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013Y1 - 소화기의 소화약제 감소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소화기의 소화약제 감소 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013Y1
KR200477013Y1 KR2020150000944U KR20150000944U KR200477013Y1 KR 200477013 Y1 KR200477013 Y1 KR 200477013Y1 KR 2020150000944 U KR2020150000944 U KR 2020150000944U KR 20150000944 U KR20150000944 U KR 20150000944U KR 200477013 Y1 KR200477013 Y1 KR 2004770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rod
hanger
bolt
housing
extinguish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09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영
Original Assignee
김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영 filed Critical 김진영
Priority to KR20201500009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0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0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01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52Weighing apparatu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e.g. furni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화기를 수평봉에 현가되게 하여 소화기의 저면이 바닥면에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게 하되, 상기 소화기를 행거클램프, 행거봉하우징, 행거봉 및 새들에 의해 저면이 바닥면에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게 하면서도, 소화기에 충전된 소화약제의 감소로 소화기의 무게가 감소되면, 행거봉의 터치면이 행거봉하우징의 상부면 저면에 위치하는 마이크로스위치의 접점인 동작로울러를 동작시킴과 동시에 LED가 점등되게 하여 경보케 하는 소화기의 소화약제 감소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화기의 소화약제 감소 경보장치{APPARATUS FOR ALARMING SYSTEM EXTINGUISHING AGENT OF FIRE EXTINGUISHER}
본 고안은 소화기의 소화약제 감소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화기를 수평봉에 현가 되게 하여 소화기의 저면이 바닥면에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게 하되, 상기 소화기를 행거클램프, 행거봉하우징, 행거봉 및 새들에 의해 저면이 바닥면에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게 하면서도, 소화기에 충전된 소화약제의 감소로 소화기의 무게가 감소되면, 행거봉의 터치면이 행거봉하우징의 상부면 저면에 위치하는 마이크로스위치의 접점인 동작로울러를 동작시킴과 동시에 LED가 점등되게 하여 경보케 하는 소화기의 소화약제 감소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화기의 소화약제로는 이산화탄소를 액화하여 충전하거나, 탄산수소의 할로겐화합물을 충전하게 된다.
상기 액화된 이산화탄소는 용기에서 방출되면 기화잠열에 의해서 자동냉각 되어 드라이아이스(Dry-ice) 상태가 되므로 냉각효과가 크고, 방출 후 가스 상태가 되므로 좁은 공간에도 잘 침투되며, 전기절연성으로 오손이 전혀 없기 때문에 통신기기, 컴퓨터설비 등 오손을 피해야 하거나 사용 후 정비나 수리가 곤란한 대상물에 적당하다.
상기 할로겐화합물은 액체나 기체 모두가 공기보다 무거운 불연성기체 또는 액체로서 연소물의 주위에 체류하여 질식소화 함과 동시에 연쇄반응에 있어서의 활성물질에 작용하여 그 활성을 빼앗아 연소 반응을 차단하는 억제작용에 냉각효과를 겸하여 소화시킨다.
종래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8-0007194호(2008년01월17일 공개)에 개시되어 있는 소화기의 상태 확인 장치는 소화기를 무게 측정부에 올려놓고, 소화약제가 부족한 경우 LED를 점등, 경보음 발생,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도록 하고 있는데, 상기의 경우 소화기를 반드시 무게 측정부에 올려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소화기를 수평봉에 현가 되게 하여 소화기의 저면이 바닥면에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게 하되, 상기 소화기를 행거클램프, 행거봉하우징, 행거봉 및 새들에 의해 저면이 바닥면에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게 하면서도, 소화기에 충전된 소화약제의 감소로 소화기의 무게가 감소되면, 행거봉의 터치면이 행거봉하우징의 상부면 저면에 위치하는 마이크로스위치의 접점인 동작로울러를 동작시킴과 동시에 LED가 점등되게 하여 경보케 하는 소화기의 소화약제 감소 경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소화기의 소화약제 감소 경보장치는 용기 내에 충전된 소화약제가 감소되면 경보하게 되는 소화약제 감소 경보장치에 있어서, 좁은 폭의 띠 형상 금속판체로 되는 외부클램프의 내부에 외부클램프 보다 더 좁은 폭의 띠 형상 금속판체로 되는 