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1386A - 소화약제 압력게이지를 이용한 소화약제량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화약제 압력게이지를 이용한 소화약제량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1386A
KR20210151386A KR1020200068136A KR20200068136A KR20210151386A KR 20210151386 A KR20210151386 A KR 20210151386A KR 1020200068136 A KR1020200068136 A KR 1020200068136A KR 20200068136 A KR20200068136 A KR 20200068136A KR 20210151386 A KR20210151386 A KR 20210151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extinguishing agent
gas container
piece
pressure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8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4363B1 (ko
Inventor
황환성
장선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레소방엔지니어링
장선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레소방엔지니어링, 장선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레소방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00068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4363B1/ko
Publication of KR20210151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1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4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4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50Testing or indicating device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readiness of the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2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 F17C13/025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having the pressure as the parame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2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 G01M3/2807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pipes
    • G01M3/2815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pipes using pressure measur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3Dealing with losses
    • F17C2260/035Dealing with losses of fluid
    • F17C2260/038Detecting leaked flui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화약제가 충전된 고압가스용기 각각에 구비되는 압력게이지와 전기적으로 누설감지체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고압가스용기의 하중감지가 아닌 고압가스용기 내부 압력이 떨어지는 것에 의해 압력게이지가 가변되는 동작에 의해 고압가스용기 내부에 충전된 소화약제의 누설을 감지할 수 있음에 따라 접점방식으로 설정값 이하의 압력저하 지점을 체크하여 소화약제의 누설을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압가스용기의 하중감지가 아닌 고압가스용기 내부 압력 변화를 감지하기 때문에 주변환경에 따라 달라지는 고압가스용기의 하중변화에 간섭을 받지 않으며 원거리에서 관리자가 쉽고 빠르게 소화약제 누설을 확인할 수 있어 소화약제의 누설에 따른 빠른 대처가 가능하며 누설감지체를 쉽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설치성은 물론 설치에 따른 비용절감을 유도할 수 있으며 기존 설치된 고압가스용기에 착용이 가능하여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소화약제 압력게이지를 이용한 소화약제량 모니터링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소화약제 압력게이지를 이용한 소화약제량 모니터링 시스템{monitoring system of fire extinguishing chemical in a fire extinguisher}
본 발명은 소화약제 압력게이지를 이용한 소화약제량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화약제가 충전된 고압저장용기에 구비된 압력게이지와 연결되어 압력게이지를 통해 전달되는 충전된 소화약제의 압력을 실시간 감지하고 이를 원거리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한 소화약제 압력게이지를 이용한 소화약제량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규모 빌딩이나 산업단지에 비상화재진압을 위해 설치되는 소화방재설비는 소화약제 용기저장실내에 다수의 고압저장용기에 소화약제를 충전시켜놓고 화재발생시 소화약제를 분사하여 화재진압을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고압저장용기에 충전된 소화약제를 화재 발생 시 화재구역에 일시에 방출하도록 필요한 소화성능을 얻는 가스계 소화시스템은 저장용기에 소화약제의 충전압력이 준비상태로 유지되어야만 원하는 소화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압저장용기에는 다양한 소화약제(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소화가스 등) 중의 하나가 충전되어 있다.
그러나 고압저장용기의 접합부 또는 방출부의 밸브(Valve), 솔레노이드(Solenoid), 조정기(Regulator), 패킹판(Packing plate), 호스(Hose)등이 노후 되거나 부식 또는 불량 등의 원인으로 해당 소화약제가 누설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이와 같이 저장용기 자체의 결함 또는 용기밸브의 불량 등으로 인하여 저장용기내의 소화약제가 누설되는 경우 즉시 이를 감지하여 조치를 취하지 않는 경우 비상 화재발생시 고압저장용기내의 소화약제의 부족 또는 부존에 따른 감압 현상으로 초기 화재진압이 불가능하게 되어 손실이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여러 지역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고압저장용기내에 소화약제의 충전상태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관리자가 수시로 직접 고압저장용기가 설치된 장소까지 가서 고압저장용기이 압력게이지를 육안으로 확인하여야 함에 따라 인력 및 시간에 따른 경제적 손실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해 원거리에서 자동으로 소화약제의 누설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 기술들이 안출되고 있다.
