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0158B1 - 전선 케이블 접속용 자가소화장치 커버부재 - Google Patents

전선 케이블 접속용 자가소화장치 커버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0158B1
KR102610158B1 KR1020230040532A KR20230040532A KR102610158B1 KR 102610158 B1 KR102610158 B1 KR 102610158B1 KR 1020230040532 A KR1020230040532 A KR 1020230040532A KR 20230040532 A KR20230040532 A KR 20230040532A KR 102610158 B1 KR102610158 B1 KR 102610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ire extinguishing
cover member
capsule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0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스티브
백종운
박성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오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오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오에프
Priority to KR1020230040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01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0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01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023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expelled by compressed gas, taken from storage tanks, or by generating a pressure ga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007Solid extinguishing substances
    • A62D1/0021Micro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064Gels; Film-forming composi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 전기케이블의 접속부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 케이블의 전선 접속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제1커버와 제2커버가 서로 절첩되도록 이루어진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축방향 양측에 전선 케이블이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 유입공과; 상기 유입공을 관통하는 전선 케이블의 직경에 따라서 유입공의 구경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절결부와; 상기 제1커버와 제2커버가 결합되도록 결속돌기와 결속후크를 형성하고 빗물이 방수되도록 결합되는 끼움홈 및 끼움편과; 상기 커버부재를 형성하는 제1커버와 제2커버의 내면에 소화설치부가 형성되어 전선 접속부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소화할 수 있도록 된 캡슐소화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케이블 접속용 자가소화장치 커버부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선 케이블 접속용 자가소화장치 커버부재{Self-fire extinguishing device safety cover for wire cable connection}
본 발명은 고압 전선 케이블의 접속부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선 케이블의 접속부를 씌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커버부재와, 전선 케이블 접속부의 과부하에 의해 화재발생시 커버부재 내측에 설치된 캡슐소화장치에 의해 스스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함으로 화재로 인한 정전과 화재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전선 케이블 접속용 자가소화장치 커버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목현장, 건설현장에서는 건축물 등을 시공시 다양한 장비나 시설물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현장 내에서 전선 케이블을 투입 및 배치한다.
따라서 건설현장이나. 토목현장에서는 하나의 전선 케이블에 다수의 전선을 분기하여 전기용접, 콘덴서, 전기조명, 기계기구 등에 사용함에 따라서 분기된 전선 접속부에 과부에 의한 전기 아크가 발생되어 화재로 번져 재산피해와 인명 피해가 종종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상에 설치된 전봇대의 전선 케이블의 전선 접속부에서 과부하에 의한 화재가 발생되어 산불로 이어져 막대한 재산피해와 산림피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공사현장에 배선된 전선들은 별도의 주름관을 통해 보호되지만 주름관 외부로 노출된 전선이나 이들 전선들을 연결한 전선 접속부가 있다.
이러한 전선 케이블의 도체선과 도체선의 상호간의 연결은 용접이나 단자, 접속슬리브, 조인트를 이용하여 접속하고, 이의 접속된 도체선간의 접속부를 보호하는 방법으로는 접속부가 보호되도록 절연테이프나 방수테이프를 권착한 후 커버부재를 씌워 사용한다.
이와 같은 안전커버는 일반적으로 축방향으로 반원통형으로 분할 성형한 후 상호간 체결되도록 체결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전선 케이블의 접속부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커버는 주로, 변전소 등에서 전기를 이송시키도록 구성되는 전신주 또는 송전탑 등에 설치되는 고압선의 접속부에 설치된다.
상기 전선 케이블의 접속부용 커버부재는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됨에 따라 외부환경에 의해 빗물 등이 내부로 침투될 수 있고, 이렇게 침투된 빗물에 의해 접속부에 누전 등에 의한 쇼트 또는 아크발생으로 화재가 발생하게 됨으로써, 높게 설치된 안전커버에서 화재가 발생될 경우 선제적 대응을 수행할 수 없고, 이로 인해 전선 케이블이 소손되고 주변의 비닐, 낙엽 등이 바람에 날려 점화된 상태에서 산에 떨어져 산불이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 분야의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76459호(공개일자 2021년06월24)의 자기소화 케이블 접속재 커버(이하 "선행기술" 이라한다)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케이블을 연결하는 접속부의 둘레를 감싸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에 내장되고, 내부공간에 소화물질이 구비되고, 설정온도에 이르면 터지면서 상기 소화물질을 배출하는 소화부;를 포함하는 구성이 개시되었다.
