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3517B1 - 소화용기내 소화약제의 모니터링 자동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소화용기내 소화약제의 모니터링 자동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3517B1
KR100773517B1 KR1020050056322A KR20050056322A KR100773517B1 KR 100773517 B1 KR100773517 B1 KR 100773517B1 KR 1020050056322 A KR1020050056322 A KR 1020050056322A KR 20050056322 A KR20050056322 A KR 20050056322A KR 100773517 B1 KR100773517 B1 KR 100773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cell
extinguishing agent
fire extinguishing
fire
extingu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6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0745A (ko
Inventor
박정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국이엔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86849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77351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국이엔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국이엔아이
Priority to KR1020050056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3517B1/ko
Publication of KR20070000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0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3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3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52Weighing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e.g. furni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화용기의 무게변화량을 감지하여, 내부에 담겨진 소화약제가 만충상태인지 아니면, 누설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되, 장소별 용기의 개별 확인은 물론, 여러 장소에 설치된 각각의 소화용기를 로드셀과 버퍼(중계기) 등의 통신설비를 이용하여 한 곳에서 통제, 관리 감시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화약제가 만충된 소화용기가 올려져 안착되는 상판과 받침판으로 이루어진 로드셀과; 로드셀의 전면에 위치되게 결합되고, 통신선에 의해 연결되는 로드셀엠프와; 로드셀엠프가 케이블로 연결되어 측정된 데이타값을 디지탈신호화하여 전송하는 버퍼와; 버퍼로부터 전송된 디지탈신호를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숫자, 그래프 등으로 모니터링하는 PC로 구성됨에 따라, 소화용기내의 소화약제가 만충된 상태인지 아니면, 누수되어 보충이 요구되는 상태인지를 간편·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화재시 약제량 부족으로 소화가 되지 않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고 조치할 수 있도록 한 소화용기내 소화약제의 모니터링 자동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며, 또한, 소화약제 뿐아니라, 일반가스 및 액체량의 누설, 누수를 감지할 수 있도록 된 일반 산업용에서도 범용적으로 사용가능한 것이다.
소화용기 무게측정, 소화약제 감시, 로드셀, 로드셀엠프, 버퍼, 소화약제무 게감지 장치, Leak Alarm, 약제누설검지 장치, 가스누설감지장치, 소화약제모니터링시스템

Description

소화용기내 소화약제의 모니터링 자동 감지장치{A sensing and monitoring device of fire extinguishing chemical in a fire extinguish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용기내 소화약제의 모니터링 자동 감지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용기내 소화약제의 모니터링 자동 감지장치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도 3(a), 3(b)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약제 자동 감지장치에 의해 측정되어 모니터링되는 데이타값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용기내 소화약제의 모니터링 자동 감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소화용기 10:로드셀
11:상판 12:받침판
20:로드셀엠프 30:버퍼
본 발명은 소화용기내 소화약제의 모니터링 자동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화용기의 하중을 감지하여, 내부에 담겨진 하론가스, C02, FM2000 등의 소화약제와 산업용 가스로 사용되는 LPG가 만충상태인지 아니면, 가스가 누설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여러 장소에 설치된 각각의 소화용기를 로드셀과 버퍼 등의 통신설비를 이용하여 한 곳에서 통제,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정부착형 확산 소화기는 화기를 취급하는 장소의 천정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화재발생이나 과도한 열에 의해 확산소화기에 설치된 감열부가 녹으면, 소화약제가 확산 분출되어 화재를 진압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소화용기에 만충되어 있는 소화약제가 화재발생으로 인해 분출되어 화재를 진압하게 되면, 소정량의 소화약제가 소진된다.
따라서, 화재진압으로 인해 분출되어 소화용기내에 담겨진 소화약제가 소진되면, 차후, 화재진압을 위해 소화용기를 교환하게 된다.