일예로 등록특허 10-0773517호인 소화용기내 소화약제의 모니터링 자동 감지장치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소화약제가 만충된 소화용기가 올려져 안착되는 상판과 받침판으로 이루어진 로드셀과, 로드셀의 전면에 위치되게 결합되고 통신선에 의해 연결되는 로드셀엠프와, 로드셀엠프가 케이블로 연결되어 측정된 데이타값을 디지탈신호화하여 전송하는 버퍼와, 버퍼로부터 전송된 디지탈신호를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숫자, 그래프 등으로 모니터링하는 PC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화용기내의 소화약제가 만충된 상태인지 아니면, 누수되어 보충이 요구되는 상태인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재 발생시 소화약제량 부족으로 인해 초기진압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다른 예로, 등록실용 20-0240324호인 소화용기내 소화약제 감지장치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소화용기내에 저장되어 있는 고압의 소화약제가 자연 누출되는 것을 감지하는 소화용기내 소화약제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화용기가 놓여 질 수 있도록 평판형의 상부패널, 상기 상부패널의 하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지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평판형의 베이스패널, 상기 상부패널과 상기 베이스패널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소화용기의 하중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화약제에 상관없이 설치하여 내용물의 자연감소를 확인할 수 있고 소화용기내의 소화약제를 숙련공에 의지하여 판별하던 것을 누구나 표시부만을 보고 소화용기의 내용물이 감소되었는지 안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소화약제를 항상 만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화재가 발생하여도 초기에 진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소화약제가 완충된 상태에서 고압저장용기의 하중을 감지하여 설정한 후 고압저장용기의 하중을 실시간 감지하고 설정값 이하로 고압저장용기의 하중 즉 전체적인 중량이 떨어지면 소화약제가 누설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고압저장용기의 하중을 감지하는 감지수단 예를 들어 로드셀을 복수개 구비된 고압저장용기의 하단에 각각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복수개 고압저장용기 하단 각각에 로드셀을 각각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기존 설치된 고압저장용기를 일일이 들어올린 상태에서 로드셀을 고압저장용기의 하단에 위치한 후 다시 고압저장용기를 로드셀 상면에 안착시키는 작업을 일일이 진행해야 함에 따라 설치성이 저하되고 설치작업에 따른 작업시간의 지연은 물론 비용 증대에 의한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압저장용기에 저장된 소화약제가 누설되더라도 고압저장용기 상단에 돌과 같은 이물질이 올려짐에 따라 고압저장용기가 눌러지거나 또는 로드셀 상면에 이물질이 안착되어 로드셀이 눌러질 경우에는 고압저장용기의 하중값이 제대로 감지되지 않기 때문에 오작동이 발생되어 소화약제의 누설을 빠르게 대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등록특허 10-0773517호(2007.10.30. 등록) 특허문헌 2 : 대한민국등록실용 20-0240324호(2001.07.18. 등록)
본 발명은 고압저장용기의 하중변화에 따라 소화약제의 누설을 감지하는 로드셀을 이용한 감지장치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화약제가 충전되는 고압가스용기에 구비된 압력게이지와 연결되는 누설감지체의 전원이 차단되었다가 압력게이지의 압력표시편이 하강되었을 때 전기적인 접점에 의해 누설감지체에 전원이 공급되어 고압가스용기 내부에 충전된 소화약제의 누설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소화약제의 누설을 관리자단말기측으로 송신하여 원거리에서 쉽고 용이하게 소화약제 누설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 소화약제 압력게이지를 이용한 소화약제량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소화약제 압력게이지를 이용한 소화약제량 모니터링 시스템은, 용기보관체에 복수개 설치 수용되고 소화약제가 충전된 고압가스용기에 각각 구비되어 고압가스용기 내부에 소화약제가 충전되면 승강되고 고압가스용기 내부 압력이 떨어지면 하강되는 압력표시편을 갖는 압력게이지 내부에 구비되어 고압가스용기 내부에 충전된 소화약제가 누설되는 것에 의한 고압가스용기 내부 압력이 떨어지는 것에 의해 상기 압력표시편이 하강되어 접지되는 감지접지편과; 상기 감지접지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압력게이지 외부측으로 노출되는 접점단자와; 상기 압력게이지의 접점단자와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고 