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0453B1 - 기밀 누출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기밀 누출 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0453B1
KR101250453B1 KR1020110098363A KR20110098363A KR101250453B1 KR 101250453 B1 KR101250453 B1 KR 101250453B1 KR 1020110098363 A KR1020110098363 A KR 1020110098363A KR 20110098363 A KR20110098363 A KR 20110098363A KR 101250453 B1 KR101250453 B1 KR 101250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ain body
compressed air
communication hol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8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4383A (ko
Inventor
임선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텍
Priority to KR1020110098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0453B1/ko
Publication of KR20130034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4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62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a single permanently pressurise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2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소화기에 사용되는 압력탱크 내부의 충전압력의 적정상태 여부를 시각뿐만 아니라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압력탱크 내부의 압축가스가 누출되어 압력탱크 내부의 압력이 떨어지게 되면 압력탱크에 장착된 경보장치가 작동하여 사용자에게 압축가스 누출을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인지하게 하는 기밀 누출 경보장치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밀 누출 경보장치{Gas tight leakage walking device}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소화기에 사용되는 압력탱크 내부의 충전압력의 적정상태 여부를 시각뿐만 아니라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압력탱크 내부의 압축가스가 누출되어 압력탱크 내부의 압력이 떨어지게 되면 압력탱크에 장착된 경보장치가 작동하여 사용자에게 압축가스 누출을 시각 또는 청각적으로 인지하게 하는 기밀 누출 경보장치 관한 것이다.
현재 소방시설 설치대상이 다가구 주택인 아파트나 일반주택은 물론 화재에 취약한 소규모 건축물에서 기초소방시설 설치를 의무화 하고 있다. 일반 가정에서 흔히 사용하는 소화기는 축압식 소화기로서 이러한 축압식 소화기의 몸체는 통상 압력에 잘 견딜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에는 다량의 소화약재와 질소나 이산화탄소 같은 불연성 가스를 압축하여 충전하는 압력탱크로 제작된다. 압력탱크는 시간이 지나면 압력탱크를 밀폐하던 고무패킹이나 용접부분이 노후되어 미세한 틈이 발생되며 상기한 미세한틈 사이로 기체나 불연성가스가 누출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처럼 압력탱크 내부의 압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소화기 본체 헤드상에 결합되어 소화기 내부의 압력을 알 수 있도록 압력표지판이 장착되었다. 종래의 축압식 소화기에 설치된 압력표지판은 압력에 따라 단면적이 변화되는 부르동관(1)이 소화기 헤드에 장착되며, 부르동관(1)이 내부에 구비되도록 상판(4)과 하판(5)으로 구성된 압력게이지(3), 사용자에게 압력상태를 인지할 수 있도록 부르동관(1)의 일측단에 형성된 지시침(2)으로 형성되어 있다. 