이때, 소화용기내에 담겨진 소화약제가 만충된 상태인지 아니면, 소진되어 교환이 요구되는지에 대한 판단을 하게 되는 바, 현재, 이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측정수단이 이용되지 못하고, 숙련공에 의해 저울로 측정하거나 별도의 방사선을 이용하여 누설상태를 판단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저울 또는, 방사선에 의한 측정은 거의 1년에 1회 또는, 거의 측정하지 못하므로, 교환유무를 판단하기가 매우 난해하고 곤란하며, 특히, 판단에 대한 정밀성이 떨어져 판단 오류로 인해 화재시 소화를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 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에는 소화용기의 밸브에 측정제품(압력 게이지 등)을 설치하여 내부에 담겨진 소화약제를 체크하고 있으나, 이 경우에는 소화용기 내에 담겨져 있는 물질의 성질에 맞게 측정제품을 설치해야 하고,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없으므로 비경제적이며, 여러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소화용기를 돌아다니며 일일이 하나씩 현장에서 체크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소화약제의 누설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는 폐단을 안고 있다.
따라서, 화재를 조기에 진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건물에 여러형태의 소화장치를 설치하고 이의 소화장치에 보급되는 소화약제가 담겨진 소화용기는 별도의 장소에 보관되며, 소화용기내의 소화약제가 만충상태인지 또는, 누설된 상태인지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각각의 소화용기 하단부에 감지장치인 로드셀(loag cell)을 설치하여 소화용기 무게 변화에 의해 내부에 담겨진 소화약제가 자연 누설되고 있는지 또는, 만충상태인지를 24시간 항시 감지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기존에는 소화설비용기 하부에 설치하여 용기별 각각의 누설량을 현장에서 감지하였으나, 본 시스템은 모든 소화용기 하부에 로드셀을 설치하여 전 소화약제용기를 감시하도록 고안되였으며, 전역방출방식인 가스실의 용기 하부에 설치 통신선을 이용하여 소화용기 하단부에 각각의 로드셀을 설치하고, 페케이지 설비뿐만 아니라 관리자가 일일이 모니터링 하여 확인하는 방식으로 불편함을 해소하였다.
감시는 관리자가 중앙통제실, 방제센타 등에서 모니터를 통해 소화약제(가 스) 누설시 모니터에 위치가 표시되고, 또한, 알람(경보)가 발생하여 약제량을 즉시 확인할 수 있어, 유사시 화재발생을 알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여 미세한 누설을 인지사전조치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소화용기의 무게를 감지하여 변화량을 측정할 수 있는 로드셀을 설치하고, 각각의 로드셀에 로드셀엠프를 설치하여 버퍼로 연결한 후, 측정되어진 데이타값을 송신되도록 하며, 각각의 로드셀에서 버퍼로 송신되어진 데이타값을 중앙제어부에서 약제량의 이상유무 및 정확한 약제량 수치를 확인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소화용기내의 소화약제가 만충된 상태인지 아니면, 자연누설되는지를 감시반 또는 통제실에서 항시 용이하게 감시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형태의 소화용기내 소화약제의 모니터링 자동 감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소화용기내에 담겨진 소화약제의 만충상태를 정밀하게 측정, 관리하므로서, 소화용기의 교환오류에 따른 소화약제의 손실을 줄일 수 있고, 취급 및 관리에 따른 인력과 작업시간 및 비용을 최대한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약제 소화용기의 설치장소가 여러 장소로 분산 설치되었다 하더라도 한곳에서 약제의 만충상태, 누설상태, 시스템의 정상가동 여부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하여 업무의 효률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화약제가 만충된 소화용기가 올려져 안착되는 상판과 받침판으로 이루어진 로드셀과; 로드셀의 상판과 받침 판 사이의 전면에 위치되게 결합되고, 통신선에 의해 연결되는 로드셀엠프와; 로드셀엠프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측정된 데이타값을 디지탈신호화하여 전송하는 버퍼와; 버퍼로부터 전송된 디지탈신호를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숫자, 그래프 등으로 모니터링하는 PC가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로드셀엠프는 하드웨어 입출력부, 전원 및 방출LED, 주소DIP(Dual in-line Package)스위치, 무게표시LED, 연결단자 및 통신선로통로가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소화용기에 연결되어 소화약제가 공급·분출되는 튜브가 건물내부에 설치되고, 튜브를 제어하는 콘트롤부는 케이블에 의해 감지된 데이타값이 PC에 전송되어 모니터링되도록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화용기내 소화약제의 모니터링 자동 감지장치는 소화약제가 만충된 소화용기(2)가 로드셀(10)의 상판(11)에 올려져 안착되고, 상판(11)과 받침판(12) 사이의 전면에는 통신선으로 연결되는 로드셀엠프(20)가 결합되며, 케이블에 의해 로드셀엠프(20)와 연결되어 측정된 데이타값을 디지탈신호화하여 전송하는 버퍼(30)가 구성된 것이다.