전원공급이 차단되었다가 압력게이지에 구비된 압력표시편이 하강되어 상기 감지접지편에 접지되면 전원이 공급되는 감지제어부를 갖는 복수개 누설감지체와; 상기 복수개 누설감지체와 무선으로 각각 연결되는 무선공유송신부가 구비되고 상기 무선공유송신부에 의해 송신된 복수개 누설감지체의 고유아이디를 각각 저장하는 아이디저장부가 구비되며 상기 고압가스용기 내부 압력이 떨어져 압력표시편이 하강됨에 따라 상기 압력표시편이 감지접지편과 접지되어 누설감지체에 전원이 공급되면 복수개 누설감지체 중 전원이 공급된 누설감지체의 고유아이디를 감지하는 메인스테이션과; 상기 메인스테이션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메인스테이션에 의해 감지된 누설감지체의 고유아이디를 전송받는 관리자단말기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누설감지체는, 용기보관체에 구비된 앵글에 고정되고 전면이 개방되며 가장자리에 덮개고정구멍이 각각 구비되며 상단에 전선인출부가 구비된 몸체와; 상기 몸체 내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스테이션의 무선송수신부와 전기적으로 무선 연결되는 감지제어부와; 상기 몸체 내부 타측에 구비되고 감지제어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감지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고압가스용기 내부 압력이 떨어져 압력표시편이 하강됨에 따라 상기 압력표시편이 감지접지편과 접지되면 이를 표시하는 표시램프와; 상기 몸체의 개방된 전면에 밀착되어 덮개고정구멍에 각각 피스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표시램프가 돌출되는 덮개와; 상기 몸체의 전선인출부를 관통하여 일측은 상기 감지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압력게이지의 감지접지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게이지접지구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소화약제가 충전된 고압가스용기 각각에 구비되는 압력게이지와 전기적으로 누설감지체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고압가스용기의 하중감지가 아닌 고압가스용기 내부 압력이 떨어지는 것에 의해 압력게이지가 가변되는 동작에 의해 고압가스용기 내부에 충전된 소화약제의 누설을 감지할 수 있음에 따라 접점방식으로 설정값 이하의 압력저하 지점을 체크하여 소화약제의 누설을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압가스용기의 하중감지가 아닌 고압가스용기 내부 압력 변화를 감지하기 때문에 주변환경에 따라 달라지는 고압가스용기의 하중변화에 간섭을 받지 않으며 원거리에서 관리자가 쉽고 빠르게 소화약제 누설을 확인할 수 있어 소화약제의 누설에 따른 빠른 대처가 가능하며 누설감지체를 쉽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설치성은 물론 설치에 따른 비용절감을 유도할 수 있으며 기존 설치된 고압가스용기에 착용이 가능하여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소화약제 압력게이지를 이용한 소화약제량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소화약제 압력게이지를 이용한 소화약제량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요부 확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소화약제 압력게이지를 이용한 소화약제량 모니터링 시스템의 메인스테이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소화약제 압력게이지를 이용한 소화약제량 모니터링 시스템에 의해 고압가스용기의 압력게이지 압력저하 상태를 나타낸 개념작용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소화약제 압력게이지를 이용한 소화약제량 모니터링 시스템의 전체 구성 일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소화약제 압력게이지를 이용한 소화약제량 모니터링 시스템의 전체 구성 다른 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소화약제 압력게이지를 이용한 소화약제량 모니터링 시스템의 누설감지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소화약제 압력게이지를 이용한 소화약제량 모니터링 시스템의 누설감지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약제 압력게이지를 이용한 소화약제량 모니터링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감지접지편(10)과 접접단자(20), 누설감지체(30), 메인스테이션(40) 및 관리자단말기(50)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감지접지편(10)은, 용기보관체(101)에 복수개 설치 수용되고 소화약제가 충전된 고압가스용기(102)에 각각 구비되어 고압가스용기(102) 내부에 소화약제가 충전되면 승강되고 고압가스용기(102) 내부 압력이 떨어지면 하강되는 압력표시편(103)을 갖는 압력게이지(104) 내부에 구비되어 고압가스용기(102) 내부에 충전된 소화약제가 누설되는 것에 의한 고압가스용기(102) 내부 압력이 떨어지는 것에 의해 상기 압력표시편(103)이 하강되어 접지된다.