내부클램프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형성되되, 내부클램프와 외부클램프의 상부는 내주면에 수직상의 암나사가 형성된 행거봉하우징에 결합되고, 하부의 일 측은 고정조에 함께 연결되며, 하부의 다른 일 측은 내주면에 수평상의 암나사가 형성되는 한편 암나사에 조임볼트가 나사 결합되는 볼트하우징에 함께 연결되며, 상기 조임볼트의 단부에 가동조가 결합되어, 용기 상부의 공급구하우징 외주면의 나사부에 상기 고정조와 가동조가 결합되는 행거클램프와; 입구가 개방되는 한편,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부면 중앙에 볼트구멍을 갖는 행거판이 돌출 형성되며, 상부면에 수직으로 구멍이 형성되는 행거봉하우징과; 상기 행거봉하우징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동작로울러가 상기 구멍을 통해 행거봉하우징의 상부면 저면에 위치하게 되는 마이크로스위치와; 상기 마이크로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행거봉하우징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LED와; 터치면을 갖는 수평상의 디스크 저면 중앙에 나사부가 수직상으로 형성되고, 디스크가 상기 행거봉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며, 나사부가 행거봉하우징의 입구를 통해 외부에 위치되는 행거봉과; 중앙에 상기 행거봉의 나사부가 통과되게 하는 작동홀이 형성되고, 측면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행거봉하우징의 입구 내주면의 암나사에 나사 결합되는 세팅볼트와; 상기 행거봉의 디스크 저면과 상기 세팅볼트의 상부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용기의 무게를 지탱하게 되는 스프링과; 원호상의 행거부 양쪽에 제1 및 제2체결판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체결판이 상기 행거판과 체결볼트로 체결되어 상기 행거부가 수평상으로 설치되는 수평봉에 현가 되는 새들; 로 구성되고, 상기 용기의 저면이 상기 행거클램프, 행거봉, 새들에 의해 바닥면에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고, 용기의 소화약제가 누설되어 무게가 감소되면, 행거봉하우징의 스프링이 인장 되어 행거봉의 터치판이 작동공간에서 상승하게 되며, 터치면이 마이크로스위치의 접점인 동작로울러를 동작케 하여 마이크로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LED가 점등되어 경보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팅볼트는 용기에 충전된 소화약제의 감소량 감지 정도에 따라 상기 행거봉하우징의 암나사에 나사 조임 높낮이가 조절되게 하여, 용기의 무게에 따른 스프링의 압축량이 증가 또는 감소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기에 충전된 소화약제는 액화된 이산화탄소 또는 탄산수소의 할로겐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소화기 용기를 수평봉에 현가 되어 저면이 바닥면에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게 하면서도, 용기에 충전된 소화약제의 감소로 용기의 무게가 감소되면, LED가 점등되게 하여 경보케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소화기의 설치상태를 보인 일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주요부 일 측면도,
도 3은 도 2의 다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주요분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행거봉하우징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행거봉의 일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세팅볼트의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행거봉의 터치면이 마이크로스위치의 동작로울러에 접점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다음 본 고안을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겠다.
도 1 내지 도 3 에는 본 고안에 따른 소화기의 소화약제 감소 경보장치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소화기의 소화약제 감소 경보장치는 행거클램프(110)와, 행거봉하우징(120)과, 행거봉(130)과, 세팅볼트(140)로 구성되고, 행거봉하우징(120)의 행거판(121)과 결합되는 새들(150)에 의해 수평봉(160)에 현가 되어 설치되는데, 용기(10)의 저면이 설치되는 바닥면(F)과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에 있어, 상기 수평봉(160)은 브래킷에 의해 천장 등에 현가 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고, 수직기둥의 상부에 수평상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동이 가능항 행거의 수직기둥 상부에 수평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용기(10)는 도 4 도시와 같이 레버가 없는 타입으로 공급구(12)가 공급구하우징(11)에 중심에 설치되고, 공급구(12)에 솔레노이드밸브가 내장된 솔레노이드밸브하우징(13)이 설치되며, 솔레노이드밸브하우징(13)의 상부에는 핸들(13a)이 설치된다.
그리고 솔레노이드밸브하우징(13)의 일 측에는 방출구(14)가 형성되고, 이 방출구(14)에 도 3 도시와 같은 방출호스(14a)가 연결되며, 상기 솔레노이드밸브하우징(13) 내의 솔레노이드밸브에는 작동을 위한 전원이 공급되어, 화재시 솔레노이드밸브를 개방하게 된다.