즉 상기 선행기술은 커버부재 내부에 소화물질이 구비되어 접속부에 화재가 발생되면 실리콘 또는 고무재로 이루어진 안전커버가 열에 의해 녹으면 소화부재가 노출되어 접속부에서 발생된 화재를 진압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접속부에 화재시 최초 발화된 화염이 안전커버와 접촉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화재가 효율적으로 소화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선행기술의 소화약제는 분사 또는 살수되는 것이 아나라 화재시 화염이 소화약제에 접촉되는 순간 소화되는 구성으로써 접속부에 화재발생시 화염이 커버부와 먼저 접촉하여 커버부를 녹여야만 소화약제가 접촉되는 구성으로 이와 같이 된 구성은 화재시 초기 소화로 선재대응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선행기술은 화재발생시 초기 화염을 소화하지 못하고 화염이 먼저 커버부와 접촉하여 녹인 후 내장된 소화약제와 접촉하여 소화가 이루어지는 구조이므로 이는 짧은 시간에 화염이 번지는 특성을 고려할때 이미 화염은 소화약제로 소화할 수 있는 골든타임이 지나 주변으로 번지기 시작하게 됨으로 커버부에 내장된 소화약제로는 소화할 수 있는 능력 범위를 벗어난 것이다.
화재의 발화 특성은 전선 접속부의 경우 과부하에 의해 아크가 발생되고 연소와 함께 화염이 발생하는 것으로 화염이 발생되면 소공간에서는 준비된 소량의 소화약제로는 소화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전선 케이블을 보호하는 안전커버와 같이 소공간인 경우에는 내부에 설치되는 소화약제 역시 소량이므로 전선 접속부에 과부하가 발생되면 순간 아크에 의해 불꽃이 발생된다.
이때 즉시 소화약제가 터지면서 발화 시작 부분의 접속부가 냉각되면서 연소를 방지하게 되는데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커버부 내부에 소화약제가 커버부에 내장됨으로 전선 접속부에 과부하로 인한 아크 발생시 아크되는 순간 발생되는 불꽃이 커버부의 재질인 실리콘 또는 고무재를 녹이지 못하게 됨으로 접속부가 과열에 의해 연소되면서 발화된 후 커버부를 녹이게 되며, 이때는 이미 화염이 생겨 일정한 세력을 형성하게 됨으로 화염이 커버부를 녹이는 순간 소화약제가 터지더라도 완전소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극히 일부의 화염만 소화하게 됨으로써 초기 선재 대응에 실패하여 나머지 화염이 점점 강화되어 주변으로 번져 화재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은 커버부를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로 구성되어 접속부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됨으로 우천시 제1커버부재와 제2커버부재 사이로 빗물이 누수되어 누전에 의한 화재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76459호
본 발명은 전선 케이블의 접속부를 씌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커버부재를 제공하여 전선 케이블 접속부의 과부하 또는 누전에 의해 화재가 발생할 때 커버부재 내측에 설치된 캡슐소화장치에 의해 스스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재로 인한 정전과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여 재산 피해와 산림피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전선 케이블 접속용 자가소화장치 커버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선 케이블의 접속부를 씌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커버부재에 있어서,
전선 케이블의 접속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제1커버와 제2커버가 서로 절첩되도록 이루어진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축방향 양측에 전선 케이블이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 유입공과;
상기 유입공을 관통하는 전선 케이블의 직경에 따라서 유입공의 구경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절결부와;
상기 제1커버와 제2커버가 결합되도록 결속돌기와 결속후크를 형성하고 빗물이 방수되도록 결합되는 끼움홈 및 끼움편과;
상기 커버부재를 형성하는 제1커버와 제2커버의 내면에 소화설치부가 형성되어 전선 접속부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소화할 수 있도록 된 캡슐소화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화설치부에 구비되는 캡슐소화장치는 에폭시수지와 소화캡슐이 혼합되어 띠형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화설치부에 구비되는 캡슐소화장치는 수지바인더와 혼합되어 1㎜∼6㎜의 두께로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화설치부에 구비되는 캡슐소화장치는 이형 테이프 또는 패치형태로 이루어져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소화설치부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슐소화장치는 화염에 쉽게 용해되는 캡슐관에 충진되어 커버부재의 제1커버와 제2커버의 내면에 클립형태의 소화설치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슐소화장치는 커버부재의 제1커버와 제2커버 내면 전체에 격자형태의 소화설치부를 형성하고 소화설치부 전체에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설현장이나. 