즉, 고압가스용기(102)의 내부 압력을 감지하도록 구비된 압력게이지(104) 내부에 구비되어 고압가스용기(102)의 내부 압력이 떨어짐에 따라 압력게이지(104)의 압력표시편(103)이 하강되면 상기 감지접지편(10)과 압력표시편(103)이 서로 접점된다.
이 때, 압력표시편(103)이 하강되는 이유는 고압가스용기(102)의 내부압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이는 고압가스용기(102)에 충전된 소화약제의 누설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고압가스용기(102)에 충전된 소화약제가 누설되면 압력표시편(103)이 감지접지편(10)측으로 하강되어 감지접지편(10)에 압력표시편(103)이 접점된다.
상기 접점단자(20)는 상기 감지접지편(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압력게이지(104) 외부측으로 노출되는 것으로, 감지접지편(10)에 압력표시편(103)이 접점되면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점점단자(20)에 전달한다.
상기 누설감지체(30)는, 상기 압력게이지(104)의 접점단자(20)와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고 전원공급이 차단되었다가 압력게이지(104)에 구비된 압력표시편(103)이 하강되어 상기 감지접지편(10)에 접지되면 전원이 공급되는 감지제어부(32)가 구비된다.
이 때 누설감지체(30)는, 용기보관체(101)에 복수개 설치 수용되고 소화약제가 충전된 복수개 고압가스용기(102)에 각각 구비된 압력게이지(104)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복수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메인스테이션(40)은, 상기 복수개 누설감지체(30)와 무선으로 각각 연결되는 무선공유송신부(41)가 구비되고 상기 무선공유송신부(41)에 의해 송신된 복수개 누설감지체(30)의 고유아이디를 각각 저장하는 아이디저장부(42)가 구비되며 상기 고압가스용기(102) 내부 압력이 떨어져 압력표시편(103)이 하강됨에 따라 상기 압력표시편(103)이 감지접지편(10)과 접지되어 누설감지체(30)에 전원이 공급되면 복수개 누설감지체(30) 중 전원이 공급된 누설감지체(30)의 고유아이디를 감지한다.
또한 상기 관리자단말기(50)는, 상기 메인스테이션(40)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메인스테이션(40)에 의해 감지된 누설감지체(30)의 고유아이디를 전송받아 누설감지체(30)가 각각 연결된 복수개 고압가스용기(102) 중 소화약제가 누설되어 압력이 떨어진 고압가스용기(102)를 파악한다.
이 때, 상기 관리자단말기(50)는 상기 메인스테이션(40)과 유선으로 연결되는 데스크탑 또는 노트북이거나 또는 상기 메인스테이션(40)과 무선으로 연결되는 스마트폰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SMS(Short Message Service), 인터넷을 통한 통신 데이터로 관리자단말기(50)에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고압가스용기(102)에 충전된 소화약제가 누설되어 고압가스용기(102) 내부 압력이 떨어지면 압력게이지(104)의 압력표시편(103)이 하강된다.
또한 압력표시편(103)이 하강되어 압력게이지(104) 내부에 구비된 감지접지편(10)과 압력표시편(103)이 접점되면, 이를 접점단자(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누설감지체(30)의 감지제어부(32)가 감지하여 메인스테이션(40)에 이를 무선으로 송신하여 전달한다.
또한, 메인스테이션(40)에 전달된 누설감지체(30)의 감지신호는 무선 또는 유선에 의해 관리자단말기(50)에 전달되어 관리자로 하여금 고압가스용기(102)의 소화약제 누설을 확인한다.