상기 행거클램프(110)는 도 4 도시와 같이 좁은 폭의 띠 형상 금속판체로 되는 외부클램프(113)의 내부에 외부클램프(113) 보다 더 좁은 폭의 띠 형상 금속판체로 되는 내부클램프(112)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형성되는데, 내부클램프(112)와 외부클램프(113)의 상부는 행거봉하우징(111)에 의해 연결되고, 하부의 일 측은 고정조(114)에 의해 연결되며, 하부의 다른 일 측은 볼트하우징(116)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에 있어, 상기 내부클램프(112)는 도 2 도시와 같이 수평부(h)와 수직부(V)가 직각으로 절곡되어 "ㄱ" 자 형상을 이루는 제1내측부(112a)와 제2내측부(112b)로 되고, 상기 제1내측부(112a)의 수평부(h) 단부가 행거봉하우징(111)의 하단부 일 측면에 직각으로 결합되는 한편, 제2내측부(112b)의 수평부(h) 단부가 행거봉하우징(111)의 하단부 측면에 직각으로 결합되어 "∩" 형상을 이루게 되는데, 상기에 있어, 제1 및 제2내측부(112a)(112b)의 수평부(h) 단부는 상기 행거봉하우징(111)의 하단부 측면 좌, 우에 대칭 되게 결합된다.
상기 외부클램프(113)는 수평부(h)와 수직부(V)가 원호부(r)의 절곡부를 이루면서 "ㄱ" 자 형상을 이루는 제1내측부(113a)와 제2내측부(113b)로 되고, 상기 제1내측부(113a)의 수평부(h) 단부가 행거봉하우징(111)의 상단부 일 측면에 직각으로 결합되는 한편, 제2내측부(113b)의 수평부(h) 단부가 행거봉하우징(111)의 상단부 측면에 직각으로 결합되어 "∩" 자 형상을 이루게 되는데, 상기에 있어, 제1 및 제2내측부(113a)(113b)의 수평부(h) 단부는 상기 행거봉하우징(111)의 상단부 측면 좌, 우에 대칭 되게 결합된다.
따라서 외부클램프(113)와, 내부클램프(112)는 각각의 수평부(h)가 상, 하로 일정한 간격을 지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내측부(112a)의 수직부(v) 하단은 수평으로 설치되는 볼트하우징(116)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한편, 제1외측부(113a)의 수직부(v) 하단도 상기 볼트하우징(116)의 상부면에 결합되는데, 제1내측부(112a)의 수직부(v) 하단이 가동조(115)에 인접하게 되고, 제1외측부(113)의 수직부(v) 하단이 조임볼트(117)의 머리부에 인접하여 결합된다.
상기 제2내측부(112b)의 수직부(v) 하단은 고정조(114)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한편, 제2외측부(113b)의 수직부(v) 하단도 고정조(141)의 외측면에 결합되는데, 상기 제2내측부(112b)의 수직부(v) 하단 내측면이 고정조(114)에 먼저 결합되고, 제2내측부(112b)의 수직부(v) 하단 외측면에 상기 제2외측부(113b)의 수직부 하단 내측면이 결합된다.
따라서 외부클램프(113)와, 내부클램프(112)는 각각의 수직부(h)가 좌, 우로 일정한 간격을 지니게 된다.
상기에 있어, 행거봉하우징(111) 내주면의 암나사(111a)는 수직상으로 형성되고, 볼트하우징(116)의 암나사(116a)는 수평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볼트하우징(116)의 암나사(116a)에는 조임볼트(117)가 조임 되는데, 상기 조임볼트(117)의 단부에는 머리(117a)가 형성되어 가동조(115)의 수용홈(115a)에 삽입되어 이탈됨이 방지된다.
상기에 있어, 고정조(114)와 가동조(115)의 내측면에는 용기(10)의 공급구하우징(11)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와 동일한 나사가 형성된다.
상기 행거봉하우징(120)은 도 5 도시와 같이 아래의 입구(122)가 개방되는 원형통체로 형성되고, 입구(122)의 내주면에 암나사(122a)가 형성되며, 상부면(123)에 수직으로 구멍(123a)이 형성된다.