소화기 내부의 압력에 따라 부르동관(1)의 단면적은 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지시침(2)의 위치도 변하게 되어 지시침(2)의 위치에 따라 소화기의 가스누출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사용자는 소화기의 압력상태 즉, 적정 압력을 유지하는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지 않고 방치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화재 등 비상상황 발생시 소화기를 사용하고자 할 때, 미리 점검을 하지 않아 가스 누출을 발견하지 못하여 큰 화재로 번질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등록실용 20-0347028 {축압식 소화기용 충전 압력 지시계}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소화기 압력탱크에 설치되는 압력 지시계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압력탱크와 연결이 되도록 설치되고, 압력탱크 내부의 다양한 압축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시각적이나 청각적으로 알려주는 경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기밀 누출 경보장치는 압축공기가 내장되는 본체(100); 일측에 상기 본체(100)와 연통되는 제1 하우징 연통공(210)이 형성되고, 타측에 외부와 연통되는 제2 하우징 연통공(220)이 형성되는 하우징(200); 상기 하우징(200) 내부에 상기 하우징(200) 내측 벽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본체(100) 내부의 압축공기가 특정 압력 이하인 경우 스프링(400)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200) 내측 벽면을 따라 상기 하우징(200)의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하우징 연통공(210)과 제2 하우징 연통공(220)을 상호 연통시키는 이동부(300); 상기 본체(100) 내부의 압축공기가 누출되어 상기 본체(100) 내부의 압축공기가 특정 압력 이하가 되면 상기 제1 하우징 연통공(210)과 제2 하우징 연통공(220)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상기 본체(100) 내부의 압축공기에 의해 경보 신호를 발생하도록 상기 하우징(200)의 타측에 형성되는 경보신호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300)는 피스톤(310)과, 일측이 상기 피스톤(310)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200)의 타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타측 둘레면에 멈춤핀(330)이 돌출 형성되는 샤프트(320)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100) 내부에 압축공기가 충전되기 전 상기 피스톤(310)이 상기 제1 하우징 연통공(210)과 제2 하우징 연통공(2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멈춤핀(330)에 끼워지는 제1 안내홈(351)과 상기 제1 안내홈(351)과 교차하며 상기 제1 안내홈(351)보다 일정깊이 더 함입되며 상기 본체(100) 내부의 압축공기가 누출된 경우 상기 피스톤(310)이 이동하여 상기 제1 하우징 연통공(210)과 제2 하우징 연통공(220)을 상호 연통시키도록 상기 멈춤핀(330)에 끼워지는 제2 안내홈(352)이 형성되는 회전레버(350)가 상기 샤프트(320)에 회동 가능하도록 끼워지고, 상기 본체(100) 내부에 압축공기가 충전되어 상기 멈춤핀(330)이 상기 제1 안내홈(351)으로부터 이탈된 경우 상기 회전레버(350)를 일정 각도 만큼 회전시켜 상기 멈춤핀(330)이 상기 제2 안내홈(352)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레버(350)에는 회전레버 스프링(360)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레버(350)에는 제1 걸림턱(353)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전레버(350)가 상기 회전레버 스프링(360)에 의하여 상기 일정 각도 만큼만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320)의 내측에는 상기 제1 걸림턱(353)에 걸리는 제2 걸림턱(240)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0) 내측에는 상기 샤프트(320)를 안내하기 위한 샤프트 안내공(210-H)이 관통 형성된 지지판(230)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400)은 상기 샤프트(320)에 끼워져 상기 피스톤(310)과 상기 지지판(230)에 의하여 탄지되고, 상기 회전레버(350)는 상기 지지판(230)과 상기 멈춤핀(330)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 내부의 압축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샤프트 안내공(230-H)을 밀폐시키는 실링재(600)가 상기 샤프트(32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밀 누출 경보장치는 외부에 별도의 경보장치를 장착하여 압력탱크 내부에 충전된 압축공기의 누출을 사용자가 청각 및 시각으로 인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압축공기의 누출을 청각 및 시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압력탱크의 제작에 있어서, 별도의 전원공급장치가 불필요한 경보장치를 제공한다.