이 때, 메인스테이션(40)에 의해 복수개 누설감지체(30) 중 메인스테이션(40)의 아이디저장부(42)에 저장된 누설감지체(30)의 고유아이디가 관리자단말기(50)에 전달되기 때문에 관리자는 복수개 고압가스용기(102) 중 소화약제가 누설된 고압가스용기(102)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스테이션(40)은, 무선공유송신부(41)에 의해 송신된 복수개 누설감지체(30)의 고유아이디를 각각 저장하는 아이디저장부(42)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개 누설감지체(30)와 각각 연결된 압력게이지(104) 중 압력표시편(103)과 접점된 감지접지편(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점단자(20)와 연결된 누설감지체(30)의 고유아이디를 감지하여 이를 관리자단말기(50)에 전달함에 따라 관리자로 하여금 복수개 고압가스용기(102) 중 소화약제가 누설된 고압가스용기(102)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고압가스용기의 하중감지가 아닌 고압가스용기(102) 내부 압력이 떨어지는 것에 의해 압력게이지(104)의 압력표시편(103)이 하강되는 동작에 의해 고압가스용기(102) 내부에 충전된 소화약제의 누설을 감지할 수 있음에 따라 정교하고 정확한 소화약제의 누설을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압가스용기(102)의 하중감지가 아닌 고압가스용기(102) 내부 압력 변화를 감지하여 소화약제 누설을 확인할 수 있어 주변 환경에 따라 달라지는 고압가스용기의 하중변화에 간섭을 받지 않으며 원거리에서 관리자가 쉽고 빠르게 소화약제 누설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누설감지체(30)는, 용기보관체(101)에 구비된 앵글(105)에 고정되고 전면이 개방되며 가장자리에 덮개고정구멍(31a)이 각각 구비되며 상단에 전선인출부(31b)가 구비된 몸체(31)와, 상기 몸체(31) 내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스테이션(40)의 무선송수신부(41)와 전기적으로 무선 연결되는 감지제어부(32)와, 상기 몸체(31) 내부 타측에 구비되고 감지제어부(32)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33)와, 상기 감지제어부(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고압가스용기(102) 내부 압력이 떨어져 압력표시편(103)이 하강됨에 따라 상기 압력표시편(103)이 감지접지편(10)과 접지되면 이를 표시하는 표시램프(34)와, 상기 몸체(31)의 개방된 전면에 밀착되어 덮개고정구멍(31a)에 각각 피스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표시램프(34)가 돌출되는 덮개(35)와, 상기 몸체(31)의 전선인출부(31b)를 관통하여 일측은 상기 감지제어부(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압력게이지(104)의 감지접지편(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점단자(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게이지접지구(36)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덮개(35)는 한정하는 것은 물론 아니나 몸체(31)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33)는, 상기 감지제어부(32)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평소에는 전원을 차단하였다가 상기 압력표시편(103)이 감지접지편(10)과 접지되었을 때 전원을 감지제어부(32)에 공급하여 감지제어부(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무선송수신부(41)를 통해 메인스테이션(40)에 감지여부를 송신한다.