또한, 버퍼(30)로부터 전송된 디지탈신호는 PC(40)에서 프로그램에 의해 숫자, 그래프 등으로 모니터링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로드셀엠프(20)는 하드웨어 입출력부(21), 전원 및 방출LED(22), 주소 DIP(Dual in-line Package)스위치(23), 무게표시LED(24), 연결단자(25) 및 통신선로통로(26)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용기내 소화약제의 모니터링 자동 감지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용기내 소화약제의 모니터링 자동 감지장치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소화용기내 소화약제의 모니터링 자동 감지장치는 소화약제가 담겨진 소화용기(2)가 건물내부의 소정 위치에 각각 설치되되, 로드셀엠프(20)에 의해 무게변화에 따른 데이타값이 자동 감지되어 측정되고, 측정된 데이타값은 통신선을 통해 버퍼(30)에 전송되도록 설치된 것이다.
또한, 로드셀엠프(20)에 의해 측정된 데이타값은 버퍼(30)를 통해 PC(40)에 전송되어 모니터링되도록 설치된다.
PC(40)에 전송되는 데이타값은 버퍼(30)에서 디지탈신호로 변환되어 전송되고, 별도의 프로그램에 의해 숫자로 표기되거나 그래프형태로 모니터링된다.
이때, PC(40)를 통해 모니터링되는 디지탈신호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음성이나 음향 등의 경고음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PC(40)에서 데이타값을 숫자 또는 그래프로 표시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a), 3(b)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약제 자동 감지장치에 의해 측정되어 모니터링되는 데이타값을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도 3(a)는 건물내부의 소정위치에 설치된 소화용기가 A, B, C, D 등의 구역으로 설정되고, 각각의 구역에는 1∼32개 의 소화용기가 설치되며, 화재진압에 의해 사용되어진 소화용기의 무게변화량을 숫자로 나타내는 것이다. 소화용기가 설치되는 A, B, C, D......n 구역은 여러장소에 분리 설치되거나 또는 설치장소와 설치장소의 거리는 최대 2∼3㎞에서 최소 수 미터까지의 거리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통신거리 범위에서 이루어지며 약제 용기의 관리는 소화약제 뿐만 아니라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LPG용기등 모든 가스용기를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이때, 소화용기의 무게가 숫자로 표시됨에 있어, 최대 중량은 '45'로 이며, 최소 중량은 '40'으로 나타낸다.
즉, 숫자 '45'는 소화용기내에 소화약제가 만충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숫자 '40'은 소화용기내에 소화약제가 모두 소진되어 교환이 요구되는 상태인 것이다.
도 3(b)는 건물내부의 A, B, C, D 등의 구역내에 1∼32개의 소화용기가 설치되고, 각각의 소화용기내에 담겨진 소화약제량을 그래프형태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용기내 소화약제의 모니터링 자동 감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화재발생시 튜브(50)가 파열되어 소화약제가 화재지점으로 자동 분출되는 화이어트레스(Fire TRACE)를 건물내부에 설치하되, 파열되어 소화약제가 분출되는 튜브(50)가 콘트롤부(51)에 의해 조절되며, 콘트롤부(51)는 케이블에 의해 감지된 데이타값이 PC(40)에 전송되어 모니터링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때, 콘트롤부(51)는 버퍼(30)를 통해 감지된 데이타값이 디지탈신호로 변 환되어 숫자나 그래프로 표시되거나 또는, 경고음으로 발생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화용기내 소화약제의 모니터링 자동 감지장치의 실시예에 대한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내의 소정 위치에 화재진압을 위한 소화용기(2)를 각각 설치하되, 로드셀엠프(20)에 의해 소화용기(2) 사용에 따른 무게 변화량을 감지, 측정할 수 있도록 설치하고, 각각의 로드셀(20)에는 통신선으로 버퍼(30)를 연결하여 측정된 무게 변화량에 대한 데이타값을 디지탈신호화하며, 각각의 버퍼(30)를 중앙제어를 위한 PC(40)와 연결하면, 화재발생시 각각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소화용기(2)를 감지하여 정상적인 작동상태를 감시할 수 있고, 특히, 화재진압을 위해 소화용기(2)내에 담겨진 소화약제의 자연누설상태를 자동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화재진압을 위해 소화용기(2)에 담겨진 소화약제가 누설되면, 누설되어진 소화약제량 만큼 소화용기(2)의 무게가 줄어들게 되며, 소화용기(2)의 무게 변화량이 로드셀엠프(20)에 의해 측정되어 버퍼(30)를 통해 PC(40)에 입력되는 것이다.