도 1 은 종래의 소화기의 압력지시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기밀누출경보장치의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기밀누출경보장치의 분해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기밀누출경보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 5 는 본 발명의 기밀누출경보장치의 부품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종래의 소화기의 압력지시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기밀누출경보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기밀누출경보장치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기밀누출경보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기밀누출경보장치의 부품 사시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압축된 압축공기가 내장되는 본체(100)를 갖는다. 내부에 충전된 압축공기는 다양한 불연성가스로 질소 및 이산화탄소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0)의 상단에는 헤드(120)가 형성되며, 헤드(120)의 일측에는 내부에 충전된 소화액의 배출을 제어하는 작동레버(110)가 형성된다. 또한 헤드(120)와 연결되며 상기 작동레버(110)의 작동에 의해 본체(100) 내부의 소화액 및 압축공기가 배출되는 분사구(130)가 형성된다. 분사구(130)는 헤드(12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 를 참조하면 헤드(130)의 일측면에는 하우징(200)이 설치된다. 하우징(200)은 내부가 중공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우징(200)의 일측에는 본체(100)와 연통되는 제1 하우징 연통공(210)이 하우징(200)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제1 하우징 연통공(210)은 하우징(200)의 일측 둘레면에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우징 연통공(210)은 헤드(130)의 내부에 형성된 연통홀(131)과 연통 된다. 또한, 외부와
연통되는 제2 하우징 연통공(220)이 제1 하우징 연통공(210)과 상호 대향 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제2 하우징 연통공(220)은 하우징(200)의 타측에 관통 형성되며 외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하우징(200)의 내부에는 이동부(300)가 설치된다. 이동부(300)는 하우징(200)의 내측 벽면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동부(300)는 하우징(200) 내측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되는 피스톤(310)을 포함하며 일측이 피스톤(310)의 일측면과 연결되는 샤프트(320)가 돌출 형성된다. 샤프트(320)는 하우징(20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거리 돌출되어 형성된다. 샤프트(320)의 타측에는 멈춤핀(330)이 돌출 형성되는데 멈춤핀(330)은 샤프트(32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샤프트(320)와 상호 분리되도록 샤프트(320)의 끝단에 형성된 장공(미도시)에 멈춤핀(330)이 끼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 을 참조하면 하우징(200) 내측에는 지지판(230)이 형성된다. 지지판(210)의 중앙에는 샤프트 안내공(210-H)이 형성된다. 샤프트 안내공(210-H)은 샤프트(320)를 안내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샤프트(320)에 끼워지며 일측이 피스톤(310)의 일측면에 지지되고 타측이 지지판(230)에 지지되는 스프링(400)이 하우징(200) 내부에 설치된다. 스프링(400)은 지지판(230)에 지지되어 스프링(400)의 탄력으로 피스톤(310)을 지지한다.
즉, 피스톤(310)은 본체(100) 내부의 압축공기의 압력 의해 하우징(200)의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하우징 연통공(210)과 제2 하우징 연통공(220)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고, 본체(100) 내부의 압축공기가 특정 압력 이하인 경우 스프링(400)의 탄성력에 의하여 피스톤(310)이 하우징(200)의 타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하우징 연통공(210)과 제2 하우징 연통공(220)의 타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3 을 참조하면 하우징(200)의 내측에는 샤프트(320)에 끼워지며 회전이 가능한 회전레버(350)가 설치된다. 회전레버(350)는 스프링(400)과 지지판(230)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즉, 회전레버(350)는 지지판(230)과 상기 멈춤핀(330)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회전레버(350)의 일측은 지지판(230)에 지지되어 회전되도록 돌출턱(도면부호 미부여)이 형성되고 돌출턱은 회전레버(350)의 마찰계수를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형성된다.
도 5 를 참조하면 회전레버(350)의 타측은 제1 안내홈(351)과 제2 안내홈(352)이 함입 형성된다. 제2 안내홈(352)은 제1 안내홈(351)보다 일정깊이 더 함입되도록 형성되며 제1 안내홈(351)과 교차되도록 형성된다. 제1 안내홈(351) 및 제2 안내홈(352)에는 멈춤핀(33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적어도 멈춤핀(330)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야 한다.
도 3 을 참조하면 회전레버(350)의 일측에는 회전레버 스프링(360)이 설치된다. 회전레버 스프링(360)은 회전레버(350)를 일정 각도 만큼 회전시켜 멈춤핀(330)이 제1 안내홈(351) 및 제2 안내홈(352)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 를 참조하면 멈춤핀(330)이 제1 안내홈(351)에 안착되어 있을 경우 피스톤(310)은 제1 하우징 연통공(210)과 제2 하우징 연통공(220) 사이에 위치하며 회전레버 스프링(360)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되려고 하는 회전레버(350)를 고정하며 이때 피스톤(310)을 탄지하던 스프링(400)은 압축된 상태로 유지된다.