또한, 상기 감지제어부(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표시램프(34)에 전원을 인가하여 표시램프(34)를 발광시키는 것으로, 상기 표시램프(34)는 압력표시편(103)이 감지접지편(10)과 접지되면 발광되어 누설감지체(30)에 의해 고압가스용기(102) 내부의 소화약제가 누설됨을 외부에서 쉽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자로 하여금 복수개 구비되는 누설감지체(30) 중 표시램프(34)가 발광된 누설감지체(30)를 쉽게 찾아 고압가스용기(102)의 소화약제 누설에 따른 빠른 대처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복수개 고압가스용기(102)가 보관되는 용기보관체(101)에 구비된 앵글(105)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용기보관체(101)에 구비된 앵글(105)에 누설감지체(30)의 몸체(31)를 고정 설치할 수 있음에 따라 기 설치된 고압가스용기에도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 설치에 따른 비용절감을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감지접지편 20 : 접점단자
30 : 누설감지체 31 : 몸체
31a : 덮개고정구멍 31b : 전선인출부
32 : 감지제어부 33 : 전원공급부
34 : 표시램프 35 : 덮개
36 : 게이지접지구 40 : 메인스테이션
41 : 무선공유송신부 42 : 아이디저장부
50 : 관리자단말기
101 : 용기보관체 102 : 고압가스용기
103 : 압력표시편 104 : 압력게이지
105 : 앵글

Claims (3)

  1. 용기보관체(101)에 복수개 설치 수용되고 소화약제가 충전된 고압가스용기(102)에 각각 구비되어 고압가스용기(102) 내부에 소화약제가 충전되면 승강되고 고압가스용기(102) 내부 압력이 떨어지면 하강되는 압력표시편(103)을 갖는 압력게이지(104) 내부에 구비되어 고압가스용기(102) 내부에 충전된 소화약제가 누설되는 것에 의한 고압가스용기(102) 내부 압력이 떨어지는 것에 의해 상기 압력표시편(103)이 하강되어 접지되는 감지접지편(10)과;
    상기 감지접지편(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압력게이지(104) 외부측으로 노출되는 접점단자(20)와;
    상기 압력게이지(104)의 접점단자(20)와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고 전원공급이 차단되었다가 압력게이지(104)에 구비된 압력표시편(103)이 하강되어 상기 감지접지편(10)에 접지되면 전원이 공급되는 감지제어부를 갖는 복수개 누설감지체(30)와;
    상기 복수개 누설감지체(30)와 무선으로 각각 연결되는 무선공유송신부(41)가 구비되고 상기 무선공유송신부(41)에 의해 송신된 복수개 누설감지체(30)의 고유아이디를 각각 저장하는 아이디저장부(42)가 구비되며 상기 고압가스용기(102) 내부 압력이 떨어져 압력표시편(103)이 하강됨에 따라 상기 압력표시편(103)이 감지접지편(10)과 접지되어 누설감지체(30)에 전원이 공급되면 복수개 누설감지체(30) 중 전원이 공급된 누설감지체(30)의 고유아이디를 감지하는 메인스테이션(40)과;
    상기 메인스테이션(40)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메인스테이션(40)에 의해 감지된 누설감지체(30)의 고유아이디를 전송받는 관리자단말기(50)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약제 압력게이지를 이용한 소화약제량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단말기(50)는,
    상기 메인스테이션(40)과 유선으로 연결되는 데스크탑 또는 노트북이거나 또는 상기 메인스테이션(40)과 무선으로 연결되는 스마트폰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약제 압력게이지를 이용한 소화약제량 모니터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감지체(30)는,
    용기보관체(101)에 구비된 앵글(105)에 고정되고 전면이 개방되며 가장자리에 덮개고정구멍(31a)이 각각 구비되며 상단에 전선인출부(31b)가 구비된 몸체(31)와;
    상기 몸체(31) 내부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메인스테이션(40)의 무선송수신부(41)와 전기적으로 무선 연결되는 감지제어부(32)와;
    상기 몸체(31) 내부 타측에 구비되고 감지제어부(32)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33)와;
    상기 감지제어부(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고압가스용기(102) 내부 압력이 떨어져 압력표시편(103)이 하강됨에 따라 상기 압력표시편(103)이 감지접지편(10)과 접지되면 이를 표시하는 표시램프(34)와;
    상기 몸체(31)의 개방된 전면에 밀착되어 덮개고정구멍(31a)에 각각 피스결합되어 고정되고 상기 표시램프(34)가 돌출되는 덮개(35)와;
    상기 몸체(31)의 전선인출부(31b)를 관통하여 일측은 상기 감지제어부(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압력게이지(104)의 감지접지편(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점단자(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게이지접지구(36)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약제 압력게이지를 이용한 소화약제량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200068136A 2020-06-05 2020-06-05 소화약제 압력게이지를 이용한 소화약제량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44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136A KR102444363B1 (ko) 2020-06-05 2020-06-05 소화약제 압력게이지를 이용한 소화약제량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136A KR102444363B1 (ko) 2020-06-05 2020-06-05 소화약제 압력게이지를 이용한 소화약제량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1386A true KR20210151386A (ko) 2021-12-14