이때, PC(40)에 입력된 소화용기(2)의 무게변화량에 따른 데이타값은 모니터링되어 나타나게 되는 바, 각각의 소화용기(2)에 대한 데이타값이 숫자형태로 표시되거나, 또는 그래프형태로 표시되어, 각각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진 소화용기(2) 상태를 동시에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용기(2)의 무게변화량에 따른 PC(40)의 모니터링은 도 3(a),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자 또는 그래프형태로 나타나게 되는 것으로서, 먼저, 숫자로 나타내는 경우에는 도 3(a)에서와 같이, 건물내부를 A, B, C, D 등의 구역으로 설정되어 각각의 구역에 1∼32개의 소화용기가 설치되며, 각각의 소화용기에 대한 무게가 숫자로 표시되는 것이다.
PC에 나타나는 소화용기의 최대 중량은 '45'이며, 최소 중량은 '40'으로서, '45'로 나타내는 소화용기는 소화약제가 만충된 상태이고, 숫자 '40'으로 나타내는 소화용기는 소화약제가 모두 소진되어 교환이 요구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즉, 도 3(a)에서는 일예로 약제가 충진된 소화용기들이 일측에 A구역, B구역, C구역 등으로 나열 표기되고, 이중 A구역의 5번 표시부에서 색깔표기로 점등되는 동시에 일측에 5번 소화용기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창이 표시되어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3(b)는 건물내부의 A, B, C, D 등의 구역내에 1∼32개의 소화용기가 설치되고, 각각의 소화용기내에 담겨진 소화약제량을 그래프형태로 나타내는 것으로서, 관리자가 모니터를 보면서 해당구역을 클릭한 후, 다시 해당 소화용기 번호를 클릭하면 소화용기의 약제 충진 상태가 그래프로 나타나 관리자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소화용기내에 소화약제가 모두 소진되어 교환이 요구되는 경우에 PC를 통해 숫자나 그래프로 모니터링 되도록 함은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버퍼를 통해 수신되는 디지탈신호를 이용하여, 경고등을 발광시키거나 경음장치를 이용하여 경고음이 발생되도록 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소화용기내 소화약제의 모니터링 자동 감지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약제가 담겨진 소화용기(2)에 튜브(50)를 연결하여 화재발생시 튜브(50)를 통해 소화약제가 화재지점으로 자동 파열·분출되어 화재진압이 이루어지도록 한 화이어트레스(Fire TRACE)에 있어, 튜브(50)를 제어하는 콘트롤부(51)를 버퍼(30)와 연결하고, 다시, 버퍼(30)를 PC(40)와 연결하여 감지된 튜브(50)의 데이타값을 PC(40)에 전송되도록 하므로서, 소화용기 뿐만 아니라, 소화약제가 분출되는 튜브(50)의 이상유무를 PC(40)를 통해 모니터링되도록 하여 자동 감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소화용기내의 소화약제가 자연누설되고 있는지 또는, 만충상태인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과 동일한 방법으로 설치하거나 소화약제 감지장치와 화이어트레스 감지장치를 병행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4의 도시에 있어서 일측의 소화용기는 케비닛 내에 설치되는 소화용기의 일예를 나타낸것이다.