도 4 를 참조하면 멈춤핀(330)이 제2 안내홈(352)에 안착되어 있을 경우 피스톤(310)은 스프링(400)의 복원력에 의해 하우징(200)의 타측으로 이동된다. 즉 제1 하우징 연통공(210)과 제2 하우징 연통공(220)이 피스톤(310)의 타측에 위치하도록 피스톤(310)은 하우징(200)의 타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1 하우징 연통공(210)과 제2 하우징 연통공(220)은 상호 연통 되고 본체(100) 내부와 연통 되어 있다.
상기 설명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써 본 발명의 작동방법은 하술하는 본 발명의 작동방법 설명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를 참조하면 회전레버(350)의 타측에는 제1 걸림턱(353)이 돌출 형성된다. 제1 걸림턱은(353)은 회전레버(350)가 회전레버 스프링(360)의 탄성에 의해 회전될 때 일정 각도 만큼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다. 제1 걸림턱(353)에 걸리는 제2 걸림턱(240)이 하우징(200)의 내측에 형성된다. 제1 걸림턱(353)이 제2 걸림턱(240)에 걸리도록 제1 걸림턱(353)이 제2 걸림턱(240)은 상호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한다.
도 3 을 참조하면 샤프트(320)의 외주면에는 실링재(600)가 형성된다. 실링재(600)는 샤프트(320)가 끼워질 때 샤프트 안내공(210-H)과 샤프트(320) 사이의 틈새를 밀폐시켜 본체(100) 내부의 압축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3 을 참조하면 피스톤(310)과 실링재(600) 사이에는 샤프트 멈춤대(321)가 형성된다. 샤프트 멈춤대(321)는 이동부(300)가 본체(100) 내부의 압축공기의 압력에의해 이동될 때 이동부(300)가 이동하는 거리를 제한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즉, 본체(100) 내부의 압축공기의 압력이 높아 샤프트(320)에 형성된 실링재(600)가 샤프트 안내공(210-H)에서 이탈되면 본체(100) 내부의 압축공기가 외부로 누출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된다.
도 3 을 참조하면 하우징(200)의 일측은 헤드(120)의 측면에 설치되어 본체(100) 내부와 연통되고, 하우징(200)의 타측에는 경보신호부(500)가 형성된다. 경보신호부(500)는 본체(100) 내부의 압축공기가 누출되어 본체(100) 내부의 압력이 특정 압력 이하가 되면 피스톤(310)이 스프링(400)의 복원력에 의해 하우징(200)의 타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피스톤(310)이 하우징(200)의 타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1 하우징 연통공(210)과 제2 하우징 연통공(220)이 상호 연통하게 되어 본체(100) 내부의 압축공기가 제2 하우징 연통공(220)을 지나 외부로 배출된다. 외부로 배출되는 압축공기가 경보신호부(500)의 내부에 형성된 울림판(도면부호 미부여)을 작동시켜 청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인지시켜 본체(100) 내부의 압축공기가 누출되는 것을 알릴 수 있다.
도 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밀누출경보장치의 작동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의 (a)를 참조하면 본체(100) 내부에 압축공기가 충전되어 있지 않는 경우
기밀 누출 경보장치가 헤드(120)와 결합되어 있다. 이때 피스톤(310)은 제1 하우징 연통공(210)과 제2 하우징 연통공(22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멈춤핀(330)은 회전레버(350)의 제1 안내홈(351)에 안착되어 피스톤(310)이 스프링(400)의 탄성에 의해 하우징(200) 타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샤프트 안내공(210-H)은 실링재(600)에 의해 밀폐되어 있다.
