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4157A - 소화기 받침대 - Google Patents

소화기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4157A
KR20160104157A KR1020150026546A KR20150026546A KR20160104157A KR 20160104157 A KR20160104157 A KR 20160104157A KR 1020150026546 A KR1020150026546 A KR 1020150026546A KR 20150026546 A KR20150026546 A KR 20150026546A KR 20160104157 A KR20160104157 A KR 201601041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ire extinguisher
sensor
unit
out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6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7300B1 (ko
Inventor
임경범
Original Assignee
대전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전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전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26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7300B1/ko
Publication of KR20160104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4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A62C13/78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소화기의 위치를 알릴 수 있는 소화기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받침대는 건물의 내부에 비치되는 소화기 받침대에 있어서, 소화기가 안착되는 안착부;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영상출력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음성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센서가 감지하는 조도가 소정 조도 이하인 경우 상기 영상출력부 및 음성출력부를 통해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화기 받침대 {STAND FOR FIRE EXTINGUISHER}
본 발명은 소화기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소화기의 위치를 알릴 수 있는 소화기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화재는 발생 초기단계에서 진화되는 것이 중요한데, 화재의 초기 진화가 실패하면 불길의 급속한 확대에 의해 물질적, 신체적으로 막대한 피해를 입는다. 특히 건물 화재의 경우 실내에서 사용되는 합성수지 제품이 화재로 인해 가열되면서 일산화탄소, 시안가스 등의 유독가스를 발생시키고 이러한 유독가스에 의해 인명 피해가 더 커지므로 건물 화재의 경우 화재의 초기 진화가 더욱 중요하다.
이처럼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를 대비해 화재의 초기 진화용으로 건물의 내부에는 소화기가 비치된다. 건물에 비치되는 소화기는 사람이 운반할 수 있는 크기와 무게로 제작되기 때문에 화재발생 초기에 사람이 소화기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진화할 수 있다. 이러한 소화기는 건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비치되고 있는데, 소화기 받침대에 올려져 비치되거나 벽걸이에 걸려 비치되거나 별도의 보관함 내에 비치되기도 한다. 이 중 소화기 받침대에 소화기를 올려놓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데, 이러한 종래의 소화기 받침대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소화기 받침대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소화기가 안착되는 하나의 케이싱(1)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단순히 소화기를 비치하는 기능만을 한다. 따라서 조도가 떨어지는 화재발생시(화재에 의한 연기 때문에) 소화기의 위치를 확인하기 힘들어 소화기를 찾는데 시간을 많이 소비하게 되어 화재의 초기 진화에 실패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화재발생시 소화기의 위치를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소화기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받침대는 건물의 내부에 비치되는 소화기 받침대에 있어서, 소화기가 안착되는 안착부;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와 연결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영상출력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음성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센서가 감지하는 조도가 소정 조도 이하인 경우 상기 영상출력부 및 음성출력부를 통해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받침대는 조도가 떨어지는 화재발생시 영상출력부 및 음성출력부를 통해 알림신호를 출력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소화기의 위치를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소화기 받침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받침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받침대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의 구성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받침대의 다른 실시형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받침대를 이용한 피난경보시스템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화재발생신호의 실시형태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받침대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받침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받침대의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받침대는 소화기가 안착되는 안착부(10);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22)를 포함하는 센서부(20); 센서부(20)와 연결되는 제어부(30); 제어부(30)와 연결되는 영상출력부(40); 및 제어부(30)와 연결되는 음성출력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착부(10)는 소화기가 안착되는 구성요소로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소화기가 쉽게 안착될 수 있도록 소화기의 하단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센서부의 구성도로서, 센서부(20)는 조도센서(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적외선센서(24)와 소화기감지센서(2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조도센서(22)로 주변의 조도(밝기)를 감지하고, 적외선센서(24)로 주변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며, 소화기감지센서(26)는 안착부(10)에 소화기가 놓여져 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조도센서(22)로 CDS센서가 이용될 수 있고, 적외선센서(24)는 주변의 적외선을 감지하는 센서로 인체에서 발생시키는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다. 