토목현장에서 전선 케이블에 다수의 전선을 분기하여 용접, 전기모터, 전기조명, 기계기구 등의 전기공급용으로 사용함에 따라서 분기된 전선 접속부에 자가 소화 기능을 갖는 커버부재를 씌워 보호하고 방수되도록 함으로 누전 및 감전사고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를 가지며,
또한 분기된 전선 케리블 접속부에 과부하가 발생되어 전기 과열에 의한 화재시 또는 전봇대의 전선 케이블 접속부에서 과부하에 의한 화재시 커버부재에 설치된 캡슐소화장치에 의해 초기에 신속하게 화재를 소화함으로 재산 및 인명피해와 산불로 인한 산림피해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전선 케이블 접속부에 설치된 커버를 나타낸 예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전선 케이블 접속부를 보호하는 캡슐소화장치가 구비된 커버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전선 케이블 접속부를 보호하는 커버부재를 나타낸 외부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제1커버와 제2커버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커버부재 종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전선 케이블의 접속부가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한 커버부재설치 상태 예시도.
도6의 (가)(나)(다)(라)는 본 발명의 커버부재 내면에 다양한 형태로 설치되는 캡슐소화장치의 실시예.
도7은 본 발명의 커버부재 내면 전체에 캡슐소화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전선케이블(300) 접속부(310)를 보호할 수 있도록 된 커버부재(100)에 관한 것으로, 토목현장, 건설 현장 등에서 시공시 다양한 장비나 시설물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배선되는 전선 케이블(300)의 접속부(310)에 자가소화 기능을 갖는 커버부재(100)를 설치하여 빗물에 의한 누전과 감전 사고를 예방하고 더불어 과부하에 의한 화재를 사전에 진압하여 재산피해와 인명 피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상에 설치된 전봇대(전주)의 전선 접속부에서 과부하에 의한 화재 발생시 초기에 커버부재(100) 내면에 설치된 캡슐소화장치(200)에 의한 자가소화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산불로 인한 막대한 재산피해와 산림피해를 방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자가소화기능을 갖는 커버부재(10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전기 케이블(300)의 접속부(310)를 보호할 수 있도록 제1커버(101)와 제2커버(102)가 서로 절첩 결합되도록 커버부재(100)를 구성한다.
상기 커버부재(100)는 절연체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빗물 등이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형성한다.
상기 커버부재(100)는 내부에 공간부를 갖고 축방향 양측 단부에 전선 케이블(300)이 관통할 수 있도록 유입공(111)이 형성된다.
상기 유입공(111)을 관통하는 전선 케이블(300)의 직경에 따라서 유입공(111)의 구경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사방에 절결부(112)가 형성된다.
상기 절결부(112)는 유입공(111)을 중심으로 다수개가 형성되어 유입공(111)으로 유입되는 전선 케이블(300)의 직경이 유입공(111) 보다 클 경우 사방으로 벌어지도록 하여 유입공(111)의 구경을 크게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100)는 반원통형으로 분할되는 제1커버(101)와 제2커버(102)가 결합되도록 결속후크(116)와 결속돌기(117 )가 형성된다.
상기 결속후크(116)와 결속돌기(117)는 제1커버(101)와 제2커버(102)가 결합시 대응되는 단부에 형성되어 체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커버(101)와 제2커버(102)가 결합시 결속후크(116)에 결속돌기(117)가 끼워져 체결되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결속후크(116)와 결속돌기(117)는 제1커버(101)와 제2커버(102)가 결합시 대응되는 몸체(110)의 일측 단부에는 끼움홈(114)이 형성되고 대응되는 타측 몸체(110) 단부에는 끼움편(115)이 형성되어 끼움홈(114)에 끼움편(115)이 끼워진 다음 결속후크(116)와 결속돌기(117)가 체결됨으로 기밀을 유지하여 빗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방수된다.