도 4 의 (b)를 참조하면 본체(100) 내부에 압축공기가 충전되어 있는 경우
하우징(200)의 제1 하우징 연통공(210)을 통해 압축공기가 피스톤(310)을 가압하면 스프링(400)도 압축공기에 의해 압축된다. 피스톤(310)과 샤프트(320)가 하우징(200)의 내측으로 일정거리 이동하면 샤프트 멈춤대(321)가 지지판(230)에 밀착되어 피스톤(310)의 이동을 차단한다. 멈춤핀(330)은 회전레버(350)의 제1 안내홈(351)에서 이탈된다. 멈춤핀(330)이 안착됨으로서 고정되어 있던 회전레버(350)는 회전레버 스프링(360)의 탄성력으로 인해 일정 각도 회전된다.
이때 하우징(200) 내부에 형성된 제2 걸림턱(323)에 회전레버(350)의 제1 걸림턱(353)이 걸리면서 회전레버(350)의 회전을 차단한다. 회전레버(350)는 제1 안내홈(351)과 제2 안내홈(352)이 교차된 각도만틈 회전된다. 따라서 제2 안내홈(352)과 멈춤핀(330)은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도 4 의 (c)를 참조하면 본체(100) 내부의 압축공기가 누출되어 본체(100) 내부의 압력이 떨어진 경우
피스톤(310)을 가압하던 압축공기가 서서히 누출되면 스프링(400)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부(300)가 하우징(200) 타측으로 서서히 이동한다. 멈춤핀(330)도 회전레버(350)의 제2 안내홈(352)에 안착 되며 샤프트 안내공(210-H)을 밀폐하고 있던 샤프트(320)에 형성된 실링재(600)도 샤프트 안내공(210-H)에서 서서히 이탈된다. 본체(100) 내부의 압축공기가 설정된 압력 이하가 되면 멈춤핀(330)은 제2 안내홈(352)에 안착되고 피스톤(310)은 하우징(200) 타측으로 이동하여 본체(100) 내부와 제1 하우징 연통공(210) 및 샤프트 안내공(210-H)과 제2 하우징 연통공(220)이 상호 연통 된다. 그러면 본체(100) 내부의 압축공기가 제2 하우징 연통공(220)을 지나 외부로 배출되면서 경보신호부(500)의 울림판(도면부호 미부여)을 작동시켜 청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인지시킨다.
도 6 의 (a)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한다.
경보신호부(500)의 내부에는 울림공을 설치하여 압축공기가 배출될 때 울림공이 경보신호부(500)의 벽면을 타격하여 알림소리를 발생 시킨다.
도 6 의 (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경보신호부(500)는 하우징(200)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회전날개(510)를 갖는다. 회전날개(510)는 압축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압축공기로 인해 회전이 된다. 회전날개(510)의 일측에는 타격대(520)가 형성 되고 타격대(520)는 회전날개(510)가 회전하면 동시에 회전하는 구조로 설치된다. 경보신호부(500)의 내측에는 타격대(520)가 타격하여 알림소리를 발생시키는 타격판(530)이 형성된다.
도 6 의 (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한다.
경보신호부(500)는 회전날개(510)의 일측에 자력을 갖는 자석과 자석의 둘레면을 감싸며 코일이 감겨있는 전력발생장치(540)가 설치된다. 회전날개(510)가 회전하면 전력발생장치(540)에서 전류가 발생 된다. 발생된 전류는 경보신호부(500)의 외측에 설치된 엘이디(550)에 공급되어 엘이디(500)가 점등되어 사용자가 압축공기의 누출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도 7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 의 (a)를 참조하면 경보신호부(500)의 끝단에는 경보신호부(500)를 감싸도록 캡(560)이 형성된다. 캡(560)은 경보신호부(500)를 밀폐시키도록 밀착되어 경보신호부(500)에 끼워진다.
도 7 의 (b)를 참조하면 캡(560)의 내부에는 알림부(570)가 설치된다. 알림부(570)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릴 수 있도록 다양한 문구가 들어간 직물지로 형성될 수 있다. 알림부(570)의 일측은 경보신호부(500)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캡(560)에 고정되어 있다. 본체(100)에서 배출된 압축공기가 배출되면서 캡(560)이 압축공기에 의해 경보신호부(500)에서 이탈되며, 이때 캡(560) 내부에 형성된 알림부(570)가 펼쳐진다. 알림부(570)는 알림부(570)에 작성된 문구나 색이 사용자에게 압축공기의 누출을 인지할 수 있도록 알리는 목적으로 형성된다.