소화기감지센서(26)는 안착부(10)에 소화기가 놓여져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데, 무게를 감지하는 센서를 안착부(10)에 연결하여 소화기감지센서(26)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소화기감지센서(26)는 소정 무게(소화기의 무게) 이상의 무게가 감지되면 안착부(10)에 소화기가 놓여진 것으로 판단하고, 소정 무게 이하의 무게가 감지되면 안착부(10)에 소화기가 놓여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제어부(30)는 센서부(20)와 연결되어 센서부(20)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신호를 기반으로 영상출력부(40) 및 음성출력부(50)를 통해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영상출력부(40)는 제어부(30)의 동작에 의해 영상을 출력하는 구성요소로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소화기' 및 'FIRE EXTINGUISHER'라는 글자 형태로 파낸 후 내부에 LED와 같은 광원을 설치함으로써 '소화기' 및 'FIRE EXTINGUISHER'라는 글자 형태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음성출력부(50)는 제어부(30)의 동작에 의해 영상을 출력하는 구성요소로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소화기 받침대 외부에 스피커가 설치되는 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3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어부(30)는 조도센서(22)에서 감지하는 조도가 소정 조도 이하인 경우 영상출력부(40) 및 음성출력부(50)를 통해 알림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영상출력부(40)를 통해 출력되는 알림신호는 '소화기' 또는 'FIRE EXTINGUISHER'라는 글자일 수 있고, 음성출력부(50)를 통해 출력되는 알림신호는 '소화기' 또는 'FIRE EXTINGUISHER'라는 음성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소정 조도 이하일 때 소화기 받침대에서 출력하는 영상(글자) 및 음성을 통해 해당 위치(영상 및 음성이 출력되는 곳)에 소화기가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어부(30)는 필요에 따라 알림신호를 간헐적으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건물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연기에 의해 조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소화기의 위치를 찾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받침대는 조도를 감지하고 조도가 소정 수치 이하로 낮아지는 경우 영상출력부(40) 및 음성출력부(50)를 통해 영상(글자) 및 음성을 출력하므로 사용자는 조도가 낮은 상태에서도 소화기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적외선센서(24)에서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영상출력부(40) 및 음성출력부(50)를 통해 알림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데, 이때의 알림신호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따라서 사용자는 소화기에 접근할 때마다 알림신호를 보거나 듣게되어 해당 위치에 소화기가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종래의 소화기 받침대는 단순히 소화기를 받치는 기능만을 하고 일반적인 사용자는 소화기의 위치를 항상 인식하고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초기 진화가 매우 중요한 건물 내부에서의 화재발생시 사용자가 소화기의 위치를 쉽게 찾지 못해 화재의 초기 진화에 실패하여 큰 화재로 발전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받침대는 사용자가 소화기에 접근할 때마다(반복하여) 알림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소화기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이로써 사용자는 소화기의 위치를 기억할 수 있고 화재발생시 소화기를 빨리 찾을 수 있어 화재를 초기에 진화할 수 있다. 또한 시야가 극히 제한된 상황이라 하더라도 알림신호(특히 음성)를 찾아감으로써 소화기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소화기감지센서(26)가 상기 안착부(10)에 소화기가 없는 것으로 감지하면 영상출력부(40)를 통해 소화기부재신호를 출력하는데, 이러한 소화기부재신호를 이용하여 소화기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받침대는 소화기감지센서(26)와 제어부(30)를 이용하여 소화기의 내부에 들어있는 약제의 양을 감지하고, 약제의 양이 부족하여 보충이 필요한 경우 약제보충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화기감지센서(26)가 안착부(10) 위에 놓여지는 소화기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안착부(10) 위에 놓여진 소화기의 무게가 소정 수치 이하인 경우 제어부(30)에서 약제보충신호를 생성하여 영상출력부(40) 또는 음성출력부(5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화기 전체의 무게가 10kg, 소화기 본체의 무게가 5kg, 소화기 내부의 약제의 무게가 5kg이고, 이러한 정보가 제어부(30)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때, 안착부(10)에 놓여진 소화기의 무게가 6kg 이하인 경우(약제가 20% 이하인 경우) 제어부(30)는 약제보충신호를 생성하여 영상출력부(40) 또는 음성출력부(5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처럼 소화기의 약제가 부족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받침대는 약제보충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바로 약제를 보충할 수 있도록 도와 화재발생시 소화기를 사용할 때 약제가 부족한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받침대의 