특히 체결시 끼움홈(114)에 끼움편(115)이 끼워져 체결됨으로 제1커버(101)와 제2커버(102)가 결합되는 이음부는 밀봉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커버부재(100)를 형성하는 제1커버(101)와 제2커버(102)의 내면에는 소화설치부(210)가 형성되어 전선 케이블(300)의 접속부(310)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자가 소화할 수 있도록 캡슐소화장치(200)가 설치된다.
상기 소화설치부(210)는 커버부재(100)의 제1커버(101) 내면과 제2커버(102) 내면에 직사각형의 테두리가 형성되어 그안 바닥면에 캡슐소화장치(200)가 부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캡슐소화장치(200)는 마이크로 캡슐로서, 소화캡슐이 에폭시수지와 함께 혼합되어 도포하거나, 시트형태, 패치 또는 패널 형태로 제작하여 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버부재(100)는 도2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버(101) 내면과 제2커버(102) 내면에 직사각형의 테두리의 소화설치부(210)가 형성되고 그안에 캡슐소화장치(200)가 설치되어 내부에 위치한 전선 케이블(300)의 접속부(310)가 과부하에 의해 고온 또는 아크가 발생되는 순간 고열이 캡슐소화장치(200)와 접촉됨으로 캡슐소화장치(200)는 순간 고열에 의해 액상의 소화제가 기화되는 과정에서 폭발됨에 따라 기체의 소화제와 함께 분출됨으로 소화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커버부재(100) 공간부 내에 위치한 전선 케이블(300)의 접속부(310)에 과부하가 발생되는 순간 고온과 아크에 의해 캡슐소화장치(200)가 터지지 않고 화염이 발생된 후에 소화캡슐이 터져 소화되더라도 화재 초기에 진화하는 것이므로 화재의 확산과 화재로 인한 커버부재(100) 소실을 사전에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커버부재(100)의 제1커버(101) 내측면과 제2커버(102) 내측면에 캡슐소화장치(200)가 설치되고 그 내부에 전선 케이블(300)의 접속부(310)가 위치함으로 캡슐소화장치(200)와 접속부(310)가 근접거리에 있으므로 접속부(310)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순간 캡슐소화장치(200)가 터지면서 소화하게 됨으로 화재를 초기에 소화한다.
상기 캡슐소화장치(200)는 60중량% ~ 80중량%의 소화캡슐과 20중량% ~ 40중량%의 에폭시수지로 조성된다.
상기 소화캡슐은 바인더 역할을 하는 에폭시수지에 지지되면서 캡슐형태로 다량이 분포됨에 따라 커버부재(100) 내의 전선 케이블(300)의 접속부(310)에서 발생된 고열에 의해 에폭시수지가 순간 녹으면서 다량으로 분포된 소화캡슐이 터짐에 따라 내부에 액체 또는 기체 등의 유체에 의해 소화작용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소화캡슐 내의 유체는 FK-5-1-12(도데카플루오로-2-메틸펜탄-3-원)이다.
상기 에폭시수지는 바인더로서 소화캡슐을 지지하면서, 고형(固形)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바인더 역할을 하는 에폭시수지는 비스페놀 A 다이글리시딜 에테르 5중량% ~ 10중량%와, 경화제인 폴리(옥시프로필렌)디아민(POLY(OXYPROPYLENE)DIAMINE) 50중량% ~ 60중량%와 촉진제인 페놀, 메틸스타이레네이트(#CAS No:68512-30-1) 25중량% ~ 35중량%, 및 난연제 5중량% ~ 10중량%로 조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캡슐소화장치(200)는 죽 형태, 시트 형태, 패드 형태, 이형 테이프 형태, 패널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커버부재(100)에 설치되는 캡슐소화장치(200)는 죽 형태, 시트 형태, 이형 테이프 형태, 패드 형태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2는 전선 케이블 접속부를 보호하는 캡슐소화장치가 구비된 커버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3은 전선 케이블 접속부를 보호하는 커버부재를 나타낸 외부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커버부재(100)의 제1커버(101)와 제2커버(102)를 벌리면 몸체(110) 타측의 'U'자형 절첩부(118)에 의해 반원통형 형태의 제1커버(101)와 제2커버(102)가 용이하게 벌어지면서 동시에 벌어진 상면이 수평선상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제1커버(101)와 제2커버(102)의 벌어진 면이 수평선상을 이루면 내면의 소화설치부(210) 상에 캡슐소화장치(200)를 설치하는 작업이 용이하고, 또한 전봇대(전주)의 전선 케이블(300)을 접속한 후 작업자가 고공에서 접속부(310)에 