상기 행거봉하우징(120)의 내부공간에는 작동공간(124)이 형성되고, 상부면(123)의 중앙에는 수직으로 행거판(121)이 돌출 형성되며, 행거판(121)의 상단부에는 수평으로 볼트구멍(12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면(123)에는 마이크로스위치(125)가 설치되는데, 접점인 동작로울러(125a)가 상기 구멍(123a)을 통해 작동공간(124)의 내부 상부에 위치하게 되고, 마이크로스위치(125)가 설치되는 반대편 상부면(123)에는 LED(126)가 LED브래킷(126a)에 수평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마이크로스위치(125)의 단자와 상기 LED(126)의 단자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에 있어 마이크로스위치(125)는 통제실의 제어판에도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도 있다.
상기 행거봉(130)은 도 6 도시와 같이 수직상의 나사부(131) 상부에 디스크(132)가 수평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나사부(131)는 상기 디스크(132)의 저면 중앙에 수직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132)의 상부면에는 터치면(132a)이 형성된다.
상기 세팅볼트(140)는 도 7 도시와 같이 중앙에는 수직으로 작동홀(142)이 형성되고, 측면의 외주면에는 수나사(141)가 형성되는데, 상기 행거봉(130)의 나사부(131)의 하단부가 상기 작동홀(142)을 통해 외부에 노출 된다.
상기 세팅볼트(140)는 용기(10)에 충전된 소화약제의 감소량 감지 정도에 따라 상기 행거봉하우징(120)의 암나사(122a)에 나사 조임 높낮이가 조절되어, 용기(10)의 무게에 따른 스프링(S)의 압축량을 증가 또는 감소하게 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본 고안은 행거봉하우징(120)에 행거봉(130)과, 새들(150)이 결합되고, 행거봉(130)이 행거클램프(110)에 결합되며, 용기(10)의 공급구하우징(11)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에 행거클램프(110)의 고정조(114)와 가동조(1115)가 결합되어, 상기 새들(150)이 수평봉(160)에 현가됨으로써, 상기 용기(10)의 저면에 바닥면에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에 있어, 행거봉하우징(120)에 결합되는 행거봉(130)은 나사부(131)가 세팅볼트(140)의 작동홀(142)을 관통되게 하되, 디스크(132)의 저면과 세팅볼트(140)의 상부면 사이에 스프링(S)이 개재되게 한 후, 상기 세팅볼트(140)의 수나사(141)가 행거봉하우징(120) 입구(122)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122a)에 나사 결합되게 함으로써, 상기 디스크(132)와 스프링(S)이 작동공간(124)에 위치하게 되고, 나사부(131)의 하단부는 작동홀(14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작동홀(142)의 외부에 노출 된 나사봉(131)을 행거클램프(110)의 행거봉하우징(111)에 나사 결합되게 하되, 먼저 나사봉(131)에 체결너트(111b)가 체결되게 한 상태에서 행거봉하우징(111)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111a)에 나사 결합되게 하면 된다.
이어서 상기 행거봉하우징(120)의 행거판(121)에 새들(150)이 결합되게 하되, 새들(150)의 제1 및 제2체결판(152)(153)의 볼트구멍이 행거판(121)의 볼트구멍(121a)과 일치되게 한 후, 체결볼트(152)를 체결되게 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행거봉하우징(120)의 하부에는 행거클램프(110)가 결합되게 하고, 상부에는 새들(150)이 결합되게 한 후, 행거클램프(110)의 고정조(114)가 공급구하우징(11)의 나사부 일 측에 위치되게 하고, 다른 일 측 나사부에 가동조(115)가 위치되게 하여 조임볼트(117)를 조임 하여 가동조(115)와 고정조(114)가 공급구하우징(11)의 나사부에 고정되게 하면 된다.
이어서 상기 용기(10)를 들어 새들(150)의 행거부(151)가 수평봉(160)에 현가되게 하면 용기(10)의 저면이 설치되는 바닥면과 이격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수평봉(160)에 현가되어 설치되는 용기(10)의 소화약제가 정상 중량일 때에는 도 4 도시와 같이 행거봉(130)의 터치면(132a)과, 마이크로스위치(125)의 동작로울러(125a) 사이에 틈새가 유지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용기(10)의 소화약제가 설정된 양만큼 누설되어 용기(10)의 무게가 감소되면, 도 8 도시와 같이 행거봉하우징(120)의 스프링(S)이 감소된 무게만큼 인장되어 행거봉(130)의 터치판(132)이 작동공간(124)에서 상승하게 되고, 이어 터치면(132a)이 마이크로스위치(125)의 접점인 동작로울러(125a)를 동작케 하여 마이크로스위치(1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LED(126)가 점등되어 용기(10)의 소화약제 부족을 표시하게 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통제실 등에 알람을 표시하게 된다.