이처럼 경보신호부(500)는 별도의 전원공급장치가 불필요하여 본체(100) 내부의 압축공기만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경보신호부(500)는 상기 작성된 방법 이외의 다양한 방법으로 설치될 수 있다.
100 : 본체 200 : 하우징
210 : 제1 하우징 연통공 220 : 제2 하우징 연통공
230 : 지지판 230-H : 지지판 연통공
240 : 제2 걸림턱 300 : 이동부
310 : 피스톤 320 : 샤프트
321 : 샤프트 멈춤대 330 : 멈춤핀
350 : 회전레버 351 : 제1 안내홈
352 : 제2 안내홈 353 : 제1 걸림턱
360 : 회전레버 스프링 400 : 스프링
500 : 경보신호부 510 : 회전날개
520 : 타격대 530 : 타격판
540 : 전력발생장치 550 : 엘이디
560 : 캡 570 : 알림부
600 : 실링재

Claims (5)

  1. 압축공기가 내장되는 본체(100);
    일측에 상기 본체(100)와 연통되는 제1 하우징 연통공(210)이 형성되고, 타측에 외부와 연통되는 제2 하우징 연통공(220)이 형성되는 하우징(200);
    상기 하우징(200) 내부에 상기 하우징(200) 내측 벽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본체(100) 내부의 압축공기가 특정 압력 이하인 경우 스프링(400)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200) 내측 벽면을 따라 상기 하우징(200)의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 하우징 연통공(210)과 제2 하우징 연통공(220)을 상호 연통시키는 이동부(300);
    상기 본체(100) 내부의 압축공기가 누출되어 상기 본체(100) 내부의 압축공기가 특정 압력 이하가 되면 상기 제1 하우징 연통공(210)과 제2 하우징 연통공(220)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상기 본체(100) 내부의 압축공기에 의해 경보 신호를 발생하도록 상기 하우징(200)의 타측에 형성되는 경보신호부(5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 누출 경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300)는 피스톤(310)과, 일측이 상기 피스톤(310)에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200)의 타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타측 둘레면에 멈춤핀(330)이 돌출 형성되는 샤프트(320)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100) 내부에 압축공기가 충전되기 전 상기 피스톤(310)이 상기 제1 하우징 연통공(210)과 제2 하우징 연통공(2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멈춤핀(330)에 끼워지는 제1 안내홈(351)과 상기 제1 안내홈(351)과 교차하며 상기 제1 안내홈(351)보다 일정깊이 더 함입되며 상기 본체(100) 내부의 압축공기가 누출된 경우 상기 피스톤(310)이 이동하여 상기 제1 하우징 연통공(210)과 제2 하우징 연통공(220)을 상호 연통시키도록 상기 멈춤핀(330)에 끼워지는 제2 안내홈(352)이 형성되는 회전레버(350)가 상기 샤프트(320)에 회동 가능하도록 끼워지고,
    상기 본체(100) 내부에 압축공기가 충전되어 상기 멈춤핀(330)이 상기 제1 안내홈(351)으로부터 이탈된 경우 상기 회전레버(350)를 일정 각도 만큼 회전시켜 상기 멈춤핀(330)이 상기 제2 안내홈(352)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레버(350)에는 회전레버 스프링(360)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 누출 경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레버(350)에는 제1 걸림턱(353)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회전레버(350)가 상기 회전레버 스프링(360)에 의하여 상기 일정 각도 만큼만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200)의 내측에는 상기 제1 걸림턱(353)에 걸리는 제2 걸림턱(240)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 누출 경보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0) 내측에는 상기 샤프트(320)를 안내하기 위한 샤프트 안내공(210-H)이 관통 형성된 지지판(230)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400)은 상기 샤프트(320)에 끼워져 상기 피스톤(310)과 상기 지지판(210)에 의하여 탄지되고,
    상기 회전레버(350)는 상기 지지판(230)과 상기 멈춤핀(330)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 누출 경보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 내부의 압축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샤프트 안내공(230-H)을 밀폐시키는 실링재(600)가 상기 샤프트(32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밀 누출 경보장치.