KR102444363B1 KR102444363B1 (ko) 2022-09-19

Family

ID=78935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8136A KR102444363B1 (ko) 2020-06-05 2020-06-05 소화약제 압력게이지를 이용한 소화약제량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43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45193A (zh) * 2023-01-18 2023-05-02 金宏气体股份有限公司 用于乙硅烷的储罐结构及其存储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0324Y1 (ko) 2001-03-20 2001-10-08 김엽래 소화용기내 소화약제 감지장치
KR100773517B1 (ko) 2005-06-28 2007-11-06 주식회사 건국이엔아이 소화용기내 소화약제의 모니터링 자동 감지장치
KR100794782B1 (ko) * 2006-12-29 2008-01-15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소화기 충전압력 자동경보 장치
KR200478634Y1 (ko) * 2015-06-03 2015-11-03 민이수 압력 부족 경보 소화기
KR20160001170U (ko) * 2014-09-30 2016-04-07 주식회사 에스엠티티 접점식 압력 게이지를 포함하는 소화 설비용 기동 용기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0324Y1 (ko) 2001-03-20 2001-10-08 김엽래 소화용기내 소화약제 감지장치
KR100773517B1 (ko) 2005-06-28 2007-11-06 주식회사 건국이엔아이 소화용기내 소화약제의 모니터링 자동 감지장치
KR100794782B1 (ko) * 2006-12-29 2008-01-15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소화기 충전압력 자동경보 장치
KR20160001170U (ko) * 2014-09-30 2016-04-07 주식회사 에스엠티티 접점식 압력 게이지를 포함하는 소화 설비용 기동 용기함
KR200478634Y1 (ko) * 2015-06-03 2015-11-03 민이수 압력 부족 경보 소화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45193A (zh) * 2023-01-18 2023-05-02 金宏气体股份有限公司 用于乙硅烷的储罐结构及其存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4363B1 (ko) 202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3517B1 (ko) 소화용기내 소화약제의 모니터링 자동 감지장치
US10627282B2 (en) Monitoring system for floating roof storage tank
US9377340B2 (en) Monitoring of floating roof tank
US20080168826A1 (en) Method and system for gas leak detection and localization
US10234327B2 (en) Calibration device
KR102444363B1 (ko) 소화약제 압력게이지를 이용한 소화약제량 모니터링 시스템
KR101754856B1 (ko) IoT 기술을 이용한 유무선 통합형 가스 센서 시스템
ITRM20080514A1 (it) Dispositivo di monitoraggio per un apparecchio antincendio.
US10323647B2 (en) Self-test methods and systems for submersible pump systems
SG190694A1 (en) Fire safety control system
CN112399875A (zh) 灭火系统远程监测
CN114842608A (zh) 火灾系统
CN110822163A (zh) 漏水保护器
CN112891810A (zh) 作战洞库内部消防气瓶的智能在线监测系统及监测方法
JP7460493B2 (ja) スプリンクラ装置、消火システム、スプリンクラバルブ、およびスプリンクラバルブの完全性を試験する方法
KR102459887B1 (ko) IoT 기반 장비 부착형 누액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040431B1 (ko) 소방 관리 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서의 오동작 방지 방법
KR101625080B1 (ko) 사이리스터 밸브 냉각용 배관 벨로우즈의 누수감지장치
KR101659558B1 (ko) 가스연료통 모니터링 시스템
JP2003088596A (ja) 消火剤貯蔵容器の減量検出装置
KR102483352B1 (ko) IoT 기반 장비 부착형 누액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0240324Y1 (ko) 소화용기내 소화약제 감지장치
KR102332919B1 (ko) 소방펌프 및 소방밸브 등의 압력표시 기능이 있는 화재 수신기
US10629055B1 (en) Digital water intrusion notification system
CN114430692B (zh) 自报告火抑制剂罐构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