다른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받침대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10)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안착부(10)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영상출력부(4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로 소화기 받침대가 구성되면 영상출력부(40)를 크게 형성시킬 수 있기 때문에 도 2에서의 영상출력부(40)보다 다양한 형태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받침대를 이용한 피난경보시스템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받침대를 이용하여 건물 내의 사람들을 효과적으로 피난시킬 수 있는 피난경보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데,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 받침대를 이용한 피난경보시스템은 건물의 각 층마다 비치되는 소화기 받침대(100); 소화기 받침대(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관제서버(200); 및 건물의 각 층마다 설치되는 화재감지센서(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소화기 받침대(100) 및 화재감지센서(300)는 관제서버(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해 유·무선 통신 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소화기 받침대를 이용한 피난경보시스템은 화재감지센서(300)가 화재발생을 감지하면, 화재발생을 감지한 화재감지센서(300)는 화재발생신호를 관제서버(200)로 전송하고, 관제서버(200)는 전송받은 화재발생신호를 각 층의 소화기 받침대(100)로 전송하며, 소화기 받침대(100)가 전송받은 화재발생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화재발생신호에는 화재가 발생한 층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물의 3층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3층에 설치된 화재감지센서(300)가 화재발생을 감지하고, 화재발생을 감지한 화재감지센서(300)가 화재발생신호를 관제서버(200)로 전송하며, 관제서버(200)는 3층을 포함한 모든 층의 소화기 받침대(100)로 화재발생신호를 전송하고, 모든 층의 소화기 받침대(100)는 전송받은 화재발생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화재발생신호에 화재가 3층에서 발생했다는 정보가 포함되고, 이러한 정보를 영상출력부(40) 및/또는 음성출력부(50)를 통해 다양하게 출력할 수 있는데, 도 8 및 도 9에 본 발명에 따른 영상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화재발생신호의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화재가 발생한 층(3층)의 소화기 받침대(100)가 출력하는 화재발생신호로서 영상출력부(40) 전체가 빨간색으로 표시되어 해당 층에 화재가 발생했음을 알린다. 도 9는 화재가 발생한 층보다 아래층(1, 2층)의 소화기 받침대(100)가 출력하는 화재발생신호로서 영상출력부(40)의 상부는 빨간색으로 표시되고, 하부는 녹색으로 표시된다. 이러한 화재발생신호는 위층에서 화재가 발생했으니 아래층으로 대피하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데, 이러한 의미를 사용자는 상부는 빨간색으로 표시되고, 하부는 녹색으로 표시된 화재발생신호를 보면 직감할 수 있다. 따라서 1, 2층의 사용자는 화재가 발생한 3층으로 대피하지 않고 안전한 1층으로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다.
또한, 화재가 발생한 층(3층)보다 위층(4층 이상)의 소화기 받침대(100)는 화재발생신호를 도 9의 경우와 반대인 영상출력부(40)의 상부는 녹색으로 표시되고, 하부는 빨간색으로 표시하여 출력한다. 그러면 사용자는 화재발생신호를 보고 아래층에 화재가 발생했음을 인지하고 위층으로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다.
10: 안착부 20: 센서부
22: 조도센서 24: 적외선센서
26: 소화기감지센서 30: 제어부
40: 영상출력부 50: 음성출력부
100: 소화기 받침대 200: 관제서버
300: 화재감지센서

Claims (5)

  1. 소화기가 안착되는 안착부(10);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22)를 포함하는 센서부(20);
    상기 센서부(20)와 연결되는 제어부(30);
    상기 제어부(30)와 연결되는 영상출력부(40); 및
    상기 제어부(30)와 연결되는 음성출력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조도센서(22)가 감지하는 조도가 소정 조도 이하인 경우 상기 영상출력부(40) 및 음성출력부(50)를 통해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받침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20)는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적외선센서(2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30)는 적외선센서(24)가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영상출력부(40) 및 음성출력부(50)를 통해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받침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20)는 상기 안착부(10)에 소화기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소화기감지센서(2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소화기감지센서(26)가 상기 안착부(10)에 소화기가 없는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30)가 상기 영상출력부(40)를 통해 소화기부재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받침대.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소화기 받침대(100);
    상기 소화기 받침대(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관제서버(200); 및
    건물의 각 층마다 설치되는 화재감지센서(3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화재감지센서(300)가 화재발생을 감지하면 상기 관제서버(200)로 화재발생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관제서버(200)는 전송받은 화재발생신호를 상기 소화기 받침대(100)로 전송하며, 상기 소화기 받침대(100)가 화재발생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받침대를 이용한 피난경보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화재발생신호에는 화재가 발생한 층의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소화기 받침대(100)의 영상출력부(40)를 통해 화재가 발생한 층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받침대를 이용한 피난경보시스템.