커버부재(100)를 씌운 후 체결하는 설치작업이 안전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즉 기존의 커버부재는 반대측에 절첩부(118)가 형성되지 않고 일체형의 원통형 몸체를 유지한 관계로 커버를 'c' 형으로 억지로 벌린후 접속부를 끼우는 과정에서 작업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손을 다치는 문제점 등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커버부재(100)의 제1커버(101)와 제2커버(102)에 형성된 결속후크(116)와 결속돌기(117)가 형성된 몸체(110) 타측에 길이방향으로 'U'자형 절첩부(118)를 형성함으로 작업자가 취급이 용이하고 전신주의 전선 케이블 고공에서 작업을 안전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커버와 제2커버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안전 커버 종단면도로서, 커버부재(100)의 제1커버(101)와 제2커버(102) 내면에 형성된 소화설치부(210)에 캡슐소화장치(200)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대 커버부재(100)의 설치는 몸체(110)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절첩부(118)가 상부에 위치하고 제1커버(101)와 제2커버(102)가 체결되는 결속후크(116)와 결속돌기(117) 부분이 하향으로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커버부재(100)에 설치된 캡슐소화장치(200)는 전선 케이블(300)의 접속부(310)를 형성하는 전선 접속클립(311) 양측에 근접되도록 위치되어 화재시 신속하게 초기에 소활수 있게 된다.
도5는 본 발명의 전선케이블의 접속부가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한 커버부재설치상태 예시도로서 커버부재(100)의 양측 단 유입공(111)을 통하여 전선 케이블(300)이 관통되고 접속부(310)를 형성한 전선 접속클립(311)은 커버부재(100) 내의 공간부에 위치한다.
이때 커버부재(100) 양측단부 유입공(111)의 사방으로 형성된 절결부(112)에는 마감테이프(320)를 이용하여 밀봉 권선함으로 우천시 빗물이 커버부재(100)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작업에 따라서 접속부(310)를 전선 접속클립(311)으로 결속후 결속부(310)를 마감테이프(320)로 밀봉한 후 커버부재(100)를 쒸운 다음 양측 단부를 다시 마감테이프(320)로 밀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커버부재(100)는 단면상 원형으로 형성하고 몸체(110) 양측 단부는 유입공(111)까지 경사면(113)이 형성되도록 하여 유입공(111)에 형성된 절결부(112)가 전선 케이블(300)의 굵기에 따라서 벌어지거나 오므라질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커버부재(100)의 몸체(110) 양측 단부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경사면(113)은, 몸체(110)에 형성된 절첩부(310)측의 경사면(113)은 유입공( )까지 기울기가 완만하게 형성되고, 하부의 결속후크(116)와 결속돌기(117)가 형성된 양측 단부에서 유입공(111)까지는 급경사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우천시 빗물이 상부에서 하부로 흘러 지상으로 떨어지도록 함으로써 빗물이 커버부재(100)에 잔류되는 시간을 줄여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 하였다.
또한 커버부재(100)의 양단부에 경사면(113)을 형성함으로 전봇대(전주)의 전선 케이블(300)에 설치시 새들이 집짓는 것을 방지하여 새집에 의한 전기 합선을 방지하였다.
도6의 (가)(나)(다)(라)는 본 발명의 커버부재 내면에 다양한 형태로 설치되는 캡슐소화장치의 실시예로서, 도6의 (가)는 소화설치부(210)에 설치되는 캡슐소화장치(200)는 에폭시수지와 소화캡슐이 혼합된 캡슐소화장치(200)를 부착시키 것으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버부재(100)의 제1커버(101)와 제2커버(102) 내측면에 직사각형의 돌출 테두리 형태로 소화설치부(210)를 형성하고, 그 안에 캡슐소화장치(200)를 도포 또는 접착되도록 설치한 것이다.
상기 도6의 (가)에 도시된 직사각형 형태의 소화설치부(210)는 좁고 길게 여러개를 형성할 수도 있도 크게 하나의 소화설치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직사각형 형태의 테두리로 형성된 소화설치부(210) 내면에는 캡슐소화장치(200)의 접착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스크레치 또는 엠보싱을 형성하여 소화캡슐을 혼입한 에폭시수지가 접착될 수 있도록 한다.