110 : 행거클램프 111 : 행거봉하우징
111a,122a : 암나사 112 : 내부클램프
113 : 외부클램프 114 : 고정조
115 : 가동조 115a : 수용홈
116 : 볼트하우징 117 : 조임볼트
117a : 머리 120 : 행거봉하우징
121 : 행거판 121a : 볼트구멍
122 : 입구 123 : 상부면
123a : 구멍 124 : 작동공간
130 : 행거봉 131 : 나사부
132 : 디스크 132a : 터치면
140 : 세팅볼트 141 : 수나사
142 : 작동홀 150 : 새들
151 : 행거부 152 : 제1체결판
153 : 제2체결판 154 : 체결볼트
160 : 수평봉

Claims (3)

  1. 용기 내에 충전된 소화약제가 감소되면 경보하게 되는 소화약제 감소 경보장치에 있어서,
    좁은 폭의 띠형상 금속판체로 되는 외부클램프(113)의 내부에 외부클램프(113) 보다 더 좁은 폭의 띠형상 금속판체로 되는 내부클램프(112)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형성되되, 내부클램프(112)와 외부클램프(113)의 상부는 내주면에 수직상의 암나사(111a)가 형성된 행거봉하우징(111)에 결합되고, 하부의 일 측은 고정조(114)에 함께 연결되며, 하부의 다른 일 측은 내주면에 수평상의 암나사(116a)가 형성되는 한편 암나사(116a)에 조임볼트(117)가 나사 결합되는 볼트하우징(116)에 함께 연결되며, 상기 조임볼트(117)의 단부에 가동조(115)가 결합되어, 용기(10) 상부의 공급구하우징(11) 외주면의 나사부에 상기 고정조(114)와 가동조(115)가 결합되는 행거클램프(110)와; 입구(122)가 개방되는 한편, 내주면에 암나사(122a)가 형성되고, 상부면(123) 중앙에 볼트구멍(121a)을 갖는 행거판(121)이 돌출 형성되며, 상부면(123)에 수직으로 구멍(123a)이 형성되는 행거봉하우징(120)과; 상기 행거봉하우징(120)의 상부면(123)에 설치되고, 동작로울러(125a)가 상기 구멍(123a)을 통해 행거봉하우징(120)의 상부면(123) 저면에 위치하게 되는 마이크로스위치(125)와; 상기 마이크로스위치(1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행거봉하우징(120)의 상부면(123)에 설치되는 LED(126)와; 터치면(132a)을 갖는 수평상의 디스크(132) 저면 중앙에 나사부(131)가 수직상으로 형성되고, 디스크(132)가 상기 행거봉하우징(120)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며, 나사부(131)가 행거봉하우징(120)의 입구를 통해 외부에 위치되는 행거봉(130)과; 중앙에 상기 행거봉(130)의 나사부(131)가 통과되게 하는 작동홀(142)이 형성되고, 측면 외주면에 수나사(141)가 형성되어 상기 행거봉하우징(120)의 입구(122) 내주면의 암나사(122a)에 나사 결합되는 세팅볼트(140)와; 상기 행거봉(130)의 디스크(132) 저면과 상기 세팅볼트(140)의 상부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용기(10)의 무게를 지탱하게 되는 스프링(S)과; 원호상의 행거부(151) 양쪽에 제1 및 제2체결판(152)(153)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체결판(152)(153)이 상기 행거판(121)과 체결볼트(154)로 체결되어 상기 행거부(151)가 수평상으로 설치되는 수평봉(160)에 현가되는 새들(150);로 구성되고, 상기 용기(10)의 저면이 상기 행거클램프(110), 행거봉(120), 새들(150)에 의해 바닥면에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고, 용기(10)의 소화약제가 누설되어 무게가 감소되면, 행거봉하우징(120)의 스프링(S)이 인장되어 행거봉(130)의 터치판(132)이 작동공간(124)에서 상승하게 되며, 터치면(132a)이 마이크로스위치(125)의 접점인 동작로울러(125a)를 동작케 하여 마이크로스위치(1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LED(126)가 점등되어 경보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소화기의 소화약제 감소 경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팅볼트(140)는 용기(10)에 충전된 소화약제의 감소량 감지 정도에 따라 상기 행거봉하우징(120)의 암나사(122a)에 나사 조임 높낮이가 조절되게 하여, 용기(10)의 무게에 따른 스프링(S)의 압축량이 증가 또는 감소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의 소화약제 감소 경보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10)에 충전된 소화약제는 액화된 이산화탄소 또는 탄산수소의 할로겐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의 소화약제 감소 경보장치.