KR1020110098363A 2011-09-28 2011-09-28 기밀 누출 경보장치 KR101250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363A KR101250453B1 (ko) 2011-09-28 2011-09-28 기밀 누출 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363A KR101250453B1 (ko) 2011-09-28 2011-09-28 기밀 누출 경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383A KR20130034383A (ko) 2013-04-05
KR101250453B1 true KR101250453B1 (ko) 2013-04-29

Family

ID=48436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8363A KR101250453B1 (ko) 2011-09-28 2011-09-28 기밀 누출 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04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013Y1 (ko) * 2015-02-10 2015-05-04 김진영 소화기의 소화약제 감소 경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6938B1 (ko) * 2019-01-28 2020-09-16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안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124U (ko) * 1998-07-16 2000-02-15 김승제 가스레인지용 자동 소화장치
JP2001017884A (ja) 1999-07-09 2001-01-23 Mitsubishi Heavy Ind Ltd 電気集塵装置
JP2003068027A (ja) 2002-08-19 2003-03-07 Fujitsu Ltd 光ディスク装置
JP2008099871A (ja) 2006-10-19 2008-05-01 Itachibori Mfg Co Ltd 消火設備用自動警報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3124U (ko) * 1998-07-16 2000-02-15 김승제 가스레인지용 자동 소화장치
JP2001017884A (ja) 1999-07-09 2001-01-23 Mitsubishi Heavy Ind Ltd 電気集塵装置
JP2003068027A (ja) 2002-08-19 2003-03-07 Fujitsu Ltd 光ディスク装置
JP2008099871A (ja) 2006-10-19 2008-05-01 Itachibori Mfg Co Ltd 消火設備用自動警報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7013Y1 (ko) * 2015-02-10 2015-05-04 김진영 소화기의 소화약제 감소 경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4383A (ko) 2013-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0451B1 (ko) 기밀 누출 경보장치가 내장된 확산소화기
CN103616119B (zh) 压力监测装置和采用该压力监测装置的灭火器
KR101250453B1 (ko) 기밀 누출 경보장치
KR100745840B1 (ko) 소화기의 작동장치
US20120107153A1 (en) Automatic inflation pump
CN203379542U (zh) 一种能够自动报警的七氟丙烷气体灭火系统用容器阀
JP2008099871A (ja) 消火設備用自動警報弁
KR102181806B1 (ko) 지시압력게이지와 감지기 게이지가 분리설치되는 축압식 소화기용 충전 압력 지시계
CN106949279A (zh) 单向容器阀
CN212662526U (zh) 一种学校智能消防箱
US20220314048A1 (en) Battery operated fire extinguisher
CN211301846U (zh) 一种基于高压细水雾的电气火灾抑制装置
CN210372183U (zh) 气体钢瓶容器阀
CN204170320U (zh) 一种灭火器撞针启动装置
CN204034119U (zh) 灭火设备及压力信号反馈装置
CN220070564U (zh) 一种便携式消防灭火器
KR102207168B1 (ko) 압력감지장치
KR200493776Y1 (ko) 튜브형 소화기
CN104069609A (zh) 无水显示消防栓
KR101773000B1 (ko) 소방설비용 알람밸브
CN215136364U (zh) 一种柜式七氟丙烷灭火设备的泄漏检测装置
CN219714636U (zh) 一种储气罐防漏检测机构
CN217082221U (zh) 一种天然气阀门泄漏报警装置
JP3711888B2 (ja) 塗料洩れ検知装置
CN221309427U (zh) 灭火装置、灭火系统及激光加工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1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