즉, 도4의 도시는 약제를 만충시킨 용기는 어느 것이나 종합적으로 관리 할 수 있는 일 예를 나타냉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화용기내 소화약제의 모니터링 자동 감지장치를 이용함에 따라, 소화용기내의 소화약제 뿐만 아니라 LPG 용기내의 가스가 만충된 상태인지 아니면, 소모되어 교환이 요구되는 상태인지를 간편·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사용에 따른 편리함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소화용기내에 담겨진 소화약제의 잔량을 정밀하게 측정하여 정확한 교환시기를 감지하므로 서, 소화용기의 교환오류에 따른 소화약제의 손실을 줄이는 동시에 여러장소에 분포된 소화용기의 취급 및 관리에 따른 인력과 작업시간 및 비용을 최대한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소화용기(2)가 올려지고 충전된 소화약제의 무게를 감지하게 상판(11)과 받침판(12)사이에 설치된 로드셀(10)과, 로드셀로 감지된 무게 변화를 전기신호로 입력받은 데이터를 모니터에 출력하는 PC(40)와, 이 PC(40)를 통해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 소화약제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드셀(10)의 전면에 하드웨어 입출력부(21), 전원 및 방출LED(22), 주소DIP(Dual in-line Package)스위치(23), 무게표시LED(24), 연결단자(25) 및 통신선로통로(26)로 구성되어 통신선과 연결 설치되는 로드셀엠프(20)와;
    상기 다수 로드셀엠프(20)와 케이블로 연결되고 측정된 데이타 값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PC(40)로 전송하게 설치된 버퍼(30)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용기내 소화약제의 모니터링 자동 감지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050056322A 2005-06-28 2005-06-28 소화용기내 소화약제의 모니터링 자동 감지장치 KR100773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6322A KR100773517B1 (ko) 2005-06-28 2005-06-28 소화용기내 소화약제의 모니터링 자동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6322A KR100773517B1 (ko) 2005-06-28 2005-06-28 소화용기내 소화약제의 모니터링 자동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745A KR20070000745A (ko) 2007-01-03
KR100773517B1 true KR100773517B1 (ko) 2007-11-06

Family

ID=37868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6322A KR100773517B1 (ko) 2005-06-28 2005-06-28 소화용기내 소화약제의 모니터링 자동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3517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294B1 (ko) * 2009-09-07 2012-04-12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실시간 소화약제 무게감지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09820A (ko) * 2014-07-17 2016-01-27 이아름 교체 자동알림 기능을 이용한 소화기의 관리 통제 시스템
KR102132288B1 (ko) 2020-02-04 2020-07-09 (주)일선시스템 IoT 기능을 탑재한 소화 장치
KR102197304B1 (ko) 2020-02-04 2020-12-31 강정수 IoT 기반의 소화 장치를 이용한 통합 소방방재 장치 및 방법
KR102228765B1 (ko) 2020-05-13 2021-03-18 (주)일선시스템 화재 예지 기능을 탑재한 소화 장치
KR102253322B1 (ko) * 2021-03-02 2021-05-17 김낙원 소화 가스통의 약제량 확인장치
KR20210062401A (ko) * 2019-11-21 2021-05-31 주식회사 파라텍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 점검 장치
KR20210151386A (ko) 2020-06-05 2021-12-14 주식회사 이레소방엔지니어링 소화약제 압력게이지를 이용한 소화약제량 모니터링 시스템
KR20220145089A (ko) 2021-04-21 2022-10-28 (주)일선시스템 시각적 품질 확인이 가능한 소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87774B1 (en) * 2018-11-30 2023-12-27 Carrier Corporation Suppression tank scale and level determination
CN110732109B (zh) * 2019-09-24 2021-12-31 九江中船消防设备有限公司 一种船用消防灭火钢瓶压力自动化监测装置
WO2022132063A1 (en) * 2020-12-17 2022-06-23 Perkonas Müh. Ve Dan. Hi̇z. San. Ti̇c. Ltd. Şti̇. Fire extinguisher tracking system
CN113034860A (zh) * 2021-02-24 2021-06-25 江西省鹰潭市安防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大楼消防装置的智能安防系统及预警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9054A (ja) * 1996-03-11 1997-09-16 Union:Kk 消火器ケース
KR20000061414A (ko) * 1999-03-26 2000-10-16 최종동 이동식소화기 충전장치
KR200240324Y1 (ko) * 2001-03-20 2001-10-08 김엽래 소화용기내 소화약제 감지장치
KR200270119Y1 (ko) * 2001-12-18 2002-03-28 주식회사 그린센서 압력센서를 이용한 소화기 받침대
KR20040027534A (ko) * 2004-02-10 2004-04-01 정재묵 선형 화재감지튜브 및 무전원 자동 소화시스템
KR20050050868A (ko) * 2003-11-26 2005-06-01 김우식 소화기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과 그것의 통신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9054A (ja) * 1996-03-11 1997-09-16 Union:Kk 消火器ケース
