 자동소화설비
KR102020504B1 (ko) * 2017-12-19 2019-09-10 주식회사 포스코 소화약제 방출제어장치 및 이를 갖춘 자동소화설비
KR20210085445A (ko) * 2019-12-30 2021-07-08 순천제일대학산학협력단 분말 소화기의 점검 알림장치
KR102386457B1 (ko) * 2019-12-30 2022-04-13 순천제일대학산학협력단 분말 소화기의 점검 알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70119Y1 (ko) 압력센서를 이용한 소화기 받침대
KR100773517B1 (ko) 소화용기내 소화약제의 모니터링 자동 감지장치
CN207323914U (zh) 消防柜
KR102103631B1 (ko) 안전 기구함
KR101926131B1 (ko) 소화물질의 상태변화 측정이 용이한 소화장치
KR101849330B1 (ko) 화재시 종합 대피 시스템
CA2113975C (en) Aircraft fire fighting trainer
KR20120001141A (ko) 화재 모니터링 설비
WO2020027592A1 (ko) 소화기 표시장치
KR20090129000A (ko) 화재 진압용 소화기
KR20150056423A (ko) 시온페인트를 이용한 화재감지문
CN205699006U (zh) 智能压力报警灭火器
JP2006215703A (ja) 避難誘導指示システム
KR101366592B1 (ko) 소화성 단위 천정판
KR200326133Y1 (ko) 비상구 안내 블록
KR200240324Y1 (ko) 소화용기내 소화약제 감지장치
JP2018010353A (ja) 蓄光材又は蛍光材を備える誘導標識を備える構造物
KR200359722Y1 (ko) 바닥에 설치하는 비상등.
CN207270590U (zh) 一种具有双重报警功能的空气呼吸器压力控制设备
KR20200077358A (ko) 화재 시 경고문이 드러나는 도어
KR102419156B1 (ko) 소방용 건축물 옥내 소화전
KR200312628Y1 (ko) 천정부착형 소화기의 약제 확산 밸브
KR20150119586A (ko) 중량 표시장치가 구비된 소화기 거치대
CN112173909B (zh) 消防电梯以及消防电梯系统
CN202028078U (zh) 带色标的灭火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