도6의 (나)는 캡슐소화장치가 이형테이프 형태로서 직사각형 형태의 소화설치부(210) 또는 소화설치부(210)가 없는 커버부재(100) 양측 내면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이형 테이프 형태의 캡슐소화장치(200)는 접착되는 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커버부재(100) 내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도6의 (나)는 이형 테이프형태, 패치형태 등의 캡슐소화장치(200)로 이루어져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소화설치부(210)에 부착될 수 있다.
도6의 (다)는 커버부재(100)의 제1커버(101)와 제2커버(102) 내면에 캡슐소화장치(200)를 도포형태로 설치한 것이더.
상기 도6의 (가)(나)(다)에 도시된 캡슐소화장치는 1㎜∼6㎜의 두께로 도포되며, 60중량% ~ 80중량%의 소화캡슐과 20중량% ~ 40중량%의 에폭시수지로 조성되어 화재시 신속하게 소화캡슐이 터지면서 폭팔하여 화염을 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6의 (라)는 소화캡슐과 에폭시수지가 혼합되어 얇은 비닐관 또는 수지관에 충진되어 경화된 상태의 캡슐관(211)으로서 길이는 롤 형태 또는 소정의 길이로 제작될 수 있으며, 커버부재(100) 양측 내면에 'C'자형 클립을 다수 형성하여 캡슐관(211)을 설치한 것이다.
상기 캡슐관(211)은 직경이 작은 호스 형태로서 'C'자형 클립 형태의 소화설치부(210)에 탈부착하는 방법으로 설치됨으로 설치와 탈거가 용이하다.
또한 캡슐관(211)은 화재를 소화한 후 커버부재(100)에 다른 캡슐관(211)을 끼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캡슐관(211)은 화염에 쉽게 용해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소화캡슐이 캡슐관(211)에 충진되어 커버부재(100)의 제1커버(101)와 제2커버(102)의 내면에 'C'자형 클립형태의 소화설치부(210)를 형성한다.
도7은 은 본 발명의 커버부재 내면 전체에 캡슐소화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소화설치부(210)에 구비되는 캡슐소화장치(200)는 에폭시수지와 소화캡슐이 혼합된 캡슐소화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도7의 소화설치부(210)는 커버부재(100) 내면 전체에 격자돌기 테두리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에 캡슐소화장치(200)가 메워져 설치된다.
즉 도7은 커버부재(100)의 제1커버(101)와 제2커버(102) 내면 전체에 격자형태의 소화설치부(210)를 형성하고, 상기 소화설치부(210) 전체에 캡슐소화장치(200)가 접착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된 본 발명의 자가소화 기능을 갖는 커버부재는 건설현장이나. 토목현장에 배선되는 전선 케이블 접속부(310) 또는 전봇대에 설치되는 전선 케이블(300) 접속부(310)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전선 케이블(300)을 분기하여 용접, 전기발전, 전기조명 등으로 사용함에 따라서 분기된 전선 접속부에 과부하에 의한 발화가 발생되는 것을 초기에 신속하게 자가 소화 함으로 화재로 확산되어 재산피해와 인명 피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상에 설치된 전봇대의 전선 케이블 접속잡업시 작업자가 본 발명의 안전 커버를 간단 용이하게 설치함으로 커버부재 설치작업 시간을 단축하고 고공에서 안전한 작업을 실시함으로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의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 권리요지로 청구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고, 단순 설계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귀속됨이 당연할 것이다.