KR20000061414A (ko) * 1999-03-26 2000-10-16 최종동 이동식소화기 충전장치
KR200240324Y1 (ko) * 2001-03-20 2001-10-08 김엽래 소화용기내 소화약제 감지장치
KR200270119Y1 (ko) * 2001-12-18 2002-03-28 주식회사 그린센서 압력센서를 이용한 소화기 받침대
KR20050050868A (ko) * 2003-11-26 2005-06-01 김우식 소화기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과 그것의 통신방법
KR20040027534A (ko) * 2004-02-10 2004-04-01 정재묵 선형 화재감지튜브 및 무전원 자동 소화시스템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294B1 (ko) * 2009-09-07 2012-04-12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실시간 소화약제 무게감지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09820A (ko) * 2014-07-17 2016-01-27 이아름 교체 자동알림 기능을 이용한 소화기의 관리 통제 시스템
KR101721822B1 (ko) * 2014-07-17 2017-03-30 김민주 교체 자동알림 기능을 이용한 소화기의 관리 통제 시스템
KR20210062401A (ko) * 2019-11-21 2021-05-31 주식회사 파라텍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 점검 장치
KR102312483B1 (ko) * 2019-11-21 2021-10-15 주식회사 파라텍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 점검 장치
KR102132288B1 (ko) 2020-02-04 2020-07-09 (주)일선시스템 IoT 기능을 탑재한 소화 장치
KR102197304B1 (ko) 2020-02-04 2020-12-31 강정수 IoT 기반의 소화 장치를 이용한 통합 소방방재 장치 및 방법
WO2021230531A1 (ko) 2020-05-13 2021-11-18 (주)일선시스템 화재 예지 기능을 탑재한 소화 장치
KR102228765B1 (ko) 2020-05-13 2021-03-18 (주)일선시스템 화재 예지 기능을 탑재한 소화 장치
KR20210139131A (ko) 2020-05-13 2021-11-22 (주)일선시스템 화재 예지 기능을 탑재한 소화 장치
KR20210151386A (ko) 2020-06-05 2021-12-14 주식회사 이레소방엔지니어링 소화약제 압력게이지를 이용한 소화약제량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53322B1 (ko) * 2021-03-02 2021-05-17 김낙원 소화 가스통의 약제량 확인장치
KR20220145089A (ko) 2021-04-21 2022-10-28 (주)일선시스템 시각적 품질 확인이 가능한 소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745A (ko) 2007-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3517B1 (ko) 소화용기내 소화약제의 모니터링 자동 감지장치
EP2335422B1 (en) A monitoring device for a fire-fighting equipment
US11648431B2 (en) Fire suppression system remote monitoring
KR101853631B1 (ko) 다중감시 및 선택 진화기능을 가진 자동소화장치
KR20140043316A (ko) 화재 안전 제어 시스템
KR20190085235A (ko) 가스소화설비 모니터링 및 스마트제어 시스템
KR20040027534A (ko) 선형 화재감지튜브 및 무전원 자동 소화시스템
KR101114294B1 (ko) 실시간 소화약제 무게감지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01170U (ko) 접점식 압력 게이지를 포함하는 소화 설비용 기동 용기함
JP2013085914A (ja) アラーム弁とそれを備えた消火設備および火災報知設備
TW201501086A (zh) 檢測系統及方法
KR102635977B1 (ko) 다중 방호구역을 위한 자동 소화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444363B1 (ko) 소화약제 압력게이지를 이용한 소화약제량 모니터링 시스템
US20210361991A1 (en) Fire Suppression System Remote Monitoring
US20220252223A1 (en) Device for measuring residual amounts in high-pressure container in which liquefied gas is stored, and high-pressure container management system in which same is mounted
KR102332919B1 (ko) 소방펌프 및 소방밸브 등의 압력표시 기능이 있는 화재 수신기
US20220314048A1 (en) Battery operated fire extinguisher
KR200240324Y1 (ko) 소화용기내 소화약제 감지장치
JP6415832B2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KR101713519B1 (ko) 중량 표시장치가 구비된 소화기 거치대
KR20110020041A (ko) 화재 감지기 무선 연동 시스템
US20150137980A1 (en) Fully mechanical pneumatic excessive heat or/and fire line-type detector, and system, methods, applications thereof
KR101373046B1 (ko) 액화 가스가 저장된 고압용기의 잔량측정기 및 이를 장착한 고압용기의 관리시스템
CN111954561B (zh) 具有检测系统的免维修灭火器
KR102617530B1 (ko) 시각적 품질 확인이 가능한 소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9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11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0003006;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60928

Effective date: 2018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