KR2020150000944U 2015-02-10 2015-02-10 소화기의 소화약제 감소 경보장치 KR2004770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944U KR200477013Y1 (ko) 2015-02-10 2015-02-10 소화기의 소화약제 감소 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0944U KR200477013Y1 (ko) 2015-02-10 2015-02-10 소화기의 소화약제 감소 경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013Y1 true KR200477013Y1 (ko) 2015-05-04

Family

ID=53434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0944U KR200477013Y1 (ko) 2015-02-10 2015-02-10 소화기의 소화약제 감소 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01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8608B1 (ko) * 2015-10-13 2017-05-22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소화약제 누출 감시장치
KR102253322B1 (ko) * 2021-03-02 2021-05-17 김낙원 소화 가스통의 약제량 확인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1875A (ja) * 1993-02-17 1994-09-02 Tokimec Inc 消火薬剤量監視装置
KR200270119Y1 (ko) * 2001-12-18 2002-03-28 주식회사 그린센서 압력센서를 이용한 소화기 받침대
KR101250453B1 (ko) * 2011-09-28 2013-04-29 주식회사 하이텍 기밀 누출 경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1875A (ja) * 1993-02-17 1994-09-02 Tokimec Inc 消火薬剤量監視装置
KR200270119Y1 (ko) * 2001-12-18 2002-03-28 주식회사 그린센서 압력센서를 이용한 소화기 받침대
KR101250453B1 (ko) * 2011-09-28 2013-04-29 주식회사 하이텍 기밀 누출 경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8608B1 (ko) * 2015-10-13 2017-05-22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소화약제 누출 감시장치
KR102253322B1 (ko) * 2021-03-02 2021-05-17 김낙원 소화 가스통의 약제량 확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7013Y1 (ko) 소화기의 소화약제 감소 경보장치
KR102071184B1 (ko) 배전반의 열화방지 및 화재 진압 시스템
US9539453B2 (en) Cartridge monitoring system
JP4554617B2 (ja) 火災を防止し消火するための装置
KR200469378Y1 (ko) 소화기 유무 확인 장치
JP2002245565A (ja) 火災災害予防総合保安装置
CN212135613U (zh) 一种建筑消防报警装置
CN112736677A (zh) 一种配电柜及其配电柜用温控监测系统
KR200385321Y1 (ko) 수소연료 공급라인의 역화방지장치
CN213276906U (zh) 一种变电运维安全报警装置
CN206762106U (zh) 柜式七氟丙烷气体灭火装置
CN212941074U (zh) 一种基于物联网控制的排烟防火通风系统结构
KR102014745B1 (ko) 소화약제 감소를 감지하기 위한 소화약제 저장용기 거치장치 및 그 방법
CN111734953A (zh) 一种低温工作空间用燃气检测处理装置
CN217034905U (zh) 一种可对有害气体进行检测和过滤的应急灯
CN218040259U (zh) 一种自动报警与灭火为一体的配电箱
CN210542970U (zh) 一种液晶屏清洗用防爆有机液清洗装置
JP4827572B2 (ja) 高膨張泡消火設備
KR200155247Y1 (ko) 소방설비용 개폐밸브의 개폐감지장치
CN220495473U (zh) 灭火器压力检测报警装置
CN213188750U (zh) 一种防爆柜
CN210321808U (zh) 一种防摔的抗震支吊架检测装置
CN214181528U (zh) 带疏散指示及灭火器结构的组合式消防柜
CN211068853U (zh) 一种多功能防盗消防箱
PT2998002T (pt) Sistema de extinção de gás iner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