100:커버부재 101:제1커버
102:제2커버 110:몸체
111:유입공 112:절결부
113:경사면 114:끼움홈
115:끼움편 116:결속후크
117:결속돌기 118:절첩부
200:캡슐소화장치 210:소화설치부
211:캡슐관 300:전선 케이블
310:접속부 311:전선 접속클립
320:마감테이프

Claims (6)

  1. 전선 케이블의 접속부를 씌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커버에 있어서,
    전기 케이블의 전선 접속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제1커버와 제2커버가 서로 절첩되도록 이루어진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의 축방향 양측에 전선 케이블이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된 유입공과;
    상기 유입공을 관통하는 전선 케이블의 직경에 따라서 유입공의 구경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절결부와;
    상기 제1커버와 제2커버가 결합되도록 결속돌기와 결속후크를 형성하고 빗물이 방수되도록 결합되는 끼움홈 및 끼움편과;
    상기 커버부재(100)의 제1커버(101)와 제2커버(102)에 형성된 결속후크(116)와 결속돌기(117)가 형성된 몸체(110) 타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U'자형 절첩부(118)와;
    상기 커버부재를 형성하는 제1커버와 제2커버의 내면에 소화설치부가 형성되어 전선 접속부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소화할 수 있도록 된 캡슐소화장치와;
    상기 캡슐소화장치는 화염에 쉽게 용해되는 캡슐관에 충진되어 커버부재의 제1커버와 제2커버의 내면에 형성된 클립형태의 소화설치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케이블 접속용 자가소화장치 안전커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30040532A 2023-03-28 2023-03-28 전선 케이블 접속용 자가소화장치 커버부재 KR102610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0532A KR102610158B1 (ko) 2023-03-28 2023-03-28 전선 케이블 접속용 자가소화장치 커버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0532A KR102610158B1 (ko) 2023-03-28 2023-03-28 전선 케이블 접속용 자가소화장치 커버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0158B1 true KR102610158B1 (ko) 2023-12-06

Family

ID=89163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0532A KR102610158B1 (ko) 2023-03-28 2023-03-28 전선 케이블 접속용 자가소화장치 커버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015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703Y1 (ko) * 2014-12-17 2016-06-27 박미란 전선 접속용 분기슬리브 커버
KR20210076459A (ko) 2019-12-16 2021-06-24 한국전력공사 자기소화 케이블 접속재 커버
KR20230009107A (ko) * 2021-07-08 2023-01-17 백종운 전기케이블의 접속부용 안전커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703Y1 (ko) * 2014-12-17 2016-06-27 박미란 전선 접속용 분기슬리브 커버
KR20210076459A (ko) 2019-12-16 2021-06-24 한국전력공사 자기소화 케이블 접속재 커버
KR20230009107A (ko) * 2021-07-08 2023-01-17 백종운 전기케이블의 접속부용 안전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6694B1 (ko) 건축물내에 설치되는 케이블 지지트레이의 화재 확산방지장치
CN207234370U (zh) 一种可定位的电缆中间接头保护盒
RU2710540C1 (ru) Разъ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граничителя перенапряжений и 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одержащее ограничитель перенапряжений, соединенный с таким разъединитель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CN116313268B (zh) 一种环保阻燃型电力电缆
US4232742A (en) Flame-guard for electrical installations
KR102091184B1 (ko) 공동주택용 전기케이블 트레이
CN201298725Y (zh) 一种电缆中间接头防火、防炸装置
KR20180064914A (ko) 교량의 케이블의 화재를 방지하는 수관 장치 및 화재 방지 방법
JPH02307316A (ja) 防火シール装置
KR102610158B1 (ko) 전선 케이블 접속용 자가소화장치 커버부재
CN106362331B (zh) 电缆灭火套
KR102042337B1 (ko) 층간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한 수직배관관통공 내화충전구조
KR102591755B1 (ko) 질식포를 이용한 볼라드 장착식 전기자동차 화재진압장치
KR102402409B1 (ko) 케이블 접속부 소화커버모듈
KR102417215B1 (ko) 질식소화를 이용한 소화커버모듈
KR200403500Y1 (ko) 전기화재방지용 방폭 소화시트
KR20230009107A (ko) 전기케이블의 접속부용 안전커버
DE202010014995U1 (de) Mechanisch - pyrotechnisches Feuerlöschsystem für ein Dach mit und ohne Photovoltaik - Anlage
KR102100090B1 (ko) 절연전선의 선로 보호용 난연 구조체
KR102193829B1 (ko) 방호관 결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선 설비, 방호관 결합부를 구비하는 데드엔드 커버
CN215995433U (zh) 热敏线连接装置及灭火装置
KR102646143B1 (ko) 화재예방 전선연결용 단자
CN215990169U (zh) 一种防火电缆头
CN219872922U (zh) 一种飞机专用腊克线
CN220175912U (zh) 一种设有双重触发装置的管道灭火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