KR1020150026546A 2015-02-25 2015-02-25 소화기 받침대 KR101707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546A KR101707300B1 (ko) 2015-02-25 2015-02-25 소화기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546A KR101707300B1 (ko) 2015-02-25 2015-02-25 소화기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157A true KR20160104157A (ko) 2016-09-05
KR101707300B1 KR101707300B1 (ko) 2017-02-16

Family

ID=56938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6546A KR101707300B1 (ko) 2015-02-25 2015-02-25 소화기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73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20434A (zh) * 2018-01-30 2018-07-24 陈迈 一种用于灭火器上的报警装置
KR101949151B1 (ko) * 2018-05-17 2019-02-18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배터리 기동형 연기 감지식 일체형 에어로졸 소화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9440B1 (ko) 2020-01-14 2022-06-14 울산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재 감지와 화재 경보 및 위치 알림 기능을 갖는 멀티 기능 소화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119Y1 (ko) * 2001-12-18 2002-03-28 주식회사 그린센서 압력센서를 이용한 소화기 받침대
KR200378294Y1 (ko) * 2004-12-16 2005-03-14 최진형 분실방지장치가 구비된 소화기 비치대
KR101233463B1 (ko) * 2010-11-16 2013-02-14 이성 소화기 받침대
KR101472488B1 (ko) * 2013-07-15 2014-12-17 박임수 피난 유도 알리미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119Y1 (ko) * 2001-12-18 2002-03-28 주식회사 그린센서 압력센서를 이용한 소화기 받침대
KR200378294Y1 (ko) * 2004-12-16 2005-03-14 최진형 분실방지장치가 구비된 소화기 비치대
KR101233463B1 (ko) * 2010-11-16 2013-02-14 이성 소화기 받침대
KR101472488B1 (ko) * 2013-07-15 2014-12-17 박임수 피난 유도 알리미 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20434A (zh) * 2018-01-30 2018-07-24 陈迈 一种用于灭火器上的报警装置
KR101949151B1 (ko) * 2018-05-17 2019-02-18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배터리 기동형 연기 감지식 일체형 에어로졸 소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7300B1 (ko) 2017-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0746B2 (en) Portable security device that communicates with home security system monitoring service
JP6360673B2 (ja) 火災感知器
KR101904031B1 (ko) 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화재감시 및 대피경로 제공 소화 시스템 및 방법
US2013016943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moke detection & alarm
KR101707300B1 (ko) 소화기 받침대
KR200475222Y1 (ko) 비상 대피 유도 장치
JP2009301567A (ja) 警報器
KR102580356B1 (ko) 비상대피 알림 및 안내 시스템
JP2008293499A (ja) 動的に変化する緊急避難ルート指定を有するユーティリティアウトレット
US20170105875A1 (en) General purpose device to assist the hard of hearing
KR101775770B1 (ko) 소방용 비상 경보장치
JP2016133938A (ja) 監視システム
JP6310243B2 (ja) 自動火災報知設備
KR101642467B1 (ko) 화재 경보 장치
KR102016028B1 (ko) 소화기 거치대
JP2010108027A (ja) 警報器
KR20130040372A (ko) 화재감지기 연동 유도등 시스템 및 유도등의 화재감지기 연동방법
KR101269232B1 (ko) 화재 속보 기능을 겸한 화재 수신 장치
KR20160071972A (ko) 층간 소음 경보 장치
TWM607121U (zh) 消防警示系統
KR101925876B1 (ko)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시설 제어장치
KR20140141868A (ko) 피난 안내 시스템
JP2008102670A (ja) 集合住宅用避難誘導システム
TW201601124A (zh) 指示裝置及公共急救設備
JP7410537B2 (ja) 火災等の災害を報知する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